(N=763)
(%)
취업 포스트닥
자료 원자료 재분석
주 과기분야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미국 전체 박사학위 취득자와 비교해 볼 때 한국인 미국 박사학위 취득자들 의 포스트닥 비율이 더 높고 상대적으로 취업 비율은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특히 생명과학 자연과학 공학 등 과학기술분야에서 두드러진다 그림 참조 이와 같은 결과는 한국인 박사들이 학위취득 이후 본격적인 노동 시장으로 참여하기보다 포스트닥으로 일시적으로 미국에 체류하는 경향을 일 정 정도 보여주는 것이라고 하겠다
6.8 12.1
16.7 19.8
83.6 50.2
66.4 66.7 46.9
5.3 6.0
11.6
30.7
67.0 36.3
56.2 53.2 35.3
0 20 40 60 80 100
기타 교육학 인문학 사회과학 생명과학 공학 자연과학 과기분야 전체
(%)
한국박사 포스트닥 미국박사 전체 포스트닥
자료 원자료 재분석
주 과기분야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년부터 년까지 여년간의 포스트닥 비율의 증가를 보면 그림 참조 자연과학 공학계열 생명과학에서 포스트닥 비율이 지속적으로 증 가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는 특히 공학계열에서 가장 큰 증가를 보여 년 에서 년 로 포인트 이상 증가한 것으로 나타난다 다만 자 연계열의 경우 년과 년도에 포스트닥 확정 비율이 다소 감소되었다
0 20 40 60 80 100
1984 1989 1994 1999 2004
(%)
전체 과기분야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사회과학
인문학 교육학 기타
자료 원자료 재분석
주 과기분야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미국 내의 취업 분야 3.
년도 한국인 미국박사학위 취득자들의 미국 내 취업 분야를 보면 취업 기관에 대해 응답한 명 중 과반수인 가 고등교육기관이라고 응답하 여 가장 높은 비율을 나타냈고 그 다음으로 민간기업 또는 개인사업으로 로 나타난 반면 정부기관에 취업이 확정된 응답자는 에 그쳤다 그림 참조 전체 미국박사학위 취득자들과 비교해 볼 때 한국인 미 국박사학위 취득자들은 고등교육기관 및 민간기업의 취업률이 더 높고 정부기 관이나 창업 등 기타 부문 취업은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특히 전공별 로 차이를 보이는데 공학부문의 경우 한국인 미국박사학위 취득자들이 전체 미국박사학위 취득자에 비해 기업에 취업하는 비율이 월등히 높게 나타나고
대학에 취업하는 비율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또한 자연과학계열이나 생 명과학계열은 전체 미국박사학위 취득자에 비해 민간부문에 취업하는 비율이 낮게 나타났다
년도 한국인 박사학위 취득자들 중 전공 분야별 미국 내 고등교육기관 취업 비율을 보면 기타분야가 로 가장 높았으며 공학분야가 로 가장 낮은 비율을 나타내었다 민간기업에 취업 또는 개인사업을 계획하고 있 는 비율은 공학분야가 로 여타 분야에 비해 월등히 높은 비율을 나타낸 다 한편 인문학분야는 년 이래 민간기업 취업 또는 개인사업을 계획한 비율이 전무한 것으로 나타났다
98.3 84.2 78.9
88.0 50.0
17.5
80.0 49.2
68.3
1.7 5.3
4.0 14.3
75.4
13.3 34.4
23.2
5.3 4.0 21.4
5.3 3.3 10.0
4.0
10.5 15.8
4.0 14.3
1.8 3.3 6.4
4.5
0 20 40 60 80 100
기타 (N=60) 교 육학 (N=19) 인 문학 (N=19) 사회 과학 (N=25) 생명 과학
(N=14) 공학 (N=57) 자연 과학 (N=30) 과학 기술
(N=101) 전체 (N=224)
(%)
고 등교육기관 민간기업/개 인사업 정부기 관 기타
자료 원자료 재분석
주 과기분야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사회과학의 개 계열을 중심으로 지난 년간 고 등교육기관 취업율과 기업 취업율의 변화 추이는 그림 과 그림 에서와 같다 고등교육기관 취업률은 전반적으로 년대 중반을 기점으로 감소하다가 최근에 와서 다시 높아지는 현상을 볼 수 있으며 기업 취업률은 전체적으로 최근에 와서 다소 감소하였다 생명과학의 경우 고등교육기관의 취 업률과 기업취업률이 감소하는 대신 정부기관의 취업률이 높아졌다
0.0 20.0 40.0 60.0 80.0 100.0 120.0
1984 1989 1994 1999 2004
(%)
전체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사회과학
자료 원자료 재분석
0.0 20.0 40.0 60.0 80.0 100.0
1984 1989 1994 1999 2004
(%)
전체 자연과학 공학 생명과학 사회과학
자료 원자료 재분석
한국인 미국박사학위 취득자들의 미국 내 취업 분야를 성별로 살펴보면 그림 과 같이 큰 차이가 나타났다 여성의 경우 고등교육기관의 취업률
이 민간부문 취업률 에 비해 월등히 높게 나타나는 반면 남성 의 경우 고등교육기관 취업률 과 민간부문 취업률 의 차이는 여 성보다 작게 나타났다 이는 성별간 전공분야의 차이 남성의 경우 공학계열 비율이 높음 에서 기인된 것으로 보인다
59 .5
87 .3
3 2 .7
5 .6 2 .8
3.9 4.2
3 .9
0% 20% 40% 60% 80% 100%
남성 여성
고등교육기관 민간기업/개인사업 정부기관 기타
자료 원자료 재분석
학위취득 직후 미국박사의 진로 4.
앞서 살펴본 결과를 종합하여 한국인 미국박사들의 학위취득 당시 진로계획 을 정리하면 그림 와 같다 학위취득시 약 는 취업이나 포스트닥 으로 확정된 상황이며 나머지 는 미정인 상황이다
한국인 미국박사의 학위취득 직후 진로 미확정 비율 는 미국 전체 박 사의 진로 미확정 비율 에 비해 상당히 높다 그림 참조 한국 인 미국박사 중 취업이 확정된 박사들의 는 고등교육기관으로 는 민간기업으로는 진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인 미국박사 취득자들의 학위취득 후 진로계획은 미국 잔류 의사를 나 타낸 집단과 한국 귀국 의사를 밝힌 집단 간에 차이를 보였다 미국 체류 의사 를 밝힌 한국인 미국박사들의 경우 취업 또는 포스트닥 확정 비율이 진로 미확정 비율은 였다 진로가 확정된 박사들 중 미국 내 취업은
였고 미국 내 포스트닥 진출은 로 포스트닥 비율이 약간 더 높게 나타났다 미국 내 취업 중에서는 고등교육기관 취업이 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민간기업 혹은 개인사업은 에 달하였다
반면 한국으로 귀국하고자 하는 한국인 미국박사의 경우 취업 또는 포스트 닥이 확정된 비율은 미확정 비율은 로 진로가 불확실한 상황에 서 귀국하는 경우가 과반수를 넘었다 취업이 확정된 박사 중 취업은 이 고 포스트닥 진출은 에 그치고 있어 미국에서 박사학위 취득 후 한국에 서의 포스트닥 과정 진출은 흔치 않은 진로경로인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취업이 확정되고 귀국하고자 하는 응답자 즉 국내에서의 취업이 확 정된 경우를 취업기관별로 살펴보면 고등교육기관이 민간기업 혹은 개인사업이 정부기관이 로 나타났다 즉 미국 체류자 집단에 비 해 고등교육기관으로의 취업 비율이 낮고 정부기관 취업이 높은 특징을 보인 다
이는 미국에서의 박사학위 취득 직후 신참 박사로써 국내 대학의 교수로 채 용되는 진로경로는 어렵고 한정되어 있음을 간접적으로 나타낸다 미국의 경우 다양한 고등교육기관이 많이 있기 때문에 박사학위 취득 직후 교수 임용의 기 회가 한국보다 많은 것으로 보인다 심지어 미국에서 특정 지역이나 전공 분야 는 박사취득자의 희소성으로 인해 논문제출만 남은
단계에도 교수 임용이 가능한 경우도 있다 반면 우리나라의 경 우 교수직에 대한 선호가 높고 공급이 많은 반면 일자리 수는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성과 중심으로 경쟁이 치열해질 수밖에 없어서 상대적으로 보다 훌륭 한 성과를 쌓기 위한 기간이 경쟁률의 증가와 함께 계속 길어지고 있는 추세이 다 또 다른 귀국자 집단의 특성은 정부기관 취업률이 높게 나타나는 것인데 이는 우리나라의 여러 정부출연연구기관으로의 진출을 포함하는 것으로 보인 다 실제 자료를 통한 검증은 제 장에서 어느 정도 될 것이지만 한국인 미국박 사들의 진로경로 중 하나가 이와 같이 학위취득 직후 귀국하여 정부출연연구 기관에 취업하여 일정 기간의 경력을 쌓은 후 고등교육기관으로 이직을 하는 경우일 것이다
제 절 미국박사 취득자들의 연구 및 포스트닥 활동 2
학위취득 이후 연구 활동 1.
학위취득 이후 연구실적은 박사들의 연구생산성을 판단하는 데 중요한 역할 을 할 수 있다 명의 과학기술분야 박사들의 진로활동 조사를 분석한 결과 국가들의 비교 연구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난 바대로 과기분야 박사들이 인문계열이나 사회계열 박사들에 비해 학술지 논문게재나 특허 보유 실적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공학계열 박사들은 연평균 학술지 논문을 건 자 연계열 박사들은 건을 게재하고 있었다 국내 특허 미국 특허 특허 상용 화에 있어서 공학계열 박사들이 다른 계열 박사들에 비해 높았다
구분 인문 사회 공학 자연
사례수 명 학술논문게재
저서 국내특허 보유 개수 미국특허 보유 개수
상용화된 특허 개수
단위 건
주 괄호 는 표준편차임
한편 미국에서 계속 활동하고 있는 박사들과 귀국한 박사들의 연구실적의 차이는 국내의 연구환경이나 문화가 박사들의 연구생산성에 어떤 영향을 미치 는지 살펴볼 수 있는 중요한 척도가 된다 미국거주 박사들과 국내거주 박사들 의 연구실적을 비교해 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의 차이를 보이지 않고 있 다 공학계열의 경우 국내거주 박사들의 연구실적이 다소 높고 자연계열의 경 우 미국거주 박사들의 연구실적이 다소 높은 것으로 나타난다 거주지별 차이
가 나타나지 않는 것은 실제적으로 생산성의 차이가 없을 수도 있고 본 조사 대상이 학위취득한 지 년이 지나지 않았고 미국에서 거주하다가 귀국한 경우 가 적지 않아서 미국에서 실적과 국내에서의 실적이 혼재되어 있기 때문일 수 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향후 연구들에서는 장기간에 걸쳐 동일한 연도에 학 위를 취득한 박사들이 거주지에 따라 어떤 생산성의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볼 필요가 있다
계열 학술논문게재 저서 국내 특허 미국 특허 특허 상용화 국내 미국 국내 미국 국내 미국 국내 미국 국내 미국 공학
자연
주 단위는 건이며 괄호 는 표준편차임
포스트닥 활동 2.
의 프로젝트에서도 제시되고 있듯이 포스트닥을 어떤 과정으로 규정할 것인가에 대하여 논란이 많다 학위이수과정의 일환으로 볼 것인지 아 니면 취업의 일환으로 볼 것인지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되고 있다 그 과정의 성격에 대한 논란은 있으나 포스트닥이 광범위하게 하나의 과정으로 수용되고 있음에는 이견이 없고 이 과정에 대한 분석이 심도 있게 수행되어야 한다는 점에도 대부분 공감하고 있다 그렇다면 미국에서 학위를 취득한 한국박사들의 포스트닥 상황은 어떠한지 주요 특징을 살펴본다
명의 과학기술분야 박사 가운데 는 포스트닥을 마쳤거나 과정 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