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2.2 건축가들의 다이어그램

2.2.4 Rem Koolhaas

현대 건축의 관점에서 Rem Koolhaas의 위상에 관해 논할 때, Charles A. Jenks처럼 형태 기법에 따라 네오모더니스트로 분류하거나 Kipnis처럼 정의할 수 없는 다양하고 직관적인 형태 기법의 출발점으로 프로그램 해석을 중요하게 위치시킨다. Landscape architecture에서는 Rem Koolhaas가 내부공간과 외부공간의 경계를 없애는 연속 면으 로 프로그램의 불확정성과 이벤트를 획득하고 있다고 언급한다.28)

현대 건축 개념에서 바탕이 되는 가장 큰 화두는 근대와 달라진 현대사회, 도시 상황 을 토대로 새로운 시간, 공간 개념이 어떻게 달라졌는가 이다. 시간개념은 부분적 시간 을 통합한 것으로 생각했던 것이 연상이나 기억을 통해서 과거와 현재, 미래의 시간이 혼합되었으며, 공간개념은 위계에 의한 선형 구조에서 동등한 여러 질들이 충돌하는

‘헤테로피아’ 양상으로의 변화를 들 수 있다. 여기에서 프로그램의 불확정성이라는 문제 와 적극적인 해결책으로 이벤트 부여에 대한 다양한 논의들이 나타나게 되었는데, 이것 은 행위에 의한 신체적 경험이 중요하게 된 것과도 관계있다. 근대 이후 휴머니즘의 속 성을 회복하기 시작한 것과 같은 맥락으로 볼 수 있는데 공간을 인간의 신체와 상호 작용하는 것으로 보고 인간의 움직임 특성에 의해 미리 예측할 수 없는 많은 ‘사건’들 이 생길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가능성을 열어 낯선 이질적 공간과의 충돌을 만드는 것으로 이벤트 개념29)이 등장하였다. ‘이벤트’ 개념은 푸코가 말하는 ‘헤테로피아’로 시 작하여 하이데거의 ‘거주할 수 없는 곳에 거주하기’를 이어받은 데리다와 들뢰즈의 ‘기 대하지 않았던 충돌효과’에 이르는 철학자들의 개념 분석에서 시작한다.30)

이처럼 이벤트와 불확정성은 철학자들의 개념에서 이슈가 되어 건축으로 영향을 주 었는데31), Rem Koolhaas는 형태가 프로그램에 의하여 결정되어지는 것은 아니며 프로

28) 근대 이전의 건축은 주로 프로그램에 따라 형태와 연계방식이 거의 결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프로그램 해석 방법이 그다지 중요하지 않았고, 근대 건축에서는 공간 탐구에 치중하거나 기능위주의 연계방식이 었다고 할 수 있다. 현대에서는 합리적인 기능 연계방식뿐만 아니라 본질적으로 프로그램을 유형에 얽 매이지 않도록 새롭게 해석한다.

29) 들뢰즈는 ‘허구적 다양성’을 제시하고 있다. 이러한 사고들은 건축에서 프로그램의 불확정성과 이벤트 를 부각시키고 있는데 특히 들뢰즈의 개념은 아직 일어나지 않고 예견할 수 없는, 뜻밖의 행위를 염두 에 두고 거주자의 움직임을 최대로 부딪치게 하는 것인데 헤테로피아의 개념에 따라 공간이 하나의 선 적 전개가 아닌 다층적 공간 특징을 갖게 되며 데리다의 ‘거주할 수 없는 곳에 거주하기’는 익숙한 거주 의 가치에 낯설고 예기치 못한 전환점에 의해 무질서를 구성에 반영하고, 이전에는 거주할 수 있다고 생각하지 않았던 특이한 공간을 발견하게 된 것이었다.

이은경, 현대의 이벤트 개념의 건축적 의미와 특성에 관한 연구, 국민대학교 석논, 1999

30) 이것을 실제로 건축가들이 어떻게 해석하고 있느냐는 츄미를 비롯한 건축가들의 저술에서 볼 수 있는 데 주로 그들의 작품에서 어떻게 구체화시켰는가에 대한 설명보다는 자신들의 이론적 개념을 설명한다.

31) 이 시기에 가장 큰 특성을 철학과 건축의 교류가 굉장히 활발히 일어나고 있다는 것이다. 이러한 일방 적 영향관계는 근대에서 현대로 넘어오는 시기에 인문학에서 변화 양상에 대처하는 것보다 건축의 대처

<그림 2-51> Seattle Central Library 전경

그램과 인간의 행위는 예측불가능한 부분이 있기 때문에 건축가로서 인정해야 할 자율 성을 필요로 하며, 현대 도시 건축은 복잡화되고 다양화되는 프로그램을 수용하여야 하 므로 건축이나 도시는 프로그램의 불확정성을 인정하여야 한다.32)고 프로그램의 불확 정성에 대해 설명한다.

미리 프로그램 성격을 결정하지 않는 개방 공간을 만들어 프로그램의 불확정성33)을 만족시키는데 중첩된 면 사이에서 생기는 이벤트효과로 공간 효과를 만드는 것이 내부 연속면의 가장 큰 전략적 목적이다. 미래에 사용을 예측할 수 없기 때문에 사용하지 못 하고 버려지는 공간이 최소로 되어야 했고, 여러 가지 기능이 복합된 경우가 더 많기 때문에 각 공간 사이를 쉽게 움직이도록 공간을 대등하게 충돌시키는 것이 필요했다.

이러한 특성을 규모가 클수록 더 요구되는데, 국제주의 양식에서 프로그램 사이를 효 율적으로 연결하는 수단으로 사용하였던 일직선 복도로는 더 이상 해결이 가능하지 않 다는 것을 의미한다. 특히 공공영역에서 프로그램 사이의 경계를 없애는 내부 연속 면 을 압축된compact 형태로 사용할 경우 가장 효과적이다. 또한 객관적인 데이터들을 수집 하여 과학적으로 분석하고, 이것을 토대로 프로그램 관계를 해석하여 디자인에 적용한 다. Rem Koolhaas가 사용하는 다이어그램은 이러한 프로그램의 관계 해석을 보여주는 것이다.34)

(1) Seattle Central Library _ Seattle, USA, 1999-2004 35)

새로운 Seattle Central Library은 도서관이 책만 취급 하는 장소에서 벗어나 과거와 현재의 모든 미디어를 묶 어내는 정보의 보관창고로서 기능하도록 계획되었다. 오 늘날처럼 어느 곳에서든지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시대에 도서관을 책을 읽는 공간에서 다양한 역할을 수행하는 사회의 중심으로 만들기 위해 모든 매체를 갖추고 이들 의 표현성과 상호 작용을 전문적으로 키워내려 하였다.

이 프로젝트에서 다이어그램의 활용을 살펴보면, 먼저

방법이 상당ㅇ히 뒤처졌기 때문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철학에서 건축으로 전달되는 영향관계는 kipness의 지적에서 보듯 구체적으로 디자인에 적용하기에 상당히 무리가 따른다.

32) 홍경모, 렘 콜하스 건축의 내부공간에서 드러나는 질서적 특성에 관한 연구, 서울대 석론, 1998 33) 현대건축의 프로그램 해석의 가장 큰 특징으로 지적하고 있으며, Lootsma는 이 점이 렘 콜하스가 세

계적으로 brand화된 이유라고 말한다.

34) 김상희, 렘 콜하스 건축의 비선형 조직방법 특성연구, 서울대 석론, 2002

35) 한상길, 다이어그램을 통한 현대건축의 형태생성 프로세스 연구, 국민대 석론, 2006

<그림 2-52> Consolidated Program

<그림 2-53> Platforms <그림 2-54> In-Between

위의 통합 프로그램 다이어그램에서는 기존 도서관의 프로그램은 과도한 단편의 혼 합에 따라 다수의 층을 분포시키고, 기존 도서관의 프로그램들을 재해석하여 단일한 단 위의 덩어리들로 통합한다. 그리고 통합된 덩어리들에게 할당된 기능들이 최대한의 성 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프로그램 집단들이 연속성을 지니도록 교체한다.

5개의 안정된 프로그램 클러스터와 4개의 불안정한 클러스터들로 구분을 한다. <그림 2-53>에서는 각각의 플랫폼은 건물 내의 기능 구역 특히 이미 정의된 목적을 가진 구 역-주차장, 직원 사무실, 편의 시설, 서고, 본부사무실-들을 구성한다. 각 구역들의 유 연성을 열어두며, 프로그램들이 공공의 공간으로 할당된 도서관의 다른 기능 구역들로 의 침입 없이 우선적으로 할당된 구획들 안에서 증가하고 변화하며 팽창하도록 계획한 다. <그림2-54>은 플랫폼들 사이의 공간들에서 분배된 불안정한 프로그램 클러스터들 은 건물의 기능적인 충돌사이의 경계 면을 구성한다. Children center, Living room, Mixing chamber, Reading room 안에서 이용자들과 직원들은 이웃한 안정구역들에 의 해 한정된 프로그램의 활동을 혼합적으로 실행 시킨다. Rem Koolhaas는 계속 바뀌는 공공공간의 요구를 수용하도록 계획된 증권거래소와 같이 ‘Trading floors’로서 공간들 사이를 묘사한다.

<그림 2-55> Book Spiral Diagram

<그림 2-56> Contextual Optimization 도서관이 직면한 문제들 중 하나는 특정 한 주제에 관계된 소장품의 다변화-짧은 간격으로 수축⋅팽창하는-를 예측하기 어렵다는 것이다.

새 도서관은 층을 나누는 대신에 000 에서 999까지의 카테고리들이 있는 듀이 도서 분류법으로 정리된 도서관의 책들 은 나선형을 그리는 하나의 연속적인 리 본 안에서 정리한다. 층의 구획으로 인한 단절로부터 자유로워진 도서들은 듀이 도서 분류법의 논리나 명쾌함을 해치지 않고도 일반적인 카테고리나 이것의 최하 카테고리의 팽창⋅수축에 가변적으로 대응하게 된다.

초기 디자인 단계에서 건물의 랜드스케이프와 내부공간의 계획의 하나로서 도서관에 접근하는 관객, 출입과 연속적인 시퀀스로 올라가는 층, 다양한 장소에서의 만남이 계 획 되었다. 예로서 카펫은 다른 색을 가지고 다양한 층에서 반복되며, 연속적으로 외부 와 연결된다. 외부 식물 주위의 건물이 ‘접혀진 조망’처럼 보이는 것처럼 카펫은 ‘분명 히 접혀져’보인다. 또한 카펫들과 랜드스케이프 외에도, 강당의 무대-4번 가의 첫 번째 레벨-를 위한 두 개의 막, 하얀 천장 받침과 최상층 본부 사무실 둘레의 흡음재로 만 들어진 판자벽을 계획하였다.

건물의 최종외형은 실용적인 최적화건축 방법으로 프로그램 상자들을 쌓은 다음 옵 셋 시켜 만들어진다. 예를 들어, 하나는 열 람실로부터 Elliott Bay로의 시야를 확보하 기 위해 열어-한 방향으로 움직여-놓은 것 이다. 다른 하나는 일광으로부터 노출이 적 은 혼합 실을 만들기 위해 중심으로부터 떨 어뜨려 놓은 것이다. 박스들 사이의 남은 공간은 일, 대화, 놀이를 위한 공공 공간들 이 된다.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