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REVIEW TEST 05

Dalam dokumen 입문편 정답 및 해설 (Halaman 42-49)

12345Thank, helping 6789101112131415161718192021222324isnoteasy touse 25ItisimportanttostudyEnglish 26istoo hottodrink 27amwillingtoacceptyouroffer 28built 29playing 30 ⓐ stayingup → tostayup 1 ① 오다 ② 떨어지다 ③ 깨지다 ④ 쓰다 ⑤ 알다

▶ ⑤ know의 과거분사형은 known이다.

(know-knew-known)

2 나는 이 책을 읽는 것을 즐겼다.

▶ 동사 enjoy는 목적어로 동명사를 쓴다.

3 우리는 너를 거기서 보게 되어 놀랐다.

▶ 감정을 나타내는 형용사(surprised) 뒤에 쓰여 ‘∼해서,

~하니’라는 원인을 나타내므로 to부정사를 쓴다.

4 그들은 로마에 가는 것을 계획했다.

▶ 동사 plan은 목적어로 to부정사를 쓴다.

5 ▶ 전치사(for) 뒤에 동사가 이어질 때는 동명사의 형태로 써야 한다.

6 ① 나는 영화 보는 것을 좋아한다.

② 그는 피아노를 치기를 원한다.

③ 이 시험은 합격하기 불가능하다.

어휘 impossible 불가능한

④ 마야는 일본에 가는 것을 결정했다.

⑤ 나는 가능한 한 빨리 너의 소식을 듣기를 희망한다.

진행을 나타내는 현재분사가 적절하다.

D

1broken 2arrived 3shouting 4written 5dancing 6standing 7talking 8seen 9signed

1 짐은 부서진 우산을 가져왔다.

▶ ‘부서진’이라는 수동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과거분사를 쓴다.

2 그는 막 역에 도착했다.

▶ 현재완료형이므로 have동사 뒤에 과거분사를 쓴다.

3 아이들에게 소리 지르고 있는 저 남자는 누구니?

▶ ‘소리 지르고 있는’이라는 진행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를 쓴다.

4 그 책은 유명한 작가에 의해 쓰였다.

▶ 수동태이므로 be동사 뒤에 과거분사를 쓴다.

5 무대 위에서 춤추고 있는 소녀가 있다.

▶ ‘춤추고 있는’이라는 진행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를 쓴다.

6 내 앞에 서 있는 사람들은 키가 너무 컸다.

▶ ‘서 있는’이라는 능동·진행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를 쓴다.

7 제리는 새라와 전화로 이야기하고 있다.

▶ 현재진행형이므로 be동사 뒤에 현재분사를 쓴다.

8 너는 히치콕 영화 중 하나를 본 적이 있니?

▶ 현재완료형이므로 have동사 뒤에 과거분사를 쓴다.

9 그 유니폼은 그 선수들에 의해 사인 되었다.

▶ 수동태이므로 be동사 뒤에 과거분사를 쓴다.

E

1adognamedSparky 2carryingaheavybag 3watchingtheexcitinggame

1 named는 과거분사로 수동의 뜻을 나타낸다. 분사에 다른 말이 붙어 길어지면 명사를 뒤에서 꾸며준다.

2 carrying은 현재분사로 능동·진행의 뜻을 나타낸다. 분사에 다른 말이 붙어 길어지면 명사를 뒤에서 꾸며준다.

3 ▶ 동사 enjoy는 목적어로 동명사를 쓴다. exciting은 현재분사(또는 형용사)로, 명사 앞에서 명사를 꾸며준다.

F

1234561 그녀의 업무는 전화를 받는 것이다.

▶ 주어(Hertask)를 보충 설명하는 주격 보어로 쓰인 동명사이다.

http://hjini.tistory.com

▶ ③ 동사 want는 목적어로 to부정사를 쓴다.

(saving → tosave)

12 ① 그는 무엇을 해야 할지 몰랐다.

② 나는 새 차를 사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

③ 네 옆에 앉아 있는 그 남자는 누구니?

④ 나는 아침 식사로 삶은 달걀을 먹는 것을 좋아한다.

⑤ 아침에 일찍 일어나는 것은 어렵다.

▶ ② 전치사(about) 뒤에 동사가 이어질 때는 동명사의 형태로 써야 한다. (buy → buying)

13 너는 문 앞에 서 있는 그 남자를 아니?

▶ ‘서 있는’이라는 능동·진행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 standing을 쓴다.

14 이것은 중국어로 쓰인 시이다.

어휘 poem 시

▶ ‘쓰인’이라는 수동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과거분사 written을 쓴다.

15 우리는 놀라운 소식을 들었다.

▶ ‘놀라게 하는’이라는 능동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 amazing을 쓴다.

16 그는 잠긴 문을 열기 위해 노력했다.

▶ ‘잠긴’이라는 수동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과거분사 locked를 쓴다.

17 A : 나는 놀라운 소식을 들었어. 셸리 선생님께서 학교를 떠나신대.

B : 오, 그분은학생들에게 사랑받으셔.

▶ ‘놀라게 하는’이라는 능동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surprising)를 쓰며, 문맥상 수동태가 되어야 하므로 be동사 뒤에 과거분사(loved)를 쓴다.

18 A : 너 해야 할 숙제가 있니?

B : 아니. 난 숙제 하는 것을 끝마쳤어.

▶ 각각 명사(homework)를 꾸며주는 to부정사와 finished의 목적어 역할을 하는 동명사가 들어가야 한다.

19 (교무실 문 앞에서)

화이트 선생님: 카이! 왜 여기에 있니? 누굴 기다리고 있는 거야?

카이: 그레이 선생님이요! 그분은 매우 바빠 보여요. 언제 그분께 질문을 해야 할지 잘 모르겠어요.

화이트 선생님: 그분은 너를 도와줄 시간이 많지 않을지도 몰라.

나에게 그 문제들을 어떻게 푸는지 물어봐도 된단다.

어휘 solve (문제를) 풀다

▶ ③은 형용사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하는 to부정사, 나머지는 동사의 목적어로서 명사 역할을 하는 to부정사이다.

7 ① 프랑스어를 읽는 것은 어렵다.

② 일본어는 배우기 쉽다.

③ 당신을 만나서 정말 기쁩니다.

④ 이 기계는 사용하기 어렵다.

어휘 machine 기계

⑤ 그 질문은 대답하기 어렵다.

▶ ①은 진주어로서 명사 역할을 하는 to부정사, 나머지는 형용사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하는 to부정사이다.

8 ▶ ④ ‘∼하기에 충분히 …한’이라는 뜻은 「형용사 + enough + to부정사」로 나타낸다.

9 [보기] 나는 뉴스를 보기 위해 TV를 켰다.

① 준은 낚시 가는 것을 좋아한다.

② 나는 해야 할 많은 일이 있다.

③ 그는 의사가 되기 위해 열심히 공부했다.

④ 우리는 약간의 쓸 돈이 필요하다.

⑤ 이 책은 이해하기 쉽다.

▶ [보기]와 ③은 부사 역할을 하며 ‘~하기 위해, ~하려고’라는 목적의 뜻을 나타내는 to부정사이다.

① 동사 likes의 목적어로 쓰인 to부정사이다.

②, ④ 명사를 수식하는 형용사 역할을 하는 to부정사이다.

⑤ 형용사를 수식하는 부사 역할을 하는 to부정사이다.

10 ① 톰은 읽을 책을 샀다.

② 그는 늦지 않겠다고 약속했다.

▶ 동사 promise는 목적어로 to부정사를 쓴다. to부정사의 부정형은 「not + to부정사」이다. (notbe → nottobe)

③ 그는 진실을 알 필요가 있다.

to부정사는 주어의 수와 인칭에 관계없이 「to + 동사원형」의 형태로 쓴다. (toknows → toknow)

④ 마실 것 좀 있니?

▶ 형용사 역할을 하는 to부정사는 (대)명사를 뒤에서 꾸며준다.

(todrinkanything → anythingtodrink)

⑤ 케이트는 해외에서 공부하길 원한다.

어휘 abroad 해외로[에서]

hope는 문장 전체의 동사이므로 to부정사의 형태로 쓰지 않고 주어의 수와 인칭에 맞추어 쓴다. (tohope → hopes)

11 ① 그는 커피 마시는 것을 좋아한다.

② 나는 그 편지 쓰는 것을 마쳤다.

③ 나는 많은 돈을 모으고 싶다.

④ 우리는 너를 다시 만나기를 바란다.

⑤ 티나는 테니스 하는 것을 좋아한다.

http://hjini.tistory.com

26 too + 형용사 + to부정사: ∼하기에 너무 …한

27 어휘 accept 받아들이다 / offer 제안

to부정사는 willing, sure, ready, likely 등의 형용사와 자주 쓰인다.

28 ▶ ‘지어진’이라는 수동·완료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과거분사 built가 적절하다.

29 ▶ ‘치고 있는, 연주하는’이라는 능동·진행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 playing이 적절하다.

30 내 여동생 미아와 나는 늦게까지 깨 있는 것을 원했다. 우리는 부엌에서 얼려진[냉동] 피자를 구웠다. 우린 부모님을 깨우지 않기 위해 조용히 이야기했다. 갑자기 전등이 꺼졌고 누군가가 부엌으로 들어왔다. 내 여동생과 나는 소리를 지르기 시작했다.

그러나 그것은 우리를 확인하러 오신 부모님이셨다.

어휘 stayup 깨어 있다 / quietly 조용히 / light 빛; *전등

▶ ⓐ 동사 want는 목적어로 to부정사를 쓰므로 tostayup이 되어야 한다.

28

UNIT

접속사

EXERCISE

A

1and 2so 3but 4or 5but 6or 7so 1 조와 토니는 쌍둥이 형제이다.

AandB는 ‘AB’라는 뜻으로 명사와 명사를 연결하고 있다.

2 추워서 우리는 난방기를 틀었다.

A, soB는 ‘A, 그래서 B’라는 뜻으로 so 앞은 원인, 그 뒤는 결과를 나타낸다.

3 제인은 수학을 잘하지만 나는 그렇지 않다.

AbutB는 ‘A 그러나 B’라는 뜻으로 서로 반대되는 내용을 연결한다.

4 당신은 당신의 호텔까지 버스 또는 택시를 탈 수 있다.

AorB는 ‘A 또는 B’라는 뜻으로 선택을 나타낸다.

5 케빈은 지난주에 아팠지만, 지금은 좋아 보인다.

AbutB는 ‘A 그러나 B’라는 뜻으로 서로 반대되는 내용을

when + to부정사: 언제 ~할지

how + to부정사: 어떻게 ~할지(~하는 방법)

20 ① 우리 아버지는 담배 피우는 것을 그만두셨다(담배를 끊으셨다).

② 그녀는 음악 듣는 것을 좋아한다.

③ 나는 그 다큐멘터리 보는 것을 즐겼다.

④ 야구를 하는 것은 재미있다.

⑤ 우리는 늦게 자는 것을 피해야 한다.

▶ ④는 주어로 쓰인 동명사구이고, 나머지는 동사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구이다.

21 ① 나는 슈퍼마켓에 걸어가는 중이다.

② 제이슨은 통화 중이다.

③ 내 취미는 농구하는 것이다.

④ 루시는 그녀의 방에서 자고 있다.

⑤ 그녀는 신문을 읽고 있다.

▶ ③은 주격 보어로 쓰인 동명사이고, 나머지는 be동사와 함께 진행형을 만드는 현재분사이다.

22 ① 맥스는 울고 있는 아기들을 돌보고 있다.

② 그는 이탈리아 음식을 만드는 것을 잘한다.

③ 산드라는 늦는 것에 대해 걱정했다.

④ 사실을 말하는 게 어때?

⑤ 우리는 서로 사랑함으로써 세계에 평화를 불러올 수 있어.

▶ ①은 명사 babies를 꾸며주는 현재분사이고, 나머지는 전치사의 목적어로 쓰인 동명사이다.

23 ① 나는 떨어진 나뭇잎 위로 걸었다.

② 우리는 충격적인 이야기를 들었다.

▶ ‘충격을 주는’이라는 능동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를 써야 한다. (shocked → shocking)

③ 깨진 유리를 만지지 말아라.

▶ ‘깨진’이라는 수동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과거분사를 써야 한다. (breaking → broken)

④ 그것은 매우 흥미진진한 쇼였다.

▶ ‘흥미진진한’이라는 능동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를 써야 한다. (excited → exciting)

⑤ 너는 그녀에게 말하고 있는 남자를 아니?

▶ ‘말하고 있는’이라는 진행의 뜻이 되어야 하므로 현재분사를 써야 한다. (talked → talking)

24 ▶ 쉽고 어려운 정도를 나타내는 형용사(easy) 뒤의 to부정사는

‘~하기에’라는 뜻을 나타낸다.

25 to부정사구가 주어인 경우 보통 주어 자리에 가주어 It을 쓰고 to부정사구는 문장 뒤로 보낸다.

http://hjini.tistory.com

Dalam dokumen 입문편 정답 및 해설 (Halaman 42-49)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