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Spain Netherlands

20 40 60 80 100 120 140 160

인용횟수

다. 기관별 생산성

공저자 기준 기관별 논문 생산성은 영국의 Univ of Plymouth(23편), 중국의 Chinese Academy of Science(21편), East China Normal Univ.(17편), 영국 의 Univ. of Exeter(17편)까지 4위를 차지하였으며, 한국의 한국해양과학기술원 (KIOST)은 관련 분야로 16편의 논문을 게재하여 검색된 전세계 780개 미세플 라스틱 연구 기관 중 5위를 차지하고 있음. 전체 9위로 분석된 과학기술연합대 학원대학교(UST)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의 UST 캠퍼스 소속 교수진의 소속이 함께 기재되어 나온 결과임. 따라서 본 분석 결과는 해양 분야의 미세플라스틱 연구에 있어서 세계적으로 연구 경쟁력을 확보하고 있는 연구기관을 국내에 보 유하고 있음을 알 수 있음.

순위 기관 논문수 저자수

1 Univ Plymouth 23 29

2 Chnese Acad Sci 21 33

3 East China Normal Univ 17 19

4 Univ Exeter 17 26

5 Korea Inst Ocean Science and Technology

(KIOST) 16 16

6 Univ Siena 13 15

7 IF REMER 12 18

8 CNR 11 12

9 Korea Univ Science and Technology (UST) 11 12

10 Plymouth Marine Lab 9 9

11 Univ Utrecht 9 10

12 Deltares 8 8

13 Univ Chinese Acad Sci 8 8

14 Univ Vienna 8 11

15 Univ Barcelona 7 7

라. 저자별 생산성

교신저자 저자별 논문 생산성 분석에서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소속의 심원준 박사와 홍상희 박사가 전체 총 424명의 검색된 교신 저자 중 각각 3위와 5위를 차지함. 심원준 박사의 경우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분포 및 거동 분야의 논문을 주로 게재하였으며, 홍상희 박사는 해양 미세 플라스틱의 생물 섭식과 함유 유 해물질 거동 분야의 논문을 주로 게재함. 공저자 저자별 논문 생산성의 경우는 위의 2명의 박사를 포함하여 한국해양과학기술원에서 3명이 포함되어 상위 10 명의 저자 중에 50%가 한국 과학자로 분석됨. 이는 우리나라가 해양 환경 중 미세플라스틱의 오염평가와 거동 연구 분야의 연구를 국제적으로 선도할 수 있

는 전문가를 확보하고 있다고 볼 수 있음.

순위 저자명 논문수

1 Labrenz, M 7

2 Li, DJ 7

3 Shim, WJ 6

4 Peng, JP 6

5 Hong, SH 6

6 Thompson, RC 6

7 Barletta, M 5

8 Baini, M 4

9 Fok, L 4

10 Halle, A 4

마. 논문 주제 키워드

위에 제시된 검색 키워드로 검색된 총 552편의 논문에 제시된 카워드 분석 결 과 핵심 키워드인 미세플라스틱을 제외하고 뚜렷하게 드러나는 키워드는 없음.

이는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전 세계 해양환경 중에서 광범위하게 관측되고, 거의 모든 환경 분야와 연결되어 있어 하나의 특징적인 연구 내용으로 수렴되지 않 는 다양성을 보여주고 있음.

0 3

비전 및 연구개발 목표

가. 연구개발 비전

월경성의 특징으로 연안은 물론 대양, 심해, 남

·

북극해 등 지구적으로 분포하 는 해양 미세플라스틱은 최신 국제해양환경 현안임. UN환경총회는 물론 다양한 산하 기구(UNE, IMO, FAO, UNESCO, UNIDO 등), G7/G20, 국제 지역기구 (NOWPAP, IOC/WESTPAC, PEMSEA, PICES 등)에서 미세플라스틱 오염 문 제를 의제로 다루고 있으며, 회원국의 플라스틱 쓰레기 발생 저감을 위한 노력 과 함께 다양한 연구개발을 적극적으로 촉구하고 있음. 한편 Clarivate사가 2016년 발간한 Research Front 보고서에서 ‘환경과학 및 생태학’분야의 최 고의 연구주제(hot topic)로 해양 미세플라스틱이 선정된 바가 있음. 이는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이 국제기구에서 시급히 해결할 현안 문제로 다루어짐과 동 시에 과학계에서도 연구 경쟁이 치열한 첨단 분야의 하나라는 증거임. 위에 제 시한 연구동향 자료에서 보듯이 우리나라는 해양 미세플라스틱 연구 분야에서 일정 수준의 수월성을 확보하고 있음. 아울러 국제사회에서는 우리나라가 지식 격차(knowledge gap)를 해소하는데 기여하기를 바라고 있고, 우리나라도 국내 적으로만 기여하는 수준의 공공기반 기술 개발의 한계를 극복하고 이제는 국제 사회에 필요한 과학적 정보를 생산하는데 기여도를 높여야 할 때임. 따라서 미 세플스틱의 지구적 규모의 오염평가 및 거동 기작 규명을 위한 연구사업의 비 전을 “지구적 규모의 미세플라스틱 연구 선도를 통한 국제 환경현안 해결에 기여”로 설정함.

나. 정책 및 연구개발 목표

비전인 “지구적 규모의 미세플라스틱 연구 선도를 통한 국제 환경현안 해결에 기여”를 달성하기 위한 정책 목표로 “미세플라스틱 연구 수월성 확보를 통한 국제 해양환경 대응력 강화”로 설정함. 우리나라의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오염, 유입, 거동과 관련 연구는 현재까지 국내 연안 환경에 국한되어 있음. 하지만 해양 미세플라스틱 연구를 통해 확보한 지식과 노하우는 대양의 환경에 적용될 수 있음. 특히 해양 미세플라스틱 오염관련 지식이 연안 환경 중심으로만 축적 되면서 대양을 포함하는 지구적 규모의 오염과 거동에 대한 연구 요구가 증가 하고 있음. 특히 UN 환경총회에서는 지역해 단위의 플라스틱 해양쓰레기 오염 관련 협약(convention)을 검토하고 있는 바, 정부 차원에서 해양 미세플라스틱 의 연구 수월성을 유지

발전하면서 국제 해양환경 현안 및 향후 협약에 대비한 대응력 강화를 선도적으로 할 필요가 있음.

반면 연구개발 목표 설정을 위해서 지구적 규모의 오염과 거동 연구의 어려움 과 현실적인 여건을 고려한 공간적인 연구범위를 북서태평양 지역으로 한정함.

연구 필요성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북서태평양은 육상 플라스틱 오염원이 아시 아에 근접한 대양이면서 해류와 대기의 방향에 따라 미세플라스틱이 유입 가능 성이 세계에서 가장 높은 대양 지역임에도 불구하고, 현재까지 대양에서 진행된 연구 자료를 비교하면 가장 연구가 부족한 해역임. 따라서 북서태평양은 대양에 서의 미세플라스틱의 오염과 거동 관련 연구를 하기에 매우 적합한 해역임과 동시에 과학적으로도 연구를 선점하는 것이 매우 필요한 해역에 해당함. 따라서 연구사업의 목표는 “북서태평양의 미세플라스틱의 오염과 거동기작 규명”으 로 설정함.

0 4

연구개발 추진 전략

추진전략 1 핵심요소기술 개발과 핵심 현장자료 생산 병행

● 북서태평양과 같은 대양 환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오염평가, 유입 경로 규 명, 거동 기작 규명을 위한 핵심요소기술 개발과 오염 현황과 유입량 산정을 위 한 과학적 정보 생산을 병행하여 연구개발 사업의 실효성을 극대화 할 수 있도 록 추진

추진전략 2 국제협력기구 및 국외전문가 공동연구 네트워크 활용

● 국제 해양쓰레기 연구 전문가와의 공동연구 추진 및 네트워크 구축을 통한 국제적인 연구 주도

추진전략 3 융복합기술을 이용한 협력형 연구개발 추구

● MT, NT, BT 등 융합기술 협력체계 구축 활용

● 산학연의 다학제간 협력

추진전략 4 교육 및 홍보를 활용한 연구개발 사업 추진

● 국제적으로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저감 및 관리의 거버넌스에는 교육 및 홍 보가 중요한 요소를 차지하는 바, 본 사업에서는 연구개발 결과 및 자료를 국

영문으로 작성하여 교육 및 홍보에 적극 활용할 수 있도록 추진

0 5

중점 및 세부 연구과제 도출

가. 중점 연구개발 과제 도출

설정된 연구개발 목표를 달성하기 위한 연구계획 수립에 있어서, 중점과제 도출 을 위한 연구개발 방향의 설정이 필요함. 지구의 70% 이상을 차지하는 대양 환 경에서 미세플라스틱의 오염과 거동을 이해하는 것은 전 지구적인 미세플라스 틱의 오염과 거동을 이해하는데 필수적임. 특히 언급한 북서태평양은 대양에서 의 미세플라스틱의 오염과 거동 연구의 좋은 테스트 베드에 해당함. 해양 플라 스틱 쓰레기 오염문제 해결을 위하여 전 세계 전문가들이 작성한 호눌룰루 전 략에서 제시하고 있는 연구개발 및 모니터링이 필요한 분야를 3개의 핵심 키워 드로 요약하면, 1) 육상/해상기인 해양 쓰레기의 유입량, 2) 해양 쓰레기의 현 존량, 3) 해양 쓰레기에 의한 경제적/환경적 영향임. 따라서 대양 환경에서도 1) 해양 미세플라스틱의 오염 평가를 통해 현존량을 파악하고, 2) 육상으로부터 해류와 대기, 해양으로부터 선박과 풍화를 통해 유입되는 미세플라스틱의 유입 경로와 유입량을 파악하고, 3) 대양으로 유입된 미세플라스틱과 미세플라스틱에 함유된 화학물질의 물리적/생물학적/화학적 거동을 이해하는 것에 우선순위가 있음. 국제적 해양환경 이슈가 되고 있는 미세플라스틱 해양 쓰레기는 호눌룰루 전략에서도 관련 지식부족(lack of knowledge)을 명시하고 있으며, EU 해양전 략지침(Marine Strategy Framework Directive)에서도 미세플라스틱을 별도의 주제로 다루고 있음. 따라서 연구개발 중점과제를 국제적인 해양 쓰레기 전략과 연계하여 3개의 중점과제로 축약해서 아래와 같이 도출함.

사업 목표

필요지식 및 기술적 도전과제 중점 연구개발 최종 목표 과제

북태평양의 미세플라스틱 의 오염 및 거동 기작

규명

• 선상 시료채집 중 오염 회피 기술

• 선상에서 대용량 해수 시료채취 기술

• 선상 대기 중 MP 연속 채집 기술

• 대양 환경 다매체 시료 채집 기술

• 대양 다매체 환경 시료 중 MP 모니터링 기술

북서태평양의 MP 오염평가

• MP 해류 이동확산 예측 기술

• MP 대기 이동확산 관측 기술

• MP 대기 이동확산 예측 기술

• 선박 기원의 MP 관측 기술

• 해양 부유 플라스틱 풍화 시험장치 개발 기술

• 해양 부유 플라스틱 풍화 예측 기술

북서태평양의 MP 유입경로 규명

• MP와 생물 간의 상호작용에 대한 이해

• MP 분해산물 분석 기술

• MP와 유기물 상호작용 측정 기술

• MP 함유 화학물질 정성 및 정량 분석 기술

• 심해 MP의 침강 포집 기술

북서태평양 내 MP의 거동 규명

나. 핵심 세부연구개발 과제 도출 중점

연구개발과제 목 표 핵심 세부연구개발 과제

북서태평양의 MP 오염평가

북서태평양 해역의 MP 오염 현황 파악

• 대양 환경 중 다매체 시료 채집기술 개발

• 북서태평양 해수 중 MP 오염 평가

• 북서태평양 퇴적물 중 MP 오염 평가

• 북서태평양 서식 해양 생물 중 MP 축적 및 오염 평가

북서태평양의 MP 유입경로 규명

북서태평양의 유입 경로별

MP 기여도 파악

• 해류를 통한 MP의 북서태평양 이동 및 유입 규명

• 대기를 통한 MP 북서태평양 이동 및 유입 규명

• 선박 기원의 MP 북서태평양 직접 유입 규명

• 북서태평양 부유 플라스틱의 풍화를 통한 MP 유입 규명

북서태평양 내 MP의 거동 규명

북서태평양 환경 중 MP

거동 및 물질순환

• 북서태평양 환경 중 MP의 수직 이동 기작 규명

• MP에 의한 물질순환 영향 규명

• MP 함유 화학물질의의 거동특성 규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