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Temperature (oC)

Dalam dokumen 검출 방법 연구 (Halaman 36-39)

0 5 10 15 20

A_11 A_19 A_26 M_02 M_09 M_16

S a li n it y ( p s u )

0 5 10 15 20

A_11 A_19 A_26 M_02 M_09 M_16

p H

0 2 4 6 8

Treat Water Control Water

A_11 A_19 A_26 M_02 M_09 M_16

D O ( m g /L )

0 2 4 6 8 10 12

Figure 1.7. Physical parameters of treated water and control water discharged 5 days after testing BWTS, HYCHEMTMsystem.

원수의 규산염 평균 농도는 32.9±23.7μM, 총무기질산염의 평균 농도는 47.7±26.3μ M, 그리고 인산염 평균농도는 14.3±4.68μM의 값을 보였다. 담수 시험에서 총무기질산염 의 농도가 높은데 이는 사용된 상수도 내에 질산염 농도가 높기 때문이다. 처리수 5일 뒤 의 시험수의 무기영양염의 농도를 보면, 규산염 농도는 32.9±22.4μM, 총무기질산염은 39.9±23.2μM, 인사염인은 7.19±9.28μM로 기수와 담수의 차이가 있지만, 시험 시기마다 값의 차이가 크기 때문에 편차가 크게 나타났다(그림 1.8). 원수의 비해 인산염은 분명히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지만, 총무기질산염의 경우 모든 시험수에서 값이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으며, 담수 시험 시 인산염의 증가는 뚜렷하게 나타난다. 이는 아마도 참가되어지는 배양종이 담수 시험 시 더 많이 공급되기 때문에 배양액 자체의 영양염 농도의 영향으로 추정되지만 이를 규명하려면 보다 더 많은 자료가 추적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reated water

A_11 A_19 A_26 M_02 M_09 M_16

S i & D IN c o n c e n tr a ti o n ( m M )

0 10 20 30 40 50 60 70 80

O P c o n c e n tr a ti o n ( m M )

0 5 10 15 20 25 Silicate DIN OP

Test water

A_11 A_19 A_26 M_02 M_09 M_16

S i & D IN c o n c e n tr a ti o n ( m M )

0 20 40 60 80 100

O P c o n c e n tr a ti o n ( m M )

0 1 2 3 4 5 6 7 Silicate DIN OP

Figure 1.8.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of test water and treated water discharged 5 days after testing BWTS, HYCHEMTMsystem.

용존성 유기질산염 (DON)은 원수에서 14.31±4.68μM의 범위를 보인반면, 처리 5일 후 처리수에서는 4.57±1.83μM의 값을 보였다(그림 1.9). 이는 처리수보다 상당히 낮은 값으로 처리 이후에 DON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DON이 감소한 요인으로 활 성물질이 발생될 때 미생물 분해 시 형성된 유기물과 DON이 결합하여 NDBP를 형성되 어, 원수에 존재하던 DON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파악된다. 처리수 내 입자성유기물 (POC)은 8.03±2.05 mg/L, 용존성유기탄소(DOC)는 6.99±1.45 mg/L의 값을 보였다. 앞에 서 언급했듯이 기수와 담수 시험에서 이 들의 기준이 5 이상이기 때문에 첨가되는 글루 코즈와 전분에 의해서 처리수 내의 POC와 DOC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된다.

- 21 -

A_11 A_19 A_26 M_02 M_09 M_16

P O C & D O C c on ce nt ra tio n (m g/ L)

0 2 4 6 8 10 12

POC DOC

A_11 A_19 A_26 M_02 M_09 M_16

D O N c on ce nt ra tio n ( m M )

0 5 10 15 20 25

Test Water Treated Water

Figure 1.9. DON concentrations in test water and treated water, and POC and DOC concentrations in the treated water of Day 5 after testing BWTS, HYCHEMTM

system.

본 연구에서는 처리수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대조수에 대한 DON, POC, DOC을 분 석하지 않았지만, 대조수 내에서도 DO 농도가 급격하게 감소하는 영향이 있기 때문에 이 들의 분석이 향후에는 모니터링 되어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HYBRIDTM시험

선박평형수처리장치인 HYBRIDTM은 필터, UV, 전기분해시스템이 결합되어있는 장비 이다. 본 장비에 대한 시험은 9월 27일부터 11월 29일까지 11번 수행되었으며, 7번의 기 수 시험과 4번의 해수 시험이 이루어졌다. 각 시험의 처리 5일 후 배출되어진 대조수와 처리수 내의 수온은 10.5-24.6℃로 대기의 기온과 유사한 값을 보였다(그림 1.10). 염분은 본 장비에 대한 시험이 기수와 해수였기 때문에 기수 시험의 염분은 19.56±0.40을 나타내

었고, 해수 시험에서는 33.1±0.48의 값을 보였다. 수소이온농도(pH)는 기수 시험에서는 7.05±0.23의 범위를 보였으며, 해수에서는 7.70±0.15의 범위를 보였다. 용존산소 (DO)는 처리수에서 5.86-13.5 mg/L와 대조수에서는 5.09-12.7 mg/L의 범위를 보였다.

HYCHEM

TM

시험에서는 처리수와대조수 사이에 용존산소 농도의 차이가 심하게 난 반 면, HYBRID

TM

시험에서는 큰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이는 YSI6600의 측정 방법의 차 이이다. HYCHEM

TM

은 탱크 내에서 모니터링을 한 것이고, HYBRID

TM

은 샘플을 채수할 때 측정한 값이기 때문에 셈플 채취 시 공기와 접촉하여 농도가 증가한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기수 시험 때 YSI6600을 대조수 탱크 내에서 측정된 5일 뒤 대조구 탱크 내 용 존산소 농도는 3.93 mg/L (10월 4일), 2.55 mg/L (10월 17일), 4.56 mg/L (11월 14)을 나 타내었다. 이러한 경향은 시험수에 실제 기수가 아닌 상수도를 장목만 헤수와 혼합한 시 험수를 사용했기 때문에 첨가된 배양 생물이 대조수 탱크에서 실질적으로 환경에 작응하 지 못해 빨리 사멸함으로써, 호기성박테리아에 의한 유기물분해로 탱크 내 산소가 빨리 소모되어진 것으로 판단된다.

Dalam dokumen 검출 방법 연구 (Halaman 36-3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