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검출 방법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검출 방법 연구"

Copied!
83
0
0

Teks penuh

한국형 선박평형수처리시스템, 선박평형수, 소독부산물, 영양성분, 자가진단. 장목만 평형수처리장 처리수의 영향.

Figure 1.1 Land-Based Test Facility of BWRC in South Sea Research Institute of KIOST located at Jangmok, Geoje Island
Figure 1.1 Land-Based Test Facility of BWRC in South Sea Research Institute of KIOST located at Jangmok, Geoje Island

ECS HYBRID TM )

ECS HYCHEM TM )

ARA PLASMA TM )

BLUEBALLAST TM )

HYCHLOR TM )

HIBALLAST TM )

SUNBO

HS-BALLAST TM )

MARINOMATE TM )

일반적으로 표층의 조건은 식물성 플랑크톤의 성장에 유리하기 때문에 표층의 엽록소-a 농도가 하층보다 높다. 이는 표층의 식물성 플랑크톤 발생과 저층의 호기성 세균에 의한 유기물 분해로 인해 용존유기탄소가 증가한 데 따른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테스트 시설의 테스트 조건을 충족하기 위해 재료가 인위적으로 추가되기 때문에 용존 유기 탄소 및 입자상 유기 탄소가 이를 설명할 수 있습니다.

Table 1.2. Criteria of test water for testing BWTS TSS (mg/L) DOC (mg/L) POC (mg/L) 해수 시험 >1 >1 >1 기수 시험 >50 >5 >5 담수 시험 >50 >5 >5
Table 1.2. Criteria of test water for testing BWTS TSS (mg/L) DOC (mg/L) POC (mg/L) 해수 시험 >1 >1 >1 기수 시험 >50 >5 >5 담수 시험 >50 >5 >5

Temperature (oC)

이는 처리수에 비해 현저히 낮은 수치로, 처리 후 DON 농도가 감소한 것으로 이해된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기수 및 담수 실험에서 이들 기준이 5 이상인 경우, 첨가된 포도당 및 전분으로 인해 처리수 중의 POC 및 DOC 농도가 높은 것으로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처리수에 중점을 두었기 때문에 대조수에서는 DON, POC, DOC를 분석하지 않았다.

Figure 1.8.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of test water and treated water discharged 5days after testing BWTS, HYCHEMTMsystem.
Figure 1.8. Dissolved inorganic nutrients of test water and treated water discharged 5days after testing BWTS, HYCHEMTMsystem.

Temperature (oC) 0

HYCHEMTM 시험과 마찬가지로 처리수에서 대조수에 비해 인산염 농도가 크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는데, 이는 미생물 사멸 후 유기물 분해에 의한 것으로 판단된다. 용존유기질소의 경우 기수시험에서 상당히 높은 값을 보이는 경향이 있으나 해수시험에서도 높은 값을 보인다. 그리고 시험기간마다 약간의 차이는 있으나 처리수보다 높은 값을 나타낸다.

Silicate

특히, 총무기질산염의 농도가 높은데, 이는 상수도 중 질산염의 함량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판단된다.

Phosphate

그러나 해수시험에서는 POC와 달리 DOC의 농도가 높았으며, 기타 생물학적 사망률에 미치는 영향도 존재할 것으로 추정된다.

POC DOC

7개의 HAN이 분석되었으며 그 중 4개가 감지되었습니다. 브로모클로로아세토니트릴은 낮은 농도이기는 하지만 20일 동안 모든 수온에서 존재했고 농도가 유지되었습니다. 디클로로아세토니트릴은 처리 1일차와 5일차에 매우 낮은 농도로 검출되었으며, 10일차와 20일차에는 모든 수온에서 검출되지 않았습니다.

Dichloroacetonitrile

Day 5

Monobromoacetonitrile

Bromochloroacetonitrile

Dibromoacetonitrile

27 -Monochloroacetic acid

표 2.2에는 활성 물질이 포함된 BWTS 처리수에서 검출된 주요 소독 부산물이 요약되어 있습니다. 유기체의 치사 시간에 대한 문제 필터 시스템(여과). UV 소독의 장점 ◾치료 시 활성물질을 사용하지 않습니다.

Figure 1.15. Variation of HANs on treated water in time and temperature
Figure 1.15. Variation of HANs on treated water in time and temperature

CAS number

GHS information a

119.38 CHCl 3

163.83 CHBrCl 2

252.73 CHBr 3

164.38 CCl 3 NO 2

Carcinogenicity 2 Aquatic Acute 2

식물성 플랑크톤의 활성은 Phytopa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습니다. 각 시험수에 함유된 소독부산물은 처리수 처리 후 1일 및 5일째 분석하였다. DIN 농도는 처리수에서 시험수보다 낮은 값을 보인 반면, DON 농도는 약 5배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Figure 2.2. DIN and DON concentration on Day 1 and Day 5 in the test water and treated water
Figure 2.2. DIN and DON concentration on Day 1 and Day 5 in the test water and treated water

Test 2

또한, 식물성 플랑크톤의 수가 증가할수록 더 많은 식물성 플랑크톤이 죽기 때문에 DIN과 DON의 농도가 증가함을 알 수 있다. 물에서 형성된 DON의 경우 NDBP의 농도가 증가하는 것으로 판단되었으나,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적은 시험번호 1의 경우 농도는 낮지만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많은 시험번호 2보다 높은 농도를 나타내었다. . 물에 존재하는 DON이 전기분해 시 유기물과 결합하여 NDBP 농도를 높일 가능성이 있으나 이에 대한 연구는 앞으로 더 발전이 필요한 분야로 여겨진다.

Concentration ( mg/L)

시험수의 DON 농도 역시 처리 후 1일과 5일 사이에 큰 변화를 보이지 않았으며, 이는 처리 1일 후 증가된 DON이 저장 중 소독부산물과 반응하지 않았음을 시사한다. 처리 후 1일 및 5일 후에 시험수를 이용하여 생태독성시험을 실시하였다. DON 농도는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많은 시험번호 1, 2의 농도가 개체수가 적은 시험번호 3의 농도보다 2배 이상 높게 나타나 식물플랑크톤이 사망할 때 DON이 높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유기체.

Figure 2.4. Growth rates on Day 1 and Day 5 in the treated water
Figure 2.4. Growth rates on Day 1 and Day 5 in the treated water

Nakdong river

Test Water

Active chl-a ( mg/L)

Test 2 Test 30

Test 2 Test 30.0

10 mins

  • Test 1
  • Test 2
  • Test 3
  • Test 4
  • Test 5
  • Test 6
  • Test 1
  • Test 2
  • Test 3
  • Test 4
  • Test 5
  • Test 6
  • ppm (Day 1) in raw water
  • ppm (Day 1) in diluted water
  • ppm (Day 5) in raw water
  • ppm (Day 1) in diluted water

시험수 1과 3의 형성된 DBP 농도를 동일한 TRO 농도에서 식물성 플랑크톤 양의 차이와 비교하였다. 처리 5일 후에는 DOC 농도가 높은 곳에서 소독 부산물 농도가 높게 관찰되었다. 이는 TRO 농도가 높을수록,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군이 많을수록 소독부산물의 농도가 높아지는 결과와 다소 차이가 있다.

Figure 2.6. DBPs concentrations on Day 1 and Day 5 in the test water 1, 2 and 3 결과적으로 본 시험의 활성엽록소-a 농도는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높으면 BWTS로 처리한다고 하더라도 IMO G8 기준을 초과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Figure 2.6. DBPs concentrations on Day 1 and Day 5 in the test water 1, 2 and 3 결과적으로 본 시험의 활성엽록소-a 농도는 식물플랑크톤의 개체수가 높으면 BWTS로 처리한다고 하더라도 IMO G8 기준을 초과할 수도 있음을 보여주었다

BWTS 처리수를 이용한 시험은 총 3회 진행되었으며, Phyto-Pam 측정은 BWTS 장치를 통과한 후 5일째에 처리수를 샘플링하여 측정하였다. 최소종과 자연종의 경우 개체수가 감소하면 형광값이 불안정해지는 경향을 보였으나, T. suecica의 경우 엽록소-a의 활성값이 낮은 값에서도 안정적인 값을 보였다. BWTS 처리 5일 후 시험에서는 미세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수가 증가함에 따라 Phyto-Pam의 활성 엽록소-a도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대조수역의 활성엽록소-a와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수의 증감은 비슷한 것처럼 보이지만 실제로는 상관계수가 낮은 편이다(r=0.16).

Figure 3.1. Relationship between 10 AU and phytopam, and phytoplankton abundance in a) natural species, b) Prorocentrum minimum , and
Figure 3.1. Relationship between 10 AU and phytopam, and phytoplankton abundance in a) natural species, b) Prorocentrum minimum , and

55 -개체수도 평균 0.94±2.01 cells/ml로 나타났다

Seawater Bracklish water Freshwater

Seawater Bracklish water

논문 제목: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처리수 내 식물성 플랑크톤의 생존을 위한 신속한 검출 방법에 관한 기초 연구. 평형수처리장치의 처리수에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의 검출을 위한 디지털형광현미경의 응용에 관한 연구. BWTS 처리수에 서식하는 식물성 플랑크톤을 영상을 통해 직접 관찰하는 방법.

와 B는 해수를 이용한 대조수와 처리수, C)담수를 이용한 처리수, D) 기수를 이용한 대조수와 처리수의

평형수 처리 시스템의 처리수에서 소독 부산물 생성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관한 연구. 식물성 플랑크톤 개체군은 소독의 부산물입니다. 염소 처리 중에 시험수의 DON 농도가 높을 경우 소독 부산물의 농도가 높아질 수 있습니다.

Gambar

Figure 1.1 Land-Based Test Facility of BWRC in South Sea Research Institute of KIOST located at Jangmok, Geoje Island
Figure  1.2.  Air  temperature  and  rainfall  record  in  2006(data  from  Korea  Meteorological  Administration)
Figure  1.3.  Physical  parameters  on  surface  and  bottom  water  on  weekly  monitoring  in  2016  at  Jangmok  Bay
Figure  1.4.  Dissolve  inorganic  nutrients  on  surface  and  bottom  water  on  weekly  monitoring  in  2016  at  Jangmok  Bay
+7

Referensi

Dokumen terkait

Menurut penelitian oleh Kartika- sari 9 di Lamongan, tingkat kecemasan yang tinggi pada ibu hamil menyebabkan mual dan muntah semakin berat yang dapa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