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彙 報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彙 報"

Copied!
7
0
0

Teks penuh

(1)

彙 報

(2009. 6. 26 ~ 2009. 8. 25)

1. 學會 動靜

(1) 6월 30일에 中國史硏究 第60輯을 발행하여 배포함

(2) 中國史硏究 第61輯 第1次 編輯會 議

日時: 2009 年 7月 11日(土) 13:00-14:20 場所: 學會事務室

1) 中國史硏究 第61輯에 投稿된 論 文原稿에 對한 審査委員을 選定함.

2) 中國史硏究 第61輯에 投稿된 其 他 原稿에 對한 揭載與否 審議

(3) 中國史硏究 第61輯 第2次 編輯會 議

日時: 2009年 8月 14(金) 16:00-17:30 場所 : 學會事務室

1) 中國史硏究 第61輯에 投稿된 原 稿의 審査結果를 綜合하여 一般論 文 9篇, 硏究史論文 1篇, 說林 1篇, 書評 1篇, 合計 12篇을 收錄하기로 確定함.

(4) 학회 홈페이지가 jams시스템 개통 과 더불어 추가로 아래와 같이 개 설되어 현재 시범 가동 중이므로

회원 여러분의 가입 등록이 필요 함. http://chinahistory.jams.or.kr/

2. 硏究分會 活動 現況

(1) 明淸史硏究會 讀會 (隔週 土曜日) 敎材: The Cambridge History of China, Vol.9

場所: 學會 事務室

(2) 中國史學史硏究會 讀會 (每週 木曜 日)

敎材: 王夫之, 讀通鑑論

場所: 安東大學校 人文大學 李潤和 敎授硏究室

(3) 中國法史硏究會 讀會 (每週 火·木 曜日)

敎材:名公書判淸明集 講讀 場所: 慶北大學校 師範大學 新館 318號 세미나室

3. 新入會員(接收順) (1) 一般會員

503 张翠莲 (歷史學博士, 中國 河北师 范大学历史文化学院 敎授)

504 崔彥華 (中國 山西大學 歷史系 敎 授)

505 劉玉華 (歷史學博士, 天津医科大

学医学人文系 讲师) 4. 會費 및 贊助金 納付

학회비 및 찬조금 입금 내역을 휘 보에 공지하는 것으로 영수증 발급 을 대신합니다. 임금액을 숫자(단 위: 만원)로 표기합니다.

<종신회비> 분납: 조세현(10)

<일반회비> 동국대 경주도서관(6), 한양대 안산도서관(6), 张翠莲(4), 崔彥華(4), 劉玉華(4)

<논문게재료> 김경혜(20), 주경미(초 과17), 이영석·안순형(20), 윤정분 (20), 김용철(30), 조세현(20), 김선 혜(30)

<찬조금> 윤정분(10)

5. 受贈圖書目錄 및 中國史關聯 記事索引(接收順)

871 考古學報 2009年 第2期 (總第173 期, 北京: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究 所·考古雜誌社, 2009. 4)

中國北方東周時期兩種文化遺存辨析 -兼論戎狄與胡的關係 , 楊建華, 155.

六朝靑銅容器的考古學硏究 , 吳小平, 185.

2004-2005年殷墟小屯宮殿宗廟區的勘 探和發掘 , 中國社會科學院考古硏 究所安陽工作隊, 217.

湖北鐘祥黃土坡東周秦代墓發掘報告 , 荊州博物館·鐘祥市博物館, 247.

872 東洋學報 第91卷 第1號 (東京:

東洋文庫, 2009.6)

漢代文書行政における書信の位置付け , 高村 武幸, 1.

南宋寧宗朝における史彌遠政權の成立 とその意義 , 小林 晃, 35.

淸代中期におけるスールー(蘇祿)と中 國のあいだの文書往來 -ジャウイ文 書と漢文史料から- , 三王昌代, 01.

于振波著走馬樓吳簡初探·走馬樓吳 簡續探 , 谷口 建速, 65.

873 東洋史硏究 第68卷 第1號 (京都:

東洋史硏究會, 2009.9)

唐代內附民族對象規定の再檢討 -天 聖令·開元二十五年令より- , 石見 淸裕, 一.

校勘から生成論へ -宋代の詩文集註 釋, 特に蘇黃詩註における眞蹟·石刻 の活用をめぐって- , 淺見 洋二, 三 四.

淸代直隸省の治水政策 -乾隆前期の 子牙河治水を中心として- , 黨 武 彦, 七O.

ダプン考 -ダライラマ政權における 武官 - , 片桐 宏道, 1.

新獲吐魯番出土文獻上下二冊 , 高 田 時雄, 一O二.

874 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集刊 第80本 第二分 (臺北: 中央硏究院 歷史語言硏究所, 2009.6)

復器·復國與楚復縣考析 , 徐少華, 197.

太平經的神仙觀念 , 林富士, 217.

(2)

元代漢軍軍戶的正貼結構與正貼關係 , 洪金富, 265.

衛所與州縣 -明淸時期蔚州基層行政 體系的變遷 , 鄧慶平, 291.

6. 會員特別寄贈圖書目錄(接收順) 회원 특별기증도서는 1부만 보관 하고 나머지는 30% 할인 판매하여 학회기금으로 편입합니다.

(이번호 없음)

<공지>

1. 中國史學會 今年 學術發表會 日程을 아래와 같이 豫告합니다. 發表 參 與를 원하시는 분은 硏究分科로 申 請해 주십시오.

<第64回 學術發表會>

日時: 2009年 9月 12日(土) 場所: 나사렛대학교

主題: 中國社會文化史의 新理解

<第65回 學術發表會: 第10回國際學術 大會>

日時: 2009年 12月 11-12日(土) 場所: 東亞大學校

主題: 南海 沿岸地域과 韓中交流

2. 기타 제 규정 및 공지사항은 학회 홈페이지(http://www-2.knu.ac.

kr/~china 또는 http://chinahistory.

jams.or.kr/) 참조하시고, 문의사항 은 [email protected]으로 보내 주세요.

<중국사학회 회칙>

(2007.12.9 현재)

제 1 장 총 칙 제 2 장 회 원 제 3 장 기구 및 의결 제 4 장 임원 선거 및 임기 제 5 장 재 정

제 6 장 부 칙

<부록> 회칙수정일자 및 내용

제 1 장 총 칙

제 1 조 (명칭) 본회는 중국사학회라 칭한다.

제 2 조 (목적) 본회의 목적은 회원의 공동 연구를 통해 중국 및 중국 유 관 지역 역사의 과학적 인식을 도모 하고 중국 및 세계사의 이해를 심화 하여 역사적 인식을 재고하고자 함 에 있다.

제 3 조 (구성) 본회는 본회의 목적에 찬성하는 회원으로 구성한다.

제 2 장 회 원

제 4 조 (회원) 본회의 회원은 정회원, 준회원, 명예회원으로 구성한다.

1) 정회원은 본회의 각 연구분회에 소속되며, 공동 연구, 회무 심의 등 본회의 사업 전반에 참여한다. 정회 원의 자격요건은 대학 전임교원, 강 사, 연구원, 각급학교 교사, 대학원 석사과정 수료이상자 및 이에 준하

는 자로 한다.

2) 준회원은 본회의 각종 학술활동 에 참여할 수 있다. 준회원은 대학 학부 및 대학원 석사과정 재학생 및 이에 준하는 자로 한다.

3) 명예회원은 본회의 활동과 사업 을 지원하는 개인 및 단체로서 이사 회에서 위촉한다.

제 5 조 (가입) 정회원은 정회원 5인 이상의 추천으로 이사회의 승인을 거쳐 가입한다. 준회원은 정회원의 추천을 받아 가입한다.

제 6 조 (권리) 본회의 회원은 회칙에 따라 본회에서 주관하는 각종 사업 에 참여할 수 있다.

제 7 조 (의무) 본회의 회원은 본회의 회칙과 본회 소정의 제반 결정시항 을 준수할 의무를 진다.

제 8 조 (탈퇴) 본회 회원으로서 본회 소정의 의무를 불이행하거나 이사회 의 징계를 받은 경우 및 본인이 원 하는 경우 탈퇴 처리된다.

제 3 장 기구 및 의결

제 9 조 (기구) 본회는 총회, 이사회, 편집위원회, 연구분회의 기구를 관 장한다.

제 10 조 (총회)

1) 구성 : 총회는 정회원과 명예회원 으로 구성된다.

2) 기능 : 회칙 개정, 임원 개선 및 기타 본회의 제반 사항을 심의 의결 한다.

3) 회의 : 정기총회와 임시총회를 가

(3)

진다. 정기총회는 매년 회기 말에 정기적으로 소집되며, 임시총회는 회장, 이사회 또는 정회원 1/3이상 의 요구로 소집된다. 총회는 회장이 의장이 되어 다수결로 의결한다.

제 11 조 (이사회)

1) 구성 : 이사회는 회장, 부회장, 운 영위원회 및 각 분과위원회 이사로 구성된다.

2) 운영위원회 : 본회의 장기적인 발 전을 위한 기획 및 운영 전반에 대 한 자문을 담당한다.

3) 분과위원회 : 연구, 총무, 편집, 섭외분과 위원회를 두며, 필요시 총 회의 결의로 임시 위원회를 둔다.

(1) 연구분과 : 본회의 연구 활동 전반을 관장한다.

(2) 총무분과 : 본회의 회원관리, 재정 및 제반 사무를 관장한다.

(3) 편집분과 : 본회의 학술지, 회 지, 연구홍보물 및 기타 출판물의 편집, 출판관련 제반 업무를 관장한 다.

(4) 섭외분과 : 본회의 대외활동 및 각종 교섭 관련 업무를 관장한 다.

4) 회의 : 회장 및 이사 2인 이상의 요구로 수시로 소집된다. 통상업무 를 제외한 이사회 의결 집행 사항은 총회의 事前 事後 승인을 얻어야 한 다.

제 12 조 (편집위원회)

1) 구성 : 회장의 제청으로 이사회에 서 선임한 위원으로 구성한다.

2) 임무 : 본 학회 학술지 『中國史 硏究』에 수록할 원고를 심사하는 제반 절차를 관장하며, 구체적인 내 용은 별도의 <논문 심사 및 편집규 정>에 따른다.

제 13 조 (연구분회)

1) 구성 : 필요시 정회원 3인 이상의 발기로 구성되어 공동 연구를 수행 하며, 연구분과의 관장을 받는다.

제 4 장 임원 선거 및 임기

제 14조 (임원) : 본회는 회장, 부회장, 이사 및 연구분회 간사를 둔다.

1) 회장 : 본회의 회무를 총괄하며, 총회 및 이사회의 의장이 된다.

2) 부회장 : 회장을 보좌하며 회장 유고시 그 직을 대행한다.

3) 이사 : 운영위원회와 각 분과위원 회의 사무를 관장하며 1명 이상을 둘 수 있다.

4) 감사 : 본회의 제반 사무를 감사 하며 2인을 둔다.

제 15 조 (임원 선출 및 임기) 1) 회장, 부회장 : 총회 출석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선출하고 임기는 2 년으로 하며, 연임할 수 있다.

2) 이사 : 회장의 제청으로 총회의 인준을 받으며, 임기는 2년으로 한 다.

3) 감사 : 총회에서 과반수 이상의 찬성으로 선출하고 임기는 2년으로 한다.

제 5 장 재 정

제 16 조 (재정) 본회의 재정은 회비, 후원금 및 기타 사업수익금으로 충 당한다.

제 17 조 (회비) 본회의 정회원은 년회 비를 납부해야 하며, 종신회비로 대 신할 수도 있다. 회비 금액은 매년 정기총회에서 결정한다.

제 18조 (집행) 본회의 재정은 회장의 결재로 총무분과에서 집행하고 총회 에서 승인을 받는다.

제 6 장 부 칙

제 19 조 (회칙개정) : 본 회칙은 회원 1/3이상 또는 이사회 1/3이상의 발 의로 총회에서 출석 과반수의 동의 를 얻어 개정할 수 있다.

제 20 조 (발효) : 본 회칙은 1996년 10월 개정 발효한다.

제 21 조 (보칙) : 본 회칙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통상관례에 따른다.

<부록> 회칙수정일자 및 내용 (1) 1998년 12월 12일 총회 : 제 12 조

(편집위원회) 신설하고 제 13 조의 2항(연구분회 내용) 삭제, 제 14조, 15조의 3항 감사관련 조항을 신설하 고 연구분회 간사 조항을 삭제함.

(2) 1999년 12월 11일 총회 : 제 4 조 1항과 2항의 회원자격 관련 내용을 추가하고 제 11 조 2항(운영위원회) 을 신설하고 제 14 조 3항 감사를 2 인으로 증원함.

(3) 2000년 12월 9일 총회 : 부회장 신 설 관련 제 14 조 2항 전문을 추가 하고 제 11 조와 제 15 조의 부회장 관련내용을 추가함.

끝.

<  중국사연구  논문심사 및 편집규정>

(2007.12.9현재)

1. 논문의 게재 신청

1) 현재 『중국사연구』(격월간)의 간 행 예정일은 매년 2월 28일, 4월 30 일, 6월 30일, 8월 31일, 10월 31일, 12월 31일이다. 따라서 논문을 게재 하려는 회원은 간행일 2개월 전(12 월 31일, 2월 28일, 4월 30일, 6월 30일, 10월 31일, 8월 31일)까지 논 문을 편집위원회에 제출해야 한다.

2) 논문은 학회에서 별도로 규정한 원고 작성요령에 따라 작성하며, 논 문이 수록된 디스켓과 출력된 원고 3부를 제출한다.

2. 게재 희망 논문의 신청 우선 순위 1) 본 학회 주최 각종 학술 발표회에

서 발표한 논문.

2) 타 학회 주최 국제학술대회에서 발표한 논문.

3) 타 학회 주최 국내학술발표회에서 발표한 논문.

4) 기타 회원의 게재 희망 논문.

(4)

3. 편집위원 위촉과 편집위원회 구성 1) 학회 회칙에 의거하여 회장은 다

년간 중국사연구를 진행해 온 10명 내외의 중진학자를 편집위원으로 위 촉한다.

2) 학회 회장과 편집위원으로 편집위 원회를 구성한다.

4. 논문심사 소위원회의 구성과 논문의 심사

1) 편집위원회는 위원장(학회 회칙에 의거 학회장이 담당)의 책임하에 제 출된 논문에 대해서 심사한다.

2) 논문 한 편당 3-5인의 심사위원을 선정하여 논문심사 소위원회를 구성 하고 가부를 엄정 심사한다.

3) 공정한 심사를 위하여 논문심사 소위원회에는 투고자와 같은 대학 재직자나 투고자의 지도교수를 제외 한다.

4) 편집위원회는 각각의 논문에 대한 논문심사 소위원회의 명단을 공개하 지 않으며 심사용 논문도 익명으로 위촉한다.

5. 논문의 심사기준

1) 중국사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 논 문을 그 심사 대상으로 하며 직접적 으로 중국사와 관련된 논문이 아니 더라도 중국사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논문으로 판단될 경우 편집 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게재할 수 있 다.

2) 심사는 개별적 평가와 심사결과 판정으로 구분하며 심사자의 심사요 지를 첨부한다.

3) 개별적 평가는 ① 연구내용의 창 의성 ② 연구 방법의 참신성 ③ 논 지 전개의 타당성 ④ 자료 인용의 적절성 ⑤ 연구 목표의 성취도 ⑥ 학문발전에의 기여도 및 ⑦ 종합 평 가의 7개 항목으로 구분하여 평가를 실시한다.

4) 개별적 평가에 대한 평점은 A(국 내외 20%이상 수준에 해당하는 논 문), B(20-50%에 해당하는 논문), C(50%이하에 해당하는 논문)로 판 정한다.

5) 심사 결과는 ① 게재(투고된 상태 로 게재) ② 조건부 게재(부분적인 수정·보완 후 게재할 수 있는 논문)

③ 게재유보(전반적인 수정·보완이 필요한 논문)로 판정한다.

6) 논문 심사 결과는 기록으로 남긴 다.

7) 연구윤리와 관계되는 사항은 별도 의 중국사연구』연구윤리 규정에 따른다.

6. 논문 게재 여부의 결정

1) 편집위원회는 논문심사 소위원회 3분의 2이상의 적합 판정을 얻은 논 문에 대해 게재를 허가하고 간기별 게재 논문 수를 조정한다.

2) 편집위원회는 논문심사 소위원회 에서 조건부 게재 또는 게재 유보로 확정된 원고는 투고자에게 심사 결

과를 첨부하여 논문 수정을 요구할 수 있다.

3) 게재 유보 판정을 받은 논문은 지 적 사항에 대한 수정이 이루어진 이 후 재심사를 의뢰하여 게재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7. 기타

1) 논문심사 소위원회 위원에게는 소 정의 논문 심사료를 지급할 수 있 다.

2) 규정(인쇄된 본문 기준 30쪽) 이상 으로 긴 원고에 대해서는 일정의 투 고료를 징수하며(쪽당 10,000원), 연 구비 수령논문에 대해서는 원고료 (교내연구비 20만원, 교외연구비 30 만원)를 징수하며, 일반원고도 원고 료(전임교수 10만원, 비전임교수는 당분간 징수 유보) 징수한다.

3) 워드작업이 안된 원고의 투고자에 게는 워드편집비를 청구할 수 있다.

4) 위에 규정되지 않은 사항은 일반 적인 관례에 따른다.

5) 이상의 규정은 편집위원회의 결의 에 따라 수정할 수 있다.

<부록> 규정 수정일자 및 내용 1. 1997.12.20 1997년도 정기총회에서 1

의 1) 간기를 2회로 증회하고 간행 일 조정(2월 28일, 8월 31일).

2. 1998.12.11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 의의 본안건을 위임받아 1999.4.10.

이사회에서 1999년도부터 간기를 연 3회로 증회하고 간행일 조정(2월 28

일, 6월 30일, 10월 31일).

3. 1999.12.11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 의의 본안건을 위임받아 2000.1.27 이사회에서 2000년도부터 간기를 연 4회로 증회하고 간행일 조정(2월 28 일, 5월 31일, 8월 31일, 11월 30일) 4. 2000년 1월 12일 편집위원회에서 7.

기타 2)항의 원고료 금액을 명시함.

5. 2002년 2월 15일 편집위원회에서 7.

기타 2)항의 원고초과게재료 금액을 5,000원으로 인상함.

6. 2002.12.14 정기총회에서 편집위 발 의의 본 안건을 위임받아 2003년 1 월 16일 이사회에서 1조 1)항 간기 관련, 2003년도부터 간기를 연6회 (격월간)로 증회하고 간행일을 조정 (2월 28일, 4월 30일, 6월 30일, 8월 31일, 10월 31일, 12월 31일)하였으 며, 7조 2)항의 초과게재료 금액을 쪽당 10,000원으로 인상하고, 원고료 관련 금액을 명시함

6. 2007.12.9일 정기총회의 결의에 따라 제5조 제7항 연구윤리관련 내용을 추가함.

끝.

(5)

<  중국사연구  연구윤리 규정 >

(2007년 12월 9일 제정)

제1조(목적)

이 규정은 중국사학회에서 발간하는 학회지중국사연구의 논문 게재와 관 련된 연구윤리를 확립하는 데 목적이 있다.

제2조(연구자의 윤리 의무)

① 연구자는 각자가 수행하는 연구에 서 학문 윤리 차원의 정직성을 유 지해야 한다. 연구 주제의 도출, 연 구비 지원, 연구결과의 출판, 연구 참여자들에 대한 공정한 보상 등 연구 과정 전반에 관한 정직한 윤 리 의식을 지켜야 한다.

② 연구자는 학술적 저작물의 인용시 반드시 인용 근거를 밝히는 것을 비롯한 일반 원칙을 준수해야 한 다.

③ 연구자는 다른 학술지나 단행본 등 에 게재한 논문을 중복 게재하지 않아야 한다. 부득이하게 부분적 중복 게재를 할 경우 이 이유와 근 거를 명시하여야 한다.

④ 연구자는 타인의 저작물의 내용을 표절하지 않아야 한다.

⑤ 연구자는 연구 윤리와 관련된 기타 사항을 준수해야 한다.

⑥ 연구자는 본조 제2항-5항에 위배 되는 사례가 발생할 경우 즉시 학

회에 보고해야 한다.

⑦ 연구자는 자신의 이익과 타인 또는 타 기관의 이익이 상충하거나, 상 충할 가능성이 있을 경우 이를 공 표하고 상응하는 의무를 지켜야 한 다.

제3조(연구윤리위원회)

① 연구윤리에 관한 심의를 위해 연구 윤리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 를 둔다.

② 위원회는 회장, 부회장, 편집이사, 연구이사, 편집위원 가운데서 15인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③ 위원장은 회장이 겸하며, 부위원장 및 간사는 위원회에서 호선한다.

④ 위원은 회장이 임명하며, 위원의 임기는 1년으로 하되 연임할 수 있 다.

제4조(위원회의 운영)

① 위원회는 회장의 요청이 있을 경우 또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할 경우 위원장이 소집한다.

② 위원회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 으로 성립하고, 출석위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단, 위임장은 위원회의 성립에서 출석으로 인정 하되 의결권은 부여하지 않는다.

③ 위원회의 심의 대상인 연구에 관여 하고 있는 위원은 그 연구와 관련 된 심의에 참여할 수 없다.

④ 위원장은 심의를 위하여 필요한 경 우 연구책임자 혹은 관리책임자에

게 자료의 제출 또는 보고를 요구 할 수 있다.

⑤ 위원은 심의와 관련된 제반 사항에 대하여 비밀을 준수한다.

제5조(위원회의 기능)

위원회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심의한 다.

① 학회와 관련된 제반 연구발표물에 대하여 제기된 연구윤리에 관한 사 항

② 연구윤리 및 교육에 관한 사항

③ 학회와 관련된 연구과제의 연구책 임자나 관리책임자가 부여하는 연 구윤리에 관한 사항

④ 기타 위원장이 부여하는 연구윤리 에 관한 사항

제6조(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처리)

① 학회와 관련된 연구윤리 위반 사례 가 발생한 경우, 위원회는 그 혐의 에 대한 적절한 조사와 처리를 해 야 한다.

②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조사는 기밀 을 유지한다.

③ 연구윤리 위반 혐의를 받는 자는 위원회의 조사결과에 대하여 반론 을 제기할 수 있는 권리를 가진다.

④ 연구윤리 위반에 대한 조사의 결과 는 학회에 보고하며, 그 기록은 처 리 종료 시점을 기준으로 3년간 학 회에 보관한다.

⑤ 조사 결과 연구윤리 위반이 확정될 경우, 이를 공표하고 다음과 같이

조치한다.

㉠ 연구윤리를 위반한 논문은 학회 지 게재를 불허한다. 게재 논문의 경우 에는 학회지의 논문목록에서 삭제하고, 학회는 이 사실을 회원 및 관련 학술기 관에 공지한다.

㉡ 연구윤리를 위반한 논문의 저자 에게는 이후 5년간 학회지 논문 투고를 금지한다.

제7조(연구윤리 확약서)

투고자의 연구윤리 규정 준수를 확 인하기 위해 연구윤리 확약서 제출을 의무화한다.

① 투고자는 학회지에 논문게재를 신 청할 때 연구윤리 확약서를 연구윤 리위원회에 제출한다.

제8조

본 규정에 명시되지 않은 사항은 관 례에 따른다.

부칙 끝.

(6)

<  中國史硏究  原稿作成方法>

1. 본문 작성 방법

(1) 원고는 "아래아한글 2002“ 이상으 로 작성한다.

(2) 제목은 글자크기 18, 신명조로 하 고, 필자명은 크기 12로 한다. 제목 과 필자명은 검색시의 편의를 위해 한자(정자) 표기를 원칙으로 한다.

필자의 소속을 괄호 속에 표기하고, 공동집필한 원고인 경우 집필자의 이름을 병기한다. 다만 공동집필의 경우라도 책임연구자와 보조연구자 로 구분될 경우 후자는 각주로 내려 서 표기한다.

(3) 표제는 신명조 크기 18로 하며, 장절 제목은 각각 신명조로 하고, 표기는 Ⅰ, 1, 1), (1)의 순으로 한다.

Ⅰ의 크기는 15, 1은 13, 1)은 11, (1)은 10으로 한다.

(4) 본문은 신명조로 하며, A4용지에 서 폭 150, 길이 212.4, 위쪽 20, 아 래쪽 10, 머리말 10, 꼬릿말 10으로 설정하여 작성한다. 글자모양은 글 자크기 10, 장평 97, 자간 -3으로 하 며, 문단모양은 들여쓰기 2, 줄간격 160%으로 한다.

(5) 도표는 반드시 "표" 기능을 사용 하여 작성한다. 표 내용은 글자크기 8, 줄간격 110을 원칙으로 하며 부 득이한 경우 가감을 허용한다. 도표 의 캡션은 일련번호를 취하도록 하 고 캡션글자는 중고딕 글자크기 9, 가운데 정렬을 원칙으로 한다. 도표

의 캡션번호는 ‘<도1>’ ‘<표1>’의 형식으로 부각시킨다.

(6) 작성된 원고가 국문일 경우 외국 어로, 외국어일 경우 국문으로 요약 (Abstract)을 첨부한다. 그리고 본문 말미에 주제어(국문, 중국어, 영어) 를 엄선 수록한다.

(7) 괄호 표기는 ( ), 「 」순으로 하고, 원문에 있는 주석은 ( )로 처 리한다.

(8) 연대의 표시는 서기를 원칙으로 하며 불가피한 경우 ( )를 이용하 여 병기한다.

(9) 숫자는 특별한 의미가 있는 경우 를 제외하고 아라비아 숫자의 사용 을 원칙으로 한다.

2. 인용문의 작성 방법

(1) 인용문은 번역을 원칙으로 한다.

(2) 인용문이 2행 이상인 경우 별행으 로 처리하되, 신명조 글자크기 9, 장 평 97, 자간 -3, 줄간격 130%으로 한다. 문단모양은 좌우여백을 각각 2로 한다.

(3) 필자가 덧붙인 설명은 [ ]안에 넣어 원문과 구분하고, 강조하는 부 분은 밑줄을 긋고 ( )안에 '원문'이 라고 표시한다.

3. 각주의 작성 방법

(1) 각주에 인용된 자료 소개는 다음 과 같은 순서로 한다.

1) 한적의 경우

저자(편저자), 「편명」,『책이름』

권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판 수; 『총서명』, 판수), 쪽수.

2) 단행본의 경우

동양어 : 저자, 『책이름』 권수 (출판지: 출판사, 출판년도, 판수;

『총서명』 권수, 판수), 쪽수.

서양어 : 책이름만 이탤릭체로 하며 나머지는 위와 같이 한다.

3) 정기간행물의 경우

동양어 : 저자, 「논문제목」(『잡 지명』권-호, 출판지: 발행처, 년도), 쪽수.

서양어: 논문은 "논문제목"으로, 잡 지명은 이택릭체로 하며 나머지는 위와 같이 한다.

(2) 면수를 표시할 경우 'p', 'pp', 를 원칙으로 한다. 2면 또는 4면의 원 문이 한 페이지에 수록된 영인본 등 은 각 면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일관성 있게 표시한다.

(3) 여러 인용 자료를 연속해서 소개 할 때는 ‘; ’으로 구분하여 표기한다.

(4) 동일한 자료를 여러 번 인용할 경 우 최초 이외에는 ( )로 묶은 출판 정보를 생략한다. 약칭을 사용할 때 에는 최초 인용시 이를 ‘; ’ 표시후 명기한다.

(5) 각주의 글자모양은 신명조 글자크 기 8.7, 장평 97, 자간 -3으로 한다.

각주의 문단모양은 왼쪽여백 2, 내 어쓰기 2, 줄간격 130%로 한다.

(6) 역자 혹은 편자일 경우는 반드시 이름 뒤에 '역' 혹은 '편'을 덧붙인 다. 공동 저작일 경우 이름 사이에

'·'를 넣어 표기한다. 저자가 많을 경우 ‘대표저자 외’의 형식으로 표 기한다.

(7) 년월 표시는 가급적 아라비아숫자 자로 ‘년도.월.일’의 형식으로 축약 한다.

(8) 호마다 페이지가 있으면서 전체 권의 일련 페이지도 있는 잡지의 경 우 그 호의 페이지를 적는다.

4. 원고제출시 학술진흥재단 데이터베 이스 등록을 위해 아래 자료를 추가 로 작성하여 제출한다.

(1) 국문초록 (2) 외국문초록 (3) 참고문헌목록

(4) 필자의 신상정보(영문제목, 영문성 명, 주근무지 및 직위, 생년월일) (5) 재직증명서 또는 소속기관신분증

사본(외국학자의 경우) 끝.

(7)

중국사학총서 

판례를 통해서 본 청대 형법

나까무라 시게오 지음 임대희․박춘택 옮김

서경문화사 ․ 정가 13,000원

중국사학총서 

세미나 위진남북조史

임대희․이주현․이윤화 외 옮김

서경문화사 ․ 정가 13,000원 중국사학총서 

세미나 수당오대史

임대희 외 옮김 서경문화사 ․ 정가 19,000원 중국사학총서 

중국역대 陵寢제도

양관 지음, 장인성․임대희 옮김 서경문화사, 2005.5

정가 9,000원 중국사학총서 

宋代에 있어서의

가와무라 야스시 지음, 임대희 옮김,

養子法

2005.5, 서경문화사 ․ 정가 13,000원

今 號 執 筆 者

裵 眞 永 全北大學校 HK硏究院 硏究敎授 全 淳 東 忠北大學校 師範大學 歷史敎育科 敎授 尹 貞 粉 德成女子大學校 人文大學 史學科 敎授 任 邦 中國 武漢大學 歷史學院 敎授 金 炫 廷 仁荷大學校 國際通商學部 招聘教授 刘 玉 华 天津医科大学 医学人文科学系 讲师 雷 家 聖 臺灣 國立臺灣大學 歷史系 兼任助理敎授 金 容 澈 翰林大學校 아시아文化硏究所 硏究員 金 志 勳 成均館大學校 現代中國硏究所 硏究敎授 林 炳 德 忠北大學校 人文大學 史學科 敎授 鄭 愛 蘭 誠信女子大學校 史學科 講師 侯 杰 中國 南開大學 歷史學院 敎授 胡 慎 中國 南开大学 歷史學院 硏究助理

中國史學會 任員名單

顧 問 : 金 燁(世明大) 金漢植(慶北大) 李炳柱(嶺南大) 名譽會長 : 李陽子(東義大)

會 長 : 全淳東(忠北大)

副 會 長 : 柳元迪(木浦大) 李潤和(安東大)

運營理事 : 權五重(嶺南大) 徐正欽(安東大) 宋正洙(全北大) 兪長根(慶南大) 尹貞粉(德成女大) 李京圭(大邱가톨릭大) 李榮奭(昌原大) 張寅成(忠南大) 曺秉漢(西江大) 河政植(崇實大)

總務理事 : 金鍾健(韓東大) 辛太甲(東亞大) 鄭誠一(大邱大) 硏究理事 : 孫承會(嶺南大) 兪垣濬(慶熙大) 尹在碩(慶北大)

鄭淳模(忠南大) 曺世鉉(釜慶大)

編輯理事 : 姜判權(啓明大) 李學魯(大邱大) 林炳德(忠北大) 涉外理事 : 金斗鉉(蔚山大) 金成奎(全北大) 都重萬(牧園大) 朴宣泠(浦項工大) 朴 橿(釜山外大) 宋漢鏞(全南大) 梁鍾國(公州大) 元廷植(江原大) 李瑾明(韓國外大) 李俊甲(仁荷大) 鄭炳俊(東國大) 丁載勳(慶尙大) 鄭哲雄(明知大) 崔秉洙(忠北大) 洪性鳩(慶北大) 監 事 : 任大熙(慶北大) 梁銀景(釜山大)

Referensi

Dokumen terkait

논문의 심사기준 1 중국사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 논 문을 그 심사 대상으로 하며 직접적 으로 중국사와 관련된 논문이 아니 더라도 중국사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논문으로 판단될 경우 편집 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게재할 수 있 다.. 2 심사는 개별적 평가와 심사결과 판정으로 구분하며 심사자의 심사요 지를

논문의 심사기준 1 중국사에 대한 학술적인 연구 논 문을 그 심사 대상으로 하며 직접적 으로 중국사와 관련된 논문이 아니 더라도 중국사 연구에 크게 기여할 수 있는 논문으로 판단될 경우 편집 위원회의 결의에 따라 게재할 수 있 다.. 2 심사는 개별적 평가와 심사결과 판정으로 구분하며 심사자의 심사요 지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