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忠 - 강원도립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忠 - 강원도립대학교"

Copied!
31
0
0

Teks penuh

(1)

한국사 재택수업 참고자료 1

2020. 03. 23 표영관 拜

강원도립대학교 해양경찰과

(2)

들어가기 앞서 …

길가에 꽃 몽우리들이 봄 봄 을 외치고 있지만 , ‘ ’ 캠퍼스에는 학생도 , 선생도 없이 여전히 겨울 마냥 을씨년스럽습니다 . 강의를 하지 않는 선생이 되어버린 저 역시 무기력하기만 합니다 .

불안하고 당황스러운 오늘이지만 , 그래도 봄은 오겠지요 .

과제만 내주는 무능한 선생의 미안함으로 참고자료를 만들어 보내오니 , 부디 즐거운 마음으로 봄을 기다려 보도록 합시다 .

본 자료는 한 페이지에 중복 페이지가 있고 , 학습목적을 위해 슬라이드 쇼(Microsoft Powe rPoint-슬라이스 쇼 항목 - 처음부터 ) 를 이용하여 space bar로 한 줄씩 넘기면서 시청해 주시 기 바랍니다 .

육성으로 설명하고자 하였으나 , 그 과정이 번잡하고 수강생 여러분들께도 내용파악에 오히 려 혼란을 야기할 듯하여 지면에서 설명하오니 , 양해주세요 .

좋아하는 음악 청취와 함께 하시는 것도 좋으며 , 편안하게 시청하시고 , 과제 수행에 조금이라 도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

(3)

오늘 이야기는 오래된 그림 한 장에서 시작합니다 . 생소한 이 두 인물은 과연 어떤 사람들일까요 ?

오늘 이야기는 오래된 그림 한 장에서 시작합니다 . 생소한 이 두 인물은 과연 어떤 사람들일까요 ?

그림으로 얻을 수 있는 정보 .

먼저 두 남녀가 서로를 향해 몸을 돌리고 의자에 착석해 있습니다 .

전근대 인물화의 주로 정면을 바라보는 정형화된 모습과는 차이가 있어 보입니다 . 두 분은 아마도 부부로 추정됩니다 .

인물의 복색으로 볼 때 , 신분이 높음을 알 수 있고 , 남성은 복두라는 관모를 쓰고 조복 ( 朝服 ) 에 홀 ( ) 을 들고있는 고위 관료로 볼 수 있습니다 .

국가 행사에 참가한 신하 혹은 외국 사신 ( 使臣 ) 의 복장인 것이지요 .

(4)

그런데 , 여러 모로 특이한 이 그림은 , 조선의 상징이자 왕실의 문묘인 종묘 ( ) 에 모셔져 있었답니다 .

현재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도 등재되어있고 ,

조선의 국란시기 마다즌하 ! 종묘 사직을 보전하시옵소서라 외치던 바로 그 국 가 상징의 공간 한 켠에 , 그것도 별도의 건물을 지어 봉안해야 할 만큼 중요한 영 정이었던 것이지요 .

종묘가 조선의 왕과 왕비의 위패를 모신 곳이니 , 그렇다면 , 이들도 조선의 왕과 왕비 중 하나일까요 ?

아니랍니다 .

그림의 주인공은 고려의 31 대 공민왕 ( 恭愍王 ) 과 그 비인 인덕왕후 ( 仁德王后 ) 입니다 .

우리에겐 노국대장공주 ( 魯國大長公主 ) 로 더 잘 알려진 인물이지요 .

조선은 고려를 거꾸러뜨리고 창업한 국가인데 , 왜 조선의 왕실에서 고려말 왕 부부의 영정을 모신 것일까 ?

그 이유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먼저 공민왕이라는 인물을 살펴보아야 합니다 .

(5)

공민왕은 1330 년 고려 27 대 충숙왕의 차남으로 태어났고 , 형인 28 대 왕 충혜왕 , 조카인 29 대 충목왕과 30 대 충 정왕에 이어 고려의 31 대 왕이 된 자입니다 .

공민왕 출생 무렵은 고려가 원 ( ) 나라의 식민지배에 가까 운 간섭이 극에 달해 있던 시기였지요 . 소위 원간섭기 입니 .

고려국왕의 시호에忠 자가 붙은 시기이기도 합니다 .

고려의 국왕임명은 원에 의해 좌우되었고 , 공민왕의 부친인 충숙왕과 형인 충혜왕은 구미에 따라 폐위와 복위를 반복하기까지 하였지요 .

(6)
(7)

공민왕 역시 10 세 무렵인 1341 년 원의 수도인 연경 ( 현 북 ) 으로 숙위 ( 宿衛 : 실제로는 볼모의 형태 ) 를 떠나 유년기 를 보냈고 , 전례에 따라 1349 년 원의 노국공주와 혼인하였 습니다 .

공민왕은 원래 왕이 될 자가 아니었겠지요 . 점령국 의 볼모 신분이기는 했지만 빠이앤티무르 ( 伯顔帖木 ) 라는 이름으로 , 그저 원의 귀족신분으로 살아갈 수도 있었겠지요 .

그런데 , 본의 아니게 그는 왕이 되어야 했던 것 같습니다 . 고려조정에서는 형인 충혜왕과 그 아들인 충목왕이 차례로 죽고 , 충목왕의 이복동생 충정왕이 계위하게 되었는데 , 에서는 충정왕이 왕 노릇을 제대로 하지 못한다는 구실로 강

제 폐위시키고 그 자리에 공민왕을 세우기로 한 것이지요 .

(8)
(9)

1351 년 공민왕은 노국공주와 함께 귀국하여 왕위에 오르게 됩니다 .

아마도 원 조정에서는 공민왕이 친원파로서 원에 충성할 것을 기대한 것으로 추정됩니다 .

그런데 , 공민왕은 즉위 직후부터 원의 생각 과는 달리 움직입니다 .

그것이 우리가 생각하는 애국심의 발로였는지 , 혹은 옆의 문구왕이 되고 싶은 왕처럼 다운 왕 노릇을 하고 싶은 개인적인 욕구에 의

한 것인지는 알 수 없습니다 .

(10)

다만 이 시기 공민왕의 일련의 시책들은 결과적으로 원의 강압적 지배에서 벗어나려는 노 력이었다는 평가에는 이견이 없습니다 .

먼저 그는 원의 색채를 지우기 위해서 변발과 호복 (원나라 복장 ) 등을 금지하고 폐지합 니다 .(1352)

이것이 무슨 큰 의미가 있겠는가 반문할 수도 있겠지만 , 문화적 요소를 지우는 것은 지금 으로서도 지대한 파급효과가 있습니다 .

일본인들은 식민지기간 동안 우리의 문화와 전통을 말살하고 , 폐기하면서 그들의 것을 강요한 바 있지요 .

심지어 우리 말과 글을 사용하지 못하게 하거나 , 이름 조차도 일본식으로 개명을 강요하 기도 했지요 .

그 잔재들은 70년이 지났음에도 잔존해 있고 , 오히려 시간이 지난 지금에는 이것이 우 리 전통인지 , 일제의 잔재인지 분간이 어렵기도 합니다 .

이에 대한 반급으로 몇 해 전까지만 해도 우리나라 방송에서는 왜색 이라는 이유로 일본 가요나 , 영화 , 드라마가 송출되는 것이 법으로 금지되어 있기도 했답니다 .

여하한 , 공민왕의 원색 금지정책은 마치 엄혹한 일제시대에 일본식 문화를 금지한다는 정책처럼 파격적인 행동으로 평가됩니다 .

덕성부원군 기철 ( 드라마 신돈 )

(11)

1356년은 공민왕 개인으로서도 , 고려라는 국가로서도 일대 전환기로 평가할 수 있는 해입니다 .

공민왕은 원의 강력한 반대를 무릎서고 몽골의 연호와 관제를 문종 이전 , 즉 원의 간섭이전으로 복구합니다 .

또 조정의 인사에 간여하며 문제를 일으키던 정방을 폐지하고 , 귀족들이 소유 한 토지를 원간섭기 이전 소유자에게 반환하기도 했지요 .

이 모두가 친원귀족세력들의 권력을 약화시키기 위한 노력으로 볼 수 있습니 다 .

일제시기에 비의 한다면 , 여전히 일본의 식민지배가 진행되는 상황에서 , 조 선 혹은 대한제국 국제를 복구하고 친일파의 재산과 권력을 환수한 셈이지요 .

그리고 , 친원 세력의 ‘끝판왕 인 기철과’ 권겸 등을 제거하기에 이릅니다 .

(12)

 기철은 좀 전에 변발을 한 우스꽝스러운 모습으로 등장했 었지만 , 당대 고려에서는 최고 권력을 누리던 자였지요 .

 고려사 열전 기철 편에 기록된 그의 언행은 국왕을 아랫 사람으로 대하는 모습까지 보입니다 .

 심지어 같은 책에는 기씨의 모친 영안왕대부인을 위한 잔 치 규모가 너무 크고 화려하여 국가의 물가가 치솟았을 정도였다고 기록되기도 합니다 .

 실상 이러한 기씨 형제들의 패악에 가까운 권력부림은 그

들의 또 다른 형제를 등에 업음으로 말미 암은 것이지요 .

(13)
(14)

공녀(貢女)로 원에 들어가 황후까지 된 고려여인 기황후가 기철 형제의 동생인 것이지요 .

기황후의 인생역정을 여기서 설명하지 않아도 , 원제국의 황후에 까지 오르고 급기야 아들이 황태자에 책봉되는 상황이 되자 고려에 친원세력들은 기씨를 왕처럼 모신 것 이겠지요 .

원에 의해서 왕이 된 공민왕 역시 기씨 일족들을 무시할 수 만은 없었을 테지만 (공민왕이 기황후의 의도로 왕이 되었다는 연구도 있다 ), 기씨를 위시한 친원세력의 토지수탈과 패악

으로 “국지부국 (國之不國 : 이게 나라냐?)”이라는 말이 유행일 정도였으니 , ‘왕이 되고

었던왕 , 그에게는 결단이 필요했으리라 보입니다 .

1356년 5 18일 공민왕은 연회를 핑계로 기철 및 친원부원세력들을 궁정으로 불러들여 장사로 하여금 이들을 제거하는데 성공합니다 .

고려사 기록에는 부원세력을 제거가 성공하자 같은 , 고려 최고 권력기구이자 원의 행정 관소인 정동행중서성 이문소를 폐지하고 ,

동시에 군대를 출정시켜 1258년 이래로 몽골이 설치하고 직접 운영했던 쌍성총관부를 습격하여 고려의 영토로 수복한 것으로 기록되어 있습니다 .

이 일대의 사건들이 모두 하루에 일어난 것이라고 믿기는 어렵지만 , 아마도 공민왕은 오랜 시간 준비를 통해 변혁을 실행한 것으로 짐작됩니다 .

(15)

(16)
(17)

쌍성총관부 - 그 의미 .

660

백제의 멸망

, 668년 고구려의

멸망

이후를 국사교과서에서는

신라

삼국통일이라고 말합니다 . 때문에 이후의 시기를 통일신라로 명명하고

있지요 .

그런데, 통일 혹은 일통된

신라의 영토는 한반도 전역에 미치지 못했답니

다 .

고구려 영토 대부분을 우리 역사에서

잃어버린 것이지요 .

이러한

상황은 940

년 무렵 고려왕조가 개창되고 나서도 마찬가지였습니다 .

이

때까지의 우리 영토는 대체적으로 앞선 지도에서 공민왕이 1356

년 수 복한 지역

남쪽에 국한 되겠지요 .

그렇다면

‘ 현재 북한지역의 절반이 우리땅이 아니었던

것일까 ? 이런 것을 배운 적은 없는데..’라 생각이 드실거예요 .

여러분들은 분명 배우셨답니다 .

“ 종성 , 온성 , 회령

,

경원 , 경흥

, 부령

6 진의 개혁이 완료되었다 .(144

9

년 세종31)”. 바로 저 유명한

“ 김종서의 4 군 6 진의 개척으로 조선의 국

경은 압록강과 두만강에 이르게 되었다 .”

기록인 것이지요 .

(18)
(19)

우리는 영토를 넓히고 개척했다는 것은 배우지만 , 빼았겼다거나 원래 우리 땅이 아니었다라는 식으로 배우지는 않으니까요 .

여하한 1258년 무렵부터 몽골-원제국의 영토가 되었던 쌍성총관부 지역을 수복함은 , 1361 년 ( 공민왕 10) 무렵 강계지역에 만호부를 설치하면서 압록 강 중류지역까지 진출한 사건과 더불어 현재 우리가 인식하는 영토를 확보하

는 교두보를 마련한 중대 사건이라 할 수 있습니다 .

그리고 쌍성총관부 사건이 주는 또 다른 역사적 의미가 있지요 .

고려군이 쌍성총관부를 공격할 때, 원의 지방관리였던 이자춘이라는 인물이 포섭되어 성문을 열어주었고 , 이 공을 인정받아 자춘은 개경으로 이주하여 고려 정계에 진출하게 된 것이지요 .

요즈음 말로 ‘듣보잡 이었던’ 인물의 화려한 데뷔라고 할까요 ?

그리고 그의 아들도 출세의 발판을 마련하게 되었지요 .

그 이름 이성계(李成桂)..

(20)
(21)

개혁군주 공민왕 vs 광인 ( 狂人 ) 공민왕

이때까지의 공민왕의 면모는

북진과 폐단개혁을 통해 외세에 맞서는 독립 군주이자 개혁군주로 평가됩니다 .

그런데 역사는 그를

다른 모습으로 기억하기도 하지요 .

정사를 내

팽개치고 나라를 망하게 한 미친 광인으로 기억하기도 합니다 .

역사에서 개혁을

꾀하던

인물들의 평가가

엇갈리는 것은 비단

공민왕에 국 한되지는 않음을 이미 여러분들도

알고 있습니다 .

북벌을 주장하고 세제개혁을 외치던 광해도 꼭 닮은 모습이지요 .

어쩌면 개혁은 기존

권력자들에게는 생사를 위협받는 일이기도 할 테니 ,

살아남은 자들의 기록은 그것이

필연인지도 모르겠습니다 .

공민왕과

광해

닮은 꼴은 역사의 우연일까요 .

역사의

필연일까요 .

(22)

개혁군주 미친 자로 스러지다 .

공민왕의 개혁자적 모습은 수도를 남경(南京 : 현 서울 )으로 천도하려는 실 행단계에 이르러 변모합니다

수도를 옮기겠다는 생각은 기록 상 왕사 (王師) 보우의 건의로 시작되었다고 하는데, 실상 500여 년 간 국가의 중심이었던 지역을 옮긴다는 것은 말처럼 쉬운일이 아니었겠지요 .

역사에서 천도를 계획하는 군주는 대부분 구제도의 개혁을 꾀하는 자이고 , 천도는 권력구조를 바꾸는 종착지이기도 하지요 .

때문에 전란으로 인한 어쩔 수 없는 이도 이외의 천도는 거의 불가능함을 역 사는 말하고 있답니다 .

역사의 우연이겠으나 , 조선의 정조 역시 화성 천도를 천명하였으나 , 갑작스 러운 죽음을 맞기도 했지요 . 그 죽음으로 일반화 시킬 수는 없지만 , 기존 권 력층의 반대가 극렬했음은 사실이랍니다 .

지금 수도를 서울에서 강릉으로 옮긴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 까요 . 집값은 떨 어지고 , 조물주 보다 높은 건물주들은 그 정책에 찬성할 수 있을까요 .

(23)
(24)

이러한 의혹은 의혹일 뿐, 역사에서 공민왕의 변화는 왕비의 죽음으로 인 함으로 합치되고 있습니다 .

공민왕비는 오랜 동안 후사를 못 보다가 1364

년에 만고 끝에 회임 하였 는데, 이듬

해 2월 난산 끝에 태아와 함께 사망하게 되었답니다 .

원의 공주로서 원에 맞서는 공민왕을 목숨을 걸고 지지해준 정치적 동반자

이기도 했던 노국대장공주의 죽음이 공민왕에게 큰 충격이었을 듯 합니다 .

그래서 인지 , 기록에는 공민왕이 머리를 산발하고 음식을 거부하기도 하 고 , 스스로 초상화를 그리고 , 살아있는 것처럼 대화하기도 했다고 합니다 .

왕비의 릉인 정릉( 개경)은 직접 설계하여 9년여에 걸쳐 조영 했고 , 자신 의 무덤을 미리 곁에 마련하였다고도 말합니다 .

이쯤 되면 세기의 사랑

‘ ’

정도로 불릴

수 있겠으나 , 기록은 그

상실감을 도

‘ ’

가 지나친 미친자 로 전합니다 .

(25)

상사병은 폭음과 폭력으로 이어졌고 , 8

년이 지나도록

후사를 얻기 위한 후궁

들에게는 전혀 정을 주지 않아

후궁들 역시 비구니가 되는 등 불운한 삶을 살 았다고 합니다 .

, 기록에는 공민왕이 자제위 (

子弟衛 : 귀족의 자제로 이루어진

소년집단) 의 미소년들과 동성애에

탐닉하였고 , 폭력성은 주변이 막을 수 없는 타락한

존재로

표현하고 있습니다 .

이런 상황이니 , 개혁정책은 고사하고 정사를

돌보는 일은 불가능했겠지요 .

그런데, 공민왕은 노국공주의 사후 국정 업무를

엉뚱한 인물에게 일임해 버립

니다 .

그는 변조 ( 遍照 )라는 자로

신돈

(

辛旽

)으로

더 잘 알려진

인물이지요 .

이때 비선실세로

신돈을 등용한 것은 , 단순히 역사에 한 인물이 등장을 의미

하는 것이 아니라 ,

멸망의 씨앗을 심은 일이 됩니다 .

(26)
(27)

변조는 출가한

승려이긴

했지만 ,

관복을 입고 머리를 길렀기에 사람들은

그를

승려도 아니고 속인도 아닌 비승비속

(

非僧非俗

)이라 부르기도 했습 니다 .

정치적 동반자이기도 했던 노국공주를

잃은 상실감에 빠져있던

공민왕에게 변조는

새로운 그리고 유일한 위안처였는지 모르겠습니다 .

왕비가

죽자 공민왕을 반대세력들은 그를 정치적으로 공격하기 시작했고 ,

왕비의 장례비용과 불교행사에

막대한 국고를 탕진하면서 기존 옹호세력들

도 등을

돌리게 된 것이지요 .

이에 공민왕은 마지막까지 자신을 지지하는

승려 변조를 불러 스승으로 삼고 정사를 일임하게 된 것이지요 .( 신돈이라

는 이름으로 개명 )

신돈은 집권과 동시에 개각이라는 미명하에 고관대작 등을 유배 , 좌천시키

고 심지어

병권을 쥐고 있었던 최영 장군을 체포하여 신문하기도 했지요 .

많은 반발이 있었지만 ,

공민왕은 이를

묵살하고 신돈에게 모든 권력을 일

임하였답니다 .

(28)

 당시 신돈이 제수 받은 직책은 수정이순논도섭리보세공신 “ ( 守正履順 論道燮理保世功臣 ) 벽상삼한삼중대광 ( 壁上三韓三重大匡 : 임금에 준하는 국정책임자 ) 영도첨의사사사 ( 領都僉議使司事 : 관직명은 있 었으나 가장 높은 벼슬로서 실제 임명하지는 않는 관직 ) 판중방감찰 사사 ( 判重房監察司事 : 국방부장관 ) 취성부원군 ( 鷲城府院君 : 최고 귀족장 ) 제조승록사사 ( 提調僧錄司事 : 불교 , 문화 , 사회부 장관 ) 겸 ( 兼 ) 판서운관사 ( 判書雲觀事 : 기상청 , 농림수산부 장관 ) 로 , 제가

아는 한 우리 역사에서 가장 길고 높은 벼슬을 제수 받은 인물입니다 .

 신돈은 막강한 권력을 누리다가 1371 년 역모죄로 죽임을 당하게 됩 니다 .

 그런데 , 신돈이 심어 놓은 씨앗이 발아한 것이지요 .

 이 씨앗은 결국 고려를 멸망 케 합니다 .

(29)
(30)

한 장의 그림에서 시작한 이야기는 다음 주에 계속됩니다 .

다음 편에는 신돈이 심어놓은 씨앗이 어떻게 고려를 멸망시키는지 ,

그리고 그 혼란기에 기회를 잡은 인물들 .

조선의 건국과정과 역사에서의 정당성문제를 살펴볼 것입니다 .

또 한국사의

최고 위인 세종대왕의 우리가 미쳐 알지 못했던

, 혹은 알고 싶

지 않았던 또 다른 모습을 이야기 해보고자 합니다 .

이 과정에서 문제의 그림이 종묘에 위치하게 된 연유도

알게

될 것입니다 .

여건이 허락되면 영조와 정조의 시대도 다른 시각으로 엿보도록 하지요 .

(31)

3 주차 제출 과제

재택 1주차에 작성하고 3시기로 구분한 연표에서 , 두 번째 해당하는 기간 내에 서 인물 혹은 사건을 선정합니다 .

선정 인물 혹은 사건에 대하여 내밀히 탐구하고 ,

선정 인물 , 사건의 시말과 해당시대에서 선정한 이유 등을 A4 3매 이상으로 작성 하여

3월 30일 부터 4월 6일까지 이메일로 제출하시면 됩니다 .

제출시 문서제목을 ( 성명 , 학번 , 제목 순으로 기재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

이전에 제출한 과제는 검토 후 보내주신 메일로 1 주 내에 피드백을 드리도록 하겠 습니다 .

한 주간도 건강하시고 , 의문점 등은 언제든 연락 주시기 바랍니다 .

Referensi

Dokumen terkait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