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書 評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書 評"

Copied!
8
0
0

Teks penuh

(1)

秦簡牘合集 (陳偉 主編, 武漢大學出版社, 2014)

書 評

林 炳 德

(忠北大)

秦은 西北에서 시작하여 耕戰體制 로 強國이 되어 마침내 統一을 실현 하였다. 시황제가 천하를 통일하기 전, 秦王 政은 유능한 인재를 국적 에 관계없이 발탁하여 내정을 공고 히 하고, 동시에 교묘한 외교술과 기마를 중심으로 한 강력한 무력을 통해 春秋戰國이라는 긴 분열의 시 대를 끝내고 제국의 통일을 실현한 秦의 역사는 짧지만, 후대에 끼친 영향은 至大하다.

B.C.213년 시황제는 이사의 건의 에 따라 역사서와 의약, 卜筮, 농업 이외의 서적을 몰수하여 30일내에 소각하였다. 그리고 이후 古書에 관

해 논하는 자는 사형, 옛 것을 찬미 하고 진을 비방하는 자는 일족 전체 를 죽인다는 금령을 내렸다. 분서를 행한 다음해 자신을 속인 方士 盧生 에게 분노하여 460여명을 파묻어 죽였는데, 이러한 焚書坑儒는 학자 와 학문을 탄압한 것으로 후세 사람 들이 시황제를 비난하는 근거가 되 었다. 秦始皇는 승상 李斯의 건의를 받아들여 法家와 占卜, 醫學, 農學 등 실용적인 서적을 제외하고 모두 거두어 불태우도록 한 ‘焚書’는 잘 알려진 사건이다. 사실 과연 이 분 서가 얼마나 철저히 실시되었을까하 는 의문이 있었지만, 戰國時代 楚簡 의 발견과 秦의 律令文書의 연속적 인 출토는 이에 대한 의문을 말끔히 해소하고 있다. 秦墓 출토 간독에는 戰國이래 諸子 문헌은 나오지 않고 있다. 이에 비하여 秦墓 이외의 戰 國時代 출토 竹簡이나 漢墓 간독에 서는 학술 서적 다량 출토되고 있

다. 睡虎地秦簡ㆍ龍崗秦墓簡簡

ㆍ嶽麓書院秦簡 등의 秦의 율령문 서는 ‘焚書’의 실체가 있었음을 보여 주는 대표적인 사례라 할 수 있다.

秦의 簡牘은 일반적으로 전국말기 의 秦에서 통일 이후의 秦帝國의 영 토내에서 발견된 간독자료를 말한 다. 漢簡이 20세기 초에 발견된 데 에 비하여 秦의 簡牘은 1975년 湖 北雲夢睡虎地秦墓의 발굴을 시작으

(2)

로 湖南에서의 里耶秦簡의 大規模出 土에 이르기까지 지속적으로 출토되 고 있다. 秦簡에는 勅令과 律令을 비롯하여 占夢書, 戶籍, 租賦, 醫方, 算術, 地圖, 小說, 詩歌, 私人書信, 簿籍, 符券, 地圖, 日書 등등 수다한 내용이 수록되어 있다. 이러한 秦의 광범위한 출토자료는 당시 사회의 실상을 보여주는 귀중한 자료이다.

새롭게 발견되고 있는 전국시대~진 ㆍ한시기의 죽간문서의 가치는 아무 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왜냐하 면 동일한 문헌이라 해도 傳世文獻 보다 出土文獻이 훨씬 그 원초성을 간직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늘날 중 국고대를 전공하는 연구자들은 동일 한 문헌이라 해도 한나라 학자들의 손을 거쳐 정리된 史記나 漢書와 같은 傳來文獻史料가 아닌 이를테면, 司馬遷이 史記를 저술하였을 때 보 았던 간독자료, 원초적 사료인 출토문 헌에 환호한다. 왜냐하면, 史記에 의한 秦에 대한 지식은 제한적일 수 밖에 없었다. 게다가 司馬遷은 漢代 의 儒家思想家로 法家思想을 이념으 로 채택한 秦나라에 대한 그의 평가 는 매우 부정적인 것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의 史記에 대한 기록은 사료에 근거하여 객관적으로 서술하 였음에도 불구하고 사료에 대한 取 捨選擇을 통하여 秦始皇과 秦始皇에 의한 천하통일이 부정적으로 평가되

었던 것이다. 따라서 진나라에 대한 후대의 지식은 매우 제한적이며 또 한 그나마도 객관적인 인식이 매우 어려웠던 것이다. 1980년대 이전까 지만 해도 중국고대사연구자들은 한 나라학자들의 손을 거쳐 다시 정리 된 전래문헌에 의존할 수밖에 없었 다. 그런데, 전래문헌과 동일한 문헌 도 아닌, 아니 전래문헌을 통해서는 추측하기도 어려웠던 출토법제문서 인 睡虎地秦簡을 필두로, 戰國 秦, 秦統一前後의 簡牘文書가 연이어 공 개된 것은 그야말로 이 분야 연구자 에게 전무후무한 사태의 전개라 하 지 않을 수 없었던 것이었다. 1970 년대 후반의 睡虎地秦簡 공개 이 후 1980년대~1990년대의 중국고대 연구는 이를 중심으로 공전절후의 열기 속에 진행되었다. 과거의 연구 자들은 상상할 수 없었던 귀중한 출 토자료를 우리 시대에 대면할 수 있 게 되고 또 오늘날 中國古代史 연구 자가 이를 이용하여 연구를 수행할 수 있게 된 점은 정말 행운이라고 밖에 표현할 수 없다.

최근 戰國ㆍ秦代史 연구에서 간독 자료의 중요성은 날로 증가하고 있 다. 더욱이 발굴 정리된 간독자료들 은 1-2년 후면 대체로 도판과 석문 으로 정리될 정도로 이 분야 연구가 빠른 속도로 진행되고 있다. 2010년 이후만을 살펴보아도 里耶秦簡(壹)

(3)

 (文物出版社, 2012), 里耶秦簡博 物館藏秦簡 (中西書局, 2016), 嶽 麓書院藏秦簡(壹)-(肆) (上海辭書出 版社, 2010, 2011, 2013, 2015),  淸華大學藏戰國竹簡(壹)-(柒) (中西 書局, 2010-2016) 등 거의 해마다 새로운 간독자료가 출판되고 있을 정도이다. 이들 자료는 秦代史 연구 에 대한 새로운 자료로써 유용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새로운 자료 의 발굴과 정리는 학문 연구에서 매 우 중요한 의의를 갖는다. 뿐만 아 니라 이왕에 소개ㆍ발간된 자료 역 시 적외선 촬영이나 새로운 석독 및 교감 작업에 의해 자료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키고 있다. 적외선 촬영이나 새로운 석독 및 교감 작업 에 의해 자료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최근의 대표적인 성과가 바로 陳偉 主編, 秦簡牘合集(壹)- (肆) (武漢大學出版社, 2014)이라 할 수 있다. 秦簡牘合集이 출판되 기 앞서서 적외선 촬영이나 새로운 석독 및 교감 작업을 통해 자료의 정확성과 신뢰성을 향상시킨 최초의 사례로는 彭浩ㆍ陳偉ㆍ工藤元男 主 編, 二年律令與奏讞書 (上海古籍出 版社, 2007)라 할 수 있다. 秦簡牘 合集은 앞서 진행한 二年律令與奏 讞書에서의 적외선 촬영이나 새로 운 석독 및 교감 작업을 통해 쌓은 경험을 바탕으로 더욱더 정밀한 교

감 작업을 진행한 결과물로 ‘簡牘學’

분야의 새로운 이정표를 제시한 뛰 어난 연구 성과라 할 수 있다.

陳偉先生이 2014년 12월에 출간 한 秦簡牘合集은 秦의 簡牘資料 가운데, 비교적 초기에 발행한 秦簡 牘資料인 湖北雲夢睡虎地十一號墓 竹簡(卷壹)ㆍ四號墓木牘(卷壹)을 비롯하여 湖北龍崗秦簡(卷貳)ㆍ

四川青川郝家坪秦牘(卷貳)ㆍ湖北 荊門周家台秦簡 (卷參)ㆍ湖北江陵 岳山秦牘(卷參)ㆍ甘肅天水放馬灘 秦簡(卷肆) 등을 다시 체계적으로 정리하였다. 가히 秦簡牘研究을 총 정리한 것으로 이를 계기로 秦簡硏 究의 새로운 도약을 기할 수 있게 되었다.

진 통일의 주요 배경의 하나는 성 공적인 변법의 실시에 따른 체계적 인 법률제도 운영의 결과라고 할 수 있다. 진대의 법률은 군주부터 민에 이르는 모든 사람들이 준수해야 하 는 원칙 하에서 제정되었고 1975년 湖北省 雲夢縣 睡虎地 第11號墓에서 발견된 睡虎地秦簡은 戰國時代 後 期 秦의 구체적인 법률내용과 시행 을 알려주고 있다. 1975년 겨울, 호 북성 武漢市에서 서쪽으로 약 70㎞

정도 떨어진 운몽현 수호지에서 11 基의 진묘가 발굴되었다. 발굴된 묘 가운데에는 40세 정도로 추정되는 남성이 매장된 11호 묘에서 秦律

(4)

1155매의 죽간이 발견되었다(殘片 80매).1) 또한 여자의 遺骸로 확인된 4호묘에서는 편지 2통의 木簡이 발 견되었다.2) 睡虎地秦簡이 부장된 11호 진묘의 피장자는 “喜”라는 인 물로서 전국시대 秦國의 15대 군주 昭襄王 45년(B.C.262)에 출생하여 始皇帝 30년(B.C.217) 46세로 사망 한 인물이다. 생존 시에는 安陸御史 ㆍ令史 및 鄢令史와 獄吏 등의 관직 을 역임한 지방하급관리이다. 睡虎 地秦簡의 日書 426매의 내용은 대 부분 吉凶禍福의 예측과 관련된 것 이다. 출토위치 죽간의 길이, 기재형 식ㆍ내용 등에서부터 작업이 진행된 결과 編年記, 語書, 秦律 18種, 效 律, 秦律雜抄, 法律答問, 封診式, 爲 吏之道, 日書 등 9가지 내용으로 구 분해서 정리되었다.

睡虎地秦簡은 戰國時代 後期 秦 의 구체적인 법률내용과 시행을 알 려주는 자료라면, 1989년 호북성 운 몽현 龍崗縣 第6號墓에서는 木牘 1 枚와 竹簡 150여 枚가 출토되었다.

1) 李勳, 「雲夢睡虎地槪述」(文物

1976-5); 湖北省孝感地區第二期亦 工亦農文物考古訓練班, 「湖北雲夢睡 虎 地 1 1 號 秦 墓 發 掘 簡 報」(文 物

1976-6).

2) 黃盛璋, 「雲夢秦簡兩封家書中有關歷 史地理的問題」(文物 1980-8); 李 均明ㆍ何雙全 合編, 散見簡牘合輯

(文物出版社, 1990, pp.83-84).

출토된 龍崗秦簡은3) 秦의 통일시 기와 말기에 시행된 법률 내용을 담 고 있다. 또한 龍崗秦簡의 율문에 는 睡虎地秦簡에서 볼 수 없는

‘黔首’ㆍ‘皇帝’라는 표현이 자주 보인 다. 이와 같이 법률조문에 秦 統一 이후에야 볼 수 있는 용어들이 확인 되고 있는 점에 근거하여 정리자들 은 龍崗秦簡의 법률 조문은 秦始 皇 27년(B.C.220)에서 秦2世 3年 (B.C. 207)의 14년 동안 사용되었다 고 추정하고 있다.4)

四川青川郝家坪秦牘은 四川省青 川郝家坪50號진묘에서 출토된 2개 의 木牘으로 그 중 1건의 木牘의 正 面에는 「田律」이라는 기록이 나온 다. 배면의 내용은 ‘除道’에 관한 것 으로 「田律」 중에 도로 수축과 정비 에 관한 규정과 관련이 있다. 整理 者는 여기에 기록된 ‘戊’를 ‘甘戊’,

‘二年’과 ‘四年’을 각각 秦武王二年 (B.C.309)과 秦武王四年(B.C.307)으

3) 湖北省文物考古硏究所ㆍ孝感地區博 物館·雲夢縣博物館, 「雲夢龍崗六號秦 墓及出土簡牘」 (考古學集刊 8, 1994); 劉信芳ㆍ梁柱 編, 雲夢龍崗 秦簡 (科學出版社, 1998); 中國文物 硏究所ㆍ湖北省文物考古硏究所 編,

龍崗秦簡 (中華書局, 2001). 秦簡 牘合集은 중화서국(2001)의 정리 간호를 따르고 있다.

4) 劉信芳ㆍ梁株 編著, 雲夢龍崗秦簡

(科學出版社, 1997). p.48.

(5)

로 보고 있다. 즉 출토된 秦 簡牘 가운데 가장 이른 시기에 해당한다.

湖北荊門周家台秦簡은 1993년 에 출토된 것으로 출토 竹簡 381매, 木牘 1건으로 내용은 日書와 病方에 관한 것인데,5) 대체로 睡虎地秦簡

보다 늦은 시기의 것으로 보고 있지 만, 연대 하한은 前漢 初期에 미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한다.6) 湖北江陵岳山秦牘은 1986년 湖 北省江陵岳山36號秦墓出土木牘 2件 으로 내용은 ‘日書’이다. 연대는 秦 統一 初에 해당하고 睡虎地秦簡의

‘日書’의 내용과 매우 유사하다.7) 甘肅省天水放馬灘1號秦墓에서 출 토된 甘肅天水放馬灘秦簡은 죽간 460여매, 목독 4건으로 죽간의 주요 내용은 ‘日書’이다. 정리자는 죽간의 연대를 戰國中期에서 秦 統一 이전 으로 보고 있다.8)

秦簡牘合集에 수록되지는 않았 지만, 嶽麓書院藏秦簡(壹)-(肆)

(上海辭書出版社, 2010, 2011, 2013, 2015)에 대해서 잠깐 소개하 기로 하겠다. 嶽麓書院藏秦簡(壹)

5) 湖北省荊州市周梁玉橋遺址博物館,  關沮秦漢墓簡牘(中華書局, 2001).

6) 위의 글, p.157.

7) 湖北省江陵縣文物局ㆍ荊州地區博物 館, 「江陵岳山秦漢墓」 (考古學報

2000-4).

8) 甘肅省文物考古硏究所, 甘肅天水放 馬灘秦簡 (中華書局, 2009).

은 대체로 목독 占書로서의 성격을 갖고 있고, 관리인 자가 갖춰야할 덕목을 기술한 「爲吏治官及黔首」 등 으로 구성되어 있다. 嶽麓書院藏秦 簡(貳)는 算數書, 嶽麓書院藏秦簡 (參)은 재판관계 문서로 張家山漢 墓竹簡의 「奏書」와 유사하며 嶽 麓書院藏秦簡(肆)는 秦의 律令文書 에 해당한다. 嶽麓秦簡에는 기본 적으로 睡虎地秦簡ㆍ二年律令에 나오는 律名과 대부분 일치한다. 그 러나 睡虎地秦簡ㆍ二年律令에서 볼 수 없었던 전혀 새로운 律名도 보이고 있다. 睡虎地秦簡ㆍ二年 律令에 나오는 律名이라 해도 睡 虎地秦簡ㆍ二年律令에서 볼 수 없었던 내용을 포함하고 있어서 睡 虎地秦簡에서 嶽麓秦簡, 嶽麓秦 簡에서 二年律令으로 이어지는 律의 변화를 이해하는데 크게 도움 이 되는 되고 있다.

秦簡牘合集은 기왕에 출판된  湖北雲夢睡虎地十一號墓竹簡(卷壹)

ㆍ四號墓木牘(卷壹)을 비롯하여  湖北龍崗秦簡 (卷貳)ㆍ四川青川郝 家坪秦牘(卷貳)ㆍ湖北荊門周家台 秦簡(卷參)ㆍ湖北江陵岳山秦牘(卷 參)ㆍ甘肅天水放馬灘秦簡(卷肆)을 단순히 재정리한 것이 아니라 일본 의 와세다대학과 미국의 시카고대학 의 도움으로 최신의 적외선촬영 장 비를 도입하여 작업을 한 결과 종전

(6)

보다 훨씬 선명한 도판을 수록하는 데 성공하고 있다. 그 결과 이전의 도판에서는 탈자 혹은 해석할 수 없 었던 것으로 되어 있던 것에 대하여 적외선 촬영을 통하여 수백 개에 달 하는 簡牘文字에 대하여 새로운 해 석이 가능하게 되었다. 또한 종전에 불확실했던 것에 대하여 새로운 해 석이 제출되기도 하였다.

秦簡牘合集에서 새롭게 해석하 거나 글자를 보충하거나 수정한 몇 가지 사례를 들어보기로 하겠다.  郝家坪16號木牘에서는 正面의 ‘章 手’,背面의 ‘凡’ ‘田’ ‘章手’ 等의 文 字를 보충하였고, 혹은 전에 없었던

郝家坪17號木牘의 圖版著錄을 수 록하였다. 放馬灘地圖1B 방향을 표 시하는 글자는 전에는 ‘上’으로 보 고, 이를 ‘上北下南’으로 해석하였는 데, 적외선촬영을 근거로 ‘北方’으로 해석을 바꾸어 방향이 완전히 바뀌 게 되었다. 이처럼 적외선 촬영을 근거로 새롭게 글자를 고치거나 해 석을 달리한 것 이외에 고문헌에 대 한 치밀한 고증을 통하여 새롭게 글 자를 바꾸고 해석을 달리한 것도 적 지 않다. 예를 들어, 睡虎地日書甲種 簡48背壹ㆍ簡25背貳ㆍ簡34背貳ㆍ簡 35背參 등에는 “僞=”가 나오는데,

整理小組는 이를 모두 “僞爲”로 읽 었는데, 秦簡牘合集에서는 先秦秦 漢 시기의 古書에서 흔히 보이는

“某物‘化爲’”라는 기재 방식을 근거 로 이를 “化爲”로 교정하였다. 放馬 灘日書乙種18參下의 “數=”에 대하 여는 이를 “數虛”로 읽기도 하였는 데,秦簡牘合集에서는 “數婁(窶)”

로 석독하여 “數實數婁(窶)”로 해석 하여 睡虎地日書甲種簡116參의 “數 富數虛”語義에 相當하는 것으로 해 석하였다. 또한 睡虎地秦簡ㆍ秦律 雜抄11號簡의 “私吏”는, 秦簡牘合 集에서“私卒”로 수정하였다. 睡虎 地秦簡ㆍ秦律十八種 ‘傳食律’179簡 의 경우, 종전에는 “御史卒人使者, 食粺米半斗, ….”로 읽어서 이를 “御 史의 卒人이 출장을 갈 경우, 매 식 사마다 食粺½斗 ….”로 해석하였는 데, 秦簡牘合集에서는 “御史ㆍ卒 人使者, 食粺米半斗, ….”로 수정하 여 “御史와 卒人이 출장을 갈 경우, 매 식사마다 食粺½斗 ….”로 해석을 달리하였다. 그런데, 여기에 나오는 御史는 里 耶 秦簡과 二年律令을 근거로 御史大夫, 卒人은 郡守를 포 함하여 2천석관에 대응하는 관직으 로 보았다. 睡虎地秦簡ㆍ法律答問

42簡의 경우, 종전에는 “甲告乙盜直 (値)□□, 問乙盜卅,….”로 하였는데, 적외선 촬영과 해석상의 타당성을 근거로 “甲告乙盜直(値)百一十, 問乙 盜卅,….”으로 하여 ‘□□’을 ‘百一十’

으로 보강하였다. 마찬가지로 睡虎 地秦簡ㆍ法律答問 109簡의 “•“葆子

(7)

□□未斷而誣告人, ….”는 “•“葆子有 罪未斷而誣告人, ….”로 보충하였다.

睡虎地秦簡ㆍ法律答問 101簡의

경우 이전에는 “有賊殺傷人衝術, 偕 旁人不援,….”으로 되어 있었는데, 맨앞에 ‘盜’를 추가하여 “盜有賊殺傷 人衝術, 偕旁人不援,….”으로 정정하 였다. 郝 家 坪 16号木牍에 보 이 는

「爲田律」은 「田律」로 교정하였 다. 龍崗秦簡簡1은 “諸叚(假)兩雲 夢池魚(禦)及有到雲夢禁中者, 得取灌

□□⧄”으로 되어 있었는데, 秦簡牘 合集에서는 “諸叚(假)兩雲夢池魚及 有□雲夢禁中者, 得取灌葦茅⧄”로 수 정하였다. 龍崗秦簡簡4에 나오는

“詐僞假人符傳及讓人符傳者,皆與闌 入門同罪.”에 나오는 ‘讓’은 ‘襲’으로 교정하여 “詐僞假人符傳及襲人符傳 者,皆與闌入門同罪.”으로 수정하였 다. 龍崗秦簡簡5의 “關=”에 대하 여는 전에는 이를 重文符號로 보았 는데,秦簡牘合集에서는 周禮·地 官·掌節의 “門關”을 근거로 이를

“門關”로 해석하였다. 龍崗秦簡簡 20의 “⧄□不出者, 以盜入禁”은 “少 不出者, 以盜入禁”로, 龍崗秦簡簡 28의 “諸禁苑耎(壖)者, □去耎(壖)卄 里毋敢每(謀)殺□……⧄”은 “諸禁苑 耎(壖)者, □去耎(壖)卄里, 毋敢毒

【殺魚】, 敢毒殺【魚】□⧄”로 각각 수정하였다. 龍崗秦簡簡86은 “入 其皮□縣道官”은 “入其皮于縣ㆍ道

官”으로 수정하였고, 龍崗秦簡簡 129의 “人及虛租希(稀)程者, 耐城旦 舂; □□□⧄”는 “人及虛租希(稀)程 者, □城旦舂; □□□⧄”로 처리하고

‘耐城旦舂’의 ‘耐’는 ‘刑’일 가능성이 높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 龍崗秦 簡簡139의 “其部□□□□□貲二甲”

은 “其部中□□□□貲二甲”으로 글자 를 보충하였다. 龍崗秦簡簡188의

“盈卄石到十石, 論(?)□□; 不盈

【十】石到一石, ⧄”은 “盈卄石到十 石, 【貲一甲; 不盈十】石到一石,

⧄”로 수정하였다.

秦의 簡牘을 종합하여 정리한 秦簡 牘合集은 秦王朝 硏究에 대한 기초 가 될 것이 틀림없다. 오늘날 張家 山漢墓竹簡[二四七號墓]를 사료로 인용할 때, 학계에서 대부분 彭浩ㆍ 陳偉ㆍ工藤元男 主編, 二年律令與 奏讞書 (上海古籍出版社, 2007)를 참고하듯이, 이제 湖北雲夢睡虎地 十一號墓竹簡 (卷壹)ㆍ四號墓木牘 (卷壹)을 비롯하여 湖北龍崗秦簡 (卷貳)ㆍ四川青川郝家坪秦牘(卷貳)

ㆍ湖北荊門周家台秦簡(卷參)ㆍ

湖北江陵岳山秦牘 (卷參)ㆍ甘肅天 水放馬灘秦簡(卷肆)을 인용할 때는, 陳偉先生이 主編한 秦簡牘合集을 參考하지 않을 수 없게 되었다고 생 각한다. 최근 筆者는 2편의 논문을 발표하였는데,9) 秦簡의 경우, 모 두 秦簡牘合集을 그 根據로 引用

(8)

하였고, 앞으로 발표할 논문도 秦 簡牘合集을 인용할 예정이다.

주제어: 진간, 적외선 촬영, 석독, 교 감, 출토문헌

關鍵詞: 秦簡, 紅外影像, 釋讀, 校勘, 出土文獻

Keywords: Qin Jian, Infrared photography, Interpretation, Collation, Unearthed documents

(원고접수: 2017년 1월 15일, 심사완 료 및 심사결과통보: 2월 16일, 수 정원고접수: 2월 20일, 게재확정: 2 월 25일)

9) 林炳德, 「秦에서 漢으로의 罰金刑과 贖刑의 變化와 그 性格」 (東洋史學 硏究 134, 2016); 林炳德, 「嶽麓 秦簡과 中國古代法制史의 諸問題」

(法史學硏究 54, 2016).

Referensi

Dokumen terkait

編入までの流れ 以下の手順に従い、受験をして頂きます。試験合格の上、所定の手続きをして頂き、編入となります。 ①問い合わせと学校見学 随時見学可能です。ご予約の上、ご来校ください。 受験料 23,000円 必要書類 願書等一式 (本学指定の書式) ・編入学願書 ・国際生履歴データ ・志願理由・自己PR・活動記録書 過去3年間の成績を示すもの

(三) 圖、表均須編號,如需加標題則置於圖之下、表之上;相關說明 文字則置於圖、表之下。 10、 徵引書目 (一)文末所附徵引書目,以「專著」、「期刊(與專書論文)」、「會 議論文集」、「學位論文」之序編排作為標題。各筆資料不加編號, 惟各筆書目須分行,並使用段落「凸排2字元」加以分別。 (二)「專著」中之「傳統文獻」,請於作者前加上時代,以[]標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