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盧 在 軾 (湖西大)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盧 在 軾 (湖西大)"

Copied!
23
0
0

Teks penuh

(1)

A. P. Martin)의 儒敎思想에 대한 認識 *

-天道溯源과 The Lore of Cathay의 內容을 中心으로-

盧 在 軾 (湖西大)

1)

Ⅰ. 머리말

Ⅱ. 마틴의 生涯

Ⅲ. 마틴의 儒敎思想에 대한 認識

1. 조상에 대한 제사의식의 견해 2. 유교윤리관과 공자에 대한 인식

Ⅳ. 맺음말

Ⅰ . 머리말

1860년 “북경조약” 체결 이후 중국 내 기독교 포교의 자유가 허용 됨에 따라 수 많은 개신교, 천주교 선교회와 선교사들이 淸朝에 들어 오게 되었다. 그 중 미국 장로회 소속 선교사였던 윌리엄 알렉산더 파 선스 마틴(W. A. P. Martin, 1827-1916, 중국명: 丁韙良, 이하 마틴 으로 약칭)은 1850년 중국에 처음 발을 들여 놓은 이후 60여년을 중 국에서 생활한 인물이었다.

이처럼 중국에서 오래동안 거주하면서 그는 통역관의 신분으로 “천 진조약”체결에 참가하였고萬國公法등을 비롯한 서양의 사회과학, 자 연과학 서적을 번역하여 소개하였으며 북경 同文館에서 總敎習으로 근

* “이 논문은 2016년도 호서대학교의 재원으로 학술연구비 지원을 받아 수행된 연구임”(2016-0042).

(2)

대 중국의 외국어 교육과 신식 교육제도 확립에 영향을 주었다. 또한

中西見聞錄을 발간하여 서학지식을 소개하였고 중국의 유교사상, 역 사에도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다.

이러한 마틴에 대한 중국 대륙학계의 평가는 1950년대부터 1980년 대 후반까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고 그나마 이루어진 소수의 연구들 도 기본적으로 부정 일면도였다고 볼 수 있다. 1) 이러한 현상은 비단 마틴 개인에 대한 평가뿐 아니라 근대 중국시기 서양 선교사들과 기독 교에 대한 전반적인 평가에서도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2) 1990년대 들어온 이후 근대 중국 서양 선교사들의 활동에 대하여 객관적이고 긍 정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면서 마틴에 관한 연구도 활기를 띄고 변화를

1) 丁則良, 「天津條約訂立前後美國對中國的侵略活動」 (歷史敎學 1951-2)에서 는 마틴이 공개적으로 미국 官員의 자격으로서 중국 침략활동에 앞장섰다고 비판하고 있다. 金家瑞, 義和團運動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57), p.136 에서는 마틴이 의화단 시기 8개국 연합군을 도와서 침략행위에 동참했다고 보 고 있다.

1980년대 들어와서도 마틴에 대한 평가는 크게 변하지 않았다. 1981년 출 판된 顧長聲, 從馬禮遜到司徒雷登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81), p.217에서 는 의화단 시기 북경의 외국 공사관구역이 포위당하였을 때에 마틴이 직접 총 을 들고 의화단을 진압하는데 참여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顧長聲의 이 저작은 수정, 보완되어 2004년 上海書店에서 再版되었는데 再版된 책에서도 여전히 같은 입장을 취하고 있다. 顧長聲의 從馬禮遜到司徒雷登 (上海: 上海書店出 版社, 2004), p.197 참조.

張勁草, 「國際法最早漢文譯者是林則徐」 (法學 1982-2) 에서는 근대 중국 에 최초로 국제법을 소개한 이는 마틴이 아니라 林則徐라 주장하면서 마틴의

萬國公法 번역과 국제법 소개에 대해 소극적인 입장을 취하고 있다.

2) 1950년대부터 1980년대 말 이전까지 중국 대륙학계에서 기독교전파와 선교 사들에 관한 연구는 기본적으로 “종교침략” 혹은 “문화침략”으로 평가되었다.

曺業英 主編, 50年來的中國近代史硏究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1999), p.280.

중국학계와 미국학계의 근대 중국시기 서양 선교사들에 관한 연구성과는 노재식, 「중국 근대 기독교사 연구 동향 -중국대륙, 대만, 홍콩, 미국 학계를 중심으로」, (중국근현대사연구 28, 2005.12)이 있다. 한편 陶飛亞, 基督敎 與中國社會硏究入門 (上海: 復旦大學出版社, 2009)에서는 1950년대 이후부터 최근까지 중국학계의 기독교사 연구상황, 연구주제 및 연구방법론에 대한 전 반적인 설명을 하고 있다.

(3)

보이기 시작했다. 중국대륙 학계의 1990년대부터 최근까지 마틴에 대 한 연구는 크게 두 분야로 나누어진다. 3) 하나는 마틴의 萬國公法

의 번역과 국제법 소개에 관한 연구이고 4) 또 다른 하나는 마틴의 同 文館과 중서문화교류상의 업적에 관한 연구이다. 5)

한편 대만학계에서 마틴에 대한 연구는 상대적으로 일찍 진행되었 다. 이미 1970년대 林治平의 논문을 시작으로6) 몇 몇 학자들에 의해 연구가 진행되었다. 7)

3) 丁韪良에 대한 연구성과의 내용은 傅德元,「丁韪良硏究述評 (1917-2008)」 (

江漢論壇 2008-3), pp.86-96의 내용을 참고하였음.

4) 이와 관련된 연구성과로는 田滔, 「丁韙良與萬国公法」 (社会科學研究

1999-5); 何勤華,「萬国公法與 清末國際法」 (法学研究 2001-5); 高黎平,「中 國近代國際法飜譯第一人-丁韙良」 (延安大學學報 2005-4) 등이 있다.

5) 이와 관련된 연구성과로는 肖朗, 「我國近代比敎育硏究的早期嘗試一論丁韙良的 外國敎育考察及西學考略」 (比较教育研究, 2000); 何大進, 「丁韙良與京師同文 館」 (北方論叢 2005-4); 段琦, 「丁韙良與西學東漸」 (世界宗教硏究

2006-1); 王文兵,「世俗與属靈之間:丁韙良與尙賢堂月報」 (学术研究

2006-3);王立新, 美國傳敎士與晚清中国現代化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2008),pp.148-151 등이 있다.

최근에는 마틴의 저작에 대한 번역서가 연이어 출간되었다. A Cycle of Cathay를 번역한 (美)丁韙良 著, 沈弘等 譯, 花甲憶記 (南寧: 廣西師範大學 出版社, 2004): The Lore of Cathay를 번역한 (美)丁韙良 著, 沈弘 等譯, 漢 學菁華 -中國人的精神世界及其影響力 (北京: 世界圖書出版社, 2010); The Awakening of China를 번역한 (美)丁韙良 著, 沈弘 譯, 中國覺醒 -國家地理, 歷史與砲火硝中的變革 (北京: 世界圖書出版社, 2012) 등이 있다. A Cycle of Cathay 는 마틴이 중국에서 경험했던 각종 사건과 접촉했던 인물들 및 본인 이 직접 느꼈던 생활과 同文館에서의 활동등을 회고식으로 기술하고 있다. 그 리고 The Awakening of China에서는 1902년부터 1907년까지 淸朝가 실시 한 新政개혁에 대해 서술하면서 중국의 잠재적인 변혁의 역량을 서술하고 있 다. 沈弘, 「丁韙良其人其著」 (中華讀書報, 2009年 1月 21日), p.2참조.

한편 王文兵, 丁韙良與中國 (北京: 外語敎學與硏究出版社, 2008)에서는 마 틴의 학술 및 외교활동등을 중서문화 교류의 배경하에 분석, 고찰하고 있다.

6) 林治平,「丁韙良的生平與志事」 (基督敎與中國近代化論集, 臺北: 商務印書館, 1970), pp.121-136.

7) 孫子和, 「淸代同文館之硏究」 (臺北: 嘉新水泥臺公司文化基金會, 1977); 蘇精,

淸季同文館及其師生 (臺北: 世偉印刷有限公社, 1985); 吳素敬, 「丁韙良之硏 究 1827-1916」 (私立東海大學碩士學位論文, 1987) 등이 있다.

(4)

미국학계에서는 랄프 코벨 (Covell, Ralph)이 마틴 연구에 가장 대 표적인 학자라고 하겠다. 그는 1975년 박사논문을 시작으로 마틴의 중국에서 선교활동과 中美관계에서 마틴의 역할과 공헌등에 대한 연구 를 진행하였다. 8)

이상의 연구성과에서 나타나는 현상은 대만과 미국학계에서는 마틴 에 대해서 다소 긍정적인 면을 부각시키고 있다는 점이다. 그리고 중 국대륙 학계에서는 연구의 시야가 다소 좁고 1차 자료에 대한 이용이 부족한 점을 들 수 있다. 9)

국내학계에서 마틴에 대한 연구는萬國公法번역과 마틴의喩道傳

이라는 소설을 중심으로 연구한 논문들이 약간 보인다. 10) 그리고 명

8) Covell, Ralph R, The Life and Thought of W.A.P. Martin: Agent and Interpreter of Sino-American Contact in the Nineteenth and Early Twentieth Century (University of Denver, Ph. D. Dissertation, 1975).

Covell, Ralph R, W. A. P. Martin, Pioneer of Progress in China (Texas: Christian University Press, 1978) 이 책에서는 근대중국 변혁시기 의 시각에서 마틴의 일생을 조명하고 있다. The Legacy of W.A.P. Martin, International Bulletin of missionary Research, 17. Jan 1993; Ralph covell, W.A.P. Martin, William Alexander Parsons (1827-1916), Edited by Gerald H. Anderson, Biographical Dictionary of Christian Missions (New York: Simon &Schuster Macmillan, 1998) 등이 있다.

이 외에도 Peter Duus, “Science and Salvation in China: The Life and Work of W.A.P. Martin (1827-1916)” (Papers on China, Vol.10, 1956), pp.97-127; Peter Duus, American Missionaries in China. Edited and with An Introduction by Kwang-Ching Liu, (Cambridge, Mass.: Harvard University Press, 1966), pp.11-41; Peter Macalister-Smith & Joachim Schwietzke, “Bibliography of the Textbooks and Comprehensive Treatises on Positive International Law of the 19th Century” (Journal of the History of International Law, Vol. 3, No.1, 2001, pp.104-106에서도 마틴의 중국에서의 활동에 대해 소개하고 있다.

9) 傅德元, 「丁韪良硏究述評(1917-2008)」, pp.93-94 참조.

10) 이와 관련된 연구성과로는 윤영도, 「中國 近代 初期 西學 飜譯 硏究: 萬國公 法飜譯 事例를 中心으로」 (연세대학교 박사학위 논문, 2005); 오순방, 「19세기 미국선교사 윌리엄 마틴의 基督敎寓言小說 “喩道傳” 연구」 (중국학연구 50, 2009); 오순방, 「明淸時期基督敎宣士敎의 宗敎寓言故事 敍述 特性 硏究 -마테 오 리치에서 윌리엄 마틴까지」 (중국문학 67, 2011) 등이 있다.

(5)

말청초 시기와 청말 시기 개별적인 선교사들에 관한 연구는 몇 몇 있 지만11) 아직 마틴에 관한 연구성과는 거의 없다고 볼 수 있다.

한편 중국학계에서 마틴에 대해서 아직도 부정적이거나 소극적인 시각을 가지고 평가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어 마틴이 同文館에서 오래동안 總敎習의 역할을 담당하였지만 진정한 의미의 영향력 있는 외교 전문가를 양성하지 못했고 제국주의의 변호자로서 폭력과 강압적 인 수단으로 중국인들의 기독교에 대한 반감을 없애려고 하였던 인물 중의 하나라고 평가하고 있다. 12) 또한 마틴과 동시대에 활동하였던 미국 선교사 존 프라이어(John. Frayer)를 비교하면서 존 프라이어는 중서문화교류상에 큰 공헌을 하였지만 마틴은 정복자적인 태도를 가지 고 중서문화 교류에 임했다고 평가하고 있다. 13) 그리고 마틴이 “천진 조약” 체결에 참가하고 淸朝를 압박하여 조약을 수용하게 했다는 점과

14) 의화단 시기 의화단 진압에 참가하였다는 점을 들어 전형적인 제 국주의의 앞잡이였다고 평가하기도 한다. 15) 그리고 마틴이 제2차 아 편전쟁 시기 미국 사절단의 일원이 되어 통역관으로 일하면서 영국과 프랑스가 일으킨 제2차 아편전쟁에 대해 “이 전쟁은 神의 관점에서 볼 때 중국에게 있어서 필수불가결한 전쟁으로 우선 무력을 사용해야 지 만이 나중에 중국인들을 복음으로 일으켜 세울 수 있다”16)라고 말

11) 최근의 연구성과를 중심으로 살펴보면 노재식, 「제임스레게와 東學西漸」 (

중국사연구 93, 2012.10); 노재식, 「19세기 말 독일 선교사 에르스튼파버의 중국 選官제도와 유교사상에 대한 인식」 (사총 79, 2013.5); 신태갑, 「益世 報의 "宗敎叢談"을 통해 본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활동(1916-1928)」 (중국 사연구 87, 2013.12): 신태갑, 「益世報의 宗敎叢談을 통해 본 뱅상 레브 신 부의 선교활동(1916-1928)」 ( 중국사연구 93, 2014.12); 신태갑, 「書籍을 통해 본 뱅상 레브 신부의 선교활동 -‘益世報’ 에 轉載된 天主敎 書籍을 중심 으로-」 (중국사연구 93, 2015.12)등이 있다.

12) 孫邦華,「簡論丁韙良」 (史林, 1999-4).

13) 孫邦華,「丁韙良與傳蘭雅的比較硏究」 (北京檔案史料, 2000-2).

14) 羅冠宗主編, 前事不忘後事之師 -帝國主義利用基督敎侵略中國史實述評 (北 京: 宗敎文化出版社, 2003), pp.51-52.

15) 위의 책, pp.119-120.

16) W.A.P. Martin, Two American Embassies, vol 1, p.111. 顧長聲, 從馬禮

(6)

한 부분을 근거로 서양 열강의 중국침략을 정당화하였다고 비판하고 있다. 17)

반면 마틴의 同文館에서의 활동과 서학전파의 공헌을 인정하면서 그에 대한 객관적인 평가를 하기도 한다. 18) 최근 마틴의 영문저작 중 세 권을 주관하여 번역 출판한 沈弘은 마틴은 역사적 배경이 복잡했던 시기에 활동했던 인물로서 前後 역사적인 상황을 보고서 마틴을 평가 해야 한다고 옹호하고 있다. 19)

역사적 인물과 사건을 평가할 때 어느 한 면만 보고서 전체를 평가 하는 것은 다소 무리라고 생각된다. 마틴에 대한 보다 전면적이고 객 관적인 평가는 차후 과제로 남겨두고 본문에서는 먼저 마틴의 생애를 대략적으로 정리한 후 그동안 충분히 이용되지 못했던 그의 두 저작을 통해 나타난 마틴의 유교사상에 대한 인식을 중심으로 살펴보고자 한 다. 20) 이 두 저작은 시간적인 차이가 있는데 이러한 시간적 차이속에

遜到司徒雷登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2005), p.187에서 재인용.

17) 馬曼,「丁韙良歷史評價中的多重身分視角」,(湖北社會科學,2014-4期),p.108.

18) 段琦,「丁韙良與西學東漸」,(世界宗教研究, 2006-1),p.114.

19) 沈弘,「丁韙良其人其著」,(中華讀書報, 2009年 1月 21日).

20) 본고에서 주로 인용한 자료는 두 가지인데 하나는 앞에서 소개한 마틴의 저 작 W.A.P.Martin,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New York: Fleming H. Revell Company, 1901, reprinted by Cheng-Wen Publishing Company, Taipei, 1971. 이하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로 약칭) 이다. 이 책의 번역본인 (美)丁韙良 著, 沈弘 等譯,

漢學菁華-中國人的精神世界及其影響力도 같이 대조하며 참고하였다. 마틴은 이 책의 서문에서 본인이 중국에 거주하면서 교류한 중국의 문인들, 학자들을 관찰하여 얻은 중국인들의 정신생활과 학식에 대한 내용을 반영하고 있다고 밝히고 있다. 또한 중국의 科擧제도, 國子監, 翰林院 및 京師대학당 등에 대한 관찰과 분석을 담고 있다. 그리고 서양의 독자들이 중국의 역사와 중국인들의 생활 기초원칙인 중국사상을 이해시키기 위함이라고 저술의 목적을 밝히고 있 다.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p.1-2.

또 하나의 저작은 마틴이 중국 선교 초기에 저술한 天道溯原이다. 이 책 은 1854년 寧波에서 처음 출판된 이후 여러 번 再版되었다. 이 책은 마틴이 기독교 교리와 중국 유교사상을 접목시켜서 중국인들이 보다 쉽게 기독교를 받아들이게 하기 위해 저술한 저작이라 할 수 있다. 이 책은 후에 여러 차례 再版되고 광범하게 전해져서 조선과 일본에도 번역되어 전해졌다. 본 연구에

(7)

마틴의 유교사상의 인식에 어떠한 변화가 있었는지도 고찰해보고자 한 다.

Ⅱ. 마틴의 生涯

마틴은 1827년 미국 인디아나주에서 태어났다. 어려서부터 농후한 종교적 분위기에서 성장하였고 그 영향으로 중국 선교에의 꿈을 가지 게 되었다. 그의 부친은 목사였는데 당시 아시아에서 선교활동을 하던 두 명의 선교사 William Alexander와 Parson Martin의 이름을 따서 그의 이름을 지었고 마틴이 장래에 목사 혹은 선교사가 되기를 희망하 였다. 그가 어렸을 적에 그의 큰 누나와 매형이 아프리카에 선교사로 갔고 그곳에서의 경험을 편지나 미국에 귀국하였을 적에 얘기해 주었 는데 그러한 경험담들이 마틴에게 선교에 대한 잠재적인 영향을 주었 다고 할 수 있다. 19세에 장로회 소속 뉴 알바니 신학원(Presbyterian Theological Serninary at New Albany)에 입학하였다. 그는 신학외 에도 수학, 화학, 천문 등 자연과학 지식도 광범하게 습득하였다. 졸업 후 1850년, 미국 장로회의 파견을 받아 홍콩에 도착하여 60여년의 중 국 생활을 시작하였다. 寧波로 옮겨 처음 선교생활을 시작하였는데 중 국 官方語와 寧波 방언을 익혔고 四書五經등 중국 경전을 연구하였다.

寧波에서 활동하던 1854년에 그는 중국어로天道溯原이라는 책을 출 판하였다. 21) 그 후 上海, 武昌등을 거쳐서 북경으로 옮기게 되었다.

서는 光緖 16年 (1890년) 版本을 이용하였다. 丁韙良, 天道溯原 ,(福州美華 書局活版, 1890. 이하 天道溯原으로 약칭)

또한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7-20, 1890 (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91)인데 이 자료는 1890년 상해에서 개최된 제2차 在中선교사회의 집으로서 당시 마틴을 비롯한 서양 선교사들의 중국 제사의식에 대한 논쟁의 내용을 담고 있다.

21) 天道溯源은 上卷7章, 中卷7章, 下卷10章 총 24章으로 구성되어 있다.

(8)

그는 잠시 휴식을 취하러 미국으로 귀국한 것을 제외하고는 중국에서 60여 년 동안 거주하였다. 이 기간동안 선교활동 이외에 외국어 전문 교육기관인 북경 同文館에서 영어를 가르쳤고 中西見聞錄을 발간하 여 서양의 자연과학 서적들을 중국어로 번역하여 근대 중국 지식인들 의 계몽에 도움을 주었다. 그의 가장 큰 업적중의 하나는 당시 국제적 으로 영향력이 있었던 국제법 서적인 헨리. 휘튼(Henry. Wheaton)의 저작인 Elements of International Law라는 서적을 萬國公法이라는 제목으로 번역하여 출판한 것이다. 22) 그 후에도 그는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받아서 몇 권의 국제법 서적을 번역하여 출판하였다. 23) 그가 번역 간행한 萬國公法과 여러 국제법 저작은 중국은 물론 일본과 한 국의 헌법과 법률 제정과 발전의 첫 걸음을 띠게 하였다. 24) 그는 또 한 漢學에 관심을 가져서 일찍이 미국의 東方學會에 가입하였고 1885 년 北京東方學會(Pecking Oriental Society)를 만들어 초대 회장을 역 임하였다. 그리고 마틴은 중국 역사에도 관심을 가져서 Discourse on the Study of Chinese History (1886년), History of China Viewed from the Great Wall (1894년), The Awakening of China (1907년) 등의 저작등을 저술하였다. 25)

同文館은 마틴의 일생중에서 매우 중요한 의의를 가지고 있다.

마틴이 西學을 중국에 소개한 시기가 同文館에서 일한 30년

22) 이 책은 근대중국의 법률 용어의 확립과 국제법 지식에 기초를 다져 놓은 저작으로 평가된다. 또한 이 책은 출판 후 淸朝뿐 아니라 그 다음해에 일본으 로 전해질 만큼 적지 않은 영향을 끼쳤다고 할 수 있다. 顧長聲, 從馬禮遜到 司徒雷登, (上海: 上海書店出版社, 2004), p.191.

23) 모두 다섯권의 국제법 서적을 번역 출판하였는데 그 목록은 顧長聲, 從馬禮 遜到司徒雷登, p.192 참조.

24) 오순방,「19세기 미국선교사 윌리엄 마틴의 基督敎寓言小說 “喩道傳” 연구」, p.585.

25) 마틴의 중국역사 연구에 대한 내용은 (美)丁韙良 著, 沈弘 等譯, 漢學菁華 -中國人的精神世界及其影響力, pp.259-323에 소개되어 있다. 그리고 王文兵,

「重建與解釋 -丁韙良的中國歷史硏究述評」 (學術硏究 2009-4)에서는 마틴의 역사연구에 대한 기존의 연구성과들을 정리, 소개하고 있다.

(9)

(1865-1894)이고 특히 同文館의 總敎習으로 있었던 25년 (1869-1894년) 이라 할 수 있다.

同文館은 1862년 淸朝가 외국어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북 경에 설립한 기관이다.처음에는 영어반을 개설하였고 후에 독일어, 프 랑스어, 러시아어반을 개설하였다. 1869년, 마틴이 同文館의 總敎習으 로 부임된 이후 同文館의 모든 敎務행정등을 담당하게 되었다. 26) 同 文館이 창립될 당시에는 “러시아의 제도를 따라서 운영한다”27)라는 방침이었다. 그러나 마틴이 부임한 이후 서양 학제에 따라 대대적인 개편을 진행하였다. 기존의 4개반 이외에 수학, 물리, 천문, 화학, 항해 학, 정치학, 세계역사, 세계지리, 譯書등의 과목을 개설하였다. 28) 또 한 그는 敎學의 질량을 높이기 위해 엄격한 유급제도를 실시했다. 29)

한편 마틴은 과거제도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취하였다. 그는 과거 제도는 중국을 통일되고 문명을 유지시키는 주요한 제도라고 말하면서 평등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보았다. 또한 미국, 영국, 프랑스등 서

26) 마틴이 처음 동문관의 총교습의 직책을 제안받고 얼마동안 종사한 후에 사 직을 하려고 하였다. 하지만 주의사람들의 권유와 본인이 다시 생각을 하여서 최종적으로 동문관에 남아있기로 결정하였다. 또한 동문관에 남기로 한 주요 원인은 경제적인 이유와 청조 관원들과의 교류가 용이한 점을 들 수 있다. 그 리고 동문관에서 학생들을 가르치는 것이 북경의 교회에서 일하는 것보다 훨 씬 역량이 크다고 생각하였다. Covell, Ralph R, W. A. P. Martin, Pioneer of Progress in China, p.166, 顧長聲, 從馬禮遜到司徒雷登, p.194에서 재인 용.

27) 籌辦夷務始末 卷8 (北京: 中華書局, 1979), pp.31-35.

28) 마틴은 同文館의 교과과정을 5년제와 8년제 두 개의 과정으로 나누어서 운 영하였다. 마틴의 노력하에 同文館은 청말 주요한 번역관과 외교관들을 배출 하였다. 양무파의 중요한 관원이었던 戶部尙書였던 董恂, 刑部尙書 譚廷囊등이 동문관의 졸업생들이었다. 從馬禮遜到司徒雷登, p.194 참조.

29) 마틴의 동문관에서 보여준 업적은 차츰 청조 관원들의 신임을 받게 되었다.

1898년, 李鴻章의 추천으로 마틴은 光緖황제에게 二品의 관직을 받게 되었고 京師大學堂의 초대 總敎習으로 임명되었다. 마틴은 동문관의 경험을 바탕으로 京師大學堂도 운영을 하려 하였다. 하지만 곧 이은 戊戌政變과 의화단 사건으 로 그의 계획은 이루어지지 못했다. 段琦, 「丁韪良与西学东渐」 (世界宗教研究

2006-1), p.112.

(10)

양 국가들의 文官시험제도는 중화제국의 경험을 참고해야 한다고 말하 고 있다. 30) 동시에 과거제도의 폐단 또한 인식하였는데 특별히 文은 중시하고 理는 경시하여서 중국 관원들이 과학적 소질이 부족하게 되 었다고 지적하고 있다. 그리하여 중국의 관원들이 “문학방면에서는 成 人이지만 과학방면에서는 여전히 어린아이다”라고 지적하고 있다. 31) 변법운동 시기인 1897년 6월에尙賢堂月報를 발간하여 “新學”을 전 파하였다. 32)

1900년대에 들어와서 고령의 나이에도 불구하고 여러 활동을 하였 던 마틴은 1916년 12월, 향년 89세의 나이로 북경에서 폐렴으로 긴 중국에서의 생활을 마감하게 되었다. 그의 장례식에는 당시 중화민국 의 대통령인 黎元洪도 비서를 보냈고 駐中 미국 使館에서도 직원들을 보내 조의를 표명하였다. 북경 서쪽에 있는 외국인 묘지에 안치되었 다. 33)

Ⅲ. 마틴의 儒敎思想에 대한 認識

19세기 말 서양 선교사들이 중국에 도착하여 생활을 하면서 바로 유교사상과 직면하게 되었다. 그들은 본인들이 가장 가치가 있다고 생

30) (美)丁韙良 著, 沈弘 等譯, 花甲憶記, p.21. 한편 劉海峰, 「科擧制對西方考 試制度影響新探」 (中國社會科學 2001-5)에서는 마틴은 중국의 과거시험 제 도가 서양에 영향을 주었다고 주장했던 대표적인 서양인이었다고 말하고 있 다.

31) (美)丁韙良 著, 沈弘 等譯, 花甲憶記, p.202.

32) 尙賢堂月報는 1870년대 마틴이 창간한 中西見聞錄을 이은 기간물이라 하겠다. 1897년 新學月報로 명칭이 변경되었다. 마틴과 尙賢堂月報에 대 한 내용은 王文兵, 「世俗與属靈之間: 丁韙良與尙賢堂月報」 (學術硏究 2006 -3), pp.103-108 참조.

33) 초보적인 통계에 의하면 마틴은 중국에 거주하는 동안 중문저작 42권, 영문 저작 8권, 신문과 잡지등에 153편의 문장을 발표하였다. 沈弘, 「丁韙良其人其 著」 (中華讀書報 2009年 1月 21日) 참조.

(11)

각한 서양 문명을 매개체로 하여 기독교를 전하려고 하였지만 당시 중 국인들은 異國땅에서 온 낯선 종교에 큰 관심을 보이지 않았다. 마치 서양인들에게 기독교사상이 중요한 것처럼 중국인들에게는 유교사상이 중요한 영향을 주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그리하여 중국에서 기독교 전 파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선교사들은 유교사상과 접촉을 하고 그 에 대한 대응을 해야만 하였다. 마틴은 당시 청말 중국 사회에서 유교 가 도교나 불교보다 훨씬 더 큰 영향력을 차지하고있고 유교경전은 중 국의 가장 중요한 경전임을 인식하였다. 34) 그리하여 마틴은 중국인들 을 효과적으로 기독교로 歸依시키기 위해서는 유교와 타협적인 부분도 필요하다고 보았다. 이러한 사상적 기초하에 그는 유교에 대한 연구를 하였고 기독교와 유교의 관계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제시하였다. 여기 에서는 마틴의 조상에 대한 제사의식의 견해, 유교윤리와 공자에 대한 인식으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1. 조상에 대한 제사의식의 견해

神本主義와 人本主義, 來世 중시와 現世의 중시는 기독교와 유교의 가장 큰 차이점이면서 선교사들 사이의 논쟁점 가운데 하나였다. 또한 선교사들이 내세운 “기독교로서 유학을 보충한다”라는 補儒정책의 지 적배경이기도 하였다.

마틴은 중국인들이 “고대 유교경전에서 上帝에 대한 관념을 분명히 명시하고 상제의 존재에 대해서 어떠한 의구심도 가지지 않았다”라고 말하고 있다. 하지만 훗날 상제의 권능이 轉移되면서 우상숭배 현상이 생겨났다고 보고 있다. 35)

34)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41.

35)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168.

한편 19세기 말 독일 선교사 파울 크란츠(Paul Kranz, 중국명: 安保羅)도 救世敎成全儒敎說」라는 문장에서 유교에서는 일찍이 상제를 알고 있고 상제의 명령을 알고 있다고 말하고 있다. 그는 四書를 고증한 결과 많은 부분에서 상 제와 관련된 기록이 나와 있고 이는 중국인들이 예로부터 상제에 대한 경외심

(12)

또한 기독교에서는 오직 유일 神만을 섬기는 것에 반해 유교에서는 여러 神들을 섬기는 우상 숭배 현상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유 교의 우상숭배와 기독교 신앙은 서로 융합할 수 없는 부분이라고 주장 하였다. 오직 기독교 신앙만이 이러한 우상숭배를 제거할 수 있고 중 국인들을 우상숭배와 假神들에게서 해방시킬 수 있다고 보고 있다. 36)

1860년 “북경조약” 체결이후 중국 내륙 선교가 합법화되면서 서양 선교사들과 중국 민중들간의 접촉은 많아지고 중국 신도들도 차츰 늘 어나게 되었다. 이 과정 중 중국신도들의 제사의식을 허용 하느냐의 여부는 선교사들이 해결해야 할 중요한 과제 중 하나였다. 일부 선교 사들은 중국인의 제사의식은 부모와 조상에 대한 孝와 존경의 행위이 지 우상숭배와는 무관하다고 여기었다. 그리고 일단 중국인들의 제사 의식을 허용하게 되면 중국에서 선교의 장애가 크게 제거될 것이라고 생각하였다. 하지만 대다수의 선교사들은 제사의식은 명백한 우상행위 로서 중국인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이는데 큰 장애가 된다고 여기었 다.37)

晩淸 시기 대부분의 서양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의 부모에 대한 孝敬 사상은 긍정적으로 인식하였다. 기독교의 십계명에서도 부모에 대한 효도를 강조하였기 때문에 기독교 교리와 부합된다고 생각하였다. 하 지만 제사는 조상에 대한 숭배로서 우상숭배에 해당된다고 비판을 하 였다. 왜냐하면 기독교에서 사람이 숭배해야 할 대상은 오직 여호와 하나님이고 그 외에 어떠한 것도 숭배의 대상이 될 수 없기 때문이라 는 것이다.

이러한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대해 우선 마틴은 조상에 대한 숭배 의식은 중국인들의 혈연관계를 강화하는 연결고리라고 지적하였다. 제

과 숭배하는 마음이 있었음을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하고 있다. (德)安保羅,

「救世敎成全儒敎說」 (李天綱 主編, 萬國公報文選, 北京: 三聯書店, 1998), p.146.

36)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169.

37) 王立新, 美国傳敎士與晚清中国現代化, p.28.

(13)

사의 도덕적 영향은 중국의 어떠한 사회체계보다도 더 중요하다고 보 고 있다. 38) 또한 마틴은 당시 중국인들은 자신들이 조상들의 보호하 에 살아가고 있다고 여길만큼 조상들에 대한 의존과 존경의 마음이 크 다는 것을 지적하고 있다. 39)

그는 중국인들의 조상숭배 기원, 발전, 표현방식 등을 고찰하였는데 특히 제사의식 중 종교적 행위에 관심을 가졌다. 그는 다음과 같이 말 하고 있다.

현재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있어서 古代 공자시대의 神聖성을 잃어버 리지 않았다. 하지만 내용적으로 가족의 평안과 개인의 祈福을 구하는 관 념이 생겨나게 되었다. 40)

즉 당시 중국의 제사의식은 일종의 종교가 되었다고 보고 있다. 이 러한 인식하에 청말시기 다른 서양 선교사들과 마찬가지로 마틴도 중 국신도들의 제사의식을 어떻게 처리해야 할지에 대해 난관에 직면하게 되었다. 마틴은 제사의식 중 종교적 요소를 제거하고 보아야 한다고 주장하였다.

제사의식에서 우상숭배 요소는 단지 일종의 음식에 불과하고 전체적인 본질은 아니다...매년 가족묘지에 방문하여 조상들을 존경하는 행위를 굳이 반대할 이유가 있겠는가? 이러한 행위를 통해 자녀들은 살아있는 부모에 대해 존중의 마음을 가지게 된다. 41)

즉 제사의 좋은 정신은 계승할 필요가 있음을 느끼면서 “제사의식 중 祈福적인 종교적 내용을 제거한다면 공자시대의 제사정신으로 회복 할 수 있을 것이고 이것은 단지 조상을 기념하는 의식일 뿐이다” 라고 말하고 있다.42)

38)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76.

39)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77.

40)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70.

41)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77.

42)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77.

(14)

1877년과 1890년 上海에서 개최된 제1, 2차 在中國 선교사 회의 에서 중국신도들의 제사문제는 선교사들 간의 가장 큰 쟁론 중의 하나 였다. 특히 제2차 회의에서 마틴은 제사 의식에 대해서 찬성하는 대표 적인 인물이었다. 그는 비록 회의에 참석하지 못하였지만 타인을 시켜 서 “The Worship of Ancestors A Plea for Toleration”이라는 그의 문장을 代讀하게 하였다. 이 글에서 마틴은 제사의식 중에 약간의 우 상숭배와 미신적인 요소가 있음을 인정하고 있지만 제사의식은 중국사 회에서 큰 장점을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제사의 근본정신은 인성의 기본적인 원칙에 근거한다고 주장하면서 제사의식을 통해서 중국의 자 녀들이 부모를 존중하게 되고 중국의 가정제도가 유지되고 있다고 하 였다. 제사의식은 중국인의 가정과 가족 구성원들을 결합시키는 중요 한 기능을 가지고 있으므로 선교사들은 제사의식을 변형시켜서 기독교 신앙과 접목시켜야 한다고 건의하였다. 43)

또한 마틴은 이 문장에서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은 “拜(Posture)”,

“敬(Invocation)”, “祭(Offering)” 세 가지 방면으로 나누어 살펴 보아 야 한다고 하면서 각각에 대해 설명하였다, 먼저 “拜”는 당시 일반 중 국인들이 평소에 무릎을 꿇는 행위와 유사한 것이고 윗 사람과 부모에 대한 존중의 표현일 뿐이라고 말하고 있다. 다음으로 “敬”의 측면에서 는 만약에 제사의식 중 祈福적인 요소가 있다면 이는 우상숭배의 행위 라고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심리는 중국인들의 제사의식 중 그다지 보 편적이지 않다고 보고 있다. 마지막으로 “祭”의 측면에서는 제사의 대 상이 누구인가를 보아야지 제사의 물품으로써 우상숭배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판단해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였다. 서양에서 백합꽃으로 헌화 하는 것 같이 중국에서는 고기와 음식물을 사용하는 것은 같은 의미라 고 보고 있다. 제사와 우상숭배를 동일시하는 것은 불공평한 일이라고 하면서 선교사들이 강경한 입장을 취한다면 중국인들의 강한 반감을

43)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7-20, 1890 (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91), p.623.

(15)

야기시킬 것이라고 보고 있다. 기독교에서 반대하는 것은 단지 우상숭 배의 행위이지 제사의 기본정신은 아니라는 것을 중국인들이 알게 해 야 된다고 주장하고 있다. 그러면서 마틴은 선교사들은 중국인들의 풍 속과 습관에 간여해서는 안 되고 기독교의 신성한 진리가 중국인들의 심중에 들어가기를 기다린 후 자연적으로 변화가 생기도록 기대해야 한다고 건의하고 있다. 44)

마틴의 이러한 주장은 선교사들 사이의 열띤 쟁론을 불러 일으켰다.

대부분의 선교사들은 마틴의 의견에 반대 입장을 보였고 그의 의견을 지지하는 이들은 극소수였다. 이러한 치열한 쟁론은 결국 제사의식을 반대하는 선교사들의 승리로 종결이 되었다. 45)

중국 전통 사회에서 부모와 조상에 대한 제사 의식은 단순한 조상 을 기리는 정신이외에도 자손들로 하여금 언행을 점검하고 품행을 더 욱 신중하게 하는 교육적인 기능이 있었다. 이러한 제사의식의 기능은 다른 활동보다 민중들의 공감과 호응을 얻어서 중국 사회에서 오랫동 안 지속될 수 있었다. 46) 하지만 이러한 기능들을 19세기 말 중국 내 대다수의 선교사들은 제대로 인식을 하지 못하였다. 그들은 중국인들 의 효도의 정신을 분석할 적에 종종 서양의 정치, 민주, 평등, 진보의 개념으로 판단하였다. 그러므로 효도정신은 중국사회의 진보를 저해하 고 보수적이게 만들었다고 여기게 되었다. 47) 반면 마틴은 제사의식에

44)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7-20, 1890, pp.626-627. 이상의 내용은 노재식, 「淸末 서양 改新敎 선교사들의 中國祭祀儀式에 대한 태도」 (중국사연구 52, 2008.2), pp.143-144 참조.

45) 1890년 2차 선교사 회의에서 제사의식에 관한 토론의 결론내용은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7-20, 1890, pp.699-702 참조.

청말 선교사들의 제사의식에 대한 내용은 노재식, 「淸末 서양 改新敎 선교사 들의 中國祭祀儀式에 대한 태도」, pp.135-153: 邢福增, 中國祭祖問題 (香港:

宣道出版社, 1997), pp.11-20 참조.

46) 王林, 西學與變法 -萬國公報硏究, p.202.

47) 王毅, 「再論19世紀晩期來華傳敎士的儒學觀」 (宗敎學硏究 2015-1), pp.230 -231.

(16)

대해서 융통성을 가지고 긍정적 부분을 강조하며 제사의 사회적 기능 을 인정하려고 노력하였다고 볼 수 있다.

2. 유교윤리관과 공자에 대한 인식

마틴은 맹자의 “性善說”을 논하면서 당시 중국인들의 人性에 대한 경향은 性善說에 가깝다고 보고 있다. 48)

마틴은 맹자의 성선설 뿐만 아니라 告子의 性無善惡論, 荀子의 善惡 論도 열거하면서 이러한 인성론은 단지 이론상의 구분일 뿐 중국인들 이 기독교를 받아들이는 데에는 큰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보고 있 다.49)

그는 유교의 성선설과 기독교 교리를 연결시켜 다음과 같이 설명하 고 있다.

인간의 성품은 본래 善하였는데 차츰 惡하게 변하였다. 그리하여 인간 은 善과 惡을 동시에 겸비하게 되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런 상황을 해 결해야 하는가? 그 방법은 是非之心을 갖는 것이다.... 선한 것을 좋아하 고 악한 것을 싫어하는 것이 是非의 마음이다.50)

천하의 인간은 스스로 선함을 회복할 수 없게 되었다... 후에 악한 靈의 유혹을 받아 天父의 뜻을 거역하고 점점 하늘의 뜻과 멀어지게 되 었다.51)

인간의 악해진 성품은 스스로 선해질 수 없고 점점 더 악해졌다는 것이다. 기독교는 바로 인간의 이러한 악해진 성품을 회복하고 “是非 之心”을 배양하기 위해 출현한 것이라 하면서 기독교 교리와 유교의 성선설을 결합시키려 하고 있다. 그 목적은 중국인들이 더 쉽게 기독 교를 신봉하여 是非의 마음을 수행하기 위함이라고 할 수 있다.

48) 天道溯原 下卷, p.54.

49) 天道溯原 下卷, p.55.

50) 天道溯原 下卷, p.55.

51) 天道溯原 下卷, p.56.

(17)

한편 마틴은 유교의 “五倫”은 중국사회를 구성하는 큰 틀이라고 여 기고 仁愛와 謙遜은 유교의 주요한 미덕이라고 여기고 있다. 하지만

“五倫”은 靈的측면이나 내세를 忽視하고 있다고 보고 있다. 즉 유교의

“五倫”은 비록 도덕적이기는 하지만 기독교 이론과 비교하였을 적에 부족한 부분이 많다고 지적하고 있다. 52)

동시에 유교의 도덕적 가르침에 대해서 비교적 높이 평각하고 있지 만 유교에서 自省의 방법을 통해서 도덕적 完善의 방법에 도달한다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다. 즉 인간은 스스로 선해질 수 없고 절대자의 도움을 받아야지 만이 善함을 회복할 수 있다고 말하고 있 다. 53)

마틴은 유교의 창시자 공자의 영향력에 대해 높이 평가하고 있다.

중국에서 불교와 도교는 이미 회복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이게 되었다.

하지만 공자의 영향력은 그의 무덤주변에 우거진 소나무와 같이 활력이 넘치고 있다. 이미 2300여년이 지났지만 중국의 매 지역마다 공자의 사 당이 있고 모든 학당에는 공자의 초상화가 걸려 있다. 그는 지식인들의 지혜의 원천으로 존경을 받고 있다. 54)

동시에 공자의 문화적 공헌과 창조적 정신을 높이 평가하였다. 그러 면서 공자가 중화문명의 형식을 고정시키는데 다른 어떤 이들보다도 공헌이 컸다고 말하고 있다. 55) 또한 그의 인격에 대해서도 높이 평 가하고 당시 중국사회에서 큰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고 인식하고 있 다. 마틴은 공자에 대해 아래와 같이 해석하고 있다.

공자는 보통의 敎師가 아니고 중화민족의 도덕가이다. 그의 가르침은 여전히 사회질서를 유지하는데 영향을 끼치고 있다. 56)

52) 天道溯原 下卷, p.56.

53) 天道溯原 下卷, p.57.

54)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171.

55)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170.

56)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42.

(18)

하지만 이처럼 공자가 비록 선도적인 역할을 하고 영향력이 있었다 고 하더라도 결국은 神이 아니기 때문에 결점을 가지고 있는 인간에 불과하다고 보고 있다.

공자는 단지 3000여명 학생들의 스승이면서 고대문헌의 교훈들을 정 리하여 편찬한 인물 중 한 명에 불과하다. 57)

공자의 가장 큰 결점중의 하나는 來世를 중시하지 않고 現世만 중 시하였다는 것이다.

공자는 그의 가르침을 주로 현실생활에 한정시켰고 영혼관념, 상제관 념, 來世관념에 대해서는 부정을 하든가 論하지 않았다. 그리하여 후세 중국사상을 깊은 無神論 사상에 빠지게 하였다. 58)

동시에 공자의 이러한 사상은 중국인들이 자연계의 여러 형상들을 숭배하는 풍속을 낳았다고 보고 있다.

공자의 현실중심사상은 중국인들이 현실세계에 큰 의미를 부여하게 되 었다. 그리하여 중국인들은 자연계의 형상들을 숭배하고 있다. 有形化된 우주이외에 태양, 달, 별, 山岳, 河流 등에게 인격을 부여한다. 59)

그러면서 그는 결론적으로 공자도 유교가 결점을 가지고 있다는 점 을 인정하였다고 하면서 중국인들을 인도할 다른 聖人을 기대하였다고 말하고 있다. 그리고 그 聖人이 꼭 중국에만 있는 것이 아니라고 하면 서 기독교의 예수를 연계시키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면서 중국인 들이 기독교를 받아들이는데 방해되는 요소는 없다고 말하고 있다. 60) 마틴의 유교사상에 대한 인식과 평가는 긍정과 부정적인 태도를 모

57)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42.

58)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p.243-244. 마틴은 공 자의 “敬鬼神而遠之”, “不知生, 焉知事”, “未能事人, 焉能事鬼”등의 말을 근거 로 공자의 현실중심적인 사고를 비판하였다.

59)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44.

60)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p.262.

(19)

두 취하였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유교사상이 중화문명의 근간을 이루 고 사회질서를 유지하며 국가의 제도를 건립하는 데에 큰 영향을 끼친 것에 대해 긍정적으로 평가하였다. 하지만 동시에 현세를 중시하고 내 세를 부정하는 유교 사상에 대해서 비판하고 있다. 그러면서 유교는 종교가 아니라 일종의 철학이라 하면서 공자는 시종 초자연적인 문제 에 대해서 언급을 회피하였고 결국은 유교는 무신론 사상이라 말하고 있다.61)

그리고 마틴의 유교에 대한 인식에서 편견과 誤解의 부분이 불가피 하게 생겨났다고 볼 수 있다. 그는 중국인들의 제사의식에 대해서 비 교적 포용적이고 관용적인 입장을 취하였다. 유교에서 숭배의 대상은 하늘(祭天), 공자(尊孔), 조상(祭祖) 이렇게 세 가지라고 볼 수 있다.

자연계의 형상들을 숭배하는 사상은 일반 민중들 사이에서 행해지는 민간신앙의 풍속이라 하겠다. 그런데 마틴은 이러한 자연계의 숭배사 상을 유교사상과 혼돈하여 인식하였다고 볼 수 있다. 또한 마틴은 유 교사상에 대한 인식에서 다소 비약적이고 비현실적인 의견을 제시하기 도 하였다. 공자의 현실중심 사상이 후세 중국인들의 자연계 숭배사상 을 야기시켰다라는 점이나 공자도 중국인들을 인도할 다른 聖人을 기 대하였다는 점들이 대표적인 것이라 하겠다.

Ⅳ. 결론

19세기 말 중국에 온 개신교 선교사들은 중국에서 외교관, 漢學者, 교육자, 번역가등 다양한 신분으로 선교의 사명을 담당하였다. 미국 선교사 마틴도 이러한 인물중의 한 명이었다. 마틴은 同文館에서 1869년부터 1894년까지 학생들을 가르치면서 외국어 뿐만 아니라 서 양의 자연과학 지식을 전파하였고 서양의 교육제도 또한 소개하였다.

61)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pp.259-260.

(20)

그리고 萬國公法등 사회과학 저작을 번역 소개하였다. 이처럼 마틴 은 60여년동안 중국에 거주하면서 서양 학문을 중국에 소개하는 동서 문화 교류의 교두보적인 역할을 담당하였다.

동시에 마틴은 중국 유교사상에 깊은 관심을 가지고 연구를 하였고 기독교와 유교를 접목시키고자 노력하였다. 본문에서는天道溯原과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이라는 두 가지 저작 에 나타난 그의 유교사상을 살펴보았다. 이 두 저작은 시간적 차이가 나지만 유교사상에 대한 인식에는 그다지 큰 변화가 없게 나타나고 있 다. 즉 마틴은 비록 유교의 윤리성과 공자의 도덕적 가치를 인정하기 는 하였지만 기독교 교리의 척도를 가지고 유교사상을 인식하고 평가 하였다. 그로 얻은 결론은 “기독교 사상이 유교사상보다 우월하다는 것”과 동시대의 다른 선교사들이 인식한 것과 마찬가지로 “중국인들을 만족시키고 바르게 인도할 종교는 기독교 하나밖에 없다”라는 것이었 다.

上帝의 뜻에 따라 異敎徒들에게 기독교를 전하는 것은 마틴을 비롯 한 청말 중국에 온 선교사들의 궁극적인 사명이었다. 마틴이 중국에서 행한 여러 가지 서학 전파의 업적들은 객관적으로 근대 중국사회에 신 식 교육제도, 자연과학 지식, 사회과학 지식 등을 전파하는데 공헌을 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서학전파의 궁극적인 목적도 서학으로서 기독 교를 간접적으로 전파하고 중국인들을 기독교에 귀의시키고자 하는 중 화귀주(中華歸主)에 있었다고 할 수 있다. 유교에 대한 인식과 연구도 이러한 범주안에서 이해해야 할 것이다. 漢學者 선교사로서 마틴의 유 교사상에 대한 인식은 어느 정도의 편견을 벗어나기 힘들었다고 볼 수 있다. 하지만 그의 유교사상에 대한 연구와 관심 및 업적 등은 앞으로 더욱 고려하고 연구해야 될 과제라고 생각된다.

(21)

<參考文獻目錄>

1. 사료, 자료집

丁韙良, 天道溯原 (福州美華書局活版, 光緖 16年, 1890)

籌辦夷務始末 卷8 (北京: 中華書局, 1979)

Records of the General Conference of the Missionaries of China at Shanghai, May 7-20, 1890 (Shanghai: American Presbyterian Mission Press, 1891)

2. 연구서

박한제 외, 아틀라스 중국사 (파주: 사계절, 2007)

顧衛民, 基督敎與近代中國社會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1996) 錢鐘書, 萬國公報文選 (北京: 三聯書店, 1998)

羅冠宗 主編, 前事不忘後事之師 -帝國主義利用基督敎侵略中國史實述評 (北京:

宗敎文化出版社, 2003)

王林, 西學與變法-萬國公報硏究 (濟南: 濟魯書社, 2004)

(美)丁韙良 著, 沈弘 等譯,花甲憶記 (南寧: 廣西師範大學出版社, 2004) 顧長聲, 從馬禮遜到司徒雷登-來華傳敎士評傳 (上海: 上海人民出版社, 2005) 王立新, 美國傳敎士與晩淸中國現代化 (天津: 天津人民出版社, 2008)

(美)丁韙良 著, 沈弘 等譯, 漢學菁華 -中國人的精神世界及其影響力 (北京: 世界 圖書出版社, 2010)

W. A. P. Martin, The Lore of Cathay or The Intellect of China (New York:

Fleming H. Revell Company, 1901, reprinted by Cheng-Wen Publishing Company, Taipei, 1971)

3. 연구논문

노재식, 「淸末 서양 改新敎 선교사들의 中國祭祀儀式에 대한 태도」 (중국사연구

52, 2008)

오순방, 「明淸時期基督敎宣士敎의 宗敎寓言故事 敍述 特性 硏究 -마테오 리치에 서 윌리엄 마틴까지」 (중국문학 67, 2011)

노재식, 「제임스레게와東學西漸」 (중국사연구 93, 2012) 孙邦华, 「丁韪良與傳兰雅的比较研究」 (北京档案史料 2000-2) 段琦, 「丁韪良与西学东渐」 (世界宗教研究 2006-1)

王文兵, 「世俗與属靈之间: 丁韪良與尚贤堂月报」 (学术研究 2006-3) 胡瑞琴, 「晩淸傳敎士對孔子的認識」 (孔子硏究 2008-1) 傅德元, 「丁韪良硏究述評(1917-2008)」 (江漢論壇 2008-3) 俉玉西, 「“孔子爲耶穌”」 (韓山師範學院學報 2011-4)

馬曼, 「丁韪良歷史評價中的多重身分視角」 (湖北社會科學 2014-4)

(22)

(中文提要)

丁韪良对儒家思想的研究

盧 在 軾

丁韪良(W.A.P.Martin 1827-1916)是19世纪下半叶至20世紀初在華重 要的新敎長老會傳敎士之一, 他縱1850年來華後直到1916年去世的66年 間只有4年不在中國.

1869年, 他開始在淸朝瓣的京師同文館任總敎習, 1898年, 光緖皇帝授 予二品頂戴, 幷任命他爲首任京師大學堂總敎習. 他在华其间,先后翻译 出版了"万国公法"等社会科学著作,传播了近代教育思想,写了關于中國 的著作和數編文章.

他还繼承了明末淸初耶穌會傳敎士的傳敎政策,对儒家思想的妥协态度.

丁韪良撰写了論述基督敎敎義的著作“天道溯原”. 本文主要探討了丁韪良 對儒家認識和其看法.

丁韪良对中国人"祖先尊孔"的行为采取容纳的态度. 他肯定孔子的道德 性和文化贡献. 他认为尽管孔子的学说很有影响,但是孔子只是一位有过 三千名弟子的先生. 同時, 他对于孔子对未来的说法持毫不客气的批判态 度.

還有, 他认为虽然儒家"五伦"思想构成了"社会结构的整个框架",然而"

五伦"忽视了神的层面. 在他看来,儒家的五伦虽美,但与基督教的伦理相 比仍然是美中不足.

丁韪良阐述中国儒家思想,其理解的缺陷也是显而易见的. 即他并不是 研究中国儒家思想的底蕴,而是用基督教精神为参考来融合中国文化,以 更好的开展其传教工作. 他认为,儒家的"缺陷"和"错误"使基督教在中国传 播显得非常必要,而传教士只要有开放的心态,吸纳和改造儒家思想中那 些与基督教精神不相冲突的观念和做法.

(23)

另一方面, 不應該忽視丁韪良在西學東漸中所起的積極作用,而且在東學 西漸中也起了很大的作用.

주제어 : 마틴, 천도소원, 선교사, 동문관, 유교인식 關鍵詞 : 丁韙良, 天道溯原, 傳敎士, 同文館, 儒敎認識

Keywords: Martin, tiandaosuyuan, Missionary, Tongwenguan, Recognition of Confucianism

(원고접수: 2016년 8월 26일, 심사완료 및 심사결과 통보: 2016년 10월 15일, 수정원고 접수: 10월 24일, 게재 확정: 10월 25일)

Referensi

Dokumen terkait

러운 땅에는 麋糞을, 물기 많은 땅은 鹿糞을, 소금기가 많은 토지에는 貆糞을, 성근 땅에는 狐糞을 각기 토양의 성질에 따라 사용할 것을 제 시했던 것이다.31 이런 사실을 宋代 農書에서 재확인하여 적용하고 있 는 것을 보면 가축의 糞尿가 당시 토양개량에서 중심적인 위치를 차지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제 가축분의 성질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