간이식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의 간이식 후 당뇨병에 대한 지식과 태도. 하위 도메인별 정답률은 당뇨병 합병증 및 간이식 후 예방입니다.
연구목적
따라서 본 연구는 간이식 환자를 간호하는 간호사를 대상으로 간이식 후 당뇨병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확인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이것이 간이식 후 당뇨병 환자에 대한 간병 및 교육 프로그램 발전의 근거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
용어정의
문헌고찰
간이식후 당뇨
이식 후 당뇨병 발병률은 연구별 기준에 따라 다릅니다. 여러 연구에 따르면 당뇨병은 이식 후 환자의 생존율을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간호사의 간이식후 당뇨에 대한 지식
이처럼 당뇨병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은 환자 진료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칩니다. 3차 종합병원에서 실무교육을 받은 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간호사의 당뇨병 지식에 대한 평균 응답률은 70%였다.
간호사의 간이식후 당뇨에 대한 태도
위의 문헌고찰을 보면 당뇨병 환자의 올바른 자기관리를 위해서는 당뇨병에 대한 지식과 태도가 중요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종합적으로 말하면, 식후 당뇨병 환자교육에 있어서 간호사의 지식과 태도를 미리 이해해 두는 것이 환자의 자기관리에 도움이 될 것이다.
연구방법
연구설계
연구대상
연구도구
점수가 높을수록 간이식 후 당뇨병에 대한 지식이 높은 것을 의미한다. 미시간 당뇨병 연구센터[MDRC](1988)에서 개발한 당뇨병 태도 척도(DAS-3)가 무료 배포로 확인되어 연구자가 번역, 역번역한 후 각 문항을 한국어에 능통한 간호 전문가가 검토하였다. 그리고 영어. 이후 문헌고찰과 이식간호사 및 이식실 수간호사를 대상으로 한 간이식 후 당뇨병의 타당성을 확인한 결과 부적합한 문항 2개를 제외하고 총 31개의 문항이 나왔다.
점수가 높을수록 당뇨병에 대한 긍정적인 태도를 의미합니다.
자료수집 및 윤리적 고려
자료분석 방법
연구결과
-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
- 대상자의 간이식후 당뇨 간호 경험과 교육
- 대상자의 간이식후 당뇨 지식
- 대상자의 간이식후 당뇨 태도
-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이식후 당뇨에 대한 지식과 태도
- 대상자의 간이식후 당뇨 간호 경험과 교육에 따른 간이식후 당뇨에 대한 지식, 태도
- 대상자의 간이식후 당뇨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관계
간이식 후 당뇨병 환자의 경험과 교육. Table 3은 간이식 후 당뇨병에 대한 피험자의 지식 결과를 보여준다. Table 4는 간이식 후 당뇨병에 대한 간호사의 지식을 보여준다.
대상자의 간이식 후 당뇨병 태도에 대한 결과는 Table 5와 같다. 일반적 특성에 따른 간이식 후 당뇨병에 대한 지식과 태도. Table 7은 간이식 후 당뇨병에 대한 지식과 태도를 일반적인 특성에 따라 나타낸 것이다.
간이식 후 당뇨병에 대한 지식과 태도의 관계.
논의
또한, 지식 수준이 가장 낮은 항목인 'CMV 감염의 경우 췌장 베타세포 생성과 기능항진이 나타난다'는 위험요인 문항이기도 했다. 본 연구에서 현재 영역의 학과별 교과지식 점수는 준집중학과, 학과, 심화학과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제별 태도를 보면, 가장 부정적 태도를 보인 항목은 혈당 조절의 가치에 대한 것으로, "혈당을 철저히 관리하려면 해야 할 일이 많다고 생각합니다."였습니다.
혈당 조절의 가치에 대한 항목 중에는 "이식 후 당뇨병 환자는 혈당을 정상에 가깝게 유지할 수만 있다면 무엇이든 할 것이라고 생각한다"는 항목이 포함됐다. 그럴 것 같아요." 또한 부정적인 태도 결과를 보였습니다. 따라서 간이식 후 당뇨병의 심각성에 대한 간호사의 태도를 바꾸는 것이 우선입니다.
결론 및 제언
Post-Transplant Diabetes Mellitus In Liver Transplant Recipients: Risk Factors, Temporal Relationship With Hepatitis C Virus Allograft Hepatitis, And Impact On Mortality1. A study on the dissemination of knowledge for nursing care of diabetes mellitus among clinical nurses [dissertation]. a new look at an old problem. Knowledge and practice regarding diabetes mellitus among non-diabetic and diabetic study participants in Bangladesh.
Asymptomatic cytomegalovirus infection is associated with an increased risk of developing diabetes mellitus. decreased insulin release after renal function. The impact of early-diagnosed, new-onset diabetes mellitus after transplantation on survival and major cardiac events. Original articles: Clinical overview of post-liver transplant diabetes mellitus [Original articles: Clinical overview of post-liver transplant diabetes mellitus].
Systematic review of the effect of HbA1c on outcomes after surgery in patients with diabetes mellitus.
간이식후 당뇨에 대한 지식
19 이식 후 당뇨병 관리는 인슐린만으로 조절할 수 있습니다. 20 이식 후 당뇨병 환자가 감기에 걸리거나 극도로 긴장하면 혈당치가 올라간다. 21 경구혈당강하제나 인슐린 투여 후 식은땀, 두근거림, 배고픔, 피로, 손떨림, 두통 등의 증상이 나타나면 즉시 설탕을 섭취하는 것이 좋다.
22 이식 후 당뇨병에서는 스테로이드를 많이 사용할수록 혈당 조절이 좋아진다. 23 이식 후 당뇨병은 감염, 거부반응 등의 다른 합병증에 비해 정기적인 모니터링과 적극적인 치료가 필요하지 않습니다.
간이식후 당뇨에 대한 태도
18 나는 이식 후 당뇨병 환자를 당뇨병 관리팀의 가장 중요한 구성원으로 생각한다. 21 이식 후 당뇨병은 환자의 일상생활을 변화시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당뇨병 관리에 지치실 것 같아요.
나는 당뇨병을 관리하지 않을 권리가 있다고 믿습니다. 31 이식 후 당뇨병 관리에는 의료진의 도움이 중요하다고 생각합니다.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the basic information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 program for post-transplant diabetes mellitus management. The knowledge and attitude towards post-transplant diabetes mellitus were respectively measured using 1) a post-liver transplant diabetes mellitus knowledge tool developed by researchers based on literature review and expert opinion, and 2) Diabetes Attitude Scale (DAS) -3) developed by the Michigan Diabetes Research Center [MDRC] (1988). 2) 81.7% (n=85) had the experience in the care of post-liver transpla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and 30.5% (n=32) took the training in post-liver transplant diabetes mellitus patients.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attitude towards diabetes mellitus after liver transplantation depending on the general characteristics. Also, the participants with an educational experience about diabetes mellitus after transplant showed a significantly higher score on the knowledge about diabetes mellitus after a liver transplant (t=2.16, p=0.03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