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krei.re.kr
'11. 8. 11(목)
발표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고랭지배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주산지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출하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고랭지배추 ⋅ 무 주산지 출하 속보
농업관측센터
고랭지배추
주산지 출하속보
Ⅰ. 8월 상순 가격 및 출하동향
1. 도매가격 동향
8월 상순 도매가격은 강보합세
◦ 8월 상순 배추 상품 10kg(3포기)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8,430원 (중품 5,320원)으로 7월 하순보다 5% 상승하였음. 이는 작년 동기 보다 20%, 평년 동기보다 40% 높은 수준임.
- 6월 하순 이후 잦은 강우와 일조 부족으로 생육이 부진하여 출하량이 감소하였기 때문임.
- 작황 부진으로 품위간의 격차가 커져 중품 이하 가격은 평년과 작년에 비해 가격 상승폭이 작은 것으로 나타남.
표 1. 배추 8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0kg
평 균 최 고 최 저 증감률(%)
7월하순대비 작년동기대비 평년동기대비 상품
중품 하품
8,428 5,324 3,306
9,861 7,238 4,874
6,921 4,169 2,644
5.0 2.2 5.4
20.1 10.5 8.2
39.5 28.8 23.1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그림 1. 배추 도매가격 동향 (5일 이동평균)
0 2,000 4,000 6,000 8,000 10,000
7.1 7.16 7.31 8.15 8.30
평년 2011년
2010년 원/10kg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2. 가락동 도매시장 거래물량
8월 상순 가락시장 일평균 반입량은 582톤
◦ 작년 8월 상순 일평균 반입량(676톤)보다 14% 감소
- 계속된 강우로 인한 출하여건 및 작황 악화로 반입량 감소
Ⅱ. 산지 출하 및 도매가격 전망
1. 출하량 전망
8월 중순 배추 출하면적 작년보다 1% 감소 전망
◦ 8월 중순 출하면적은 작황 악화 우려로 일부 농가에서 출하시기를 상순으로 앞당김에 따라 작년 동기보다 1% 감소할 것으로 조사됨.
- 잦은 강우와 고온 피해 우려로 출하를 앞당긴 농가가 늘어남에 따라 상순(0.1% 감소)보다 출하면적 감소폭 증가
8월 중순 배추 단수 작년보다 12% 감소 전망
◦ 8월 중순에 출하될 배추의 단수는 잦은 강우와 일조시간 부족으로 생육이 부진하여 작년 동기보다 12% 감소할 것으로 조사됨.
- 잦은 강우로 700~800m 지대의 배추에 무름병 등의 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조사됨.
- 900m 이상의 완전고랭지(안반덕, 귀네미, 매봉산 등) 지역의 배추는 정식 후 일조량이 부족하여 생육이 1주일 이상 지연된 것으로 조사됨.
- 향후 고온 등 기상 여건에 따라 단수는 조사치보다 더욱 감소할 가능성이 있음.
※ 고랭지배추 주산지(태백지역) 기상상황(8월 1일∼8월 10일)
- 누적강수량은 83mm로 작년 동기보다 28mm, 평년(최근 5개년) 보다 35mm 많았음.
- 평균 최고기온은 27.7℃로 작년 동기 30.6℃, 평년 28.7℃보다 낮았음.
- 누적 일조시간은 28.2시간으로 작년 동기 52.2시간, 평년 52.4 시간보다 적었음.
8월 중순 배추 출하량 작년대비 13% 감소 전망
◦ 8월 중순 배추 출하량은 출하면적과 단수 감소로 작년 동기보다 13% 감소 전망
표 2. 8월 순별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출하면적 단수 출하량
상순 -0.1 -11.9 -12.0
중순 -1.0 -11.6 -12.5
배추 저장량 작년대비 15% 이상 증가
◦ 봄배추와 준고랭지 1기작 배추의 저장량은 작년보다 15%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됨. 가격 상승으로 7월 하순부터 저장량 출하가 본격적으로 이뤄짐에 따라 저장량 증가폭은 줄어든 것으로 조사되었음.
8월 중순 배추 수요 상순보다 늘어날 전망
◦ 8월 중순 배추수요는 가격 강세로 작년보다 줄어드나, 배추 저장량 감소와 추석 물량 확보 등으로 상순보다는 10% 이상 늘어날 것 으로 전망됨.
2. 포전매매 동향
8월 상순 포전거래가격은 3.3㎡당 10,000~15,000원으로 7월 하순과 비슷한 수준임.
◦ 8월 출하물량의 포전거래가격은 7월 하순까지는 상승세였으나, 이후 에는 10,000~15,000원/3.3㎡ 수준의 보합세인 것으로 조사되었음.
3. 도매가격 전망
8월 중순 가격 상순대비 강보합세 전망
◦ 8월 중순 도매가격은 출하량 감소로 8월 상순에 이어 강보합세가 지속될 것으로 전망됨.
◦ 8월 중순 배추 상품 10kg(3포기)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9,000원(중품 6,000원)내외로 상순(8,430원)보다 7%, 평년(5,890원)과 작년 동기 (6,380원)보다 40% 이상 상승할 전망임.
◦ 과거 10년간 기상 변수를 고려할 경우, 고온 등으로 작황이 더욱 악화될 확률은 35%로 분석되었고, 이 경우 8월 중순 상품 10kg(3포기)당 도매가격은 10,000원(중품 6,900원) 이상이 될 것으로 전망됨.
무
주산지 출하 속보
Ⅰ. 8월 상순 가격 및 출하 동향 1. 도매가격 동향
8월 상순 도매가격 강세
◦ 8월 상순 무 상품 18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2만 5,970원(중품 1만 5,210원)으로 7월 하순보다 27% 상승하였음. 이는 작년 동기 보다 14%, 평년보다 2배 이상 높은 수준임.
- 6월 하순∼7월 지속된 강우로 인해 평지 여름무 출하가 조기에 종료되고 고랭지무 출하가 지연되었기 때문임.
- 상품성 저하로 품위간의 가격 격차가 커 중․하품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낮음.
표 1. 무 8월 상순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8kg
평 균 최 고 최 저 증감률(%)
7월하순대비 작년동기대비 평년동기대비 상품 25,968 32,836 20,940 27.3 13.7 164.6 중품 15,206 20,345 11,599 16.2 -18.2 98.8 하품 7,288 9,506 5,689 16.1 -12.1 48.8
주: 평년 가격은 2006∼2010년의 일별 가격 중 최대, 최소를 뺀 평균임.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그림 1. 무 도매가격 동향 (5일 이동평균)
0 5,000 10,000 15,000 20,000 25,000 30,000
7.1 7.16 7.31 8.15 8.30
평년
2011년
2010년 원/18kg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2. 가락동 도매시장 거래물량
8월 상순 일평균 반입량: 457톤
◦ 7월 하순 일평균 반입량 419톤보다 9% 증가
◦ 작년 동기 일평균 반입량 528톤보다 13% 감소
Ⅱ. 산지 출하 및 도매가격 전망
1. 출하량 전망
8월 중순 출하량 작년보다 9% 감소 전망
◦ 8월 중순 출하면적은 작년 동기보다 3% 증가할 것으로 조사됨.
◦ 단수는 작년 동기보다 12% 감소할 것으로 조사됨.
- 지속적인 강우와 일조부족으로 생육(길이생장)이 부진한 것으로 조사됨.
※ 고랭지무 주산지(평창지역) 기상상황(8월 1일∼8월 10일)
- 누적강수량은 79mm로 작년 동기(45mm)보다 34mm, 평년 (52mm)보다 27mm 많았음.
- 평균 최고기온은 25.3℃로 작년 동기(27.9℃)보다 2.6℃, 평년 (26.4℃)보다 1.1℃ 낮았음.
- 누적 일조시간은 28.2시간으로 작년 동기(32.4시간)보다 4.2시 간, 평년보다(39.4시간) 11.2시간 적었음.
◦ 8월 하순부터 출하량이 증가세로 돌아서나 개학 이후 급식 수 요와 예년보다 이른 추석 수요로 인해 수요 대비 공급량 부족 현상이 9월 상순까지 지속될 전망
- 6∼7월 가뭄 이후 강우로 고랭지무 파종과 생육이 지연되어 8월 출하량은 작년보다 적으나 9월 출하량은 많을 전망
표 2. 8월 순별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출하면적 단수 출하량
상 순 1.8 -9.5 -7.9
중 순 3.2 -12.2 -9.4
2. 포전매매 동향
8월 출하물량의 포전거래가격은 작년보다 3.3㎡당 2,000원 이상 상승
◦ 준고랭지 지역에서 7,000∼8,000원, 고랭지 지역에서 1만 2,000~1 만 5,000원에 거래됨.
◦ 고랭지무 포전거래는 거의 완료되었으며 최근 시세 상승으로 지난 달보다 거래가 활발히 진행된 것으로 조사됨.
3. 도매가격 전망
8월 중순 도매가격 강보합세 전망
◦ 8월 중순 무 상품 18kg당 가락시장 도매가격은 2만 7,000∼3만 3,000원 (중품 1만 8,000∼2만원)으로 상순 대비 강보합세 전망
- 이는 작년 동기보다 40% 이상, 평년 동기보다는 2배 이상 높은 수준임.
- 고랭지무 작황이 더 악화될 경우 도매가격은 3만 5,000원 이상 이 될 것으로 전망됨.
◦ 8월 하순 무 도매가격은 중순 대비 보합세를 보이고, 작년과 평년 동월보다 높을 것으로 전망
※ 기상 전망
8월 중⋅하순 강원지역 기상 전망(기상청 2011년 8월 3일 11시 발표) ◦ 8월 중순에는 북태평양고기압의 영향을 주로 받아 무더운 많겠고,
폭염과 열대야가 자주 나타나 기온은 평년보다 높겠음.
◦ 8월 하순에는 대기불안정과 기압골의 영향으로 많은 비가 내려 강수량은 평년보다 많겠음.
8월 중⋅하순 기상전망(강원 영서지역)
평균기온 강수량
8월 중순 평년(24∼25℃)보다 높겠음 평년(74∼89㎜)과 비슷하겠음 8월 하순 평년(23∼24℃)과 비슷하겠음 평년(102∼118㎜)보다 많겠음
8월 중⋅하순 기상전망(강원 영동지역)
평균기온 강수량
8월 중순 평년(24∼25℃)보다 높겠음 평년(82㎜)과 비슷하겠음 8월 하순 평년(23∼24℃)과 비슷하겠음 평년(126∼141㎜)보다 많겠음
본 속보는 고랭지배추⋅무 주산지의 모니터요원으로부터 조사한 자료를 집계⋅분석하여 월 2회(7∼9월) 제공됩니다.
한국농촌경제연구원 농업관측센터 엽근채소관측팀 한승용 (02)3299-4382 류상모 (02)3299-413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