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고성문암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고성문암리"

Copied!
3
0
0

Teks penuh

(1)

135

Ⅱ_ 신석기시대토기의변천- 중동부

고성 문암리

고성 문암리유적은 행정구역상 강원도 고성군 죽왕면 문암리 1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국립문화재연구소의 발굴조 사에서 주거지·야외노지·매장유구·토기밀집유구·저장 용수혈유구·소토유구 등이 확인되었으며, 융기문토기와 오산리식토기·석인石刃·마제석부磨製石斧·결합식조침結合 式釣針·결상이식 등 다량의 유물이 출토됨으로써 학술적 중요성이 인정되어 사적지로 지정되었다.

총 10개 층으로 나뉘는데, 침선문계토기편이 출토되는

Ⅱ~Ⅳ층과 융기문토기·오산리식토기가 출토되는 Ⅵ~Ⅷ 층, 무문양토기가 출토되는 Ⅸ층으로 구분된다.

A지구에서는 오산리식토기와 융기문토기는 주거지와 토기밀집유구 등에서 공반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양양 오산 리유적에서 불분명했던 양 토기양식의 관계가 구명될 가능 성이 높아졌다. 융기선문을 사선으로 교대하거나 융기대문 을 손으로 누른 기법은 문암리유적의 특징적인 것이며, 오 산리식토기와 유사한 기형에 융기대문이 구연에서 수직으 로 2조씩 내리면서 시문된 융기문토기도 확인되었다. 또 이 유적에서 채집된 유물 중에는 오산리식토기와 비슷한 문양 구성을 가지면서 그 일부가 융기대문으로 시문된 토기도 있는데, 그동안 융기문토기에서 오산리식토기로의 변천과 정에서 불확실했던 부분을 이어주는 자료로서 주목되는 것 이다(田中聰一 2000).

그리고 야외노지에서 구연부가 2단으로 꺾여 각목이 시문된 토기편이, 결상이식이 나온 매장유구에서는 신석기 시대 토기로는 드물게 접시모양토기가 출토되기도 하였으 며, B지구에서는 오산리식토기가 출토되는 유구의 상부 퇴 적토에서 대형 두립문토기가 나왔다.

한편, 융기문토기와 오산리식토기가 출토되는 층보다 아래인 Ⅸ층의 주거지에서 다수 출토된 무문양토기는 구연 내부의 처리수법이 오산리식토기와 유사하나 문양이 시문 되지 않은 것으로, 양양 오산리유적 출토 오산리식토기에 선행하는 토기군의 설정을 가능케 하고 오산리식토기의 출 현과정을 밝힐 실마리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문암리유적 출토 토기는 한반도 동북지역, 러시아 아무 르강, 중국 동북지역과 한반도 남부지역 사이의 문화계통과 전파과정 등을 비교연구할 수 있는 자료로서도 중요하게 평가되고 있다.

윤근일, 1999, 「고성 문암리 신석기유적 발굴조사 개요(‘98 ~‘99년도)」,

『文化史學 11·12·13號』

박윤정, 2004, 「강원도 고성 문암리 선사유적 발굴조사 개요」,

『강원지역의 신석기문화』(제6회 강원고고학회 학술발표회 발표집).

융기대문토기 / 높이 16.4cm

융기대문토기 세부

(2)

136

Ⅱ_ 신석기시대토기의변천- 중동부

ⅠⅩ층 출토 무문양토기/ 고성 문암리 / 높이 14.3cm / 국립문화재연구소

오산리식토기/ 고성 문암리 / 높이 12.2cm / 국립문화재연구소 오산리식토기 문양세부

무문양토기 저부

무문양토기 구연부 내면

(3)

137

Ⅱ_ 신석기시대토기의변천- 중동부

오산리식토기 문양세부

오산리식토기/ 고성 문암리 / 높이 18.5cm / 국립문화재연구소

Referensi

Dokumen terkait

Verzani, Using R for Introdu tory Statisti s,CHAPMA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