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음 질문은 윤리 강령 및 제정 과정에 대한 지식과 관련이 있습니다. 조직의 행동 강령을 알고 있습니까? 귀하의 조직이 행동 강령을 채택했을 때(처음 행동 강령을 만들었을 때) 구성원들이 이에 대해 협력하거나 논의했습니까?
지난 2년 동안 조직 내에서 행동 강령을 검토하기 위한 논의나 참여가 있었습니까? 행동 강령의 조항은 의사 결정이나 업무 수행에서 윤리적 갈등에 직면했을 때 유용한 지침이 됩니까? 직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부서의 윤리 정책, 절차 및 지침을 위반하는 상황에 직면했을 때 잘 대처할 수 있습니까?
3-3 귀하는 지난 1년간 직무를 수행하면서 윤리적으로 용인할 수 있는 행동인지, 용인할 수 없는 행동인지 판단하기 어려운 상황에 직면한 적이 있습니까? 3-4 직무를 수행하면서 보다 구체적인 윤리기준이나 행동지침이 필요하다고 느낀 적이 있습니까? 행동강령 위반에 따른 제재 조치에 대해 알고 있습니다.
귀하의 조직에는 직업적 행동 위반을 보고하는 익명 또는 기밀 방법이 있습니까?
지난 1년 동안 공직윤리 위반 사례를 발견한 적이 있습니까?
보고가 되더라도 이를 시정하기 위한 적절한 조치가 취해질 가능성은 낮습니다. 비윤리적인 행위는 신고할 만큼 중요하지 않다고 생각합니다. "예"라고 대답한 경우 어떻게 신고했습니까?
"아니오"라고 답했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귀하의 조직에는 윤리적 문제에 대해 조언할 수 있는 행동 강령 책임자(윤리 책임자)가 있습니까? 지난 1년 동안 업무 관련 윤리에 대해 질문하거나 조언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행동강령담당관과의 상담이 도움이 되었나요? 행동강령담당관과의 상담이 도움이 되었나요?
조직의 행동강령책임관이 아닌 다른 곳(사람)에서 윤리적 문제에 관해 상담을 받았다면, 그 대상을(예를 들면, 상관, 인사부서, 동료 직원, 조직 외부의 일반상담가 등) 기입하고 그들
조직의 행동 강령 담당자가 아닌 다른 사람으로부터 상담을 받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지난 1년 동안 윤리적 문제(갈등)로 상담을 받아 본 경험이 없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 까?
귀하는 지난 1년간 윤리교육을 얼마나 자주 받으셨습니까?
선생님이 받으신 윤리교육이 얼마나 유용하였습니까?
선생님, 지난 1년 동안 다음 주제에 대한 윤리 교육을 받은 적이 있습니까? 다음 윤리교육 방법 중 귀하가 지난 1년간 받은 윤리교육 방법은 무엇입니까?
다음 윤리교육 방법 중 귀하가 지난 1년간 받은 윤리교육 방법은 무엇이며 그 방법이 효과가 있었습니까?
선생님은 어디에서(어떤 방식으로) 윤리교육을 받으셨습니까?
선생님은 업무와 관련된 윤리적 행위를 장려하기 위하여 다음 주제들에 관한 교육이 얼마 나 필요하다고 보십니까?
귀하는 업무와 관련된 윤리적 행동을 함양하기 위해 다음 주제에 대한 교육이 어느 정도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선생님, 모범적인 공직생활을 하기 위해 윤리교육을 1년에 몇 번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선생님께서는 모범적인 공직생활을 수행하기 위해서 1년 동안 윤리교육을 얼마나 자주 받아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선생님의 경험에 비추어, 선생님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표시를 해주십시오
조직문화 및 환경요인 2: 우리 조직의 리더는 구성원이 제보한 윤리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조직 문화 및 환경 요인 3: 우리 조직의 관리자는 윤리적 문제보다 업무 성과에 더 관심이 있습니다. 귀하의 경험을 바탕으로 귀하의 생각과 일치하는 곳에 체크(√)해 주십시오.
20-2 우리 조직의 리더는 구성원이 제보하는 윤리적 문제에 관심을 갖고 해결을 위해 노력한다. 20-5 우리 조직 구성원은 윤리적 문제에 대해 자유롭게 토론한다. 조직문화 및 환경적 요인9: 조직 내에서 윤리적 문제가 제보되면 이를 해결하기 위한 조치를 취하고 있습니다.
20-8 우리 조직에서는 하위 구성원이 상위 구성원보다 윤리적 기준을 위반하여 제재를 받을 가능성이 더 높습니다. 귀하의 조직은 일반적인 "직무 수행 평가" 외에 구성원의 윤리적 행동을 구체적으로 평가합니까?
선생님의 조직은 일반적인 ‘근무성적평정’ 외에 특별히 구성원들의 윤리적 행동을 평 가하고 있습니까?
그렇다면 결과를 어떻게 사용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