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Bebas
24
0
0
Teks penuh
(2) 이 자료를 연구 및 저작에 이용, 참고 및 인용할 경우에는 KOSSDA의 자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김순흥. 2000.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연구수행기관: 한국사회조사연구소.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9 년. 자료번호: A1-2000-0044.. ❚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9..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CODE BOOK」.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3)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area. 조사지역 ※ 현재 사시는 곳이 _____ 맞죠?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광양읍 및 동지역. 1. 161. 31.6. 31.6. 광양 옥곡면. 2. 9. 1.8. 1.8. 광양 진상면. 3. 8. 1.6. 1.6. 광양 진월면. 4. 8. 1.6. 1.6. 여수 동지역. 5. 108. 21.2. 21.2. 여수 율촌면. 6. 23. 4.5. 4.5. 여수 소라면. 7. 20. 3.9. 3.9. 순천 동지역. 8. 74. 14.5. 14.5. 순천 해룡면. 9. 41. 8.1. 8.1. 하동 고전면. 10. 7. 1.4. 1.4. 하동 금성면. 11. 11. 2.2. 2.2. 하동 금남면. 12. 10. 2.0. 2.0. 남해 설천면. 13. 10. 2.0. 2.0. 남해 고현면. 14. 12. 2.4. 2.4. 남해 서면. 15. 7. 1.4. 1.4. 509.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자. 1. 255. 50.1. 50.1. 여자. 2. 254. 49.9. 49.9. 509. 100.0. 100.0. gender 응답자 성별 ※ 성별. 1.
(4)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age. 응답자 연령 ※ 올해 연세는 만으로 어떻게 되세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세. 20. 17. 3.3. 3.3. 21세. 21. 11. 2.2. 2.2. 22세. 22. 9. 1.8. 1.8. 23세. 23. 12. 2.4. 2.4. 24세. 24. 5. 1.0. 1.0. 25세. 25. 14. 2.8. 2.8. 26세. 26. 6. 1.2. 1.2. 27세. 27. 11. 2.2. 2.2. 28세. 28. 11. 2.2. 2.2. 29세. 29. 20. 3.9. 3.9. 30세. 30. 16. 3.1. 3.1. 31세. 31. 22. 4.3. 4.3. 32세. 32. 21. 4.1. 4.1. 33세. 33. 22. 4.3. 4.3. 34세. 34. 20. 3.9. 3.9. 35세. 35. 16. 3.1. 3.1. 36세. 36. 17. 3.3. 3.3. 37세. 37. 17. 3.3. 3.3. 38세. 38. 10. 2.0. 2.0. 39세. 39. 18. 3.5. 3.5. 40세. 40. 19. 3.7. 3.7. 41세. 41. 15. 2.9. 2.9. 42세. 42. 10. 2.0. 2.0. 43세. 43. 15. 2.9. 2.9. 44세. 44. 9. 1.8. 1.8. 45세. 45. 6. 1.2. 1.2. 46세. 46. 7. 1.4. 1.4. 47세. 47. 2. 0.4. 0.4. 48세. 48. 6. 1.2. 1.2. 49세. 49. 13. 2.6. 2.6. 50세. 50. 16. 3.1. 3.1. 2.
(5)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1. 51세. 51. 4. 0.8. 0.8. 52세. 52. 3. 0.6. 0.6. 53세. 53. 9. 1.8. 1.8. 54세. 54. 6. 1.2. 1.2. 55세. 55. 4. 0.8. 0.8. 56세. 56. 9. 1.8. 1.8. 57세. 57. 5. 1.0. 1.0. 58세. 58. 6. 1.2. 1.2. 59세. 59. 9. 1.8. 1.8. 60세. 60. 16. 3.1. 3.1. 61세. 61. 2. 0.4. 0.4. 62세. 62. 3. 0.6. 0.6. 63세. 63. 8. 1.6. 1.6. 64세. 64. 12. 2.4. 2.4.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에 대한 관심도 1. OO님은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에 대해 평소에 얼마나 관심을 가지고 계세요? 변수값. v2. 매우 관심이 있다. 1. 94. 18.5. 18.5. 관심이 있는 편이다. 2. 236. 46.4. 46.4. 관심이 없는 편이다. 3. 118. 23.2. 23.2. 거의 관심이 없다. 4. 42. 8.3. 8.3. 모르겠다. 9. 19. 3.7. 3.7. 509. 100.0. 100.0.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 중 가장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 - 첫번째 2. 평소에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 중에서 가장 심각하다고 느끼시는 것은 무엇인가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장배출가스. 1. 195. 38.3. 38.3. 자동차 및 선박의 배출가스. 2. 24. 4.7. 4.7. 악취 문제. 3. 5. 1.0. 1.0. 상수원 오염. 4. 39. 7.7. 7.7. 해양 및 하천오염. 5. 94. 18.5. 18.5. 토양오염. 6. 6. 1.2. 1.2. 3.
(6)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2_1. 소음. 7. 1. 0.2. 0.2. 자연녹지 및 생태계파괴 문제. 9. 7. 1.4. 1.4. 생활쓰레기 처리문제. 10. 31. 6.1. 6.1. 산업폐기물 및 유해화학물질처리 문제. 11. 13. 2.6. 2.6. 먼지(분진). 12. 3. 0.6. 0.6. 공장폐수. 13. 3. 0.6. 0.6. 화력발전소에서 나오는 가스. 14. 1. 0.2. 0.2. 산성비. 15. 1. 0.2. 0.2. 문제 없다. 88. 9. 1.8. 1.8. 모르겠다. 99. 77. 15.1. 15.1. 509.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272. 53.4. 53.4. 공장배출가스. 1. 57. 11.2. 11.2. 자동차 및 선박의 배출가스. 2. 14. 2.8. 2.8. 악취 문제. 3. 9. 1.8. 1.8. 상수원 오염. 4. 27. 5.3. 5.3. 해양 및 하천오염. 5. 64. 12.6. 12.6. 토양오염. 6. 2. 0.4. 0.4. 소음. 7. 7. 1.4. 1.4. 자연녹지 및 생태계파괴 문제. 9. 7. 1.4. 1.4.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 중 가장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 - 두번째 2.1 한가지만 더 말씀해 주신다면요?. 생활쓰레기 처리문제. 10. 26. 5.1. 5.1. 산업폐기물 및 유해화학물질처리 문제. 11. 16. 3.1. 3.1. 먼지(분진). 12. 2. 0.4. 0.4. 공장폐수. 13. 2. 0.4. 0.4. 모르겠다. 99. 4. 0.8. 0.8. 509. 100.0. 100.0. 4.
(7)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2_2.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 중 가장 심각하다고 느끼는 것 - 세번째 2.2 또 있다면요?. v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449. 88.2. 88.2. 공장배출가스. 1. 5. 1.0. 1.0. 자동차 및 선박의 배출가스. 2. 8. 1.6. 1.6. 악취 문제. 3. 6. 1.2. 1.2. 상수원 오염. 4. 7. 1.4. 1.4. 해양 및 하천오염. 5. 8. 1.6. 1.6. 토양오염. 6. 3. 0.6. 0.6. 소음. 7. 1. 0.2. 0.2. 진동. 8. 1. 0.2. 0.2. 자연녹지 및 생태계파괴 문제. 9. 6. 1.2. 1.2. 생활쓰레기 처리문제. 10. 8. 1.6. 1.6. 산업폐기물 및 유해화학물질처리 문제. 11. 5. 1.0. 1.0. 모르겠다. 99. 2. 0.4. 0.4. 509. 100.0. 100.0. 현재 거주지역에서 환경분쟁이나 환경오염사건이 자주 발생하는지의 여부 3. 최근에 OO님이 살고 계시는 지역에서 환경분쟁이나 환경오염사건이 자주 발생하고 있나요?. v3_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다. 1. 117. 23.0. 23.0. 아니다. 2. 337. 66.2. 66.2. 모르겠다. 9. 55. 10.8. 10.8.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최근 광양만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환경분쟁 3.1 최근 이 지역에서 발생하고 있는 환경분쟁 또는 환경문제는 어떤 것이 있습니까? 변수값 해양기름 유출로 인한 양식장 피해. 1. 31. 6.1. 26.5. 공단 오,폐수. 2. 13. 2.6. 11.1. 환경오염으로 인한 이주문제. 3. 3. 0.6. 2.6. 저수지 오염. 4. 3. 0.6. 2.6. 5.
(8)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광양제철. 6. 2. 0.4. 1.7. 환경평가기준의 미비. 7. 1. 0.2. 0.9. 악취. 8. 3. 0.6. 2.6. 분진. 9. 6. 1.2. 5.1. 환경오염으로 인한 농작물 피해. 10. 1. 0.2. 0.9. 대기오염(공단). 11. 13. 2.6. 11.1. 수력발전소 건립시 분쟁. 12. 1. 0.2. 0.9. 순천우회도로 건설로 인한 매연. 13. 1. 0.2. 0.9. 여천공단 화학약품 유출. 14. 1. 0.2. 0.9. 산업폐기물 처리. 15. 8. 1.6. 6.8. 화력발전소. 17. 2. 0.4. 1.7. 환경호르몬. 18. 1. 0.2. 0.9. 쓰레기 무단투기. 19. 4. 0.8. 3.4. 순천만지역 갈대밭사건. 20. 1. 0.2. 0.9. 식당 폐수처리. 21. 1. 0.2. 0.9. 정화조처리. 22. 1. 0.2. 0.9. 댐건설 보상문제. 23. 1. 0.2. 0.9. 유원지 근처 불법 비교공장. 24. 1. 0.2. 0.9. 송전탑. 25. 1. 0.2. 0.9. 공장 소음. 26. 1. 0.2. 0.9. 쓰레기 매립장 건설. 27. 1. 0.2. 0.9. 산성비. 28. 1. 0.2. 0.9. 쓰레기 분리수거 미흡. 29. 1. 0.2. 0.9. 가축의 오물. 30. 1. 0.2. 0.9. 갯벌문제. 31. 1. 0.2. 0.9. 쓰레기 소각 문제. 32. 1. 0.2. 0.9. 해양오염. 33. 1. 0.2. 0.9. 카톨릭병원 오염물질 배출. 34. 1. 0.2. 0.9. 산성비. 35. 1. 0.2. 0.9. 모르겠다. 99. 7. 1.4. 6.0. 392. 77.0. 509. 100.0. 비해당. 0. 6. 100.0.
(9)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4_1.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대기오염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1. 대기오염 변수값. v4_2.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67. 13.2. 13.2. 심각해졌다. 2. 283. 55.6. 55.6.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74. 14.5. 14.5. 매우 나아졌다. 4. 3. 0.6. 0.6. 변화없다. 8. 14. 2.8. 2.8. 모르겠다. 9. 68. 13.4. 13.4. 509. 100.0. 100.0.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수질오염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2. 수질오염 변수값. v4_3.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70. 13.8. 13.8. 심각해졌다. 2. 265. 52.1. 52.1.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70. 13.8. 13.8. 매우 나아졌다. 4. 3. 0.6. 0.6. 변화없다. 8. 16. 3.1. 3.1. 모르겠다. 9. 85. 16.7. 16.7. 509. 100.0. 100.0.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토양오염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3. 토양오염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43. 8.4. 8.4. 심각해졌다. 2. 225. 44.2. 44.2.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68. 13.4. 13.4. 매우 나아졌다. 4. 2. 0.4. 0.4. 변화없다. 8. 16. 3.1. 3.1. 모르겠다. 9. 155. 30.5. 30.5. 509. 100.0. 100.0. 7.
(10)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4_4.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소음/진동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4. 소음/진동 변수값. v4_5.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59. 11.6. 11.6. 심각해졌다. 2. 219. 43.0. 43.0.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89. 17.5. 17.5. 매우 나아졌다. 4. 4. 0.8. 0.8. 변화없다. 8. 10. 2.0. 2.0. 모르겠다. 9. 128. 25.1. 25.1. 509. 100.0. 100.0.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악취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5. 악취 변수값. v4_6.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57. 11.2. 11.2. 심각해졌다. 2. 216. 42.4. 42.4.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91. 17.9. 17.9. 매우 나아졌다. 4. 2. 0.4. 0.4. 변화없다. 8. 13. 2.6. 2.6. 모르겠다. 9. 130. 25.5. 25.5. 509. 100.0. 100.0. 509. 100.0. 100.0.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자연녹지/생태계파괴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6. 자연녹지/생태계파괴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54. 10.6. 10.6. 심각해졌다. 2. 252. 49.5. 49.5.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75. 14.7. 14.7. 매우 나아졌다. 4. 3. 0.6. 0.6. 변화없다. 8. 15. 2.9. 2.9. 모르겠다. 9. 110. 21.6. 21.6. 509. 100.0. 100.0. 8.
(11)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4_7.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폐기물처리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7. 폐기물처리 변수값. v4_8.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35. 6.9. 6.9. 심각해졌다. 2. 205. 40.3. 40.3.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85. 16.7. 16.7. 매우 나아졌다. 4. 6. 1.2. 1.2. 변화없다. 8. 10. 2.0. 2.0. 모르겠다. 9. 168. 33.0. 33.0. 509. 100.0. 100.0.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유해화학물질처리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8. 유해화학물질처리 변수값. v4_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38. 7.5. 7.5. 심각해졌다. 2. 189. 37.1. 37.1.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73. 14.3. 14.3. 매우 나아졌다. 4. 4. 0.8. 0.8. 변화없다. 8. 9. 1.8. 1.8. 모르겠다. 9. 196. 38.5. 38.5. 509. 100.0. 100.0.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해양오염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9. 해양오염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86. 16.9. 16.9. 심각해졌다. 2. 256. 50.3. 50.3.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47. 9.2. 9.2. 매우 나아졌다. 4. 2. 0.4. 0.4. 변화없다. 8. 9. 1.8. 1.8. 모르겠다. 9. 109. 21.4. 21.4. 509. 100.0. 100.0. 9.
(12)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4_10. 5년전과 비교한 현재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 - 환경문제전반 4. 5년전과 비교하여 현재의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정도는 더 심각해졌습니까? 더 나아졌습니까? 각각의 오염에 대하여 말씀해 주세요. 10. 환경문제전반 변수값. v5.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심각해졌다. 1. 52. 10.2. 10.2. 심각해졌다. 2. 315. 61.9. 61.9. 어느 정도 나아졌다. 3. 59. 11.6. 11.6. 매우 나아졌다. 4. 3. 0.6. 0.6. 변화없다. 8. 11. 2.2. 2.2. 모르겠다. 9. 69. 13.6. 13.6. 509.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공장/산업단지. 1. 399. 78.4. 78.4. 자동차. 2. 15. 2.9. 2.9. 선박. 3. 5. 1.0. 1.0. 상업시설(상가). 4. 5. 1.0. 1.0. 일반가정. 6. 34. 6.7. 6.7. 축산. 7. 1. 0.2. 0.2. 지역주민의 무지에서 오는 무관심. 8. 1. 0.2. 0.2. 49. 9.6. 9.6. 509.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더욱 나빠질 것이다. 1. 134. 26.3. 26.3. 조금 나빠질 것이다. 2. 211. 41.5. 41.5. 조금 좋아질 것이다. 3. 102. 20.0. 20.0. 많이 좋아질 것이다. 4. 8. 1.6. 1.6. 현상유지될것이다. 8. 3. 0.6. 0.6. 잘 모르겠다. 9. 51. 10.0. 10.0. 509. 100.0. 100.0.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의 주된 원인 5.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을 일으키는 가장 주된 원인이 무엇이라고 보세요?. 잘 모르겠다. v6=. 99. 미래의 광양만 지역의 환경오염 문제의 전망 6. 앞으로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는 더 나빠질까요? 더 좋아질까요?. 10.
(13)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7.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한 가장 적합한 주체 7. OO님께서 사시는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 해결을 위해서 다음중 누가 주체가 되는 것이 가장 적합하다고 생 각하세요? 변수값. v8.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중앙정부. 1. 71. 13.9. 13.9. 지방자치단체. 2. 128. 25.1. 25.1. 광양만 지역민간단체. 3. 113. 22.2. 22.2. 기업. 4. 62. 12.2. 12.2. 주민 개개인. 5. 99. 19.4. 19.4. 모르겠다. 9. 36. 7.1. 7.1. 509. 100.0. 100.0. 광양만 지역의 시군이 지역개발과 환경보전 중 어느쪽에 우선을 두고 있는지 여부 8. OO님께서 사시는 광양만 지역의 시·군은 광양만의 지역개발과 환경보전 중 어느 곳에 우선을 두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v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역개발. 1. 342. 67.2. 67.2. 환경보전. 2. 56. 11.0. 11.0. 병행. 3. 1. 0.2. 0.2. 모르겠다. 9. 110. 21.6. 21.6. 509. 100.0. 100.0. 광양만 지역의 시군이 환경보전을 위항 적절한 시책을 시행하고 있는지 여부 9. OO님은 광양만 지역의 시·군들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해 적절한 시책을 시행하고 있다고 생각하 세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적절한 시책을 시행하고 있다. 1. 16. 3.1. 3.1. 어느 정도는 필요한 시책을 시행하고 있다. 2. 205. 40.3. 40.3. 적절한 시책을 시행하지 않고 있다. 3. 160. 31.4. 31.4. 모르겠다. 9. 128. 25.1. 25.1. 509. 100.0. 100.0. 11.
(14)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9_1. 광양만 지역의 시군이 환경보전을 위한 적절한 시책을 시행하지 않는 이유 9-1. 그 이유가 있다면요? 변수값.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집행할 권한 부족. 1. 7. 1.4. 4.4. 집행할 능력 부족. 2. 30. 5.9. 18.8. 지역개발에 더 많은 관심. 3. 54. 10.6. 33.8. 주민들이 지역개발을 더 요구하기 때문. 4. 12. 2.4. 7.5. 재정능력 부족. 5. 4. 0.8. 2.5. 서로 책임을 미루기 때문. 6. 1. 0.2. 0.6. 보여주기 행정. 7. 2. 0.4. 1.3. 무사안일주의. 8. 1. 0.2. 0.6. 강력한 추진의지가 없어서. 9. 2. 0.4. 1.3. 47. 9.2. 29.4. 349. 68.6. 509. 100.0. 모르겠다. 99. 비해당. v10. 빈도. 0. 100.0.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공장이나 기업에 환경오염규제가 잘 이루어지는지 여부 10. OO님은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공장이나 기업에 환경오염규제가 잘 이루어지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변수값. v10_1.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잘 이루어지고 있다. 1. 5. 1.0. 1.0. 대체로 잘 이루어지고 있다. 2. 182. 35.8. 35.8. 별로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3. 193. 37.9. 37.9. 전혀 이루어지고 있지 않다. 4. 26. 5.1. 5.1. 모르겠다. 9. 103. 20.2. 20.2.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정부나 지방자치단체의 공장이나 기업에 환경오염규제가 이루어지지 않는 이유 10-1. 그 이유가 있다면요? 변수값 환경오염규제를 할 수 있는 권한이 부족. 1. 22. 4.3. 10.0. 환경오염규제를 수행할 능력이나 전문성이 부족. 2. 58. 11.4. 26.5. 환경오염규제를 수행하는데 비용이 지나치게 많이 든다. 3. 13. 2.6. 5.9. 부정부패 또는 눈감아 주기식 행정 처리가 많기 때문. 4. 62. 12.2. 28.3. 보여주기 위한 규제. 5. 1. 0.2. 0.5. 63. 12.4. 28.8. 290. 57.0. 509. 100.0. 모르겠다. 99. 비해당. 0. 12. 100.0.
(15)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11. 광양의 환경보전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역점을 두어 추진할 분야 - 첫번째 11. OO님께서는 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해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역점을 두어 추진해야 할 분야가 어떤 것이라고 생각하세요?. v11_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대기오염. 1. 181. 35.6. 35.6. 수질오염. 2. 122. 24.0. 24.0. 토양오염. 3. 8. 1.6. 1.6. 소음. 4. 1. 0.2. 0.2. 악취. 5. 7. 1.4. 1.4. 자연녹지 및 생태계 파괴. 6. 10. 2.0. 2.0. 쓰레기처리문제. 7. 34. 6.7. 6.7. 산업폐기물 및 유해화학물질처리문제. 9. 21. 4.1. 4.1. 해양오염문제. 10. 42. 8.3. 8.3. 쓰레기장 설치 문제. 12. 1. 0.2. 0.2. 없다. 88. 1. 0.2. 0.2. 잘 모르겠다. 99. 81. 15.9. 15.9. 509. 100.0. 100.0. 광양의 환경보전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역점을 두어 추진할 분야 - 두번째 11_1 한가지만 더 말씀해 주신다면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275. 54.0. 54.0. 대기오염. 1. 47. 9.2. 9.2. 수질오염. 2. 69. 13.6. 13.6. 토양오염. 3. 13. 2.6. 2.6. 소음. 4. 9. 1.8. 1.8. 악취. 5. 5. 1.0. 1.0. 자연녹지 및 생태계 파괴. 6. 9. 1.8. 1.8. 쓰레기처리문제. 7. 25. 4.9. 4.9. 진동. 8. 1. 0.2. 0.2. 산업폐기물 및 유해화학물질처리문제. 9. 15. 2.9. 2.9. 해양오염문제. 10. 38. 7.5. 7.5. 분진. 11. 1. 0.2. 0.2. 쓰레기장 설치 문제. 12. 1. 0.2. 0.2. 잘 모르겠다. 99. 1. 0.2. 0.2. 509. 100.0. 100.0. 13.
(16)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11_2. 광양의 환경보전을 위해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가장 역점을 두어 추진할 분야 - 세번째 11_2 또 있다면요?. v1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433. 85.1. 85.1. 대기오염. 1. 6. 1.2. 1.2. 수질오염. 2. 12. 2.4. 2.4. 토양오염. 3. 11. 2.2. 2.2. 악취. 5. 3. 0.6. 0.6. 자연녹지 및 생태계 파괴. 6. 6. 1.2. 1.2. 쓰레기처리문제. 7. 7. 1.4. 1.4. 산업폐기물 및 유해화학물질처리문제. 9. 7. 1.4. 1.4. 해양오염문제. 10. 12. 2.4. 2.4. 잘 모르겠다. 99. 12. 2.4. 2.4. 509. 100.0. 100.0. 광양의 자치단체는 환경정책의 수립 및 집행과정에서 주민의사를 잘 반영하는지 여부 12. OO님이 사시는 광양만 지역의 자치단체는 환경정책의 수립 및 집행과정에서 주민의 의사를 잘 반영하고 있 다고 생각하세요? 변수값. v12_1.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잘 반영하고 있다. 1. 20. 3.9. 3.9. 대체로 반영하고 있다. 2. 171. 33.6. 33.6. 별로 반영하지 않고 있다. 3. 162. 31.8. 31.8. 전혀 반영하고 있지 않다. 4. 28. 5.5. 5.5. 모르겠다. 9. 128. 25.1. 25.1. 509. 100.0. 100.0. 광양의 자치단체는 환경정책의 수립 및 집행과정에서 주민의사를 반영하지 않는 이유 12_1 OO님께서는 광양만 지역에 산업단지 또는 대형 공장이 들어섬으로써, 이 지역의 경제발전에 얼마나 도 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세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개인의 이익만 추구한다고 생각. 1. 47. 9.2. 24.7. 지방자치단체의 정책, 사업내용을 이해하지 못한다고 생각. 2. 35. 6.9. 18.4. 비용과 시간이 많이 들고 번거로울 뿐 별 효과가 없다고 생각. 3. 47. 9.2. 24.7. 중간 전달체계 미흡. 4. 3. 0.6. 1.6. 58. 11.4. 30.5. 319. 62.7. 509. 100.0. 모르겠다. 99. 비해당. 0. 14. 100.0.
(17)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13. 광양에 산업단지조성으로 경제발전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 13. OO님께서는 광양만 지역에 산업단지 또는 대형 공장이 들어섬으로써, 이 지역의 경제발전에 얼마나 도움 이 되었다고 생각하세요?. v13_1.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많은 도움이 되었다. 1. 239. 47.0. 47.0. 조금 도움이 되었다. 2. 152. 29.9. 29.9. 별로 도움되지 않았다. 3. 89. 17.5. 17.5. 오히려 경제발전에 저해가 되었다. 4. 10. 2.0. 2.0. 모르겠다. 9. 19. 3.7. 3.7.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광양에 산업단지조성으로 경제발전에 저해가 되었다고 생각하는 이유 13-1. 그 이유가 있다면요? 변수값 환경오염으로 인한 어획량 감소. 1. 5. 1.0. 50.0. 오염으로 인하여 농작물 피해. 2. 3. 0.6. 30.0. 청정해역을 잃었다. 4. 1. 0.2. 10.0. 99. 1. 0.2. 10.0. 499. 98.0. 509. 100.0. 모르겠다 비해당. v14. 0. 100.0. 광양에 산업단지조성으로 주민의 복지향상에 도움이 되었는지 여부 14. OO님께서는 광양만 지역에 산업단지 또는 대형 공장이 들어섬으로써, 이 지역의 주민의 복지향상에는 얼마 나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세요? 변수값. v14_1.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많은 도움이 되었다. 1. 88. 17.3. 17.3. 조금 도움이 되었다. 2. 170. 33.4. 33.4. 별로 도움되지 않았다. 3. 204. 40.1. 40.1. 오히려 주민복지에 저해가 되었다. 4. 6. 1.2. 1.2. 모르겠다. 9. 41. 8.1. 8.1.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광양에 산업단지조성으로 주민의 복지향상에 저해가 되었다면 그 이유 14-1. 그 이유가 있다면요? 변수값 공해문제. 1. 5. 1.0. 83.3. 모르겠다. 99. 1. 0.2. 16.7. 503. 98.8. 509. 100.0. 비해당. 0. 15. 100.0.
(18)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15. 광양에 산업단지조성으로 주민 일자리의 변화 여부 15. 그렇다면, OO님께서는 광양만 지역에 산업단지 또는 대형 공장이 들어섬으로써, 이 지역의 주민이 일자리 를 많이 얻었다고 생각하세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많이 얻었다. 1. 217. 42.6. 42.6. 조금 얻었다. 2. 146. 28.7. 28.7. 별 차이가 없다. 3. 116. 22.8. 22.8. 오히려 줄었다. 4. 8. 1.6. 1.6. 9. 22. 4.3. 4.3.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르겠다. v15_1. 광양에 산업단지조성으로 주민 일자리가 줄었다고 생각하는 이유 15-1. 그 이유가 있다면요? 변수값 기계화로 인해. 1. 1. 0.2. 12.5. 타지역민이 와서 일하므로. 2. 3. 0.6. 37.5. 빅딜, IMF. 3. 2. 0.4. 25.0. 모르겠다. 99. 2. 0.4. 25.0. 501. 98.4. 509. 100.0. 비해당. v16. 0. 100.0. 광양에 산업단지나 공장이 많이 들어와야 한다고 생각하는지, 더이상 들어와서는 안된다고 생각하는지 여부 16. OO님은 이 광양만 지역의 산업단지나 공장이 더욱 더 많이 들어와야 한다고 생각하세요? 더 이상 들어와 서는 안된다고 생각하세요?. v17.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더 많이 들어와야 한다. 1. 238. 46.8. 46.8. 더 이상 들어와서는 안된다. 2. 235. 46.2. 46.2. 모르겠다. 9. 36. 7.1. 7.1. 509. 100.0. 100.0. 광양만 지역의 기업활동이나 공장가동으로 인해 양식피해, 농작물피해등의 환경피해를 겪고 있는지 여부 17. 광양만 지역주민이 당해 광양만 지역의 기업활동이나 공장가동으로 인해 어느 정도나 양식피해, 농작물 피 해, 악취나 소음 등의 환경피해를 겪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많은 피해를 겪고 있다. 1. 160. 31.4. 31.4. 약간 피해를 겪고 있다. 2. 251. 49.3. 49.3. 별로 피해를 겪고 있지 않다. 3. 45. 8.8. 8.8. 전혀 피해를 겪고 있지 않다. 4. 14. 2.8. 2.8. 모르겠다. 9. 39. 7.7. 7.7. 509. 100.0. 100.0. 16.
(19)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18. 광양의 일부는 대기보전특별대책 지역으로 지정되어, 다른 지역보다 엄격한 환경기준을 적용하는 것에 대한 의견 18. 현재 광양만 지역의 일부는 대기보전특별대책 지역으로 지정되어 전국적 기준보다 강화된 환경기준을 적 용하고 있습니다. OO님은 이 지역에 대해 다른 지역보다 엄격한 환경기준을 적용하는 것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 하십니까?. v19.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다른 광양만 지역보다 강화된 기준을 적용. 1. 294. 57.8. 57.8. 지역 기업의 경제적 상황을 고려하여 단계적으로 강화. 2. 163. 32.0. 32.0. 강화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 3. 12. 2.4. 2.4. 모르겠다. 9. 40. 7.9. 7.9. 509. 100.0. 100.0.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 대한 환경관리 방법 19. 오염물질을 배출하는 기업에 대한 환경관리는 어떻게 하는 것이 좋다고 생각하십니까?. v2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도.단속 등을 통한 강제적 규제수단을 강화. 1. 231. 45.4. 45.4. 배출부과금제도와 같은 시장기능을 활용하는 제도의 도입확대. 2. 56. 11.0. 11.0. 오염방지시설 등에 대한 정책적 지원을 강화. 3. 115. 22.6. 22.6. 기업의 자율적인 노력을 이끌어 내기 위한 제도를 도입. 4. 70. 13.8. 13.8. 민간단체에서 환경감시 실시. 5. 1. 0.2. 0.2. 모르겠다. 9. 36. 7.1. 7.1. 509. 100.0. 100.0. 광양만 지역의 환경규제를 강화하면 이 지역의 중소기업들이 경제적으로 곤란 여부 20. 광양만 지역의 환경규제를 강화하면 이 지역의 적지 않은 중소기업들이 경제적으로 곤란을 겪을 것으로 예 상되고 있습니다. 이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세요?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당장은 어렵더라도 규제를 강화. 1. 355. 69.7. 69.7. 환경오염을 감수하더라도 규제를 강화하지 않아야 한다. 2. 26. 5.1. 5.1. 환경오염도 줄이고 중소기업도 살리기 위한 시책의 개발이 필요. 3. 86. 16.9. 16.9. 모르겠다. 9. 42. 8.3. 8.3. 509. 100.0. 100.0. 17.
(20)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21. 광양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들이 환경보전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는지 여부 20. OO님은 광양만 지역에 소재하고 있는 기업들이 환경보전을 위해 얼마나 노력하고 있다고 생각하세요? 변수값. v22.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법에서 정한 기준보다 강화된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 노력. 1. 55. 10.8. 10.8. 법에서 정한 기준을 지키는 정도. 2. 265. 52.1. 52.1. 지역환경문제에 별다른 관심을 기울이고 있지 않다고 생각. 3. 99. 19.4. 19.4. 모르겠다. 9. 90. 17.7. 17.7. 509. 100.0. 100.0. 광양만 지역의 기업은 기업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의 실태에 대해 주민에게 공지 여부 22. 광양만 지역의 기업은 기업활동으로 인해 발생하는 환경문제의 실태에 대해 주민에게 제대로 알려 주고 있 다고 생각하세요? 변수값. v23.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든 환경문제에 대해 알려 주고 있다. 1. 15. 2.9. 2.9. 비교적 솔직하게 환경문제를 알려 주고 있다. 2. 64. 12.6. 12.6. 환경문제를 충분히 알려주고 있지 않다. 3. 253. 49.7. 49.7. 환경문제를 전혀 알려주고 있지 않다. 4. 121. 23.8. 23.8. 모르겠다. 9. 56. 11.0. 11.0. 509. 100.0. 100.0. 앞으로 이 지역의 기업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인지 23. 앞으로 이 지역의 기업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문제에 적극적으로 대처할 것이라고 보세요?. v24.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그렇다. 1. 257. 50.5. 50.5. 아니다. 2. 133. 26.1. 26.1. 모르겠다. 9. 119. 23.4. 23.4. 509. 100.0. 100.0. 자율환경관리에 의한 환경보전시책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해 효과 여부 24. 기업이 자치단체 및 주민 등과 협의하여 환경개선목표를 결정하고 이를 추진하는 것을 자율환경관리라고 합니다. 최근 자율환경관리는 선진국을 중심으로 많은 효과를 보고 있다고 합니다. OO님은 자율환경관리에 의 한 환경보전시책이 OO님이 사시는 광양만 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해 효과가 있을 것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효과가 매우 클 것 같다. 1. 102. 20.0. 20.0. 어느 정도 효과가 있을 것 같다. 2. 316. 62.1. 62.1. 효과가 없을 것 같다. 3. 41. 8.1. 8.1. 모르겠다. 9. 50. 9.8. 9.8. 509. 100.0. 100.0. 18.
(21)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24_1. 자율환경관리에 의한 환경보전시책이 광양만 지역의 환경보전을 위해 효과가 없을 것으로 생각하는 이유 24-1. 그 이유가 있다면요? 변수값. 퍼센트. 유효 퍼센트. 환경보전을 위해 노력하겠다는 말을 믿을 수 없다. 1. 18. 3.5. 43.9. 아직은 시행상 무리가 많을 것 같다. 2. 19. 3.7. 46.3. 중간전달체계 미흡. 3. 1. 0.2. 2.4. 형식적일 것이다. 4. 2. 0.4. 4.9. 99. 1. 0.2. 2.4. 468. 91.9. 509. 100.0. 모르겠다 비해당. v25_1. 빈도. 0. 100.0. 자율환경관리를 통한 환경보전시책을 추진할 경우의 가능한 대상기업의 범위1 25_1. 자율환경관리를 통한 환경보전시책을 추진할 경우 대상기업의 범위는 어디까지 가능하다고 생각하세요? 제가 불러드리는 보기를 들으시고 있는대로 골라 주십시오.. v25_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든기업. 1. 302. 59.3. 59.3. 대기업. 2. 51. 10.0. 10.0. 중소기업. 3. 24. 4.7. 4.7. 공업단지내 기업(국가공단, 지방공단 등). 4. 41. 8.1. 8.1. 환경보전노력이 우수한 기업. 5. 34. 6.7. 6.7. 스스로 원하는 기업만. 6. 3. 0.6. 0.6. 모르겠다. 9. 54. 10.6. 10.6. 509.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356. 69.9. 69.9. 모든기업. 1. 12. 2.4. 2.4. 대기업. 2. 70. 13.8. 13.8. 중소기업. 3. 25. 4.9. 4.9. 공업단지내 기업(국가공단, 지방공단 등). 4. 21. 4.1. 4.1. 환경보전노력이 우수한 기업. 5. 18. 3.5. 3.5. 스스로 원하는 기업만. 6. 6. 1.2. 1.2. 모르겠다. 9. 1. 0.2. 0.2. 509. 100.0. 100.0. 자율환경관리를 통한 환경보전시책을 추진할 경우의 가능한 대상기업의 범위2. 19.
(22)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25_3. v25_4. v25_5. v26. 자율환경관리를 통한 환경보전시책을 추진할 경우의 가능한 대상기업의 범위3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451. 88.6. 88.6. 모든기업. 1. 2. 0.4. 0.4. 대기업. 2. 2. 0.4. 0.4. 중소기업. 3. 46. 9.0. 9.0. 공업단지내 기업(국가공단, 지방공단 등). 4. 1. 0.2. 0.2. 환경보전노력이 우수한 기업. 5. 4. 0.8. 0.8. 스스로 원하는 기업만. 6. 3. 0.6. 0.6. 509.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478. 93.9. 93.9. 공업단지내 기업(국가공단, 지방공단 등). 4. 31. 6.1. 6.1. 509. 100.0. 100.0.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무응답. 0. 481. 94.5. 94.5. 환경보전노력이 우수한 기업. 5. 28. 5.5. 5.5. 509. 100.0. 100.0. 자율환경관리를 통한 환경보전시책을 추진할 경우의 가능한 대상기업의 범위4. 자율환경관리를 통한 환경보전시책을 추진할 경우의 가능한 대상기업의 범위5. 자율환경관리를 통한 환경보전시책을 시행할 경우 주민의 참여 필요성 여부 26. 자율환경관리를 통한 환경보전시책을 시행할 경우 이를 시행하기 위한 기구의 구성에 주민의 참여가 필요 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필요하다. 1. 482. 94.7. 94.7. 필요하지 않다. 2. 10. 2.0. 2.0. 모르겠다. 9. 17. 3.3. 3.3. 509. 100.0. 100.0. 20.
(23)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v26_1. 자율환경관리 시행을 위한 기구를 구성할 경우 적합한 참여주체1 26_1.자율환경관리 시행을 위한 기구를 구성할 경우 주민의 참여주체로는 누가 적합하다고 생각하세요? 제가 불러드리는 보기를 들으시고 있는대로 골라 주십시오.. v26_2.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주민 개개인. 1. 151. 29.7. 31.3. 민간단체. 2. 257. 50.5. 53.3. 지방의회. 3. 51. 10.0. 10.6. 모르겠다. 9. 23. 4.5. 4.8. 비해당. 0. 27. 5.3.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율환경관리 시행을 위한 기구를 구성할 경우 적합한 참여주체2 변수값. v26_3. 주민 개개인. 1. 21. 4.1. 14.4. 민간단체. 2. 77. 15.1. 52.7. 지방의회. 3. 48. 9.4. 32.9. 비해당. 0. 363. 71.3.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율환경관리 시행을 위한 기구를 구성할 경우 적합한 참여주체3 변수값. educ. 주민 개개인. 1. 6. 1.2. 16.7. 민간단체. 2. 1. 0.2. 2.8. 지방의회. 3. 29. 5.7. 80.6. 비해당. 0. 473. 92.9.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응답자 학력 ※학교는 어디까지 다니셨어요? 변수값 무학인 경우. 0. 35. 6.9. 6.9. 3년. 3. 1. 0.2. 0.2. 4년. 4. 1. 0.2. 0.2. 6년. 6. 50. 9.8. 9.8. 7년. 7. 1. 0.2. 0.2. 21.
(24) A1-2000-0044 광양만 지역환경 관리실태에 관한 설문조사. 9년. occu. 9. 40. 7.9. 7.9. 10 년. 10. 1. 0.2. 0.2. 11 년. 11. 2. 0.4. 0.4. 12 년. 12. 217. 42.6. 42.6. 13 년. 13. 18. 3.5. 3.5. 14 년. 14. 46. 9.0. 9.0. 15 년. 15. 4. 0.8. 0.8. 16 년. 16. 80. 15.7. 15.7. 17 년. 17. 1. 0.2. 0.2. 18 년. 18. 1. 0.2. 0.2. 21 년. 21. 2. 0.4. 0.4. 무응답. 99. 9. 1.8. 1.8. 509. 100.0. 100.0.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응답자 직업 ※OO님은 어떤 일을 하세요? 변수값 농/임/어업. 1. 76. 14.9. 14.9. 자영업. 2. 47. 9.2. 9.2. 공장근로자. 3. 57. 11.2. 11.2. 사무실근로자. 4. 86. 16.9. 16.9. 가정주부. 5. 161. 31.6. 31.6. 학생/대학생. 6. 34. 6.7. 6.7. 무직. 7. 44. 8.6. 8.6. 군인. 8. 3. 0.6. 0.6. 99. 1. 0.2. 0.2. 509. 100.0. 100.0. 무응답. 22.
(25)
Dokumen terkait
아래 문항은 부대원들 간의 관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상황에 대한 질문입니다... 귀하가 위의 상황을 가장 많이
① 어린이집의 먹을거리가 매우 걱정되어 어린이집에 보내고 싶지 않을 정도이다 ② 어린이집에 보내긴 하나 먹을거리가 다소 걱정된다 ③ 어린이집에 먹을거리 안전을 위한 조치가 마련되어 있어 안심하고 보낸다 3-11... 다음은 어린이집에서 하고 있는 특별활동에 관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