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구 조 설 계 서 - 목포해양대학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구 조 설 계 서 - 목포해양대학교"

Copied!
16
0
0

Teks penuh

(1)

[목포해양대 해양컴퓨터공학과 프로젝트]

구 조 설 계 서

과제명 : 어망탐지시스템 발표일 : 2014.05.12 작성팀 : 웅이네

학 번 이 름

20084055 박 성 웅

20094082 한 길

20094087 고 민 주

20104025 윤 정 민

(2)

목 차

1. 개 요 ··· ···3

2. 시스템 구조도 ··· ···4

2.1. 시스템 구조개요 ··· 4

2.2. 시스템구조도 ··· 5

2.3. 모듈설명 ··· 7

3. 데이터구조 및 ERD ··· 12

3.1. 데이터구조 ··· 12

3.2. ERD ··· 13

4. 상세 UI프로토타입 ··· 14

(3)

1. 개 요 1.1. 기능

☞ GPS센서를 탑재한 부표를 통하여 현재 어망 위치 제공(Naver Map)

☞ LED를 통하여 육안으로 부표 위치 확인 가능

☞ 과거 어망 설치했던 해역확인 및 어획량 정보 제공(Naver Map,DataBase)

1.2. 시스템 구조도를 통해 데이터 및 제어 흐름 설명

☞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로 나누고 프로토콜을 주고받으며 연결할 수 있다

☞ RF모듈을 통해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 DB에 저장된 데이터를 실시간위치에서 확인할 수 있고 데이터가 전달되어 과거위치 와 어획량도 확인할 수 있다.

1.3. 기능의 모듈화를 통해 시스템 구조화

☞ 부표를 중심으로 LED, 부표측 RF모듈, GPS센서, 프로세서로 어망모니터링단말기를 중심으로 부표의 실시간 위치파악, 과거위치 어획량 파악, 부표회수, LED원격제어, UI, Naver Map, 단말기측 RF모듈, GPS센서로 모듈화하여 구조화할 수 있다.

1.4. 데이터 구조를 통해 시스템 데이터 이해

☞ 프로토콜 사용 (부표 프로토콜과 부표호출프로토콜사용)

☞ 부표 프로토콜은 부표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한 배의 순번, 부표의 순번, 위도, 경도 의 정보가 저장되어 있고, 부표호출 프로토콜에는 LED를 ON/OFF하기위한 LED_flag 가 저장되어있다.

1.5. ERD를 통해 시스템과 DataBase 구조 이해

(4)

2. 시스템 구조도 2.1. 시스템 구조 개요

☞ 기능별 모듈화를 통해 시스템 구조화

☞ 모듈간 데이터 및 제어 흐름 설명

2.2. 시스템 구조도

☞ 부표 모듈중심 구조도

(5)

☞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중심 모듈 구조도

(6)
(7)

2.3. 모듈 설명

M1부표

모듈기능 모듈호출 처리, 모듈간 데이터 흐름제어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부표호출,GPS정보

출력 : 부표정보, LED제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LED, 부표측 RF모듈,GPS센서

M1.1 LED

모듈기능 조명 제공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LED제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M1.2 부표측 RF모듈

모듈기능 프로토콜 송․수신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부표정보

출력 : 부표호출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부표, 프로세서, 단말기측 RF모듈

M1.3 GPS센서

모듈기능 GPS정보 수신

모듈인터페이스 출력 : GPS정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부표, 프로세서

(8)

M1.4 프로세서

모듈기능 GPS데이터 파싱, LED 제어, RF모듈제어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GPS정보, 부표호출

출력 : 부표정보, LED제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GPS센서, 부표측 RF모듈, LED

M2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모듈기능 프로토콜 파싱, 모듈간 데이터 흐름제어, 환경설정 저장 배 GPS정보 파싱, COM번호 저장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부표정보, 부표호출,GPS정보, 버튼이벤트정보, 실시간 위치정보, 맵핑한 지도, 설치정보, LED_flag,

어획량 정보, 과거위치정보, COM번호

출력 : 부표정보, 부표호출, 버튼이벤트 정보, 실시간 위치정보, 맵핑한 지도, 어획량 정보, 과거위치정보,

설치정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부표의 실시간 위치 파악, 과거위치 어획량 파악, 부표설치, 부표회수, LED원격제어, UI, Naver Map,

단말기측 RF모듈, GPS센서, 환경설정 M2.1 부표 실시간 위치파악

모듈기능 어망 테이블에 데이터 저장, 실시간 위치정보 출력, 부표 호출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부표정보, 버튼이벤트 정보, 설치정보 출력 : 부표호출, 실시간 위치정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베이스 : 어망 테이블

호출하는 모듈 단말기측 RF모듈, 어망모니터링 단말기, UI, Naver Map

(9)

M2.2 과거위치 어획량 검색

모듈기능 과거위치정보 및 어획량정보 출력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버튼 이벤트 정보 출력 : 어획량정보, 과거위치정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베이스 : 어획정보 테이블

호출하는 모듈 UI, Naver Map,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M2.3 환경설정

모듈기능 COM포트 설정, 배식별번호 저장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버튼 이벤트 정보, COM포트, 배식별번호 출력 : COM포트, 배식별번호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M2.4 부표 이력 기록

모듈기능 회수된 부표의 위치정보와 어획량 저장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부표정보, 버튼이벤트 정보, 어획량 정보, 설치상태

출력 : 부표호출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단말기측 RF모듈

(10)

M2.5 부표 제어

모듈기능 사용자 임의대로 LED 원격 제어 부표호출프로토콜에 LED_flag 체크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버튼이벤트정보

출력 : LED_Flag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단말기측 RF모듈

M2.6 UI

모듈기능 사용자가 기능을 선택할 수 있는 화면 및 결과출력화면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맵핑한 지도

출력 : 버튼이벤트 정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UI

(11)

M2.7 Naver Map 맵핑

모듈기능 위치정보와 어획량정보를 받아 Map 맵핑한 화면 출력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실시간 위치정보, 과거위치정보, 어획량 정보

출력 : 맵핑한 지도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UI,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M2.8 단말기측 RF모듈

모듈기능 프로토콜 송․수신

모듈인터페이스 입력 : 부표 호출

출력 : 부표 정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부표측 RF모듈

M2.9 GPS센서

모듈기능 GPS정보 수신

모듈인터페이스 출력 : GPS정보

사용하는 파일 또는 데이터베이스

호출하는 모듈 어망 모니터링 단말기

(12)

3. 데이터 구조 및 ERD 3.1. 데이터 구조

☞ A : 부표정보 => 배식별번호, 부표식별번호, 위치정보(부표 프로토콜에 포함)

☞ B : 부표호출 => LED_flag, Call_flag(호출 프로토콜에 포함)

☞ C : GPS 정보 => GPS센서에 나오는 정보로 시간, 위도,경도 값 사용

☞ D : LED 제어 => 부표프로세서로 제어하기 위한 흐름

☞ E : 버튼 이벤트정보 => 사용자가 UI중 메뉴 선택시 발행하는 이벤트 정보

☞ F : 실시간 위치정보 => 현재 부표들의 위치정보

☞ G : 맵핑한 지도 => 위치정보들을 받아 Naver Map에 맵핑한 지도

☞ H : 어획량 정보=> 사용자가 입력한 어획량 정보

☞ I : 과거 위치정보 => 회수시 저장한 위치정보

☞ J : LED_flag => LED전원제어를 위한 데이터, 부표호출 프로토콜에 포함

☞ K : 배 식별번호 => 배에 소속된 부표를 확인하기 위한 식별데이터

☞ L : COM번호 => 현재 열려있는 컴포트번호(RF모듈와 연결)

☞ 부표 프로토콜

$UNG,S001,B01,3442.1234,N,12525.1234,E*

$,* $ : 시작문자 / , : 구분문자 / * : 끝문자

UNG 헤더

S001 Ship Number 배에 순번부여, 제작시 부여

B01 Buoy Number 부표에 순번부여, 제작시 부여

3442.1234 ex)위도 34도 42.1234분

12525.1234 ex)경도 125도 25.1234분

☞ 부표호출 프로토콜

$UNGMC,S001,B01,1or0,1or0*

$,* $ : 시작문자 / , : 구분문자 / * : 끝문자

UNGMC 헤더

S001 Ship Number 배에 순번부여, 제작시 부여

B01 Buoy Number 부표에 순번부여, 제작시 부여

1or0 Call_flag 1 : 위치정보 송신 0 :

1or0 LED_flag 1 : On 0:off

(13)

3.2. ERD

☞ 테이블명세서

(14)

4. UI 프로토타입

◀ 기본화면

◀ 어획정보기록 선택시

(15)

실시간위치 선택시 화면

과거어획정보조회선택시

(16)

◀환경설정선택시화면

Referensi

Dokumen terkait

인터넷 라우팅 4 • 자율 Autonomous 시스템 • 다수의 라우터로 구성되며, 공통의 라우팅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정보 교환 • 동일한 라우팅 특성에 의해 동작하는 논리적인 단일 구성체 • 내부Interior 라우팅 프로토콜 • 자율 시스템 내부에서 사용하는 공통 프로토콜 • RIPRouting Inform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