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정관리시스템에 대한 설문조사
Bebas
21
0
0
Teks penuh
(2) 이 자료를 연구 및 저작에 이용, 참고 및 인용할 경우에는 KOSSDA의 자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 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 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최유성. 2005.「국정관리시스템에 대한 설문조사」. 연구수행기관: 한. 국행정연구원.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08년. 자료번호: A1-2005-0060.. ❚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08.「국정관리시스템에 대한 설문조사 코드 북」.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 니다..
(3) 설문분석에 필요한 기본사항으로, 응답자가 '공무원'인 경우 현재 직급에 표시해 주십시오. [변수이름] sta [변수설명] 응답자 직급 변수값 설명 (부)이사관급 ⋯⋯⋯⋯⋯⋯⋯⋯⋯⋯⋯⋯⋯⋯⋯⋯ 서기관급 ⋯⋯⋯⋯⋯⋯⋯⋯⋯⋯⋯⋯⋯⋯⋯⋯⋯ 사무관급 ⋯⋯⋯⋯⋯⋯⋯⋯⋯⋯⋯⋯⋯⋯⋯⋯⋯ 일선공무원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1.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4 26 122 172 15 35. 1.1 7.0 32.6 46.0 4.0 9.4. 1.1 7.0 32.6 46.0 4.0 9.4. 374. 100.0. 100.0. 다음은 국민의 정부 이후 실시되고 있는 주요 제도들입니다. 아래 제도들에 대한 귀하의 평가와 가장 부 합되는 항목에 ‘√’표를 해주십시오. 1.1 팀(team)제 [변수이름] q1_1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1: 팀(team)제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6 57 221 77 3. 4.3 15.2 59.1 20.6 0.8. 4.3 15.2 59.1 20.6 0.8. 374. 100.0. 100.0. 1.2 다면평가제 [변수이름] q1_2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2: 다면평가제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 47 132 168 20 1. 1.6 12.6 35.3 44.9 5.3 0.3. 1.6 12.6 35.3 44.9 5.3 0.3. 374. 100.0. 100.0. 1 / 19.
(4) 1.3 목표관리제(MBO) [변수이름] q1_3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3: 목표관리제(MBO)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2 75 193 78 6. 5.9 20.1 51.6 20.9 1.6. 5.9 20.1 51.6 20.9 1.6. 374. 100.0. 100.0. 1.4 개방형 임용제 [변수이름] q1_4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4: 개방형 임용제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 57 171 132 11. 0.8 15.2 45.7 35.3 2.9. 0.8 15.2 45.7 35.3 2.9. 374. 100.0. 100.0. 1.5 고위공무원제 [변수이름] q1_5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5: 고위공무원제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 47 249 53 11 4. 2.7 12.6 66.6 14.2 2.9 1.1. 2.7 12.6 66.6 14.2 2.9 1.1. 374. 100.0. 100.0. 1.6 부처간 인사교류 [변수이름] q1_6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6: 부처간 인사교류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3 80 158 107 15 1. 3.5 21.4 42.2 28.6 4.0 0.3. 3.5 21.4 42.2 28.6 4.0 0.3. 374. 100.0. 100.0. 2 / 19.
(5) 1.7 발생주의 회계 [변수이름] q1_7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7: 발생주의 회계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무응답 ⋯⋯⋯⋯⋯⋯⋯⋯⋯⋯⋯⋯⋯⋯⋯⋯⋯⋯.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4 30 277 55 5 3. 1.1 8.0 74.1 14.7 1.3 0.8. 1.1 8.0 74.1 14.7 1.3 0.8. 374. 100.0. 100.0.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1.8 총액인건비제 [변수이름] q1_8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8: 총액인건비제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7 39 233 91 2 2. 1.9 10.4 62.3 24.3 0.5 0.5. 1.9 10.4 62.3 24.3 0.5 0.5. 374. 100.0. 100.0. 1.9 기관평가제 [변수이름] q1_9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9: 기관평가제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1 88 151 118 6. 2.9 23.5 40.4 31.6 1.6. 2.9 23.5 40.4 31.6 1.6. 374. 100.0. 100.0. 1.10 성과연봉제 [변수이름] q1_10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10: 성과연봉제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 70 162 129 5 2. 1.6 18.7 43.3 34.5 1.3 0.5. 1.6 18.7 43.3 34.5 1.3 0.5. 374. 100.0. 100.0. 3 / 19.
(6) 1.11 서비스헌장제 [변수이름] q1_11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11: 서비스헌장제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1 53 150 136 12 2. 5.6 14.2 40.1 36.4 3.2 0.5. 5.6 14.2 40.1 36.4 3.2 0.5. 374. 100.0. 100.0. 1.12 인터넷민원서비스 [변수이름] q1_12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12: 인터넷민원서비스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3 19 66 220 55 1. 3.5 5.1 17.6 58.8 14.7 0.3. 3.5 5.1 17.6 58.8 14.7 0.3. 374. 100.0. 100.0. 1.13 민간위탁 [변수이름] q1_13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성패여부13: 민간위탁 변수값 설명 실패 ⋯⋯⋯⋯⋯⋯⋯⋯⋯⋯⋯⋯⋯⋯⋯⋯⋯⋯⋯ 대체로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대체로 성공 ⋯⋯⋯⋯⋯⋯⋯⋯⋯⋯⋯⋯⋯⋯⋯⋯ 성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 36 181 125 12. 5.3 9.6 48.4 33.4 3.2. 5.3 9.6 48.4 33.4 3.2. 374. 100.0. 100.0. 4 / 19.
(7) 2. 아래 설문들은 <문1>에서 제시된 각 제도에 대한 ‘긍정적’ 측면에 대한 문항들입니다. 이 들 중 귀하의 평가에 가장 가까운 항목에 ‘√’표를 해주십시오. 2.1 팀(team)제 [변수이름] q2_1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1: 팀(team)제 변수값 설명 단계축소에 따른 신속성 ⋯⋯⋯⋯⋯⋯⋯⋯⋯⋯⋯ 조직 생산성 증대 ⋯⋯⋯⋯⋯⋯⋯⋯⋯⋯⋯⋯⋯⋯ 분권화 효과 ⋯⋯⋯⋯⋯⋯⋯⋯⋯⋯⋯⋯⋯⋯⋯⋯ 인사운영의 합리성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65 68 84 44 8 5. 44.1 18.2 22.5 11.8 2.1 1.3. 44.1 18.2 22.5 11.8 2.1 1.3. 374. 100.0. 100.0. 2.2 책임운영기관제 [변수이름] q2_2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2: 책임운영기관제 변수값 설명 행정서비스의 품질 제고 ⋯⋯⋯⋯⋯⋯⋯⋯⋯⋯⋯ 재정 효율성의 증대 ⋯⋯⋯⋯⋯⋯⋯⋯⋯⋯⋯⋯⋯ 집행력 및 목표달성도의 증대 ⋯⋯⋯⋯⋯⋯⋯⋯ 기관의 자율성 증대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97 61 63 144 3 6. 25.9 16.3 16.8 38.5 0.8 1.6. 25.9 16.3 16.8 38.5 0.8 1.6. 374. 100.0. 100.0. 2.3 목표관리제 (MBO) [변수이름] q2_3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3: 목표관리제(MBO) 변수값 설명 성과중심 조직문화의 확산 ⋯⋯⋯⋯⋯⋯⋯⋯⋯⋯ 평가의 공정성 및 객관성 강화 ⋯⋯⋯⋯⋯⋯⋯⋯ 보상과의 연계 강화 ⋯⋯⋯⋯⋯⋯⋯⋯⋯⋯⋯⋯⋯ 조직의 효과성 증대 ⋯⋯⋯⋯⋯⋯⋯⋯⋯⋯⋯⋯⋯ 기타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80 54 83 33 14 10. 48.1 14.4 22.2 8.8 3.7 2.7. 48.1 14.4 22.2 8.8 3.7 2.7. 374. 100.0. 100.0. 5 / 19.
(8) 2.4 개방형임용제 [변수이름] q2_4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4: 개방형 임용제 변수값 설명 인사상의 경직성 완화 ⋯⋯⋯⋯⋯⋯⋯⋯⋯⋯⋯⋯ 전문성 향상 ⋯⋯⋯⋯⋯⋯⋯⋯⋯⋯⋯⋯⋯⋯⋯⋯ 대응성 및 책임성 향상 ⋯⋯⋯⋯⋯⋯⋯⋯⋯⋯⋯ 공직문화 쇄신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34 76 24 128 7 5. 35.8 20.3 6.4 34.2 1.9 1.3. 35.8 20.3 6.4 34.2 1.9 1.3. 374. 100.0. 100.0. 2.5 부처간 인사교류제 [변수이름] q2_5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5: 부처간 인사교류제 변수값 설명 부처할거주의 타파 ⋯⋯⋯⋯⋯⋯⋯⋯⋯⋯⋯⋯⋯ 기관간 시너지 효과 ⋯⋯⋯⋯⋯⋯⋯⋯⋯⋯⋯⋯⋯ 업무조정력 강화 ⋯⋯⋯⋯⋯⋯⋯⋯⋯⋯⋯⋯⋯⋯ 인력의 효율적 활용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57 56 71 76 9 5. 42.0 15.0 19.0 20.3 2.4 1.3. 42.0 15.0 19.0 20.3 2.4 1.3. 374. 100.0. 100.0. 2.6 복식부기 [변수이름] q2_6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6: 복식부기 변수값 설명 예산과정의 합리성 증대 ⋯⋯⋯⋯⋯⋯⋯⋯⋯⋯⋯ 효율성과 효과성 증대 ⋯⋯⋯⋯⋯⋯⋯⋯⋯⋯⋯⋯ 국민의 이해력 증대 ⋯⋯⋯⋯⋯⋯⋯⋯⋯⋯⋯⋯⋯ 시간과 비용의 절감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83 101 34 30 16 10. 48.9 27.0 9.1 8.0 4.3 2.7. 48.9 27.0 9.1 8.0 4.3 2.7. 374. 100.0. 100.0. 2.7 총액인건비제 [변수이름] q2_7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7: 총액인건비제 변수값 설명 자율성 증대 ⋯⋯⋯⋯⋯⋯⋯⋯⋯⋯⋯⋯⋯⋯⋯⋯ 효율적 사용 ⋯⋯⋯⋯⋯⋯⋯⋯⋯⋯⋯⋯⋯⋯⋯⋯ 절약의 유인 증대 ⋯⋯⋯⋯⋯⋯⋯⋯⋯⋯⋯⋯⋯⋯ 선택과 집중의 예산집행 가능 ⋯⋯⋯⋯⋯⋯⋯⋯ 기타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48 80 29 102 7 8. 39.6 21.4 7.8 27.3 1.9 2.1. 39.6 21.4 7.8 27.3 1.9 2.1. 374. 100.0. 100.0. 6 / 19.
(9) 2.8 기관평가제 [변수이름] q2_8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8: 기관평가제 변수값 설명 결과 및 고객지향적 문화 확산 ⋯⋯⋯⋯⋯⋯⋯⋯ 기관간 비교 평가 가능 ⋯⋯⋯⋯⋯⋯⋯⋯⋯⋯⋯ 경쟁에 따른 노력 유도 ⋯⋯⋯⋯⋯⋯⋯⋯⋯⋯⋯ 성과의 종합적 평가 기능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16 47 122 77 4 8. 31.0 12.6 32.6 20.6 1.1 2.1. 31.0 12.6 32.6 20.6 1.1 2.1. 374. 100.0. 100.0. 2.9 성과연봉제 [변수이름] q2_9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9: 성과연봉제 변수값 설명 보수결정의 합리성 증대 ⋯⋯⋯⋯⋯⋯⋯⋯⋯⋯⋯ 성과중심의 조직문화 ⋯⋯⋯⋯⋯⋯⋯⋯⋯⋯⋯⋯ 성과 향상에 기여 ⋯⋯⋯⋯⋯⋯⋯⋯⋯⋯⋯⋯⋯⋯ 개인의 업무 성과 증대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48 186 51 79 4 6. 12.8 49.7 13.6 21.1 1.1 1.6. 12.8 49.7 13.6 21.1 1.1 1.6. 374. 100.0. 100.0. 2.10 서비스헌장제 [변수이름] q2_10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10: 서비스헌장제 변수값 설명 고객 개념의 도입 ⋯⋯⋯⋯⋯⋯⋯⋯⋯⋯⋯⋯⋯⋯ 성과중심 인사체계의 근거 ⋯⋯⋯⋯⋯⋯⋯⋯⋯⋯ 질적 개선 효과 ⋯⋯⋯⋯⋯⋯⋯⋯⋯⋯⋯⋯⋯⋯⋯ 책임행정 구현에 기여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9 20 94 39 6 6. 55.9 5.3 25.1 10.4 1.6 1.6. 55.9 5.3 25.1 10.4 1.6 1.6. 374. 100.0. 100.0. 2.11 인터넷 민원서비스제 [변수이름] q2_11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11: 인터넷민원서비스 변수값 설명 민원서비스의 신속 효율화 ⋯⋯⋯⋯⋯⋯⋯⋯⋯⋯ 행정인력의 감축 ⋯⋯⋯⋯⋯⋯⋯⋯⋯⋯⋯⋯⋯⋯ 전자정부 수준의 향상 ⋯⋯⋯⋯⋯⋯⋯⋯⋯⋯⋯⋯ 투명성 제고 ⋯⋯⋯⋯⋯⋯⋯⋯⋯⋯⋯⋯⋯⋯⋯⋯ 기타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12 26 76 51 2 7. 56.7 7.0 20.3 13.6 0.5 1.9. 56.7 7.0 20.3 13.6 0.5 1.9. 374. 100.0. 100.0. 7 / 19.
(10) 2.12 민간위탁제 [변수이름] q2_12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긍정적 의견12: 민간위탁제 변수값 설명 효과성 증대 ⋯⋯⋯⋯⋯⋯⋯⋯⋯⋯⋯⋯⋯⋯⋯⋯ 질적 향상 ⋯⋯⋯⋯⋯⋯⋯⋯⋯⋯⋯⋯⋯⋯⋯⋯⋯ 운영 효율성 증대 ⋯⋯⋯⋯⋯⋯⋯⋯⋯⋯⋯⋯⋯⋯ 전문성 효과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3.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74 58 84 145 4 9. 19.8 15.5 22.5 38.8 1.1 2.4. 19.8 15.5 22.5 38.8 1.1 2.4. 374. 100.0. 100.0. 아래에는 제시된 각 제도들에 대한 ‘부정적’ 측면에 대한 문항들입니다. 이들 중 귀하의 평가와 가장 가 까운 항목에 ‘√’표를 해주십시오. 3.1 팀(team)제 [변수이름] q3_1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1: 팀(team)제 변수값 설명 삶의 질 저하 ⋯⋯⋯⋯⋯⋯⋯⋯⋯⋯⋯⋯⋯⋯⋯⋯ 비효율성 ⋯⋯⋯⋯⋯⋯⋯⋯⋯⋯⋯⋯⋯⋯⋯⋯⋯ 조직 분위기의 악화 ⋯⋯⋯⋯⋯⋯⋯⋯⋯⋯⋯⋯⋯ 업무량 과다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71 198 38 50 9 8. 19.0 52.9 10.2 13.4 2.4 2.1. 19.0 52.9 10.2 13.4 2.4 2.1. 374. 100.0. 100.0. 3.2 책임운영기관제 [변수이름] q3_2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2: 책임운영기관제 변수값 설명 불공정성 ⋯⋯⋯⋯⋯⋯⋯⋯⋯⋯⋯⋯⋯⋯⋯⋯⋯ 독립성 및 자율성의 부족 ⋯⋯⋯⋯⋯⋯⋯⋯⋯⋯ 인사상 불이익 ⋯⋯⋯⋯⋯⋯⋯⋯⋯⋯⋯⋯⋯⋯⋯ 예산운용의 어려움 ⋯⋯⋯⋯⋯⋯⋯⋯⋯⋯⋯⋯⋯ 기타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79 152 67 56 10 10. 21.1 40.6 17.9 15.0 2.7 2.7. 21.1 40.6 17.9 15.0 2.7 2.7. 374. 100.0. 100.0. 8 / 19.
(11) 3.3 목표관리제 (MBO) [변수이름] q3_3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3: 목표관리제(MBO) 변수값 설명 개발의 어려움 ⋯⋯⋯⋯⋯⋯⋯⋯⋯⋯⋯⋯⋯⋯⋯ 연계성 부족 ⋯⋯⋯⋯⋯⋯⋯⋯⋯⋯⋯⋯⋯⋯⋯⋯ 생산성 저하 ⋯⋯⋯⋯⋯⋯⋯⋯⋯⋯⋯⋯⋯⋯⋯⋯ 성과목표 설정의 어려움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9 80 31 41 5 8. 55.9 21.4 8.3 11.0 1.3 2.1. 55.9 21.4 8.3 11.0 1.3 2.1. 374. 100.0. 100.0. 3.4 개방형임용제 [변수이름] q3_4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4: 개방형 임용제 변수값 설명 형식적 운영 ⋯⋯⋯⋯⋯⋯⋯⋯⋯⋯⋯⋯⋯⋯⋯⋯ 따돌림 분위기 ⋯⋯⋯⋯⋯⋯⋯⋯⋯⋯⋯⋯⋯⋯⋯ 신분상의 불안정성 ⋯⋯⋯⋯⋯⋯⋯⋯⋯⋯⋯⋯⋯ 낮은 이해와 조직 부적응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88 34 55 183 4 10. 23.5 9.1 14.7 48.9 1.1 2.7. 23.5 9.1 14.7 48.9 1.1 2.7. 374. 100.0. 100.0. 3.5 부처간 인사교류제 [변수이름] q3_5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5: 부처간 인사교류제 변수값 설명 전문성 부족 ⋯⋯⋯⋯⋯⋯⋯⋯⋯⋯⋯⋯⋯⋯⋯⋯ 타부처 상사에 대한 따돌림 ⋯⋯⋯⋯⋯⋯⋯⋯⋯ 인사상 불이익 ⋯⋯⋯⋯⋯⋯⋯⋯⋯⋯⋯⋯⋯⋯⋯ 소속감 결여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8 38 64 149 7 8. 28.9 10.2 17.1 39.8 1.9 2.1. 28.9 10.2 17.1 39.8 1.9 2.1. 374. 100.0. 100.0. 3.6 복식부기 [변수이름] q3_6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6: 복식부기 변수값 설명 시간과 비용이 소요 ⋯⋯⋯⋯⋯⋯⋯⋯⋯⋯⋯⋯⋯ 전문교육의 필요성 ⋯⋯⋯⋯⋯⋯⋯⋯⋯⋯⋯⋯⋯ 이해 부족과 저항 ⋯⋯⋯⋯⋯⋯⋯⋯⋯⋯⋯⋯⋯⋯ 획일적 도입 ⋯⋯⋯⋯⋯⋯⋯⋯⋯⋯⋯⋯⋯⋯⋯⋯ 기타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95 98 48 113 12 8. 25.4 26.2 12.8 30.2 3.2 2.1. 25.4 26.2 12.8 30.2 3.2 2.1. 374. 100.0. 100.0. 9 / 19.
(12) 3.7 총액인건비제 [변수이름] q3_7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7: 총액인건비제 변수값 설명 직급 인플에이션 ⋯⋯⋯⋯⋯⋯⋯⋯⋯⋯⋯⋯⋯⋯ 예산 효율성 저하 ⋯⋯⋯⋯⋯⋯⋯⋯⋯⋯⋯⋯⋯⋯ 예산배정 기준의 합리성 ⋯⋯⋯⋯⋯⋯⋯⋯⋯⋯⋯ 평가기준의 자의적 운영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10 51 75 117 10 11. 29.4 13.6 20.1 31.3 2.7 2.9. 29.4 13.6 20.1 31.3 2.7 2.9. 374. 100.0. 100.0. 3.8 기관평가제 [변수이름] q3_8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8: 기관평가제 변수값 설명 기관별 특수성이 반영되지 않음 ⋯⋯⋯⋯⋯⋯⋯ 중복 및 연계성 부족 ⋯⋯⋯⋯⋯⋯⋯⋯⋯⋯⋯⋯ 평가자 지식과 전문성 결여 ⋯⋯⋯⋯⋯⋯⋯⋯⋯ 환류시스템 미흡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6 51 82 24 4 7. 55.1 13.6 21.9 6.4 1.1 1.9. 55.1 13.6 21.9 6.4 1.1 1.9. 374. 100.0. 100.0. 3.9 성과연봉제 [변수이름] q3_9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9: 성과연봉제 변수값 설명 위화감 증대 ⋯⋯⋯⋯⋯⋯⋯⋯⋯⋯⋯⋯⋯⋯⋯⋯ 연공서열에 따른 형식적인 운영 ⋯⋯⋯⋯⋯⋯⋯ 평가지표 등 여건 미비 ⋯⋯⋯⋯⋯⋯⋯⋯⋯⋯⋯ 문화와의 보조화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5 84 179 34 2 10. 17.4 22.5 47.9 9.1 0.5 2.7. 17.4 22.5 47.9 9.1 0.5 2.7. 374. 100.0. 100.0. 3.10 서비스헌장제 [변수이름] q3_10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10: 서비스헌장제 변수값 설명 형식적 운영 ⋯⋯⋯⋯⋯⋯⋯⋯⋯⋯⋯⋯⋯⋯⋯⋯ 주민 참여의 부족 ⋯⋯⋯⋯⋯⋯⋯⋯⋯⋯⋯⋯⋯⋯ 전담 조직 및 인력 부족 ⋯⋯⋯⋯⋯⋯⋯⋯⋯⋯⋯ 인센티브 제도의 부족 ⋯⋯⋯⋯⋯⋯⋯⋯⋯⋯⋯⋯ 기타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5 28 82 58 1 10. 52.1 7.5 21.9 15.5 0.3 2.7. 52.1 7.5 21.9 15.5 0.3 2.7. 374. 100.0. 100.0. 10 / 19.
(13) 3.11 인터넷 민원서비스제 [변수이름] q3_11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11: 인터넷민원서비스 변수값 설명 위변조의 위험 ⋯⋯⋯⋯⋯⋯⋯⋯⋯⋯⋯⋯⋯⋯⋯ 단축 효과 미흡 ⋯⋯⋯⋯⋯⋯⋯⋯⋯⋯⋯⋯⋯⋯⋯ 개인정보의 유출 ⋯⋯⋯⋯⋯⋯⋯⋯⋯⋯⋯⋯⋯⋯ 접근성 제약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11 53 124 73 4 9. 29.7 14.2 33.2 19.5 1.1 2.4. 29.7 14.2 33.2 19.5 1.1 2.4. 374. 100.0. 100.0. 3.12 민간위탁제 [변수이름] q3_12 [변수설명] 국정관리 관련 제도에 대한 부정적 의견12: 민간위탁제 변수값 설명 실질적 효과 미미 ⋯⋯⋯⋯⋯⋯⋯⋯⋯⋯⋯⋯⋯⋯ 행정책임성의 저하 ⋯⋯⋯⋯⋯⋯⋯⋯⋯⋯⋯⋯⋯ 행정서비스의 질적 저하 ⋯⋯⋯⋯⋯⋯⋯⋯⋯⋯⋯ 부정 불법 운영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4.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4 165 74 60 3 8. 17.1 44.1 19.8 16.0 0.8 2.1. 17.1 44.1 19.8 16.0 0.8 2.1. 374. 100.0. 100.0. 다음은 현 정부의 주요 조직개편에 대한 평가 항목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가장 근접한 항목에 ‘√’표를 해주 4.1 청와대 조직개편 [변수이름] q4_1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1: 청와대 조직개편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5 73 233 51 2. 4.0 19.5 62.3 13.6 0.5. 4.0 19.5 62.3 13.6 0.5. 374. 100.0. 100.0. 4.2 과학기술부 장관의 부총리급 격상 [변수이름] q4_2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2: 과학기술부 장관의 부총리급 격상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 43 166 139 20. 1.6 11.5 44.4 37.2 5.3. 1.6 11.5 44.4 37.2 5.3. 374. 100.0. 100.0 11 / 19.
(14) 4.3 소방방재청 신설 [변수이름] q4_3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3: 소방방재청 신설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7 23 139 179 26. 1.9 6.1 37.2 47.9 7.0. 1.9 6.1 37.2 47.9 7.0. 374. 100.0. 100.0. 4.4 중앙인사위원회로 인사기능 통합 [변수이름] q4_4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4: 중앙인사위원회로 이사가능 통합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8 24 116 192 33 1. 2.1 6.4 31.0 51.3 8.8 0.3. 2.1 6.4 31.0 51.3 8.8 0.3. 374. 100.0. 100.0. 4.5 법제처의 장관급 기관 격상 [변수이름] q4_5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5: 법제처의 장관급 기관 격상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2 44 236 76 6. 3.2 11.8 63.1 20.3 1.6. 3.2 11.8 63.1 20.3 1.6. 374. 100.0. 100.0. 4.6 국가홍보처의 장관급 기관 격상 [변수이름] q4_6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6: 국가홍보처의 장관급 기관 격상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2 80 203 63 5 1. 5.9 21.4 54.3 16.8 1.3 0.3. 5.9 21.4 54.3 16.8 1.3 0.3. 374. 100.0. 100.0 12 / 19.
(15) 4.7 문화재청의 차관급 기관 격상 [변수이름] q4_7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7: 문화재청의 차관급 기관 격상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1 36 185 125 7. 5.6 9.6 49.5 33.4 1.9. 5.6 9.6 49.5 33.4 1.9. 374. 100.0. 100.0. 4.8 기상청의 차관급 기관 격상 [변수이름] q4_8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8: 기상청의 차관급 기관 격상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1 54 190 111 8. 2.9 14.4 50.8 29.7 2.1. 2.9 14.4 50.8 29.7 2.1. 374. 100.0. 100.0. 4.9 복수차관제 도입 [변수이름] q4_9 [변수설명] 정부조직 개편에 대한 평가9: 복수차관제 도입 변수값 설명 실패 ⋯⋯⋯⋯⋯⋯⋯⋯⋯⋯⋯⋯⋯⋯⋯⋯⋯⋯⋯ 비교적 실패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성공 ⋯⋯⋯⋯⋯⋯⋯⋯⋯⋯⋯⋯⋯⋯⋯⋯ 성공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9 75 176 79 14 1. 7.8 20.1 47.1 21.1 3.7 0.3. 7.8 20.1 47.1 21.1 3.7 0.3. 374. 100.0. 100.0. 13 / 19.
(16) 5. 아래에 제시한 위원회의 역할 가운데 귀하께서 업무수행을 하는데 가장 도움이 되었다고 생각하는 것을 두 가지만 골라 순위대로 적어주십시오. [변수이름] q5_1 [변수설명] 위원회 업무수행중 도움 1순위 변수값 설명 정책자문 ⋯⋯⋯⋯⋯⋯⋯⋯⋯⋯⋯⋯⋯⋯⋯⋯⋯ 평가자문 ⋯⋯⋯⋯⋯⋯⋯⋯⋯⋯⋯⋯⋯⋯⋯⋯⋯ 조사기능 ⋯⋯⋯⋯⋯⋯⋯⋯⋯⋯⋯⋯⋯⋯⋯⋯⋯ 심의기능 ⋯⋯⋯⋯⋯⋯⋯⋯⋯⋯⋯⋯⋯⋯⋯⋯⋯ 의결기능 ⋯⋯⋯⋯⋯⋯⋯⋯⋯⋯⋯⋯⋯⋯⋯⋯⋯ 갈등 분쟁의 조정기능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6 7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8 52 37 26 14 19 6 22. 52.9 13.9 9.9 7.0 3.7 5.1 1.6 5.9. 52.9 13.9 9.9 7.0 3.7 5.1 1.6 5.9. 374. 100.0. 100.0. [변수이름] q5_2 [변수설명] 위원회 업무수행중 도움 2순위 변수값 설명 정책자문 ⋯⋯⋯⋯⋯⋯⋯⋯⋯⋯⋯⋯⋯⋯⋯⋯⋯ 평가자문 ⋯⋯⋯⋯⋯⋯⋯⋯⋯⋯⋯⋯⋯⋯⋯⋯⋯ 조사기능 ⋯⋯⋯⋯⋯⋯⋯⋯⋯⋯⋯⋯⋯⋯⋯⋯⋯ 심의기능 ⋯⋯⋯⋯⋯⋯⋯⋯⋯⋯⋯⋯⋯⋯⋯⋯⋯ 의결기능 ⋯⋯⋯⋯⋯⋯⋯⋯⋯⋯⋯⋯⋯⋯⋯⋯⋯ 갈등 분쟁의 조정기능 ⋯⋯⋯⋯⋯⋯⋯⋯⋯⋯⋯⋯ 기타 ⋯⋯⋯⋯⋯⋯⋯⋯⋯⋯⋯⋯⋯⋯⋯⋯⋯⋯⋯ 무응답 ⋯⋯⋯⋯⋯⋯⋯⋯⋯⋯⋯⋯⋯⋯⋯⋯⋯⋯. 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2 3 4 5 6 7 9. 22 80 49 53 27 79 5 59. 5.9 21.4 13.1 14.2 7.2 21.1 1.3 15.8. 5.9 21.4 13.1 14.2 7.2 21.1 1.3 15.8. 374. 100.0. 100.0. 합계. 6. 현행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 항목들입니다. 귀하의 생각과 가장 근접한 항목에 ‘√’표를 해주십시오. 6.1 부처와 위원회간 책임과 권한 배분 [변수이름] q6_1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1: 부처와 위원회간 책임과 권한 배분 변수값 설명 아주 부적절 ⋯⋯⋯⋯⋯⋯⋯⋯⋯⋯⋯⋯⋯⋯⋯⋯ 비교적 부적절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적절 ⋯⋯⋯⋯⋯⋯⋯⋯⋯⋯⋯⋯⋯⋯⋯⋯ 매우 적절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0 105 193 53 2 1. 5.3 28.1 51.6 14.2 0.5 0.3. 5.3 28.1 51.6 14.2 0.5 0.3. 374. 100.0. 100.0. 14 / 19.
(17) 6.2 위원회의 인적 구성의 적절성 [변수이름] q6_2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2: 위원회의 인적 구성의 적절성 변수값 설명 아주 부적절 ⋯⋯⋯⋯⋯⋯⋯⋯⋯⋯⋯⋯⋯⋯⋯⋯ 비교적 부적절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적절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4 98 180 81 1. 3.7 26.2 48.1 21.7 0.3. 3.7 26.2 48.1 21.7 0.3. 374. 100.0. 100.0. 6.3 위원회 수의 적절성 [변수이름] q6_3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3: 위원회 수의 적절성 변수값 설명 아주 부적절 ⋯⋯⋯⋯⋯⋯⋯⋯⋯⋯⋯⋯⋯⋯⋯⋯ 비교적 부적절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적절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9 130 159 54 2. 7.8 34.8 42.5 14.4 0.5. 7.8 34.8 42.5 14.4 0.5. 374. 100.0. 100.0. 6.4 위원회간 기능 배분(구분) [변수이름] q6_4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4: 위원회간 기능 배분(구분) 변수값 설명 아주 부적절 ⋯⋯⋯⋯⋯⋯⋯⋯⋯⋯⋯⋯⋯⋯⋯⋯ 비교적 부적절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적절 ⋯⋯⋯⋯⋯⋯⋯⋯⋯⋯⋯⋯⋯⋯⋯⋯ 매우 적절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1 119 190 51 2 1. 2.9 31.8 50.8 13.6 0.5 0.3. 2.9 31.8 50.8 13.6 0.5 0.3. 374. 100.0. 100.0. 6.5 위원회 위원의 전문성 [변수이름] q6_5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5: 위원회 위원의 전문성 변수값 설명 아주 부적절 ⋯⋯⋯⋯⋯⋯⋯⋯⋯⋯⋯⋯⋯⋯⋯⋯ 비교적 부적절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적절 ⋯⋯⋯⋯⋯⋯⋯⋯⋯⋯⋯⋯⋯⋯⋯⋯ 매우 적절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4 59 184 113 3 1. 3.7 15.8 49.2 30.2 0.8 0.3. 3.7 15.8 49.2 30.2 0.8 0.3. 374. 100.0. 100.0. 15 / 19.
(18) 6.6 위원회 결정의 실질적인 효과성 [변수이름] q6_6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6: 위원회 결정의 실질적인 효과성 변수값 설명 아주 부적절 ⋯⋯⋯⋯⋯⋯⋯⋯⋯⋯⋯⋯⋯⋯⋯⋯ 비교적 부적절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적절 ⋯⋯⋯⋯⋯⋯⋯⋯⋯⋯⋯⋯⋯⋯⋯⋯ 매우 적절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7 110 182 58 4 3. 4.5 29.4 48.7 15.5 1.1 0.8. 4.5 29.4 48.7 15.5 1.1 0.8. 374. 100.0. 100.0. 6.7 위원회 운영의 효율성 [변수이름] q6_7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7: 위원회 운영의 효율성 변수값 설명 아주 부적절 ⋯⋯⋯⋯⋯⋯⋯⋯⋯⋯⋯⋯⋯⋯⋯⋯ 비교적 부적절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적절 ⋯⋯⋯⋯⋯⋯⋯⋯⋯⋯⋯⋯⋯⋯⋯⋯ 매우 적절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5 108 185 52 3 1. 6.7 28.9 49.5 13.9 0.8 0.3. 6.7 28.9 49.5 13.9 0.8 0.3. 374. 100.0. 100.0. 6.8 위원회의 (분야별) 대표성 [변수이름] q6_8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제도에 대한 평가8: 위원회의 (분야별) 대표성 변수값 설명 아주 부적절 ⋯⋯⋯⋯⋯⋯⋯⋯⋯⋯⋯⋯⋯⋯⋯⋯ 비교적 부적절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적절 ⋯⋯⋯⋯⋯⋯⋯⋯⋯⋯⋯⋯⋯⋯⋯⋯ 매우 적절 ⋯⋯⋯⋯⋯⋯⋯⋯⋯⋯⋯⋯⋯⋯⋯⋯⋯ 무응답 ⋯⋯⋯⋯⋯⋯⋯⋯⋯⋯⋯⋯⋯⋯⋯⋯⋯⋯ 합계. 변수값 1 2 3 4 5 9.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 84 188 75 6 2. 5.1 22.5 50.3 20.1 1.6 0.5. 5.1 22.5 50.3 20.1 1.6 0.5. 374. 100.0. 100.0. 16 / 19.
(19) 7. 정부위원회의 위원들의 활동과 관련하여 아래 항목 중에서 귀하의 생각과 가장 근접한 항목에 ‘√’표를 해 주십시오. [변수이름] q7 [변수설명] 정부위원회 위원들의 활동평가 변수값 설명. 변수값 1 2 3 4 5 9. 공평무사한 결정 ⋯⋯⋯⋯⋯⋯⋯⋯⋯⋯⋯⋯⋯⋯ 형식적인 역할을 담당 ⋯⋯⋯⋯⋯⋯⋯⋯⋯⋯⋯⋯ 집단의 이익을 적극 대변 ⋯⋯⋯⋯⋯⋯⋯⋯⋯⋯ 위촉한 정당(기관)의 입장 대변 ⋯⋯⋯⋯⋯⋯⋯⋯ 기타 ⋯⋯⋯⋯⋯⋯⋯⋯⋯⋯⋯⋯⋯⋯⋯⋯⋯⋯⋯ 무응답 ⋯⋯⋯⋯⋯⋯⋯⋯⋯⋯⋯⋯⋯⋯⋯⋯⋯⋯ 합계. 8.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62 123 137 40 8 4. 16.6 32.9 36.6 10.7 2.1 1.1. 16.6 32.9 36.6 10.7 2.1 1.1. 374. 100.0. 100.0. 귀하께서는 아래에 열거한 항목에 대한 현 정부의 정책결정 역량을 어떻게 평가하고 계십니까? 귀하의 생각과 가장 가까운 항목에 ‘√’표를 해주십시오. 8.1 문제해결역량 [변수이름] q8_1 [변수설명]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평가1: 문제의 해결 변수값 설명. 변수값 1 2 3 4 5 9. 매우 낮음 ⋯⋯⋯⋯⋯⋯⋯⋯⋯⋯⋯⋯⋯⋯⋯⋯⋯ 비교적 낮음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높음 ⋯⋯⋯⋯⋯⋯⋯⋯⋯⋯⋯⋯⋯⋯⋯⋯ 매우 높음 ⋯⋯⋯⋯⋯⋯⋯⋯⋯⋯⋯⋯⋯⋯⋯⋯⋯ 무응답 ⋯⋯⋯⋯⋯⋯⋯⋯⋯⋯⋯⋯⋯⋯⋯⋯⋯⋯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 117 161 72 3 2. 5.1 31.3 43.0 19.3 0.8 0.5. 5.1 31.3 43.0 19.3 0.8 0.5. 374. 100.0. 100.0. 8.2 정책개발역량 [변수이름] q8_2 [변수설명]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평가2: 정책개발 변수값 설명 매우 낮음 ⋯⋯⋯⋯⋯⋯⋯⋯⋯⋯⋯⋯⋯⋯⋯⋯⋯ 비교적 낮음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높음 ⋯⋯⋯⋯⋯⋯⋯⋯⋯⋯⋯⋯⋯⋯⋯⋯ 매우 높음 ⋯⋯⋯⋯⋯⋯⋯⋯⋯⋯⋯⋯⋯⋯⋯⋯⋯ 합계. 변수값 1 2 3 4 5.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8 76 147 135 8. 2.1 20.3 39.3 36.1 2.1. 2.1 20.3 39.3 36.1 2.1. 374. 100.0. 100.0. 17 / 19.
(20) 8.3 정책조정역량 [변수이름] q8_3 [변수설명]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평가3: 정책조정 변수값 설명 매우 낮음 ⋯⋯⋯⋯⋯⋯⋯⋯⋯⋯⋯⋯⋯⋯⋯⋯⋯ 비교적 낮음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높음 ⋯⋯⋯⋯⋯⋯⋯⋯⋯⋯⋯⋯⋯⋯⋯⋯ 매우 높음 ⋯⋯⋯⋯⋯⋯⋯⋯⋯⋯⋯⋯⋯⋯⋯⋯⋯ 무응답 ⋯⋯⋯⋯⋯⋯⋯⋯⋯⋯⋯⋯⋯⋯⋯⋯⋯⋯. 변수값 1 2 3 4 5 9.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 109 183 68 3 1. 2.7 29.1 48.9 18.2 0.8 0.3. 2.7 29.1 48.9 18.2 0.8 0.3. 374. 100.0. 100.0. 8.4 정책오류 시정역량 [변수이름] q8_4 [변수설명]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평가4: 정책오류 시정 변수값 설명 매우 낮음 ⋯⋯⋯⋯⋯⋯⋯⋯⋯⋯⋯⋯⋯⋯⋯⋯⋯ 비교적 낮음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높음 ⋯⋯⋯⋯⋯⋯⋯⋯⋯⋯⋯⋯⋯⋯⋯⋯ 매우 높음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6 102 165 88 3. 4.3 27.3 44.1 23.5 0.8. 4.3 27.3 44.1 23.5 0.8. 374. 100.0. 100.0. 8.5 집단간 갈등관리역량 [변수이름] q8_5 [변수설명]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평가5: 집단간 갈등관리 변수값 설명 매우 낮음 ⋯⋯⋯⋯⋯⋯⋯⋯⋯⋯⋯⋯⋯⋯⋯⋯⋯ 비교적 낮음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높음 ⋯⋯⋯⋯⋯⋯⋯⋯⋯⋯⋯⋯⋯⋯⋯⋯ 매우 높음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23 126 146 73 6. 6.1 33.7 39.0 19.5 1.6. 6.1 33.7 39.0 19.5 1.6. 374. 100.0. 100.0. 8.6 환경변화 대응역량 [변수이름] q8_6 [변수설명]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평가6: 환경변화 대응 변수값 설명 매우 낮음 ⋯⋯⋯⋯⋯⋯⋯⋯⋯⋯⋯⋯⋯⋯⋯⋯⋯ 비교적 낮음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높음 ⋯⋯⋯⋯⋯⋯⋯⋯⋯⋯⋯⋯⋯⋯⋯⋯ 매우 높음 ⋯⋯⋯⋯⋯⋯⋯⋯⋯⋯⋯⋯⋯⋯⋯⋯⋯ 합계. 변수값 1 2 3 4 5.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7 65 157 128 17. 1.9 17.4 42.0 34.2 4.5. 1.9 17.4 42.0 34.2 4.5. 374. 100.0. 100.0. 18 / 19.
(21) 8.7 정책 우선순위 견지역량 [변수이름] q8_7 [변수설명]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평가7: 정책 우선순위 견지 변수값 설명 매우 낮음 ⋯⋯⋯⋯⋯⋯⋯⋯⋯⋯⋯⋯⋯⋯⋯⋯⋯ 비교적 낮음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높음 ⋯⋯⋯⋯⋯⋯⋯⋯⋯⋯⋯⋯⋯⋯⋯⋯ 매우 높음 ⋯⋯⋯⋯⋯⋯⋯⋯⋯⋯⋯⋯⋯⋯⋯⋯⋯. 변수값 1 2 3 4 5. 합계.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0 72 154 128 10. 2.7 19.3 41.2 34.2 2.7. 2.7 19.3 41.2 34.2 2.7. 374. 100.0. 100.0. 8.8 정책 일관성 유지역량 [변수이름] q8_8 [변수설명] 정책결정 역량에 대한 평가8: 정책 일관성 유지 변수값 설명 매우 낮음 ⋯⋯⋯⋯⋯⋯⋯⋯⋯⋯⋯⋯⋯⋯⋯⋯⋯ 비교적 낮음 ⋯⋯⋯⋯⋯⋯⋯⋯⋯⋯⋯⋯⋯⋯⋯⋯ 보통(판단보류) ⋯⋯⋯⋯⋯⋯⋯⋯⋯⋯⋯⋯⋯⋯⋯ 비교적 높음 ⋯⋯⋯⋯⋯⋯⋯⋯⋯⋯⋯⋯⋯⋯⋯⋯ 매우 높음 ⋯⋯⋯⋯⋯⋯⋯⋯⋯⋯⋯⋯⋯⋯⋯⋯⋯ 합계. 변수값 1 2 3 4 5.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9 83 167 85 20. 5.1 22.2 44.7 22.7 5.3. 5.1 22.2 44.7 22.7 5.3. 374. 100.0. 100.0. 19 / 19.
(22)
Dokumen terkait
왼쪽 각각의 항목에 대하여 피해자에게 도움이 되는 정도를 오른쪽에 표기하여 주십시오.. 귀하께서는 형사합의가 가해자에게 어느 정도 도움이 된다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