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 료 번 호 A1-2011-0200
자 료 명 KIPA 전문가 의견조사, 2011 (1차) : 한국사회의 위험도 및 위험관리 실태와 정부의 역할
한국 사회의 위험도 및 위험관리 실태와 정부의 역할에 대한 전문가 의견 조사
안녕하십니까?
저희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에서는 한국 사회의 주요 이슈에 대한 전문 가들의 의견을 수렴하여 정책 담당자들의 정책방향 설정에 도움을 주고자 매달 1회 실시하는 전문가 조사를 기획하게 되었습니다. 그 첫 번째로 이번 조사에 서는 한국 사회의 위험도 및 위험관리 실태와 정부의 역할에 대한 전문가 여러 분들의 의견을 여쭈어보고자 합니다.
본 조사는 뒤늦게 근대화를 시작하여 경제성장에만 역량을 집중해 온 한국 사 회가 위험 관리 기반을 제대로 마련하지 못한 채 각종 위험에 동시다발적으로 직면하고 있다는 문제의식에서 시작되었습니다. 각종 기상이변과 자연재해, 구 제역, 디도스, 천안함 사건 등에서 볼 수 있듯이 한국 사회가 처한 위험은 그 종류가 매우 다양하고 정도도 심각한 수준입니다.
한국 사회의 위험도와 위험관리 실태에 대한 전문가 여러분들의 정확한 평가와 정책제언이 보다 안전한 사회를 만드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믿습니다. 이 설문지는 조사 목적 이외로 결코 사용되지 않을 것이며 개별적인 응답 내용은 절대 비밀이 보장되므로, 귀하께서 평소 생각하시는 바를 솔직하고 자유롭게 답변해 주셨으면 합니다. 다만 본 조사의 목적 상 설문에 참여해주신 전문가 여러분들의 실명이 조사보고서 작성시 대외에 공개된다는 점을 양지 드립니다.
귀하의 협조에 감사드립니다.
2011년 3월
한국행정연구원 사회조사센터 센터장 이민호 올림
조사담당자: 연구원 송민영 (tel: 02-567-2182) 연구원 윤태연 (tel: 02-567-2254) e-mail: [email protected] fax: 02-567-2221
매우 낮다
다소
낮다 보통 다소
높다
매우 높다
위험의 종류 위험발생
가능성
위험관리 수준
㉠ 재난 위험
수해(홍수,태풍), 가뭄 /100 /100
지진 /100 /100
화재 /100 /100
㉡ 생활 위험
교통사고 /100 /100
산업재해(직업병 포함) /100 /100
㉢ 건강 위험
성인병(암, 고혈압, 당뇨 등) /100 /100
신종전염병(신종인플루엔자 등) /100 /100
유해식품 섭취 /100 /100
광우병 /100 /100
㉣ 범죄 위험
강력범죄(살인, 강도 등) /100 /100
성폭력(강간, 추행 등) /100 /100
사이버피해(악성댓글, 해킹, 사이버피싱 등) /100 /100
㉤ 환경 위험
기후변화(지구 온난화) /100 /100
신기술위험(나노, 바이오 기술 등) /100 /100
원자력발전소 사고 /100 /100
㉥ 안보 위험
테러(전쟁 포함) /100 /100
* 먼저 한국 사회의 위험 실태에 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문1. 귀하께서는 다음 각 위험에 대해 한국 사회가 얼마나 안전하다고 생각 하십니까? 다음에 제시된 각 위험의 종류별로 위험발생 가능성(위험도)과 위험관리 수준을 평가하여 주십시오. (척도는 다음을 참고하시되 100점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점수를 부여하여 주십시오.)
0 25 50 75 100
위험의 종류
빈부격차가 개인의 위험 발생 가능성에 영향을 미치는지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 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 재난 위험
수해(홍수,태풍), 가뭄 지진
화재
㉡ 생활 위험
교통사고
산업재해(직업병 포함)
㉢ 건강 위험
성인병(암, 고혈압, 당뇨 등) 신종전염병(신종인플루엔자 등) 유해식품 섭취
광우병
㉣ 범죄 위험
강력범죄(살인, 강도 등) 성폭력(강간, 추행 등)
사이버피해(악성댓글, 해킹, 사이 버피싱 등)
㉤ 환경 위험
기후변화(지구 온난화)
신기술위험(나노, 바이오 기술 등) 원자력발전소 사고
㉥ 안보 위험
테러(전쟁 포함)
문2. 귀하께서는 한국 사회에서 각 개인의 경제력 차이에 따라 위험 발생 가
능성이 달라진다고 보십니까? 빈부격차가 각 개인의 위험 발생 가능성에
미치는 영향력을 위험의 종류별로 평가하여 주십시오.
위험의 종류 1순위 영향매체
2순위 영향매체
3순위 영향매체
㉠ 재난 위험
수해(홍수,태풍), 가뭄 지진
화재
㉡ 생활 위험
교통사고
산업재해(직업병 포함)
㉢ 건강 위험
성인병(암, 고혈압, 당뇨 등) 신종전염병(신종인플루엔자 등) 유해식품 섭취
광우병
㉣ 범죄 위험
강력범죄(살인, 강도 등) 성폭력(강간, 추행 등)
사이버피해(악성댓글, 해킹, 사이버피싱 등)
㉤ 환경 위험
기후변화(지구 온난화)
신기술위험(나노, 바이오 기술 등) 원자력발전소 사고
㉥ 안보 위험
테러(전쟁 포함)
문3. 귀하께서는 우리 국민들의 위험인식과 관련하여, 다음 중 어떠한 매체 가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각하십니까? 가장 큰 영향을 미친다고 생 각되는 매체부터 3가지를 위험의 종류별로 적어주십시오.
<보기>
① 정부기관의 공식매체 ② 주요 일간지 ③ 공중파 TV
④ 공중파 라디오 ⑤ 인터넷 포털 사이트
⑥ 오프라인 상의 인간관계(친구, 친지, 이웃, 동료 등 주변 사람)
⑦ SNS(Social Network Service: 싸이월드, 페이스북, 트위터 등 온라인상에서 불특정 다수와 관계를 맺거나 정보를 공유할 수 있는 서비스)
⑧ 기업의 홍보물이나 연구보고서
⑨ 시민단체의 홍보물이나 연구보고서
⑩ 학계의 연구물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위험의 종류 중앙 정부의
위험관리 능력
지방 정부의 위험관리 능력
㉠ 재난 위험
수해(홍수,태풍), 가뭄 /100 /100
지진 /100 /100
화재 /100 /100
㉡ 생활 위험
교통사고 /100 /100
산업재해(직업병 포함) /100 /100
㉢ 건강 위험
성인병(암, 고혈압, 당뇨 등) /100 /100
신종전염병(신종인플루엔자 등) /100 /100
유해식품 섭취 /100 /100
광우병 /100 /100
㉣ 범죄 위험
강력범죄(살인, 강도 등) /100 /100
성폭력(강간, 추행 등) /100 /100
사이버피해(악성댓글, 해킹, 사이버피싱 등) /100 /100
㉤ 환경 위험
기후변화(지구 온난화) /100 /100
신기술위험(나노, 바이오 기술 등) /100 /100
원자력발전소 사고 /100 /100
㉥ 안보 위험
테러(전쟁 포함) /100 /100
* 다음에서는 위험관리 주체들의 위험관리 능력에 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문4. 귀하께서는 위험관리 주체로서 정부가 다음 각 위험을 잘 관리하고 있 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의 척도를 기준으로 하여 우리 정부의 위험관리 능력을 평가하여 주십시오. (척도는 다음을 참고하시되 100점 범위 내에 서 자유롭게 점수를 부여하여 주십시오.)
0 25 50 75 100
전혀
그렇지 않다 그렇지 않다 보통 그렇다 매우
그렇다
위험의 종류
공동체(지역사회, 자조조직 등)의
위험관리 능력
각 개인들의 위험관리 능력
㉠ 재난 위험
수해(홍수,태풍), 가뭄 /100 /100
지진 /100 /100
화재 /100 /100
㉡ 생활 위험
교통사고 /100 /100
산업재해(직업병 포함) /100 /100
㉢ 건강 위험
성인병(암, 고혈압, 당뇨 등) /100 /100
신종전염병(신종인플루엔자 등) /100 /100
유해식품 섭취 /100 /100
광우병 /100 /100
㉣ 범죄 위험
강력범죄(살인, 강도 등) /100 /100
성폭력(강간, 추행 등) /100 /100
사이버피해(악성댓글, 해킹, 사이버피싱 등) /100 /100
㉤ 환경 위험
기후변화(지구 온난화) /100 /100
신기술위험(나노, 바이오 기술 등) /100 /100
원자력발전소 사고 /100 /100
㉥ 안보 위험
테러(전쟁 포함) /100 /100
문5. 귀하께서는 위험관리 주체로서 시민사회가 다음 각 위험을 잘 관리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 다음의 척도를 기준으로 하여 우리 시민사회의 위 험관리 능력을 평가하여 주십시오. (척도는 다음을 참고하시되 100점 범 위 내에서 자유롭게 점수를 부여하여 주십시오.)
0 25 50 75 100
위험의 종류
우리 정부의 위험관리 능력을 시민사회가 신뢰하는지
① 전혀 그렇지
않다
② 그렇지
않다
③ 보통 이다
④ 그렇다
⑤ 매우 그렇다
㉠ 재난 위험
수해(홍수,태풍), 가뭄 지진
화재
㉡ 생활 위험
교통사고
산업재해(직업병 포함)
㉢ 건강 위험
성인병(암, 고혈압, 당뇨 등) 신종전염병(신종인플루엔자 등) 유해식품 섭취
광우병
㉣ 범죄 위험
강력범죄(살인, 강도 등) 성폭력(강간, 추행 등)
사이버피해(악성댓글, 해킹, 사이 버피싱 등)
㉤ 환경 위험
기후변화(지구 온난화)
신기술위험(나노, 바이오 기술 등) 원자력발전소 사고
㉥ 안보 위험
테러(전쟁 포함)
* 다음에서는 우리 정부의 위험관리 체계에 대해 질문 드리겠습니다.
문6. 귀하께서는 우리 정부(중앙 정부와 지방 정부를 포괄함)의 위험관리 능 력을 시민사회가 신뢰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우리 정부의 위험관리 능력 에 대한 시민사회의 신뢰도를 위험의 종류별로 평가하여 주십시오.
위험의 종류 1순위 개선사항
2순위 개선사항
3순위 개선사항
㉠ 재난 위험
수해(홍수,태풍), 가뭄 지진
화재
㉡ 생활 위험
교통사고
산업재해(직업병 포함)
㉢ 건강 위험
성인병(암, 고혈압, 당뇨 등) 신종전염병(신종인플루엔자 등) 유해식품 섭취
광우병
㉣ 범죄 위험
강력범죄(살인, 강도 등) 성폭력(강간, 추행 등)
사이버피해(악성댓글, 해킹, 사이버피싱 등)
㉤ 환경 위험
기후변화(지구 온난화)
신기술위험(나노, 바이오 기술 등) 원자력발전소 사고
㉥ 안보 위험
테러(전쟁 포함)
문7. 귀하께서는 우리 정부의 위험관리 체계의 문제로 지적되는 다음의 항목 들 중 어떠한 점을 우선적으로 개선해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가장 먼 저 개선되어야 한다고 생각되는 항목부터 3가지를 위험의 종류별로 적어 주십시오.
<보기>
① 관련 법령의 취약성 (권한 및 책임에 관한 불명확한 규정 등)
② 평상시 체계적으로 위기를 관리하는 상설 조직의 부재
③ 관련 조직의 분산 및 실질적 조정기관(control tower)의 부재
④ 공무원 및 관련 기관의 안전의식 부족
⑤ 공무원 및 관련 기관의 전문성 부족
⑥ 정보 시스템의 전문성 부족
⑦ 협력적 거버넌스의 부재
문8. 모든 사람들이 각자의 사회경제적 배경에 구애받지 않고 최소한의 안전
한 생활을 영위하는 사회를 만들기 위해 정부는 어떠한 노력을 기울여야
한다고 생각하십니까? 정부의 위험관리 정책방향에 대한 귀하의 의견을
가능한 구체적으로 자유롭게 서술하여 주십시오. (예를 들어, 지방정부와
담당 기관의 자율성을 중시해야 하는지 혹은 중앙정부의 실질적 조정 능
력을 강화해야 하는지, 위험관리체계의 하드웨어적 측면을 강조해야 하
는지 혹은 소프트웨어적 측면을 강조해야 하는지, 위험관리 정책의 사전
예방적 측면을 강조해야 하는지 혹은 사후관리적 측면을 강조해야 하는
지 등에 관해 서술하여 주십시오.)
성명
소속 및 직위 소속: 직위:
주소
주민등록번호 계좌번호(본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