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
Center for Distributive Justice at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정책워크샵]
2018. 9. 7.(금) 오후 2시 ~ 6시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 101동 210호 한국응용경제학회 · 서울대 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
노동시장과 삶의 질
서울대학교 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
Center for Distributive Justice at Institute of Economic Research
주 최 한국응용경제학회 · 서울대 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 장 소 서울대학교 아시아연구소 영원홀 101동 210호
일 시 2018. 9. 7.(금) 오후 2시 ~ 6시
주병기 (한국응용경제학회장, 서울대 분배정의연구센터장)
[발표1] 일자리의 성격과 삶의 질: 중고령 임금근로자와 자영업자의 자살 이철희 (서울대 경제학부)
개최사 14:00 ~ 14:10
기조발제
茶 間 사회 김진영 (고려대)
토론진 김대일 (서울대), 안주엽 (노동연구원), 이정민 (서울대), 최배근 (건국대) 14:10 ~ 15:40
종합토론 사회 박상인 (서울대) 16:00 ~ 17:30
[발표2] 일 가치의 변화와 일자리 질의 노동시장 함의 권현지 (서울대 사회학과)
[발표3] 노동시장의 구조와 불평등 개선을 위한 정책 방향 모색 홍민기 (한국 노동연구원)
우리나라는 두 차례의 세계경제위기를 극복하고 성공적인 경제발전을 이루었다고 평가되고 있습니다. 그러나 국민의 삶의 질은 이런 평가에 걸맞지 않게 열악합니다. 한국은 경제협력 개발기구(OECD) 36개 회원국 중에서 산업재해 사망률 1위와 평균 노동시간 2위를 기록하고 있습니다. 소득양극화를 나타내는 지표들도 매우 나쁜 상황입니다. 이를 반영하듯 국민의 미래에 대한 전망은 비관적입니다. 지난 10년 간 자녀의 소득계층이 더 높아질 수 없을 것이라고 생각하는 국민의 비율이 5배 가까이 상승했습니다.
이런 사회가 우리가 추구해왔던 경제발전의 목표는 아닐 것입니다. 삶의 질의 관점에서 우리 경제, 특히 노동시장의 현실을 되짚어 봐야 합니다. 노동시장을 지배하는 제도와 관행을 점검하고 삶의 질을 높이기 위해서 무엇이 필요 한가에 대한 합리적 방안을 모색해야 합니다.
이 시대적 과제에 대하여 학계 전문가들의 고견을 듣고 토론을 통하여 슬기로운 해법에 다가가기 위하여 한국응용경제학회와 서울대 경제연구소가 공동으로 본 정책워크샵을 개최 하게 되었습니다. 많은 관심과 참여 부탁드립니다.
2018년 9월 7일
주 병 기
한국응용경제학회장 서울대 경제연구소 분배정의연구센터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