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동북아 전략석유 공동비축의 편익 분석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동북아 전략석유 공동비축의 편익 분석 연구"

Copied!
327
0
0

Teks penuh

(1)
(2)

산업자원부 장관 귀하

본 보고서를 정책연구과제『동북아 에너지협력 연구』중 세부 과제

“동북아 전략석유공동비축의 편익분석 연구”의 최종보고서로 제출합니 다.

2006년 4월

에너지경제연구원장

<참여 연구진>

□ 총괄책임자 : 에너지경제연구원장 □ 연구책임자 : 소 진 영 초빙연구원 □ 원내참여자 : 박 천 건 초빙연구원

(3)

요 약

제1장 서 론

○ 동북아 역내의 에너지 안보를 제고하기 위한 방법 중 하나로 역내 전략석유 공동비축의 필요성이 제기됨.

- 공동비축을 통해 역내 비축수준을 제고하고 이를 통하여 에너지 안 보 강화.

○ 동북아 에너지 협력을 촉진하기 위한 사업의 하나로 전략석유 공동 비축이 논의됨.

- 한국과 일본의 여유 비축시설을 중국의 전략석유비축용으로 대여함 으로써 역내 효율적 비축 달성.

○ 한국을 에너지 물류기지의 거점화 추진의 한 방안으로 전략석유 공 동비축이 논의됨.

- 이를 통해 에너지 교역, 수송 및 물류를 활성화함으로써 에너지 현 물시장 고착을 위한 기반 구축.

○ 상업용 비축의 공동 활용을 통해 국제 유가변동 효과를 완화하는 역 할이 논의됨.

- 상업용 비축은 재고량 변동을 통하여 수요의 변동에 따른 수급의 차 이를 완화하는 기능 수행.

○ 하지만, 이의 필요성만 제기되고 있을 뿐, 동북아 역내 공동비축이 연 구의 주 대상이 되는 종합적 타당성 및 실현 가능성에 대한 연구는 부재함.

(4)

- 각 국가는 전략비축의 성격상 필요 비축량을 자국 내 비축하고자 하 므로 자생적 한계 존재 하며, 일각에서는 동북아 공동비축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회의적 견해도 존재함.

○ 또한 동북아 공동비축이 어떤 경로로 어떤 메카니즘을 통해 역내 에 너지 안보를 제고하는지에 대한 이해가 부족함.

○ 공동비축의 경제적 접근을 통한 분석이 부재함.

○ 본 연구에서는 한중일 역내 공동비축의 경제적 타당성을 정성적․정 량적으로 분석함.

○ 정량적 분석을 위해 공동비축의 비용․편익 분석을 위한 모형 구축.

- 구축된 모형을 통해 공동비축을 동북아 에너지 협력 사업으로 추진 할 경우 한중일 각국에 추가적으로 가져다 줄 수 있는 경제적 편익 증대 효과를 추정하고자 함.

- 또한 공동비축 시 역내 적정 비축수준을 산정함.

○ 본 연구는 향후 동북아 석유 전략 비축 및 상업 비축을 추진하는 데 있어서 우리나라의 경제적 이득을 증대시킬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 고자 함.

○ 동북아 에너지협력 사업으로서 3개국 공동비축 사업을 추진할 수 있 는 구체적 경제적 편익 자료 제공.

- 한중일 공동비축 사업을 통한 우리나라의 이익 증대 가능성 모색.

○ 경제적 편익 추정에 근거한 동북아 에너지 협력 사업 추진.

- 정량적 분석을 통한 동북아 에너지 협력사업의 기대효과를 예상하고 이에 근거한 구체적 사업 전략 수립.

○ 역내 공동비축이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단계에서 고려해야 할 점을 선행적으로 검토.

- 공동비축의 장애 요인.

(5)

- 단기 및 장기 추진 전략.

제 2장 비축의 개요

제1절 석유비축의 의의 및 종류

1. 석유비축의 의의

○ 석유비축은 미래의 석유공급교란에 의한 단기간의 석유공급의 감소 가 초래할 수 있는 극심한 사회적, 경제적 그리고 정치적 소요를 방 지하기 위하여 사전에 안정된 석유 공급 확보를 그 목적으로 함.

○ 통상정지(embargo)와 같이 산유국 및 국제 정세 불안으로 야기되는 석유공급량 감소, 2005년의 카트리나 태풍의 피해와 같은 자연 재해 나 유전 및 유조선의 사고 등에 의해 야기되는 석유공급량 감소, 그 리고 한 국가의 영토 내에서 전쟁이나 분쟁에 의해 단기간 석유의 수입이 차질이 생길 때 이를 석유공급교란(oil supply shock)이라 칭 함.

○ 석유비축에는 국가의 안보를 위한 전략석유비축과 정상적인 석유사 업을 유지하기 위한 상업석유비축이 있음.

- 전략석유비축은 석유공급교란에 대비하여 정부가 전략적으로 관리하 고 운영하는 정부비축과 민간 석유사업자가 법에 규정된 의무로 유 지하는 민간비축을 총칭함.1)

- 상업비축은 석유정제업자나 석유수입업자 등 석유사업자가 일시적인 수급의 불균형이 생길 때 생산, 판매 등의 석유사업을 원활하게 지

1) 박창원․이영구(2002), 13쪽 참조.

(6)

속하기 위하여 비축하고 있는 운영재고를 말함.

2. 석유비축의 종류

○ 일반적으로 비축은 전략비축 (또는 의무비축), 완충재고 (또는 경기조 정비축), 그리고 운영재고 또는 투기재고로 분류됨.2)

○ 전략비축(strategic stockpiling) 또는 의무비축(compulsory stockpiling)은 공급시장의 혼란과 비상시를 대비하여 경제방위를 목 적으로 보유하는 재고임. 전략 비축 또는 의무비축은 또 그 주체에 따라 민간비축(company stocks), 정부비축(government stocks), 그리 고 대행비축(agency stocks)의 3 종류로 구분됨.

○ 완충재고(buffer stocks)나 경기조정비축(commercial stocks for cyclical fluctuation)은 시장에서의 가격 안정 등 경제적 가치에 중점 을 두는 비축으로, 각국이 가격 안정을 목적으로 추진하는 각종 정책 에서 논의되는 비축은 완충재고를 의미함.

○ 운영재고(operational stock)는 단기적인 수급에 불균형이 발생할 때 원활한 생산 및 판매 등의 기업 활동을 유지하기 위한 최소의 재고 를 말하며, 투기재고(speculative stock) 역시 수급의 불균형에 의해 발생하는 가격 차이를 예측하고 매매차익을 보려고 하는 비축으로 순수하게 경제적 가치에 초점을 둠.

○ 전략석유비축의 경우 대부분의 국가에서 시장경제의 원칙에 입각하 여 민간 기업에 일임하기 보다는 공공 기관, 즉 정부가 직․간접 적 으로 운영․관리를 하는데, 그 이유는 다음과 같음.3)

- 첫째, 비축유의 방출의 사회적 손실 저감 효과가 사회 전체의 적정 비축수준에는 반영되는 반면, 민간 비축업자의 의사결정에 포함되지

2) 박창원․이영구(2002), 14쪽 참조.

3) Toman(1993), 1203쪽 참조.

(7)

않아 한계편익과 한계비용이 낮은 수준에서 균형점을 찾기 때문에 민간비축수준이 낮음.

- 둘째, 석유공급교란 시 정부의 가격 안정 정책이 예상될 때 민간 비 축업자의 비축 동기가 약해짐.

- 셋째, 석유공급교란이 발생했을 때, 민간 비축업자는 유가가 충분히 인상될 때 까지 기다릴 동기가 있고, 교란의 지속 기간이 짧은 경우 에 신속한 비축유 방출이 이루어지지 않아 이를 통한 사회적 이득이 실현되지 않을 수 있음.

3. 석유비축제도

4)

○ 전략석유비축을 시행하는 제도의 종류로는 정부비축(Government stocks), 협회비축(Agency stocks), 그리고 민간비축(Company stocks) 등 3가지 형태가 있음.

○ 정부비축은 정부가 세금 등 공적 예산에 의해 재정을 확보하고, 비축 조직을 통하여 비축 기지 및 비축유를 관리․운영하는 형태임.

- 응급상황 하에 시장에 석유공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가장 뚜렷함.

- "발표효과(Announcement effect)"에 의해 시장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가장 큼.

- 민간기업의 활동과는 분리가 되는 비축.

○ 협회비축은 회원기업들의 부과금에 의해 운영되는 비축협회가 비축 시설 및 비축유를 운영․관리하는 제도.

4) Fact Sheet on IEA Oil Stocks and Energency Response Potential (IEA), IEA 주요국의 석유비축 제도 현황 (오일포스트, 2005.4.2), 주요 IEA 가맹국의 석유비축제도 (JOGMEC) 참조.

(8)

비축제도 장점 단점 정부비축

․정부의 통제력이 가장 큼

․비축유 방출 효과가 가장 큼

․비축유 수준 파악 가능

․국민의 세금에 의해 운영

협회비축

․회원 기업이 비용 분담

․조업재고와 구분 및 품질 관리 용이

․긴급 시 시장 중립성 확보

․비축 비용 분담 및 저감

․평상시 시장 중립성 확보 곤란

․비용 저감에 대한 지속적 인 연구 필요

민간비축

․비축유의 효율적 품질관리 기능

․긴급 방출 시 방출 과정 간결

․비축 기지 및 물량 파악 어려움

․엄중한 안보확보 곤란

․긴급 시 방출 여부 불확실

․석유기업의 과중한 비용 부담

<표 2-1> 비축제도 장단점

- 협회비축 장점:

․ 확실한 비축량 파악 가능,

․ 조업재고와의 구분 및 품질 관리 용이,

․ 긴급시 시장 중립성 확보,

․ 비축방출절차의 명확한 제시,

․ 비축방출의 확실한 실시,

․ 형평성 있는 비축비용 분담,

․ 비축비용 저감,

․ 비축비용의 명시 가능.

- 협회비축 단점:

․ 평상시 시장 중립성 확보 곤란,

․ 비용 저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필요.

○ 민간비축제도는 석유사업자들이 법률에 의거하여 비축 및 이의 관 리․운영을 직접 실행하는 제도로서, 비축을 위한 재정 확보, 시설 건

(9)

설, 구매 및 관리 운영을 모두 포함함.

- 응급상황에서는 비축유가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음.

- 주로 정부가 비축수준의 인하를 지시할 수는 있지만, 실제 방출에 관여할 수는 없음.

- 민간비축의 장점:

․ 비축유의 효율적 품질관리 가능,

․ 긴급방출시 비축유 방출 지시 간결, - 민간비축의 단점:

․ 비축기지 및 물량 파악 어려움,

․ 엄중한 안보확보 곤란,

․ 긴급시 방출 여부 불확실,

․ 석유기업에 과중한 비용 부담 등.

4. 석유비축 방식

○ 석유비축 방식은 크게 지상탱크방식(above-ground tank), 지중탱크방 식(in-ground tank), 지하공동(地下空洞, under-ground cavern), 그리 고 해상탱크방식(floating tank)으로 나뉨.

5. 석유비축의 특성

○ 비축유는 국제적 공공재의 성격을 가짐.

○ 비축유는 긍정적 외부성(positive externality)을 가짐.

○ 비축유를 운용하는 국가가 모든 비용을 지불하는 반면, 그 이익은 여

(10)

타의 국가와 공유를 하기 때문에, 무임승차(free-rider) 문제가 존재함.

제 3장 공동비축의 개요

제1절 공동비축의 유형

1. 비축 목적에 따른 분류

○ 석유 공동비축은 에너지 안보의 강화를 목적으로 하느냐 아니면 경 제적 이윤추구를 그 목적으로 하느냐에 따라 크게 전략석유공동비축 과 상업석유공동비축으로 나뉨.

○ 전략석유공동비축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비축 주체가 전략석유비축을 어떤 형태든 간에 공동으로 실행하는 비축으로서, 대부분의 국가에서 정부가 직․간접적으로 전략석유비축을 관리․운영하는 현 상황에서, 주로 국가 간의 협력에 의해 달성할 수 있는 형태라 할 수 있음.

○ 상업석유공동비축은 둘 또는 그 이상의 비축 주체가 상업석유비축을 어떤 형태든 간에 공동으로 실행하는 비축으로서, 일반적으로 민간 석유업자들에 의해 운영재고 및 투기재고의 협력적 이용과 원거리 생산자의 소비지 물류 거점 확보 등을 위해 이루어짐.

2. 공동비축 주체에 대한 분류

○ 공동비축의 주체에 대한 분류는 석유수입국들 간의 공동비축, 석유수 입국과 수출국의 공동비축, 석유수출국들의 공동비축을 들 수 있음.

(11)

○ 석유수입국들 간의 공동비축은 어떤 목적이든 또는 어떤 형태이든, 석유수입국들이 석유비축을 공동으로 시행하는 것.

○ 석유수입국과 석유생산국의 공동비축은 역시 어떤 목적이든 또는 어 떤 형태이든, 석유수입국과 석유생산국이 공동으로 석유를 비축하는 것으로서, Statoil나 Sonatrach 등과 한국석유공사의 국제공동 비축은 산 유국과 소비국의 공동비축임.

3. 공동비축 객체

○ 공동비축 시 고려해야 하는 객체들로는 공동비축유, 비축유 공동저장 시설, 공동으로 저장시설을 건설하는 경우 비축기지 위치, 비축유 관 리 및 운용, 비축기지건설 및 방출(stock drawdown) 기술 이전, 자금 조달 등이 있음.5)

○ 비축유

- 공동 비축을 논할 때 비축유의 공동 구매 및 소유는 필수적인 사항 이 아님.

- 원유 공동비축 시 각 나라의 비축유 성상을 고려하고, 석유제품 공 동비축 시는 비축석유제품의 성상이나 제품 간 비율 등의 차이도 고 려 대상.

○ 비축유 공동저장시설

- 저장 시설을 공동으로 사용하는 방안으로는 기존의 여유시설을 대여 하는 방안, 일부의 국가가 비축시설을 건설하고 여유 비축시설을 나 머지의 국가들에게 대여하는 방안, 그리고 공동으로 재정을 확보하 고 비축시설을 건설하는 방안 등이 있음.

5) 비축유 인도 조건 및 가격 조건에 대한 고려도 필요.

(12)

○ 공동비축기지 위치

- 석유공급교란이 발생할 때 석유 비축 방출의 신속한 효과를 위해서 는 정제시설과 인접하여야 하고, 석유 제품의 경우는 주요 소비처에 인접하거나 송유관 등의 분배시설과의 연계가 용이한 위치가 적합 함.

- 아울러, 어느 국가들을 공동비축의 범위에 포함할 것인지에 관한 지 역적 정의가 명확해야 함.

○ 비축유 관리 및 운용

- 비축유 관리 및 운용의 명확한 지침이 필요함.

- 국가들 간에 비축유의 수입과 수출의 교역이 자유롭도록 관세 및 비 관세 장벽을 철폐하여야 함.

○ 비축기지건설 및 방출 등 비축관련 기술

- 공동비축 시 비축관련 기술의 공유 및 이전에 대한 문제도 고려 대 상임.

○ 재정확보 방안

- 한 나라가 비축유나 시설을 소유하고 이를 여타 국가에 대여하는 방 안.

- 여러 나라가 비축을 한 기구에 위임하고 여기서 발생하는 비용을 미 리 정해진 비율에 의해 분담하는 비용 분담 방식.

- 이 두 방식의 조합.

(13)

4. 공동비축의 유형

가. 소비국과 생산국의 상업석유공동비축

○ 소비국과 생산국의 석유공동비축은 안정적 석유공급원 확보 차원에 서 우리나라가 추진해야 할 협력사업 중 하나임.

○ 현재 한국의 석유공사가 동북아 석유물류거점화의 추진을 위해 노르 웨이 Statoil과 알제리 국영석유사인 Sonatrach 등과 진행하고 있는 국제공동 비축은 원거리 생산자들이 동북아 소비시장 내에 물류 시 설을 임대하여 안정적인 석유 공급을 도모하고, 한국은 여유비축시설 을 동적으로 활용하여 이윤을 창출하여 상호 win-win하는 성공적인 사례로 평가받고 있음.

○ 석유공사는 이를 통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음.

- 석유비축수준 증가에 의한 위기대응능력 제고,

- 이익창출에 부가하여 외화수익창출을 통해 국제수지 개선에 기여, - 비축유 확보비용 절감 및 시설사용료 수입(2002년 기준 71억)으로

비축의 경제성 제고,

- 원유도입 수송기간 단축에 따른 국내정유사의 원유도입비용 등 절감 지원의 이점.

○ 산유국은 국제 공동비축을 통해 다음의 효과를 얻음.

- 동북아의 전략적 요충지에 위치한 원유저장시설을 물류거점으로 활 용하여 동북아 판매물량 증대 및 잉여물량 해소를 위한 신규시장 개 척이라는 이점.

○ 석유공사는 응급 시 석유증산 및 독점구매권 계약을 맺음으로서, 특 별히 비축유의 구매 없이도 비축유를 확보하는 효과가 있어, 가장 이

(14)

구 분 회 사 계약 기간 계약 물량 비고

장 기 Statoil, 노르웨이 02.07 - 05.06 11.3백만 배럴 99.7 최초계약

단 기 Unipec, 중국 01.06 - 02.05 2.0백만 배럴

Vitol, 트레이더 02.03 - 02.12 3.1백만 배럴 2회

<표 3-1> 석유공사 국제공동비축 추진 실적

상적인 공동비축의 한 형태라 할 수 있음.

○ 이 예는 전략석유공동비축이라기 보다는 상업석유공동비축이지만, 이 를 통해 전략석유비축수준의 제고효과 등의 긍정적인 영향을 고려할 때 이 형태의 협력을 활성화 할 필요.

자료: 한국석유공사

. 소비국과 석유생산국의 전략석유공동비축

○ 석유생산국과 석유수입국이 생산량의 일정한 분량을 비용분담을 통 해 공동으로 비축하고, 생산국의 유전 사고 등에 의해 석유생산에 차 질이 생길 때 비축유를 방출함으로써 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는 유 형.

○ 지금과 같은 고유가 상황의 지속과 소비국들의 에너지자원 확보를 위한 경쟁이 심화되는 상황에서 산유국들이 안정적 소비처확보의 일 환으로 소비국과 전략석유를 공동비축 하는 것은 현실성이 부족해 보이며, 현재까지 이 유형의 공동비축이 실행된 적이 없음.

○ 중동의 주요 석유생산국들이 비축에 관해 부정적인 견해를 보임으로 인해 석유소비국과 OPEC 회원국 간의 공동비축은 사실상 어려움이 예상됨.

○ 비 OPEC 석유생산국들과 석유소비국들과의 전략석유공동비축은 에

너지협력의 중요한 부분으로 대두되고 있으며 이를 추진할 가치가 있음 (Morse, 2005, p. 29)

(15)

○ 특히, 동북아 역내의 순석유소비국인 한중일과 석유생산국인 러시아 와의 공동비축은 역내 에너지 협력과 에너지안보의 강화에 큰 역할 을 할 수 있을 것임.

다. 소비국들의 전략석유공동비축: 여유 비축유 대여 협약

○ 소비국들의 여유비축유대여협약은 일부 EU 회원국들 사이에 실행되 고 있으며, 이를 통해 역내 비축의 효율을 높이고 경제적인 비축을 달성할 수 있는 한 방안임.

- 비축유를 임대해주는 국가는 비축유 관리 및 운영에 관한 앞선 기술 서비스와 함께 여유비축유를 활용하여 이윤을 창출하고,

- 비축유를 임대하는 국가는 적은 비용으로 비축유를 확보하고, 관리 및 운영은 임대해주는 국가에 위탁함으로써 관리 및 운영에 관한 기 술을 한계를 극복하여,

- 양자 모두에게 경제적 편익을 증대할 수 있는 효율적이고 경제적인 공동비축의 유형임.

○ 양자비축협정(bilateral stockholding agreement) 또는 석유표제도(oil ticket system), 또는 간단히 표(ticket)라는 이름하에 일부 EU 회원국 들 사이에 성행하고 있음.

○ 동북아 역내에서는 한국의 석유공사나 일본의 자원기구(JOGMEC)가 보유하고 있는 공공비축의 여유분을 중국이나 ASEAN 국가들에 대 여하는 방안과 민간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전략석유비축이나 운영재 고를 상호 융통하는 방안이 있을 수 있음.

○ 이 유형의 공동비축은 한국 정부와 석유공사가 추진하고 있는 “한국 의 동북아 에너지 물류기지 거점화”에 부합되는 사업으로 적극적으 로 추진할 필요가 있음.

- 원유뿐만 아니라 석유제품도 비축하여 대여함으로써 한국 시장을 통

(16)

한 역내 에너지 교역을 활성화 하여 동북아 역내에 석유현물시장이 한국에 설립될 수 있는 환경을 구축할 필요가 있음.

. 소비국들의 여유비축시설 대여 협약

○ 소비국들의 여유비축시설 대여를 통한 공동비축 역시 역내 여유시설 을 효율적으로 활용하고 진보된 기술로 임대비축시설에 저장된 비축 유를 관리하고 운영하는 서비스까지 제공함으로써 이윤을 창출하는 경제적이고 효율적인 공동비축임.

○ 석유공사는 한국의 비축계획에 의해 건설된 비축시설에 비축유를 충 유하기 전 유휴시설을 효율적으로 이용하기 위하여 이 사업을 시작 했고, 정부의 제3차 석유비축계획에는 이러한 공동비축사업을 통한 비축유 확보가 반영됨.

. 소비국들의 종합적 공동비축

○ 소비국들의 종합적 공동비축은 일부에서 제기되고 있는 포괄적인 공 동비축 유형으로서 공동으로 비축시설을 건설하고, 공동으로 비축유 를 구매하며 이를 공동으로 관리․운영하는 형태지만, 현재까지 그 실례를 찾아보기 어려움.

○ 2000년에 일본의 하시모토(Hashimoto, 2000)가 제안한 바에 따르면, - 2010년까지 아시아 비축 기구(Asian Oil Stockpile Mechanism,

AOSM)를 창설하고,

- 지분에 비례하는 석유인출권(Oil Drawing Rights, ODRs)을 수립하 고,

- 석유공급교란 시 각 나라는 석유인출권에 비례하여 비축유를 인출할 수 있으며,

- 수요가 배당된 석유인출권을 초과하는 나라는 석유인출권의 여유가

(17)

있는 다른 회원국으로부터 보충을 받는 약정으로 비축유의 유용성을 높이며,

- 빌린 비축유를 석유나 화폐로 상환하는 계획 포함.

○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소비국들의 종합적 공동비축 유형이 아니 고도 다양한 형태의 부분적 공동비축의 활성화를 통해 역내 효율적 이고 경제적인 비축과 비축유 제고를 촉진하여, 에너지 안보를 증진 할 수 있음.

○ 단기적으로는 역내 여유 비축시설 및 비축유를 대여하는 형태로 공 동비축을 진행하여 에너지 협력을 유도하고, 필요에 따라 장기적으로 종합적 공동비축을 추진함이 바람직한 전략임.

제2절 공동비축의 장․단점

1. 경제적 비축

○ 기존 여유능력의 효율적 활용

○ 비축시설 건설비용 절감.

○ 비축시설 및 비축유 관리비용 절감.

○ 비축유 구매 비용 절감.

- 공동 구매를 통한 다양한 비용 절감.6)

○ 부대시설 건설의 중복 저감.

○ 기술적 한계 및 재정적 한계 극복

○ 통합비용

6) 이달석(2002) 참조.

(18)

- 비축유 및 비축제품의 규격이 통일되지 않을 경우, 비용 절약 효과 감소.

- 각각 다른 비축운영 기준을 통합하는 비용 발생.

- 시장 통합 비용 발생.

○ 분배비용

- 타국에 위치한 비축유를 소비처로 수송하는 비용과 시간이 추가적으 로 요구됨.

2. 비축 효과 제고

○ 비축유 수준 보장

○ 비축 정보의 투명성과 정보 교환 촉진

○ 효과 높은 위기대응능력

○ 위기대응 신속성 저하

○ 비축유 접근성 불확실

○ 짧은 계약기간

3. 정치 및 기타

○ 에너지 안보 제고

- 공동비축은 경제적 비축과 역내 비축유 제고의 효과가 있고, 이를 통하여 에너지 안보를 증대함.

○ 에너지협력 증진

- 공동비축 참가국들 간 신뢰 향상으로 여타 에너지 관련 분야 협력을 촉진하고 비에너지 분야의 협력도 용이하게 함.

(19)

○ 역내 에너지 소비국 협력 상징

- 역내 석유수입국 에너지 협력의 상징으로 공동 구매 등을 통해 교섭 력 및 구매력을 높임으로서 아시아프리미엄 해소.

○ 기술 이전 촉진

○ 신규시장 개척

- 산유국에게 소비지역 판매물량 증대 및 잉여물량 해소를 위한 신규 시장 개척이라는 이점을 제공함.

○ 주권 감소

- 합의된 규정에 구속을 받으며 이로 인해 각 국가 의사결정권자의 권 한이 제한됨.

○ 갈등 요소

- 국가 간 경제발전단계가 다르고 비축 시스템의 정비 수준도 상이하 여 비축의 목적이 다를 때 국가 간 갈등이 발생할 수 있음.

- 갈등 해소를 위한 기구나 메카니즘 개발 필요.

○ 중복계산(Double Count)의 가능성

- 비축유의 중복계산 가능성 때문에, 각 국의 비축의무량 현황파악에 어려움을 격음.

제3절 공동비축 사례 연구

1. 전략석유공동비축을 관장하는 두 국제기구

. 국제에너지기구(IEA: International Energy Agency)7)

(20)

○ 1973년 발발한 아랍-이스라엘 전쟁 당시 OPEC의 중동 6개국은 급격 한 유가 인상을 단행하였고, OAPEC의 석유장관들은 미국 및 친이스 라엘 국가들에 대한 석유수출을 전면 금지함. 이에 대응하여 OECD 회원국들은 1974년에 국제에너지계획(IEP: International Energy Program)8) 협정을 체결하고 이에 따라 에너지 관련 독립기구인 IEA 를 창설함.9)

○ 90일분의 순석유수입량을 비축 할 것을 의무화 하며, 참가 국가들의

비상대응계획을 관장함. IEA의 석유안보시스템은 다음의 사항들을 포 함함.

- 전략석유비축의 유지와 이를 공동으로 사용(co-ordinated use)하기 위한 계획.

- 여타 수요억제정책, 연료 전환(fuel switching), 비상시 석유증산 등 을 위한 계획.

- 효과적인 국가 비상기구의 운영 및 공조.

- 비상대응대책의 수립 및 훈련.

- 산업분야 컨설팅 및 운영 보조를 위한 메카니즘.

- 필요 시, 가용 공급량의 재분배.

○ 회원국은 OECD 국가들의 일부로, 2002년 3월 28일에 정식회원국 자 격을 획득한 한국을 포함하여 총 26개국임.

7) Fact Sheet on IEA Oil Stocks and Emergency Response Potential 참조.

8) 국제에너지계획은 주요 석유소비국들의 OPEC에 대한 공동대응을 위한 협정.

9) Willenborg et al.(2004, 28-30쪽)에 따르면 유럽의 국가들이 안정적 석유공급확보를 위해 아랍의 국가들과 유럽-아랍 대화(a Euro-Arab Dialogue) 등과 같은 양자간 그리고 다자간 대화를 시도하 고 있었고, 유럽 국가들이 아랍-이스라엘의 분쟁에 대해 정치․경제적으로 아랍의 입장을 지지 할 것을 우려한 미국이 산업화된 국가들 간의 잠재적인 분쟁을 막기 위해 IEA의 결성을 추진함.

이는 에너지 정책에 있어 상당한 의사결정권을 국가에서 유럽공동체의 수준으로 이관하는 것을 거부하는 일부 유럽공동체 국가들의 이익에도 적합 됨.

(21)

○ IEA 회원국들은 14억 배럴의 국가 관리 석유비축을 보유 하고 있으 며, 일일 최대 비축유 방출율(maximum drawdown rate)은 12.9백만 배럴임.

. EU

○ 1967년 6일전쟁과 수에즈운하의 폐쇄는 유럽의 에너지정책의 조화와

협력을 위한 구상을 촉진함.

○ 유럽이사회(European Council)은 1968년 12월 20일에 회원국들에 국 내 소비의 65일에 해당하는 전략석유비축을 의무화 하였고, 1972년에

이를 90일분으로 증대함.

○ 1973년 7월 24일에 발표된 이사회 명령 73/238/EEC에서는 회원국이 아래와 같은 대책을 마련할 것을 권고함.

- 석유공급교란이 발생할 때 적정한 석유 비상비축유의 적절한 사용, - 구체적이고 (또는) 광범위한 소비 억제,

- 일정한 그룹에 석유제품 공급의 우선권 부여, - 비정상적인 가격상승을 저지하기 위해 가격 규제.

○ 2002년 9월 11일에 유럽위원회(EC)에 의해 채택된 명령(the directive) 에 의하면, 비축 의무량이 2007년 1월 1일까지 국내 소비량의 120일 분으로 증가함.

. IEAEU의 차이점

○ 비축 의무량을 계산할 때, IEA는 참가국의 석유 순수입량을 기준으로 하는 반면, EU는 국내 소비를 기준으로 계산함.

○ 회원국의 비축량을 계산할 때, IEA는 재고 중 10%를 이용할 수 없는 재고로 간주하는 반면, EU는 이를 적용하지 않음.

(22)

○ EU는 정부 간 합의가 있다는 전제 하에, 다른 회원국의 영토 안에 비축하는 것을 허락함.

2. 비축표 시스템

가. 비축표 시스템 개요

○ 일부 유럽연합 회원국들은 양자간비축협정(Bilateral stockholding agreement), 또는 양자간비축표(Bilateral stock ticket), 간단하게는 비 축표(Ticket)라 불리는 시스템을 이용하여 다른 유럽연합 회원국의 영 토 안에 저장되어있는 비축유를 단기간 임대하는 방식으로 유럽연합 에서 규정하는 비축의무량을 경제적으로 달성함.

○ 비축표(stock ticket 또는 ticket)는 대여협정(leasing agreement) 하에 서 일시적으로 소유하고 있는 비축으로 정의 됨.10)

○ 비축표에 의한 비축유가 비축의무량에 포함되기 위해서는 대여협정 이 정부와 정부 사이에 이루어져야 하고 최소 대여 기간이 90일 이상 이여야 하며, 물리적 인도(引渡) 방식이 명확하게 명시되어져야 함.

○ 유럽에서는 민간비축의 비율이 점점 적어지고 있으며 비축시스템이 점차 합리화되고 있으며, 그 결과로 대여 또는 제 삼국 비축은 상업 적으로 일반화되는 추세임.

○ 2005년 12월 현재, IEA 회원국 중 12개 유럽연합 국가들이 비축표에 의해 국가 밖의 영역에 비축을 행하고 있으며, 그 양은 그 국가들의 총 IEA 비축의무량의 약 6%에 해당하며, 총 IEA 비축의무량의 약 2.5%에 달함. 이중 많은 부분이 3개월 대여협정에 의지하고 있음.

- 룩셈부르크는 국가 비축유의 70%에 달하는 62일분의 비축유를 국가

10) James Ryder(2004), "Propasal for report on Bilateral Stock Tickets", 참조.

(23)

영토 밖에 전량 비축표의 형태로 비축을 하고 있음.11)

○ 유럽에서 비축표를 이용한 공동비축이 성행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음.

국가 국가영토밖에 비축된 비축유 비축표의 형태

벨지움 24 (31%) 24

핀란드 1일 이하

프랑스 1 (1%) 1

독일 8 (7%) 1

아일랜드 31 (30%) 31

이탈이아 11 (12%) 11

룩셈부르크 62 (70%) 62

네덜란드 35 (19%)

포르트갈 7 (7%) -

스페인 2 (2%) -

스웨덴 3 (3%) 3

자료제공: Ryder (2004) 주: 괄호 안은 총 퍼센트임.

<표 3-2> 양자비축협정에 의한 비축 현황

(단위: 비축일수(순수입 기준))

- 효율적인 비용절감 수단.

- 저장시설이 필요하지 않음.

- 질적 업그레이드가 필요하지 않음.

- 급상황에서 석유를 구매할 수 있는 옵션을 제공함.

○ 하지만 비축표 시스템은 다음과 같은 단점들이 있음.

- 응급상황에서 공급이 불확실함.

- 비축유가 가장 적당한 입지에 저장되지 않음.

- 대여료를 지급하고, 장기간의 이점이 없음.

- 비축유방출이 전혀 시험되지 않음.

- 계약이 끝남과 동시에 비축유가 없어짐.

11) 이중 많은 부분이 3개월짜리 대여협정으로 알려져 있음.

(24)

나. 네덜란드와 독일의 예

○ 1984년 이래 네덜란드와 독일은 전략 비축량의 상호 이용을 위한 양

국 간 비축에 대한 쌍무 협정을 체결한 바 있음.

○ 이는 소비국들의 전략적 석유의 공동 비축으로, 한 국가가 여유비축 시설을 여타 국가에 임대하는 형태임.

○ 제 1단계 조치로는 1993년에 독일정부와 네덜란드 정부 간에 계약의

초안이 마련되었으며, 주요 내용은 네덜란드 국영 석유 비축청 (COVA, Central Organization for the Stockpiling of the Oil Products)에서 부족한 석유 비축량을 독일의 북해(North Sea) 비축 기지에 장기적으로 저장하고, 필요한 경우 네덜란드의 로터뎀 (Rotterdam) 탱크에 수송토록 하는 장기 비축 및 공급계약을 포함하 고 있음.

○ 1994년 1월에 계약한 물량이 1차로 독일의 북해 원유 저장시설에 비

축된 바 있음.12)

○ 이 외에도 네덜란드는 벨기에 및 룩셈부르크와 공식적으로 양자 간 공동비축의 협약을 유지하고 있으며, 영국, 아일랜드, 덴마크, 프랑스 그리고 이태리와는 양자 간 공동비축에 관한 비공식 협약이 존재 함.13)

. 여타 유럽 국가들의 예

○ 네덜란드는 독일, 벨기에 및 룩셈부르크와 원유비축설비 공유 협정을 체결하고 있는데, 이 또한 석유소비국들 간 공동비축의 한 예임.14)

12) 황정남(1997), 23쪽과 Stockdraw & Emergency Response Polices and Management, 1994, IEA 참조.

13) Morita(2004)의 “The investigation report to improve the rule and regulation for Iol Stockpiling among Asia region"의 7쪽 참조.

(25)

○ 프랑스의 민간 회사는 총 의무비축량의 10%까지 다른 EU 회원국에 비축할 수 있음.

○ 스페인은 프랑스 및 이태리와 정부 간 협의 하에 민간 비축의 일부 를 이들 두 나라에 비축함.15)

. 비축표 시스템에 대한 IEA의 입장

○ EU나 IEA의 관점에서 볼 때, 비축표 시스템에는 크게 2가지 문제점

이 있음.

- 양자비축협정에 있는 2개국이 데이터를 보고하는 시간의 차이 등에 따라 중복계산(double counting) 등 데이터 보고의 신빙성 및 투명 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음.

- 양자비축협정의 위반에 따른 벌금이 미약하므로 이 협정이 위반될 가능성이 높으며, 따라서 비축표 시스템에 의해 확보한 비축유가 석유공급교란 시에 물리적으로 이용가능하지 않을 소지가 많음.

○ 이러한 문제점에 대해 IEA는 기본적으로 회원국에게 다음과 같은 사 항들을 권고하고 있음.

- 회원국들이 국가 영토 안에 물리적인 비축유를 저장하기를 권고하고 있으며, 양자비축협정에 의한 비축유 비율의 상한선을 두는 방안을 고려하고 있음.

- 양자비축협정 시, 비축유의 본국 송환절차가 적절하게 정의되고 테 스트가 될 수 있도록 권고하고 있음.

- IEA는 협정서 및 데이터 보고에 있어 투명성 및 적절한 모니터링을 확보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하고 있음.

14) 다우존스, 2005/05/26, 참조. Tanabe(2004, p. 21)에 의하면, 양자 간 동의하에 EU의 5개국은 60 만 톤의 석유를 나라 밖에 비축하고 있음.

15) Morita(2004)의 “The investigation report to improve the rule and regulation for Iol Stockpiling among Asia region"의 5쪽 참조.

(26)

제 4장 한중일 전략비축 현황, 운영전략 및 계획

제1절 삼국 현황

○ 2005년 1사분기에 전 세계의 석유소비량은 84.88 MMBD이며 미국은

20.63 MMBD로 전 세계 석유소비의 24.3%에 달하며, 한국은 2.40 MMBD로 2.8%, 중국은 6.83 MMBD로 8.1%, 그리고 일본은 6.05 MMBD로 7.1%를 차지함.

○ BP의 자료에 의하면, 한중일의 석유 소비는 1990년부터 2004년 사이 연평균 3.7%의 증가율을 기록하였으며, 한국은 5.8%, 중국은 8.0%, 그 리고 일본은 -0.02%로 이 기간 동안 오히려 소비가 감소하였음.

○ 2004년 기준 한국의 석유 해외의존도는 100% 이며, 중국은 44.6%, 일 본은 98.12%이며, 한중일 삼국의 해외의존도는 74.3%로 다소 높음.

○ EIA의 전망에 의하면, 아시아 지역은 역외로부터의 석유수입이 2002

년에는 67%에서 2015년에는 75%로, 다시 2025년에는 80%로 증가할 것으로 예측됨.

○ 2005년 4월 현재, 전 세계 정부 전략석유와 정부의 통제 하에 있는 석유업체의 의무비축량을 합해 총 4,031 MMB이 비축되어있고, 미국 은 1,684 MMB로 총 비축량의 41.8%, 한국은 139 MMB로 3.5%, 일본 은 606 MMB로 15.0%를 각각 확보하고 있음.

- 한국은 IEA 기준 114일분, 미국은 117일분, 그리고 일본은 143일분 에 달함.

○ 한국과 일본은 비축유 보유면에서 모두 IEA의 기준치를 넘어서서 양 호한 편이지만, 중국은 아직 전략비축유가 없어서 국내․외의 석유공

(27)

급교란에 취약한 상태며, 이는 한국과 일본에게도 파급될 가능성이 있음.

제2절 한중일 비축 개요

○ 한중일의 현재 비축 현황, 비축 시스템, 미래의 비축 계획 등이 <표 4-1>에 요약되어 있음.

○ 한국은 2007년 까지 비축 저장 능력을 146 MMB까지 확보하고, 비축 유를 141 MMB까지 증대할 계획임.

○ 중국은 4곳에 비축기지를 건설하고 있으며, 2005년에 정부비축유를

35일분, 그리고 민간비축유를 21일분까지 확보할 계획이었지만, 계속

되는 국제 고유가 상황 때문에 이 계획은 성사되지 않았으며, 무기한 연기된 상태임.

 

  

국 중

  

국 일

   본 비축 담당 기구 한국석유공사 국가석유비축센터 자원기구(Japan Oil,

Gas and Metals National Corp.) 비축 제도 정부비축, 민간비축 정부비축, 민간비축 정부비축,   민간비축

(협회비축 고려중) 관련 법

y

석유사업법 y

에너지및자원사업 특별회계법 y

석유공사법

N/A

y

석유비축법 y

석유개발공단법, y

국가비축물자석유제 품관리규정

비축유 운영 동적비축 N/A 정적비축

비축 현황

정부비축 72.5 MMB (54.6 일) N/A 4,832만kl (91일분)

민간비축 74 MMB (49.1 일) 4천만 평방미터

(운영재고) 4,311만kl (82일분)

계 146.5 MMB (103.7

일) 4천만 평방미터 9,143만kl (173일분)

비축 계획

정부비축 141 MMB (72.2 일)

‘08 35일분(’05), 50일분(’10) N/A

민간비축 97 MMB (63 일) ‘08 21일분(’05), 28일분(’10) N/A 계 238 MMB (135.2 일)

‘08 56일분(’05), 78일분(’10) N/A

기타 N/A 4지역에 국가비축기지 

건설중(일부 완성)

비축유 통제력 제고 위해 정부비축 비율 높일 계획

<표 4-1> 한중일 비축 현황 개요

(28)

○ 일본은 정부의 비축유에 대한 통제력과 비축 방출의 효과를 제고하 기 위해 민간비축의 비율은 줄이고, 대신 정부비축의 비율을 높이려 는 계획을 추진하고 있음.

제5장 공동비축 비용편익분석

제1절 소개

○ 전략석유비축의 순편익은 편익과 비용의 차이며, 편익이 불확실한 미 래의 석유공급교란의 발생 가능성에 의해 크게 좌우되기 때문에 순 편익의 계산에 있어 확률적 시뮬레이션(stochastic simulation)이 불가 피 함.

○ 비용의 주요 부분

- 비축시설 건설을 위한 자본비용, - 비축유 구매비용,

- 그리고 비축유 관리 및 운영비용임.

○ 편익의 주요 부분

- 미래에 석유공급교란이 생겼을 때, 전략비축유를 방출함으로 인해 얻어지는 비축유 판매 수익

- 비축유 방출로 유가를 안정시킴으로써 석유공급교란의 부정적인 파 급효과를 저감하는 부분

․ GDP 손실의 저감,

․ 석유 수입 비용 증가 저감,

․ 그리고 소비자잉여 하락 저감.

(29)

○ 전략석유비축의 편익은 미래에 석유공급교란이 얼마나 큰 규모 (disruption size)로 얼마나 자주(disruption frequency)발생 하느냐에 따라 달라짐.

○ 현재의 전략석유비축이 불확실한 미래의 석유시장에서 창출할 수 있 는 비용과 편익을 산출하기 위해 확률적 몬테카를로 시뮬레이션방법 (Stochastic Monte Carlo Simulation Method)을 사용함.

○ 본 연구에서는 위험 및 교란 효과 시뮬레이션모형(Disruption Impacts Simulation-Risk Model: DIS-Risk Model)을 이용함.

○ 공동비축을 통하여 전략석유비축량을 증가시켜 향후 2030년 까지 보 유하려 할 때, 이의 비용 및 편익의 순현재가치(NPV)를 산정하고, 그 순현재가치를 극대화하는 비축유의 최적 수준을 산정함.

제2절 석유공급교란

○ 석유공급교란의 크기는 세계 총석유공급량에 대한 석유공급교란량의

비율을 %로 표현한 것이라 정의함.

○ 교란 크기의 확률분포를 분석하기 위한 필요한 정보:

- 첫째, 석유공급교란크기는 한 쪽으로 치우치는 경향이 있음. 즉, 전 체 석유소비의 15%보다 큰 석유공급교란은 적음.

- 둘째, 석유공급교란크기의 분포는 한쪽으로 치우치는 형태를 반영하 는 분포로 설명.

- 셋째, 와이블분포는 생존분석 또는 극단값 추정에 널리 쓰이는 분포 로 석유공급교란처럼 큰 교란이 발생할 기회가 아주 적은 경우에 적 합함.

○ 와이블분포로 잘 설명되는 석유공급교란 크기의 분포는 두 개의 모 수들(shape, scale parameter)로 결정됨.

(30)

○ 앞에서 언급한 가정으로 구한 두 모수들의 값은 a=0.79905와 b=0.520793임.

제3절 석유공급교란과 국제유가의 관계

○ 석유공급교란이 발생하면 석유 공급이 감소하고, 수요․공급의 법칙 에 따라 유가가 상승하게 됨. 공급교란과 국제유가의 관계는 공급에 대한 가격탄력성을 구함으로서 추정할 수 있음.

○ 이 관계를 계량화함으로서, 즉 석유공급에 대한 원유 가격탄력성을 구함으로서 석유공급교란이 발생했을 때 국제유가가 얼마만큼 증가 할 지 추정할 수 있음.

제4절 전략석유비축의 경제적 비용 및 편익 요소

1. 비용

○ 비축유를 수준을 증대하기 위해서는 여유비축시설이 없는 경우 비축 시설 및 설비 건설을 위한 자본비용, 비축유 구매비용, 그리고 비축유 관리 및 운영비용이 발생하게 됨.

- 비축유 관리 및 운영비용에는 비축유 인입비용, 방출시 발생하는 인 출비용, 그리고 비축유의 품질이 저하되지 않도록 관리하는 관리비 등의 운영비가 발행함.

(31)

2. 편익의 요소 및 추정 방법

○ 편익의 주요 요소는 미래에 석유공급교란이 생겼을 때, 전략비축유를 방출함으로 인해 얻어지는 비축유 판매 수익과 석유공급교란이 국가 경제에 미치는 각종 악영향의 상쇄되는 수준, 즉 GDP 손실의 감소, 석유 수입 비용 증가의 감소, 그리고 소비자 잉여 하락의 감소 등임.

. 국제 유가와 GDP 관계 추정을 통한 GDP 손실 추정

○ 석유공급교란에 의한 유가 상승과 이에 따르는 GDP 감소 효과는 학 계에서 논의가 많이 되어왔고, 또 어느 정도 일치된 의견을 보이고 있으며, 두 변수와의 계량적 관계를 보여주는 유가에 대한 GDP 탄력 도도 실증적으로 추정이 되었음.16)

. 석유수입비용 증가 및 소비자잉여 감소 추정

○ 석유공급교란이 발생하면, 이에 상응하여 유가가 상승하고, 이에 따 라 석유수입비용 증가 및 소비자잉여의 감소가 발생함.

3. 순편익의 순 현재가치

○ 위에서 추정된 각 년도의 비축 비용과 편익을 이용해 구한 순편익에 할인율을 적용하여 각 년도의 할인된 순편익을 계산하고, 이들의 총 합을 구함으로서 그 비축 수준에서의 순편익의 순 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NPV)를 계산함.

16) Huntington의 1998년 그리고 2002년에 미국의 유가와 GDP의 관계를 나타내는 탄력도를 산출하 였음. 그 외에도 Mory(1993), Mork et al.(1994), Hamilton and Herrera(2001), Bernanke et al.(1997), Hamilton(2003) 등이 미국의 유가-GDP 탄력도에 관한 연구를 함. 유가-GDP 탄력도에 관한 문헌연구의 요약은 Jones et al.(2004)과 Atkins(2004) 참조.

(32)

순편익  감소저감 수입비용증가저감

소비자잉여손실저감 비축유판매수익

비축유구매비용 비축비용

- 여기서 ⋅ 는 기대치를 구하는 연산자,

- ⋅ 은 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즉 할인된 가치를 칭함, - 비축비용에는 비축 기지 건설을 위한 자본비용, 비축유 및 기지의

관리․운영비용, 비축유 품질관리 비용 등이 포함됨.

제5절 DIS-Risk 모형을 이용한 비축의 편익 분석

1. DIS-Risk 모형의 개념

○ DIS-Risk 모형을 이용한 stochastic Monte Carlo Simulation은 다음의 절차를 따라 현재 비축유 수준을 증대함으로써 발생하는 비용과, 이 를 통해 얻어지는 위에서 언급한 편익을 종합하여 순편익을 산출함.

○ 첫째, 석유공급교란의 크기 및 기간의 분포를 추정.

○ 둘째, 추정된 석유공급교란 분포를 바탕으로 2006년부터 2030년까지 임의의 석유공급교란 시리즈 하나를 발생시킴.

○ 셋째, 순석유공급교란량(Net Oil Supply Disruption) 계산

○ 넷째, 순석유부족량(Net Oil Shorfall) 계산.

○ 다섯째, 국제 유가변동 추정.

○ 여섯째, 각 연도별 GDP 손실, 석유수입비용 증가, 그리고 소비자잉여 손실 계산.

○ 일곱 번째, 비축유 증대 하의 편익 계산.

○ 여덟 번째, 각각의 비축유 증대 수준에서의 각 연도 편익과 비축유

(33)

판매수익(비축유의 판매 가격은 시장가격으로 가정함)에서 그 비축유 증대를 위해 발생하는 비용을 차감한 값이 각 연도의 순편익임.

○ 아홉 번째, 2006년부터 2030년까지 할인된 순편익의 합이 각각의 증 대된 비축유 수준의 순편익순현재가치(net present value of net benefit)임.

○ 열 번째, 두 번째 단계에서 아홉 번째 단계를 통해 산출한 순편익순 현재가치 하나를 하나의 표본(sample)이라 부르며, 이를 수만 번 반 복 시행하여 표본을 발생시키고, 여기서 산출되는 수만개 순편익순현 재가치들의 평균이 각 증대된 비축유 수준에서 전략석유비축의 순편 익임.

2. 공동비축의 편익분석을 위한 가정들

분석 기간 2006-2030 수요량 전망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EIA (2005), 및 외삽 추정

할인률 7% 유가에 대한

GDP 탄력도 한국: -0.087 (APERC, 2000) 교란 규모 분포 Weib(0.5297, 0.7991) 유가에 대한

GDP 탄력도 중국: -0.05 (추정)

교란 기간 6개월 유가에 대한

GDP 탄력도 일본: -0.058 (APERC, 2000) 유휴생산설비 International Energy

outlook, EIA (2005)

유가에 대한 소비 탄력도

-0.125 (Leiby and Bowman, 2000)

수요 대체 Leiby (1999) 배럴당 비축 기지 건설비용

12.86$ (석유공사, 여수기지 기준)

국제유가 전망 Annual Energy Outlook, EIA (2005), 및 외삽 추정

배럴당 비축유

관리 비용 0.26$ (석유공사, 제3차 평균)

<표 5-1> 공동비축 편익분석을 위한 가정들

(34)

제6절 편익분석 결과

1. 한국이 단독으로 비축을 실시할 경우 사회적 편익

○ 이 분석에 따르면, 주어진 가정 하에서 약 40MMB의 비축유 증대에 서 한계편익과 한계비용이 균형을 이루며, 이 수준이 한국의 비축유 증대의 적정 수준임.

- GDP 손실 저감은 약 21억2천5백만 불, 석유수입비용 증가분 저감은 약 7천5백만 불, 소비자잉여손실의 저감은 약 3백만 불이며, 이를 종 합한 사회적 손실의 저감은 약 22억불이고, 비축유 판매 수익과 비 축비용 26억73백만 불을 고려할 때 순편익의 순 현재가치는 약 5천9 백만 불임.

- 이는 1배럴당 약 1.48 달러로, 그 순편익이 그리 크지는 않은 것으로 평가됨.

- 비축유를 40MMB 이상 증대할 경우, 한계비용이 한계편익을 능가하 여, 순편익의 현재가치는 오히려 감소함.

2. 중국이 단독으로 비축을 실시할 경우

○ 이 분석에 따르면, 주어진 가정 하에서 중국이 단독으로 비축을 실행 할 경우, 비축유 증대가 약 200MMB 근처에서 한계편익과 한계비용 이 균형을 이루고 이 때, GDP 손실 저감은 약 1백13억2천만 불, 수 입비용 증가 저감은 약 5억7천3백만 불, 소비자잉여손실 저감은 약 7 천3백만 불로 총 사회적 손실 저감이 약 1백19억7천만 불 정도이며, 비축유 판매수익은 약 23억77백만 불임. 이를 위한 총 비축 비용은 1 백33억63백만 불로, 순편익의 순 현재 가치는 약 9억8천5백만 불임.

(35)

○ 이를 배럴당으로 계산하면 배럴당 약 4.93 달러임.

3. 일본이 단독으로 비축을 하는 경우

○ 일본의 경우는 비축유 증대 순편익의 순 현재 가치가 모든 수준에서

0보다 작아, 항상 총 비용이 총 편익을 능가하여 단독으로는 추가적

으로 비축유를 증대할 경제적 인센티브가 존재하지 않음.

○ 이상과 같이 한중일이 각각 비축을 실행하고 비축유 증대를 고려할 경우, 한국은 약 40MMB, 중국은 약 200MMB, 그리고 일본은 비축유 증대의 인센티브가 없음.

- 결과적으로 동북아 역내에 약 240MMB의 비축유 증대의 인센티브가 존재함.

4. 한중일이 공동비축을 통해 비축을 실행하는 경우.

○ 이 결과에 의하면, 주어진 가정 하에서 역내 비축유 증대의 수준이

약 600MMB일 때 한계편익과 한계비용이 균형을 이루고 순편익의 순

현재가치가 극대화 됨.

○ 이때, 한중일 역내 GDP 손실의 저감은 약 4백28억2천만 불에 달하 고, 역내 석유수입비용의 저감은 약 39억 불에 달하며, 소비자잉여감 소 저감은 약 5억 불에 달해, 역내 총 사회적비용 손실 저감은 약 4 백72억3천만 불에 달함.

○ 사회적비용 손실 저감과 비축유 판매수익, 그리고 총 비축비용을 종 합한 순편익의 순 현재 가치는 약 126억9천만 불임.

○ 이를 한국, 중국, 그리고 일본이 단독으로 비축을 실행하며 비축유 증 대를 고려할 때와 비교하면 다음과 같음.

(36)

- 단독 비축 시의 삼국 비축유 증대 적정수준의 총 합은 240MMB지 만, 공동 비축을 통한 비축유 증대를 고려할 때는 적정수준이 약 600MMB로서 2배가 넘는 양임.

- 단독 비축 시는 한중일 역내 총 순편익의 순 현재 가치는 약 10억44 백만 달러이지만, 공동비축 시 역내 총 순편익의 순 현재 가치는 약 126억9천만 불로 약 12배에 달함.

. 석유소비 비례 비용분담 방식 공동 비축

○ EIA에서 발간하는 International Energy Outlook(2005)에서 추정하는 석유 소비는 한국이 2.23 MMBD로 한중일 전체 소비의 약 15%, 중 국이 7.41 MMBD로 약 50%, 그리고 일본이 5.33 MMBD로 약 35%를 소비함.

○ 이에 비례하여 공동비축의 비용을 분담한다고 가정을 하고 각 국의 순편익과 역내 삼국의 총 순편익을 시뮬레이션을 한 결과는 다음과 같음

○ 한중일 삼국이 공동비축을 실시할 경우 역내 적정 비축 수준이 앞에 서와 같이 약 600MMB이며 총 비축 비용은 약 400억9천만 불이고, 순 편익은 126억9천만 불임.

- 이 중 한국이 부담하는 비용은 60억천4백반 불이고, 순 편익은 약 4 억4천만 불임.

- 중국이 부담하는 비용은 200억천5백만 불이며, 126억7천만 불임.

- 일본이 부담하는 비용은 약140억3천2백만 불이며, 이때 순 편익은 -2 억2천만 불임.

○ 석유소비 비례에 의한 비용분담 방식은 600MMB에서 한중일 역내의 종합적인 순편익을 극대화 하여 적정 비축수준으로 평가 되지만, 각 국을 살펴보면, 이 방식은 삼국이 협력을 위한 합의에 이르기 어려운

(37)

방법임.

- 일본은 순 편익이 0보다 낮으므로, 전혀 석유소비 비례에 의한 비용 분담 방식의 공동비축을 위한 경제적 인센티브가 존재하지 않음.

. 국민소득 비례 비용분담 방식의 공동비축

○ EIA에서 발간하는 International Energy Outlook(2005)에서 추정한 한 중일의 GDP 전망에 의하면, 한국은 약 8000억불로 한중일 전체 국민 소득의 약 7%, 중국은 약 79000억불로 약 64%, 그리고 일본은 약 36000억불로 약 29%를 비례를 보임.17)

○ 이 비율로 비용 분담하는 공동비축을 분석해 보면, 석유소비에 비례 하여 비용을 분담하는 방식보다는 편익을 좀 더 공평하게 공유할 수 있어 한중일 삼국이 공동비축을 위한 적당한 방식이라 평가됨.

- 한국은 600MMB에서 총 비용 400억9천만 불의 7%인 28억불만 부담 하고, 이를 통해 얻는 순 편익은 37억9천5백만 불임.

- 중국은 총 비용 400억9천만 불의 64%인 256억5천8백만 불을 부담하 고, 이를 통한 순 편익은 약 65억4천2백만 불임.

- 일본은 116억2천6백만 불의 비용을 통해 23억5천3백만 불의 순편익

을 실현함.

17) 중국의 국민소득이 일본의 국민소득보다 현저하게 높은 수치를 보이는 이유는 International Energy Outlook에서 GDP 전망치가 각국의 화폐단위를 실질 구매력 환산 환율(Purchasing Power Parity, PPP)를 이용했기 때문임. PPP를 이용하지 않고 실질 환율을 이용하여 각국의

GDP를 달러로 환산한다면, 결과가 달라질 것임.

(38)

Summary

Chapter 1. Introduction

○ Joint stockpiling of strategic petrolem reserve (SPR) in Northeast Asia has been proposed as one of the means that increases energy security in the region.

- It is to strengthen energy security by expanding the level of SPR in the region through joint stockpiling.

○ Joint stockpiling has been proposed as one of the practical energy cooperation projects, which might have a positive spill-over effect of promoting implementation of other energy cooperation projects.

- Excess SPR and stockpiling facilities of Korea and Japan could be utilized to achieve effective and efficient stockpiling in the region.

○ Joint stockpiling has been identified as one of tactics that could help Korea to build the hub of energy distribution industries.

- By vitalizing the trade, transportation and distribution of energy in the region, the base to set an energy spot market in Korea could be build.

○ It has been recognized that cooperative uses of commercial stockpile has an impact of mitigating severe fluctuation of international oil prices.

- Commercial stockpile plays a role of lessoning shortage of oil

(39)

supply caused by variation of demand by adjusting inventory.

○ There are, however, not many studies that treat joint stockpiling as the end and exam comprehensive economic and geopolitic feasibility of joint stockpiling in Northeast Asia.

- In Northeast Asia, each country, especially China, prefers to hold SPR in its own territory, in principle, because it is related to national security and strategic materials for a national emergency situation.

- As a result, some people are skeptical about practical implementation possibility of joint stockpiling in the region.

○ Also, the mechanism through which joint stockpiling increases regional energy security is not well understood, yet.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economic feasibility of joint stockpiling in Northeast Asia, especially Korea, China and Japan, using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approach.

○ For the quantitative analysis, we build a statistical model in which a cost-benefit analysis for joint stockpiling can be evaluated.

- Using the model, we estimate potential welfare gains of joint stockpiling to each count교 and the region as a whole over individual stockpiling, when we promote it as a part of efforts of practical energy cooperation projects.

- In addition, we estimate the optimal level of SPR in the region.

○ It is one of our purposes to suggest measures and types of joint stockpiling that maximize economic benefits of Korea and the region in the future, when three nations actually get together to discuss about implementation of joint stockpiling in the region.

(40)

○ This study provides concrete information of economic benefits that can be practically used for promotion of joint stockpiling among three nations as a part of efforts of Northeast energy cooperation projects.

○ This study provides issues that must be considered in the implementation stage in the future. It includes challenges, opportunities of joint stockpiling, financing issues, joint operation and management issues.

Chapter 2. Oil Stockpiling Overview

1. Definition and Types of Oil Stockpiling

○ The purpose of the strategic petroleum reserve is to secure stable oil supply in advance to prevent severe social, economic, and political turmoils in the future that may be caused by various types of temporary oil supply disruptions.

○ Oil supply shock or oil supply disruption is defined as sudden reduction of oil supply that causes temporary shortage of oil imports. Oil supply disruptions can be triggered by political embargo that can be provoked by instability in oil-producing countries, especially Middle East countries; by natural disasters, such as Katrina in 2005, oil field accidents or oil tanker accidents;

by wars or disputes in a territory.

○ There are two types of oil stockpiling. One is the strategic

(41)

petroleum reserve (SPR) or compulsory stocks related national security and the other is the commercial oil stockpile to maintain normal business activities.

- The SPR consists of government stockpile (or public stockpile) and mandatory industrial stockpile that is strategically provided for emergency prevention purposes by laws.

- Commercial oil stockpile is the inventory that oil related business entities, such as refineries and oil importers, hold to make business go without a hitch during the time of unbalanced oil supply and demand.

○ Strategic stockpiling (or compulsory stockpiling) has three types, company stocks, government stocks, and agency stocks.

○ Generally speaking, it is a common trend that the government or public entities take responsibilities for management and operation of SPR directly of indirectly, instead of giving entire responsibilities to private sectors. The reasons are:18)

- First, because the social welfare loss reduction effect of stockpiling is not reflected in private stockpiling companies for profit, while it is reflected in public stockpiling entities like the government, the marginal benefits and the marginal costs of stockpiling for the private stockpiling companies are equalized at the lower stockpile level than the public stockpiling entities.

- Second, usually the government intervenes the market to stabilize the prices and it discourages speculative stockpiling of private sectors.

18) Refer page 1203 of Toman(1993).

(42)

- Third, at the time of oil supply disruption, private stockpiling companies have incentives to wait until the price rises sufficiently to maximize profits. When private stockpiling companies expect that the duration of the disruption is long, but actual duration is short, the social welfare of having stockpile may not be materialized by missing appropriate timing of release.

2. Types of Strategic Petroleum Reserve System

○ As mentioned above, there are three types of the SPR systems; the government stockpiling system, the agency stockpiling system, and the company stockpiling system.

○ The government stockpiling system is the system that stockpiling is financec by tax or public budgets and managed and operated by a government organizations or organizations entrusted by the government. Its advantages are following;

- It has the most clear and certain effects of stockpile release in increasing oil supply in a market in emergency situation.

- In addition, announcement effect of the government is an effective tool to calm the market.

- The government stockpile is sharply separated from business activities of private sector.

○ The agency stockpiling system is the system that stockpiling is managed and operated by the agency and financed by members of the agency who are usually oil-related business entities.

- The advantages of the agency stockpiling system:

(43)

stockpiling system Advantages Disadvantages Government

stockpiling

․Maximum government control

․The most stockpile release effect

․Easy to check and monitor stockpile level

․Financed by taxpayers

Agency stockpiling

․Cost sharing be members

․Separation from commercial stockpile or inventories

․Easy quality maintenance of stockpile

․Secure market neutrality

․Reduction of stockpiling costs

․Hard to Secure market neutrality at normal time

․Needs for continuous study for cost reduction

Company stockpiling

․Efficient quality maintenance of stockpile

․Concise stockpile release procedure at the time of emergency

․Hard to check and monitor stockpile level

․Hard to guarantee strict security

․Uncertain stockpile release at the time of emergency

․Burdensome cost burden of oil related companies

<Table 2-1> Advantages and disadvantages of stockpiling systems

․ Easy stockpiling level check and monitor,

․ Separation from commercial stockpile or inventories,

․ Easy stockpile quality maintenance,

․ Secure market neutrality,

․ Clear stockpile release procedure,

․ Hard to Secure market neutrality at normal time,

․ Needs for continuous study for cost reduction.

○ The company stockpiling system is the system that all costs of stockpiling is borne by oil related companies and construction of storage and stockpiling facilities and management and operation of

(44)

stockpile are all responsibilities of the companies.

- During emergency situation, stockpile release can be promptly and efficiently executed and reached to consumers in the markets.

- The government are allowed to direct the companies to

Gambar

[그림  3-1]  소비국과  산유국의  상업적  국제공동비축
[그림  4-1]  한국  전략석유비축  현황
[그림  4-2]  중국의  비축유  관리  체계도
[그림  4-3  ]  일본  국가  석유비축  기지  현황
+7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