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략석유비축을 시행하는 제도의 종류로는 정부비축(Government stocks), 협회비축(Agency stocks), 그리고 민간비축(Company stocks) 등 3가지 형태가 있음.
○ 정부비축은 심각한 석유공급교란 등 응급상황에 대처하기고 위해 정 부가 세금 등 공적 예산에 의해 재정을 확보하고, 비축 조직을 통하 여 비축 기지 및 비축유를 관리․운영하는 형태임.
- 이 제도 하에서는 비축유 방출이 정부에 의해 결정되고 정부 조직에 의하여 실행되므로, 응급상황 하에 시장에 석유공급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가장 뚜렷함.
- 정부의 의도가 정부의 발표에 의해 시장에 전달되므로, "발표효과
5) Fact Sheet on IEA Oil Stocks and Energency Response Potential (IEA), IEA 주요국의 석유비축 제도 현황 (오일포스트, 2005.4.2), 주요 IEA 가맹국의 석유비축제도 (JOGMEC) 참조.
(Announcement effect)"에 의해 시장을 안정시키는 효과가 가장 큼.
- 주로 응급상황에 대비하는 목적으로만 행해지며, 민간기업의 활동과 는 분리가 되는 비축.
○ 협회비축은 심각한 석유공급교란 등 응급상황에 대처하기 위해 법의 규정에 따라 회원기업들의 부과금에 의해 운영되는 비축협회가 비축 시설 및 비축유를 운영․관리하는 제도.
- 주로 협력적인 비용분담을 추구하기 위해 회원기업들의 부과금에 의 해 운영 및 관리되며, 정부비축과 마찬가지로 민간기업의 활동과는 분리가 되는 비축.
- 국가마다 공공비축협회에 관한 법률체계가 다르기 때문에 비축시설 및 비축유 운영․관리의 체계가 다를 수 있음.
- 예를 들어, 독일은 EBV(Erd ὅ
lbevorratungsverband)라고 불리는 공공 비축협회가 독일의 비축을 관리․운영함. 비록 민간 기업들이 정부 에 의한 비축의무를 실행하기 위해 분담하는 분담금에 의해 운영되 지만, EBV는 비축유를 민간기업과는 독립적으로 관리․운영함.
- 협회비축 장점:
․ 확실한 비축량 파악 가능,
․ 조업재고와의 구분 및 품질관리 용이,
․ 긴급시 시장 중립성 확보,
․ 비축방출절차의 명확한 제시,
․ 비축방출의 확실한 실시,
․ 형평성 있는 비축비용 분담,
․ 비축비용 저감,
비축제도 장점 단점 정부비축
․정부의 통제력이 가장 큼
․비축유 방출 효과가 가장 큼
․비축유 수준 파악 가능
․국민의 세금에 의해 운영
협회비축
․회원 기업이 비용 분담
․조업재고와 구분 및 품질 관리 용이
․긴급 시 시장 중립성 확보
․비축 비용 분담 및 저감
․평상시 시장 중립성 확보 곤란
․비용 저감에 대한 지속적 인 연구 필요
민간비축
․비축유의 효율적 품질관리 기능
․긴급 방출 시 방출 과정 간결
․비축 기지 및 물량 파악 어려움
․엄중한 안보확보 곤란
․긴급 시 방출 여부 불확실
․석유기업의 과중한 비용 부담
<표 2-1> 비축제도 장단점
․ 비축비용의 명시 가능.
- 협회비축 단점:
․ 평상시 시장 중립성 확보 곤란,
․ 비용 저감에 대한 지속적인 연구 필요.
○ 민간비축제도는 석유사업자들이 법률에 의거하여 비축 및 이의 관 리․운영을 직접 실행하는 제도로서, 비축을 위한 재정 확보, 시설 건 설, 구매 및 관리 운영을 모두 포함함.
- 주로 민간비축유는 오일 터미널 및 정제시설의 생산 및 분배단계에 저장되어있음.
- 응급상황에서는 비축유가 신속하게 분배 네트워크를 통하여 방출되 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소비자에게 전달될 수 있음.
- 일반적으로, 정부가 비축수준의 인하를 지시할 수는 있지만, 실제 방 출에 관여할 수는 없음.
- 민간비축의 장점:
․ 비축유의 효율적 품질관리 가능,
․ 긴급방출시 비축유 방출 지시 간결, - 민간비축의 단점:
․ 비축기지 및 물량 파악 어려움,
․ 엄중한 안보확보 곤란,
․ 긴급시 방출 여부 불확실,
․ 석유기업에 과중한 비용 부담 등.
○ IEA 회원국 중 민간비축을 시행하는 14개국: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 에, 그리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포르투갈, 스웨덴, 스위 스, 터키, 개나다, 노르웨이, 영국 등.
○ 정부비축을 시행하는 국가: 미국.
○ 민간비축과 정부비축을 혼용하는 국가: 한국과 일본.
○ 민간비축과 협회비축을 병용하는 국가: 체코, 핀란드, 프랑스, 헝가리, 네덜란드, 독일, 스페인, 그리고 덴마크.
○ 민간비축, 협회비축, 그리고 정부비축을 모두 채택한 국가: 아일랜드.
○ EU는 민간비축과 더불어 협회비축방식을 장려하며, 2007년 이후 협
회비축 의무부여를 검토 중인 것으로 알려짐.
비축제도 해당 국가
민간비축 호주, 오스트리아, 벨기에, 그리스, 이탈리아, 룩셈부르크, 뉴질랜드, 포르투갈, 스웨덴, 스위스, 터키, 개나다, 노르웨이, 영국
정부비축 미국
민간비축+정부비축 한국, 일본
민간비축+협회비축 체코, 핀란드, 프랑스, 헝가리, 네덜란드, 독일, 스페인, 그리고 덴마 크
민간비축+협회비축+
정부비축 아일랜드
<표 2-2> IEA 회원국 비축제도 현황