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러시아 석유부문 세제개편안 평가 및 전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러시아 석유부문 세제개편안 평가 및 전망"

Copied!
10
0
0

Teks penuh

(1)

러시아 석유부문 세제개편안 평가 및 전망

에너지국제협력본부 최영림([email protected])

▶ 러시아는 지하자원채굴세는 대폭 인상하는 대신, 원유 및 석유제품 수출세는 대 폭 인하하는 내용의 석유부문 세제개편안을 발표함.

▶ 러시아 정부는 유가하락과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다양한 방안을 이전부터 모색해 왔으며, 이번 세제개편안은 서방의 對러시아 제재가 강 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세수 증대를 석유수출세가 아닌 지하자원채굴세를 통 해 확보하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對중국 가스 공급을 위해 개발 중인 이르쿠츠크州와 야쿠티야자치공화국 내 가 스 매장지에 대해서는 개발시작 후 15년 동안 지하자원채굴세 면제(차얀다, 코 빅타 가스전) 또는 감면혜택 제공

▶ 지하자원채굴세 인상으로 휘발유 가격은 2015년 7%, 2016년 15%, 2017년 5%

상승하여 향후 3년 동안 20~25% 상승 전망

▶ 관세동맹 회원국으로 수출되는 원유가격도 상승하게 되어 러시아산 원유로 석유제 품을 생산해서 유럽으로 수출하는 벨라루스가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될 것임.

▶ 상류자산을 갖고 있지 않은 중소 정유기업의 경우, 원료비 인상으로 정제마진이 크게 감소하고, 현재 계획・추진하고 있는 정제시설 현대화 및 고도화 투자 사업 도 지체될 것으로 예상됨.

▶ 러시아 경제전문가들은 이번 세제개편안으로 정부가 얻게 될 세수증대 효과는 그렇게 크지 않을 것으로 분석하고 있음.

1. 러시아 정부의 석유부문 세제개편 추진

ㅇ 지난

5월 러시아 재정부는 2016년부터 경질 석유제품에 대한 수출세 2배 인

하, 2018년 원유 수출세 전면 폐지 등의 석유부문 세제개편안을 정부에 제출 하였음.

- 기존 석유부문에 대한 ‘60-66-90’ 조세체계의 운영방향은 연간 약 2%p 수준 으로 원유 수출세를 인하하여

2020년경에 제로관세를 만드는 것임.

※ 2011년 10월에 원유 및 석유제품 생산 촉진을 위해 ‘60-66-90’세제 도입

‘60-66-90’ 세제는 원유 수출세를 우랄유 가격의 60%로 인하하고, 석유제품

(경유·중유) 수출세를 원유 수출세의 66%로 단일화하고, 휘발유 수출세를 원유 수출세의 90% 수준으로 유지하는 것임. 휘발유의 러시아 내 공급 부족상황을 막기 위해 휘발유에 대해 높은 수출세를 부과함.

60-66-90’ 세제에 따라, 휘발유를 제외한 경유와 중유 수출세율은 2012년 7 월 톤당 243.7달러에서 8월 1일부터 222.1달러로 인하되었고, 휘발유 수출세는 원유 수출세의 90% 수준을 유지하여 2012년 7월에 톤당 332.4달러에서 8월부 터 302.9달러로 인하되었음.

“러시아 재정부는 2016년 경질 석유제품에 대한 수출세 2배 인하, 2018년 원유 수출세 전면 폐지 등의 석유부문 세제회수 가능한안 제안함”

(2)

- 재정부는 원유 수출세 감소로 인한 세수 감소를 충당하기 위해 지하자원채굴 세율을 2배 이상 증대할 것을 함께 제안함

.

- 이러한 급격한 지하자원채굴세율 인상은 자국 시장에서 원유 및 석유제품 가격 상승으로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가격인상 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서 는 소비세를 낮추어야 함. 그러나 소비세 인하는 정부의 세수를 감소시킬 수 있음.

- 재정부의 세제개편안의 주요 방향은 다음과 같음

.

원유

1배럴당 세수 증가,

원유생산기업에 대한 조세부담 증가

유종별, 석유제품별로 상이한 수출세 제도의 허점을 보완하고, 일부 관세 동맹국가(벨라루스)에게 제공되고 있는 특혜 철폐

정제시설의 현대화 작업 촉진

,

휘발유 및 경유 생산 증대

,

중유 생산 감소

수출세 인하에 따른 기업들의 수익 증대와 원유 개발

・생산 촉진

ㅇ 이후 지난 9월 러시아 Medvedev 총리는 원유 수출세와 석유제품 수출세를 향 후 3년 내로 크게 인하하는 대신 석유・가스 지하자원채굴세율은 크게 인상하 는 석유부문 세제개편안(Big Tax Maneuver)을 발표함.

- 지하자원체굴세는 2015년에

530루블에서 2016년 873루블, 2017년 950루블

로 증가 예상

- 개발여건이 어려운 매장지에서의 원유생산에 대한 세금부담이 2014년 대비

5~24%로 경감 예상

- 원유 수출세율은 2014년 59%에서 2015년 42%, 2016년 36%, 2017년 30%

,

경유 수출세율은 2015년 48%, 2016년 40%, 2017년 30%로 각각 인하 예상

- 중유 수출세율은 점차적으로 인상하여 2017년에

100%에 이르게 함.

현행 세제 하에서는 2015년에

100%로 인상

- 러시아 내 시장에서 가격 상승압력을 완화시키기 위해 석유제품에 대한 소비 세를

2.2배 인하하고 ,

세제혜택 제공 예상

※ 휘발유 및 경유에 부과되는 세금으로는 소득세, 소비세, 부가가치세, 그리고 수 출 시에 부과되는 수출세 등이 있음.

ㅇ 또한 최근 11월 25일에 푸틴 대통령이 서명한 석유・가스부문 세제개편 법안에 서는 다음과 같은 내용이 포함됨.

- 정부 조세수입 규모는 2016년

2,470억 루블 (약 46억 1,800만 달러), 2017년

“2015~2017년 내 원유

지하자원채굴세 1.7배 증가, 가스콘덴세이트세 6.5배 증가, 반면에 원유 수출세 1.7배 감소, 경질유 석유제품 수출세 1.7~5배 감소 추진”

“對중국 가스 공급원(코빅타, 차안다 등)에 대한 개발 개시 후 15년 간 지하자원채굴세 면제”

(3)

내 가스전에 대해 개발 개시 후

15년 동안 지하자원채굴세 면제 또는

감면

차얀다 가스전과 코빅타 가스전의 경우에 지하자원채굴세 면제

ㅇ 원유 및 석유제품에 대한 수출세 인하는 최근 유가 하락에 의한 전체 수출 감 소와 유럽의 러시아 에너지 의존도 감소 전략에 따른 대응책임.

※ 2011년에 러시아 전체 휘발유 생산량에서 수출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0.03%에 불과하지만, 전체 경유 생산량에서 수출량이 차지하는 비중은 67.0%임.

- 러시아 정부는

2014년 12월 1일부로 석유부문 세제개편의 일환으로 원

유 수출세를 기존 톤당

316.7달러에서 12.4%

감소한

277.5달러로 인하

결정

- 러시아 통계청에 따르면, 2014년 1~9월 러시아의 총 석유수출량은 1억6,640 만 톤을 기록했으며, 이는 전년 동기대비 5.1% 감소한 수치임.

- 또한, 러시아 경제개발부는 석유 및 석유제품에 대한 ‘60-66-90’세제는 고유 가 시기에 도입된 것으로 현재 상황에서는 적합하지 않다고 밝힘.

2. 세제개편의 긍정적 효과

석유에 대한 재정의존도 감축과 세수 증가

ㅇ 러시아 정부는 유가하락과 루블화 가치 하락으로 인한 손실을 막기 위해 다양 한 방안을 이전부터 모색해 왔으며, 이번 세제개편안은 서방의 對러시아 제재 가 강화되고 있는 현 상황에서 세수 증대를 석유수출세가 아닌 지하자원채굴 세를 통해 확보하려는 데 중점을 두고 있음.

- 지하자원채굴세를 통한 세수 증대는 대외환경 변화에 대한 영향을 덜 받아서 세수 안정성을 제고시킬 수 있음.

- 또한 수출세 인하는 다른 관세동맹 국가(벨라루스, 카자흐스탄)의 러시아산 원유 및 석유제품의 재수출에 대한 위험을 줄일 수 있음. 현재 수출세는 관 세동맹 이외의 지역으로 수출할 시에 부과되며, 유럽시장에서 거래되는 러시 아 수출원유인 우랄유 가격에 기초해서 매달 산정됨.

ㅇ 러시아 경제 전문가들은 지하자원채굴세 인상과 수출세 인하 시에 세수증대를 예상함.

- 지하자원채굴세 인상효과는 러시아 내에서 생산되는 모든 원유에 대해 적용 되지만, 수출세는 해외로 수출되는 원유에 대해서만 적용됨.

“지하자원채굴세 인상 및 수출세 인하 시 정부 세수 증대 효과 발생”

(4)

< 세제개편 시행 후 지하자원채굴세 수입 증가 추이 >

(단위 : 10억 루블, 약2,056만달러)

자료 : Neftrossii(2014.10)

자료 : Neftrossii(2014.10)

< 세제개편 시행 후 석유 수출세 수입 감소 추이 >

(단위 : 10억 루블(약 2,056만 달러))

3. 세제개편의 부정적 효과

러시아 시장에서 석유제품 가격 인상

ㅇ 그러나 세제개편안이 발효되면

,

원유를 비롯한 석유제품의 가격이 러시아 시장 에서 상승하게 될 것임.

- 현행 조세체계 하에서는

2015년 ~2017년 동안 러시아 내 원유가격은 매우

안정적으로 유지되겠지만, 새로운 세제개편안이 도입되면 지하자원채굴세 인 상으로 인해 2014년에 원유가격 1만3천 루블/톤이 2017년에 2만3백 루블/톤

“그러나 러시아 내수시장에 공급되는 원유가격은 지하자원채굴세 인상과 수출세 인하로 상승 예상”

(5)

자료 : Neftrossii(2014.10)

채굴세, 부가가치세, 그리고

export parity price에 의해 영향을 받음.

※ export parity price는 정부가 원유 수출가격과 내수가격을 일치시키기 위해 정 책적으로 설정하는 가격을 말함.

< 세제개편 시행 후 러시아 내 원유가격 상승 전망 >

ㅇ 경유와 휘발유 가격이 상승하게 되어 경제주체들의 부담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됨

.

- 경유 가격은 연간

5~6%

상승할 것이며, 휘발유 가격 또한

2015년에 7%, 2016년 15%, 2017년 5%씩 매년 인상되어 3년 동안 총 20~25%

상승할 것 으로 추산됨.

- 국제 유가가 하락하게 되면 원유수출 의존도가 높은 루블화 가치는 하락하게 될 것이고, 이로 인해 러시아 원유의 루블화 표시 네트백 가격은 상승하게 됨.

※ 원유는 정제되어 가솔린, 등유, 경유, 중유 등 석유제품으로 만들어지는데, 이 들 제품이 생산되는 비율에 제각기 제품가격을 곱해 평균치를 내면 제품화된 시점에서의 가치가 계산됨. 이 가격에서 정제비용, 운임, 보험료 등을 빼면 원 유 가격이 산출됨. 네트백(net back) 가격은 제품가격과 연동해서 변동하기 때 문에 정유회사에게 일정한 이익을 보장해 줌.

- 최근에 러시아 중앙은행은 일일 환율개입 및 이중통화거래밴드(dual-currency

trading band)

제도를 철폐하였으며, 이로 인해 달러화 대비 루블화 환율은 대내외 환경변화에 따라 크게 변동하게 되었음. 이로 인해 향후 러시아 원유 의 네트백 가격은 루블화 환율변화에 더욱 민감하게 반응하게 될 것임.

※ 러시아 중앙은행은 예상보다 2개월 앞선 11월 10일 루블화에 대한 변동고정환 율제 형태인 이중통화거래밴드(dual-currency trading band) 제도를 철폐하 고, 자유변동환율제를 도입함. 루블화 가치는 우크라이나 사태에 따른 서방의 제재로 인해서 금년 들어 40% 하락했음.

- 현행 조세체계 하에서 휘발유 수출세는 항상 소비세보다 높았으며, 이로 인 해 정부는 정유업체에게 보조금을 지급해 왔음. 그러나 새로운 세재개편안에

“휘발유 가격은 2015년 7%, 2016년 15%, 2017년 5%

인상되어 3년 동안 총 20~25% 상승 예상”

(6)

따라 수출세가 크게 인하되면

2017년에 소비세(5,100루블)는 수출세(2,163

루블)보다

2배 이상 많아질 것이며,

그렇게 되면 정부는 더 이상 보조금을 지급하지 않아도 될 것임.

ㅇ 정부의 세제개편안으로 인해 경유 및 휘발유 관련 조세수입은 모두 감소할 것 으로 추산됨

.

- 현행 조세체계 하에서 경유 관련 조세수입은

2014년에 5,040억 루블(약 98

5,500만 달러)에서 2017년에 5,510억 루블로 증가하겠지만,

새로운 세제 개편안에서는 조세수입이 2017년에

2,250억 루블까지 감소할 것임.

지표 현행 세제 세제개편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수출세율(%) 65 63 61 61 65 48 40 30

수출세(루블/톤) 8,528 8,009 7,506 7,506 8,528 4,634 3,373 2,163 수출세(10억루블) 342 331 320 329 342 192 144 95 네트백가격(루블) 31,748 32,730 33,972 33,748 31,748 33,237 35,344 37,138 소비세(루블/톤) 4,767 5,244 5,970 5,970 4,767 2,300 3,000 3,500 소비세(10억루블) 162 184 215 222 162 80 108 130 세금 총합

(10억루블) 504 515 535 551 504 272 252 225

세법개정에 따른

가격상승 효과 - - - 5 6 5

자료 : Neftrossii(2014.10)

< 세제개편이 경유 시장에 미치는 영향 >

- 휘발유 관련 조세수입의 경우에도 2014년에

2,790억 루블에서 현행 세제개

정 하에서는 4,180억 루블로 증가하지만, 새로운 개편안에서는 2,060억 루블 로 감소할 것임.

지표 현행 세제 세제개편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수출세율(%) 90 90 90 90 90 78 61 30

수출세(루블/톤) 11,808 11,441 11,074 11,074 11,808 7,531 5,144 2,163

수출세(10억루블) 53 52 52 54 53 35 24 11

네트백가격(루블) 32,043 33,875 36,228 36,074 32,043 34,300 39,332 41,397 소비세(루블/톤) 6,450 7,750 9,500 9,500 6,450 4,200 6,200 5,100

소비세(10억루블) 226 280 353 364 226 152 231 195

세금 총액

279 332 405 418 279 186 255 206

< 세제개편이 휘발유 시장에 미치는 영향 >

“경유 및 휘발유 관련 조세수입은 새로운

세제개편안에서는 감소하는 것으로 추산됨.”

(7)

지표 현행 세제 세제개편안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2014년 2015년 2016년 2017년

수출세율(%) 66 100 100 100 66 76 82 100

수출세(루블/톤) 8,659 12,712 12,305 12,305 8,659 7,338 6,914 7,209

수출세(10억루블) 538 814 812 836 538 470 456 490

네트백가격(루블) 11,772 6,860 7,203 7,055 11,772 13,202 13,564 13,068

소비세(루블/톤) 0 0 0 0 0 0 0 0

세법개정에 따른

가격상승 효과 - - - 12 3 -4

자료 : Neftrossii(2014.10)

- 중유 수출세율은 당초에 2015년에 100%로 인상할 계획이었지만, 새롭게 도 입될 세제개편안에서는 이보다 낮은

76%로 인상하고 2017년에 가서 100%

로 인상함. 이렇게 되면 중유의 네트백 가격은 크게 하락하지 않고 오히려 상승하게 될 것임.

< 세제개편이 중유 시장에 미치는 영향 >

러시아 정유산업 발전 저해

ㅇ 러시아 정유기업의 경우, 서방의 제재로 인해서 정제시설 현대화 사업이 차질 을 빚고 있음. 이는 미국과 유럽이 러시아로의 에너지 채굴 관련 설비 및 기술 수출을 금지시켰고, 러시아 기업들의 국제 금융・자본시장에서의 자금조달을 못하게 했음.

- 물론 서방 제재에 정제시설의 대러시아 수출은 포함되지 않았지만, 서방의 정제플랜트 기업들은 러시아와의 계약체결에 상당히 소극적인 자세를 취하 고 있음.

- 또한 러시아 정유기업들이 대부분 상류부문을 갖고 있는 수직통합형 기업이 기 때문에 서방으로부터 금융제재를 간접적으로 받고 있음. 그래서 현대화 사업 추진을 위한 대규모 투자자금 조달에 있어서 러시아 정유기업들이 어려 움을 겪고 있는 것으로 알려짐.

ㅇ 세제개편으로 정유기업으로 공급되는 원유 가격이 상승하게 되면, 상류자산을 갖고 있는 수직통합형 정유기업은 정제마진 감소를 상류부문에서 상쇄시킬 수 있지만, 상류자산을 갖고 있지 않은 소형 정유기업들은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입게 될 것임.

- 또한 최근 들어 러시아 정부는 환경오염 방지를 위해 정제시설에 대한 환경 규제를 강화하고 있는데, 시설 투자 능력이 부족한 소형 정유기업들이 이에 대한 어려움을 더욱 많이 받고 있음.

ㅇ 현재 러시아 정부는 시설이 노후화되고, 생산성이 낮은 소규모 정제시설들을 점차적으로 폐쇄시키고, 석유제품 고급화를 추진하고 있는데, 이번 세제개편안

“정유기업으로 공급되는 원유 가격 상승은 특히 상류자산을 갖고 있지 않은 소형 정유기업에게 커다란 경제적 손실을 안겨 줄 것임”

(8)

이 이러한 조치를 가속화시킬 것으로 보고 있지만, 전문가들은 정제시설 현대 화 사업이 지체될 것으로 예상되는 상황에서 소형 정유기업들의 파산 또는 경 영 악화는 정유산업 전체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함.

- 중국 제품과 경쟁을 해야 하는 러시아 중소기업들은 가격경쟁력 악화로 인해 서 어려움을 겪게 될 것임

.

- 그러면 특히 유럽이나 중국에 인접해 있는 지방의 경우에는 인근 국가로부터 의 석유제품 수입이 점차 증대될 것임.

ㅇ 당초 러시아 정부는 현행 세법 하에서 2015년부터 중유 수출세를 100%로 인 상해서 정유기업들의 고도화 시설에 대한 투자를 촉진시키려고 했음. 즉, 중유 수출세가 크게 인상되면 정유기업들은 중유 수출을 줄이고 경질 석유제품의 수출을 증대시키기 위해 고도화 시설 투자를 증대시키려 할 것임.

- 그래서 러시아 정유기업들은 그동안

2015년을 목표로 대규모 고도화 시설

투자 계획을 마련 추진해 오고 있었음

.

- 그러나 이번 세제개편안에는

2017년부터 중유 수출세를 100%로 부과하는

것으로 되어 있어서 정부가 향후 정유기업들의 고도화 시설 투자를 유인하기 위한 특별한 혜택을 마련 제공하지 않는 한

,

현재 진행되고 있는 고도화 투 자 사업은 지체될 수밖에 없을 것임.

ㅇ 정부가 개발여건이 어려운 매장지와 지리・기후적으로 열악한 지역에 위치한 매장지에 대한 지하자원채굴세 감면혜택을 당분간 그대로 유지하겠지만, 그럼 에도 불구하고 전반적으로 석유생산기업에 대한 조세부담은 이번 세제개편안 추진으로 인해 증대될 것으로 예상됨.

석유제품 공급부족 사태 예상

ㅇ 러시아 석유기업들의 조세부담 증가, 원유가격 인상, 그리고 시설 현대화 투자 사업 차질 예상 등으로 향후 석유제품 공급부족 상황이 나타날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있음.

- 최근 발생한 Achinsk 정유공장의 폭발로 많은 지역에서 공급부족 현상이 발 생하였고, 이는 러시아의 취약한 수급 시스템을 여실히 보여준 경우임.

- 현재 러시아 일부 지역은 공급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아 주변 국가

(벨라루스,

동북아 국가 등)로부터 석유제품을 수입하고 있음. 그러나 앞서 보았듯이 향 후 소형 정유기업의 폐쇄 또는 생산 감소

,

현대화 투자 사업 차질 등이 본격 적으로 나타나면 주변국가로부터의 석유제품 수입은 점차 증대될 것임.

“중유 수출세율 100% 인상계획의 연기는 현재 정유기업들의 고도화 투자사업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임”

(9)

- 벨라루스는 무관세로 러시아로부터 원유를 수입하고 있음. 그러나 세제개편으 로 지하자원채굴세가 인상되어 벨라루스로 수출되는 원유 가격이 상승하게 되 면 벨라루스 정유기업들은 경제적 손해를 입게 됨.

- 현재 벨라루스 정유기업들은 무관세로 수입된 러시아산 원유를 정제해서 석유 제품 형태로 유럽에 수출해서 경제적 이득을 얻어 왔음. 즉

,

벨라루스 기업은 수출세가 부과된 원유를 수입하는 유럽 정유기업보다 저렴한 비용으로 석유제 품을 생산할 수 있어서 유럽시장에서 가격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었음

.

- 그러나 지하자원채굴세가 인상되는 대신에 원유 수출세는 인하되기 때문에 벨

라루스 정유기업의 유럽으로 수출하는 석유제품의 가격경쟁력은 크게 악화될 것임.

- 이에 따라 러시아와 벨라루스는 지난

10월 10일 러시아의 석유부문 세제개

편에 따른 벨라루스 정유기업이 입게 될 경제적 피해를 보상하는 방안에 대 한 협상을 진행하였음.

벨라루스측 분석에 따른 자국 정유기업의 경제적 피해액은

2015년 2.5억

달러, 2016년

3억 달러, 2017년 3.7억 달러로 추산됨 .

이를 근거로 해서 현재 벨라루스는 러시아에

10억 달러의 보상금액을 요구하고 있는 것으

로 알려짐.

※ 지난 6월 벨라루스는 러시아산 원유로 생산된 석유제품에 대한 수출세 중 15억 달러를 2015년에 러시아에 지급하지 않기로 이미 러시아와 합의한 바 있음.

- 한편, 벨라루스는 러시아와의 협상이 제대로 이루어지 않으면 2015년 1월 1 일 출범 예정인

‘유라시아경제연합(Eurasian Economic Union, EEU)’에 탈

퇴할 것이라고 경고함.

- 국제유가 하락으로 외환보유고가 빠르게 줄어들고 있는 상황에서 러시아 정 부는 벨라루스와의 원만한 협상 타결을 위해 외환수입 감소를 감수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문가들은 보고 있음.

ㅇ 또한, 휘발유 가격을 낮은 수준으로 통제하고 있는 카자흐스탄에게도 러시아의 세재개편안은 부정적 영향을 미칠 것임. 즉, 현재 카자흐스탄은 정제시설이 부 족해서 자국 내에서 부족한 휘발유를 러시아로부터 수입하고 있음. 그런데 러 시아에서 원유가격이 인상되면 자국으로 수출되는 석유제품 가격도 상승하게 될 것임.

5. 평가 및 전망

ㅇ 러시아 경제 전문가들은 이번 정부의 세제개편안에 대해 대체로 부정적인 평 가를 내리고 있으며, 향후 세제개편안이 시행되고 난 뒤에 수정될 수밖에 없을 것으로 전망하고 있음.

- 전문가 분석에 따르면, 세제개편으로 인한 정부의 세수입 증가효과는 겨우

“러시아의 세제개편안은 관세동맹 회원국에 수출되는 원유 가격을 상승시켜 이들 국가에게도 부정적 영향”

(10)

1~2%밖에 되지 않을 것으로 분석됨.

< 세제개편 후 러시아 세수입 증대 전망 >

(단위 : 10억 루블)

자료 : Neftrossii(2014.10)

참고문헌

에너지경제연구원, 「세계 에너지시장 인사이트」, 각 호

Neftrossii, “Кто заплатит за налоговый манев?”, 2014. 10월 호

Forbes, “Минфин подготовил «большой налоговый маневр» в нефтяной отрасли, 2014.5.28

Vedomosti, “Газпром нефть» поддержала вариант «налогового маневра»

с более низкими темпами роста НДПИ”, 2014.8.12

Nezavisimaya, “Маневры в нефтяной отрасли закончились”, 2014.9.12 Itar-tass, “Экспортная пошлина на нефть в РФ с 1 декабря снизится на

12,4%”, 2014.11.17

Neftegaz, “В. Путин подписал закон о налоговом маневре в нефтяной

отрасли”, 2014.11.26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