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머 리 말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머 리 말 - 한국직업능력연구원"

Copied!
251
0
0

Teks penuh

(1)
(2)

머 리 말

세계는 지금 국제화 개방화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다자주의와 지 역주의의 병행발전을 모색하고 있다 이러한 현실에서 동북아는

와 함께 대 경제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우리는 참여정부가 들어서면 서 동북아경제공동체 건설 을 지향하며 년 월 일 동북아경제중심추 진위원회 현 동북아시대위원회 를 구성하였다 구성의 배경은 중국의 경제적 급부상과 동북아권의 대두라는 대외적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우리의 지리 적 경제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는 데 있다

한편 중국은 아시아의 중화권 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 싱가포르 기타 아시 아 국가의 화교 을 형성하면서 중국의 위상 제고와 경제적 정치적 사회 문 화적 우위를 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관변 학자를 동원하여 화평 굴기론和平崛起論 등 이론적 논리까지 개발하여 주변 국가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중국과 아시아 중화권의 급부상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차원 의 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한 중 양국의 긴밀성 증가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차원에서 중국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며 또한 중 국 전문 인력은 동북아지역에서 지정 역사 문화적으로 밀접한 관계와 배경 을 가지고 있어 향후 양국 간 교류협력 과정에서 상호 발전을 추구하는 데 매 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중국의 위상 변화와 아시아 동북아 지역의 중요성에 대처하고 지속적인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중국지 역 전문 인력 개발과 이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 및 전략이 필요하다 또한 교육 인적자원분야에서 중국과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여 국익의 보호 발전과 상호 성장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3)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배경을 인식하면서 정부가 관련 정 책을 구상 추진하는 데 기여하고 민간부문의 관련 기관들이 연구 결과를 활 용하도록 하는 데 목적이 있다 즉 아시아 동북아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정부 및 민간부문 기업 등 에서 인적자원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는 데 필요한 관련 정보 자료 전략 등을 연구 개발 제공하기 위해 중국의 급부상 실태와 향 후 전망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국전문 인력 개발의 방안과 전략을 수립하는 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따라서 본 연구 결과가 목적에 맞게 우리나라의 중국전문가를 양성하는 정 책 구상 및 개발은 물론 관련 분야의 연구와 현장에서 적극 활용되기를 기대한 다 또한 아직 미흡한 부분은 추후 국내외 환경 변화와 수요에 대응하는 노력 과 지속적인 연구로 더욱 발전된 정책제언이 나오기를 바라마지 않는다

이 연구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년 기본연구 번으로 진행되었으 며 강일규 박사가 책임자로서 김종우 박사와 공동으로 연구를 수행하였다 본 연구는 참여 연구진뿐만 아니라 관련 분야의 많은 학자 및 전문가들의 선행연 구와 도움이 있었음을 밝히고 연구진의 노력과 함께 이들의 도움과 노고에도 감사의 말씀을 드린다

년 월

한국직업능력개발원 원장 이 원 덕

(4)

목 차

요 약

제 장 서론 1

배경 및 필요성 목적

연구 내용 연구 방법

연구의 범위

용어의 정의 중국 전문 인력

제 장 중국의 부상과 대응 방향 2

崛 관방의 중국 화평굴기론 제기

관방의 입장 변화 화평굴기론에서 화평발전론으로 지속되는 관변 씽크탱크의 중국화평굴기론

중국의 부상 현황

(5)

중국 부상의 규모효과

중국 부상의 전망 대아시아태평양에 대한 기회 중국 부상의 난제

서구의 중국 부상에 대한 인식

중국학자가 본 한국의 중국 부상에 대한 인식 중국 부상의 한국에 대한 위협과 전망 한중 관계의 변화

중국 부상에 대한 한국의 대처 방향

제 장 중국 전문 인력 수요와 양성 실태 3

대학의 중국관련 학과 개요 진로 및 직업

중국 관련 전공별 입학 및 취업 실태 전문대학원

사이버 교육

외국박사학위 현황 학술진흥재단 등록수 명 중국 유학생 현황

중국 진출 기업 현황

중국 진출 기업체의 인력수요

기존의 중국 전문 인력 교육 프로그램

전문가들의 중국 전문 인력 관련 실태 및 개선 방안에 관한 의견

(6)

국내에서 양성하는 문제

중국 내 한국유학생을 통한 전문가 양성 문제 한국 기업의 중국유학 한국학생에 대한 인식

제 장 외국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 실태와 시사점 4

대학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 실태 중국연구에 관련된 기관과 단체의 실태 기업 차원의 지원 사례

영국 미국 싱가포르

제 장 중국 전문 인력 개발 전략과 방안 5

중국 전문 인력 개발의 기본 논리 중국 전문 인력 양성의 기본전략

인력 개발 방안의 기본 방향과 구도

(7)

전문 인력 양성 방안

제 장 제언 및 결론 6

부록 지역별 국가별 기업수 부록 중점학과 전공 분포 부록 중국대학별 한국유학생 현황

부록 중국전문인력양성 관련 인터뷰질문지

참고문헌

(8)

표목차

< >

표 개요

표 대학교 중국 관련 학과 지원 현황 표 전문대학의 중국 관련 학과 지원 현황 표 대학교 및 전문대학의 졸업생 취업 현황 표 중국 대학별 박사학위 취득자 수 표 대만 지역의 학교별 박사학위 취득자 수 표 싱가포르 지역 대학의 박사학위 취득자 수 표 중국 지역 대학의 계열별 박사학위 취득자 수 표 대만 지역 대학의 계열별 박사학위 취득자 수 표 싱가포르 지역 대학의 계열별 박사학위 취득자 수 표 중국 학위취득연도별 현황

표 대만 학위취득연도별 현황 표 싱가포르 학위취득연도별 현황 표 중국 학위취득자의 성별비교 표 대만 학위취득자의 성별비교 표 싱가포르 학위취득자의 성별비교 표 중국 유학생 현황 집계 결과 표 중국 대학 한국 유학생 현황 표 중국 지역별 기업체 분포 표 중국 업종별 기업체 분포

표 중국 현지법인의 현지인 고용현황

표 프로그램영역

표 프로그램운영

표 투자스쿨

(9)

표 중국연구 관련학과 개설 대학 일람

표 아이치 대학 현대중국학부의 교수 전공별 분류 표 글로벌인재 육성 프로그램의 교육내용

표 글로벌인재육성프로그램 개 코스 일 과정 표 글로벌인재육성프로그램 개 코스 일 과정 표 전문가 파견 사업의 제도별 특징

표 중국 공정 고등교육기관 지역별 분포 현황 표 중국통상전문가의 이수과목

(10)

그림목차

[ ]

그림 중국 중화권 전문 인력 개발을 위한 정책 추진 모형 안 그림 중국 전문 인력개발 방안의 기본 방향

(11)

요약

【 】

연구의 배경과 목적 1.

본 연구는 동북아에서 급부상하는 중국의 부상 논리와 이에 대응할 수 방안으로 인적자원 차원의 방안을 모색한 것이다 즉 중국은 아시아의 중 화권과 함께 국가적 위상 제고는 물론 경제적 정치적 사회 문화적 우 위를 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관변 학자를 동원하여 화평굴 기론和平崛起論 등 이론적 논리까지 개발하여 주변 국가들을 긴장시키 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중국과 아시아 중화권의 급부상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차원의 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특히 한 중 양국의 긴밀성 증가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차원에서 중국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 하며 또한 중국 전문 인력은 동북아지역에서 지정 역사 문화적으로 밀 접한 관계와 배경을 가지고 있어 향후 양국 간 교류협력 과정에서 상호 발전을 추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과 같이 중국의 위상 변화와 아시아 동북아 지역의 중요성에 대처 하고 지속적인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 는 중국지역 전문 인력 개발과 이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과 전략이 필요하 며 또한 교육인적자원분야에서 중국과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여 국익의 보호 발전과 상호 성장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본 연구는 이상과 같은 연구의 필요성과 배경을 인식하면서 정부가 관 련 정책을 구상 추진하는데 기여하고 민간부문의 관련 기관들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데 목적이 있다 즉 아시아 동북아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정부 및 민간부문 기업 등 에서 인적자원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12)

필요한 관련 정보 자료 전략 등을 연구 개발 제공하기 위해 중국의 급부상 실태와 향후 전망에 기초하여 우리나라의 대응전략 실태와 문제 점을 파악하고 중국전문 인력 개발의 방안과 전략을 수립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연구의 주요 내용 2.

첫째 중국의 급부상 실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중국 부상의 중국 측 논리를 검토하였다 중국은 관변 학자들이 주도하여 중국의 부상 전략 을 개발하고 있는데 이는 소위 화평굴기론和平崛起論 이다 다음으로 중국 부상의 구체적인 현황 분석과 향후 중국의 지속적인 부상 전망을 하 였다 계속해서 이들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부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 향 위협 과 대처 방향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둘째 중국 전문 인력개발 실태 등에 관련한 내용이다 현재 중국 전문 인력개발은 고등교유기관과 기업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등교육 기관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과 기업 차원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 등을 분 석하였다

셋째 외국 사례 분석이다 주로 일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일본은 일찍부터 중국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 책과 제도를 준비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는 중국에 근접한 같은 동북아 국가로서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미국과 영 국 및 싱가포르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 지원 제도를 검토하였다

넷째 중국 전문 인력 개발 전략과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우선 중국 전 문 인력 개발의 기본 전제와 방향을 살펴보고 전문 인력개발 모형을 정 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제와 방향 및 모형 그리고 외국의 사례 등을 바탕으로 전문 인력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

(13)

마지막으로 현재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는 정책적 제 언을 하였다

연구 결과 및 제언 3.

중국은 년 이후 전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변화하고 성장해 온 국가 이다 한국에 있어서의 중국은 단순한 경제관계 다변화의 대상이 아니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의 변화 방향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상수 로서 기능하게 되었다 기능적 측면에서 중국이 가지는 중요성에 常數

더해 중국의 보편 국가화 과정은 이제 중국이 낙후성과 정체성을 바탕으 로 일방적 호기심의 대상이 되었던 지난날의 위상을 탈피하여 보편적 학 문의 대상으로서 자리매김 했음을 의미한다

중국의 변화와 위상 변화 그리고 한국 사회에 대한 전방위적 영향력 확산에도 불구하고 우리의 중국 전문인력 육성을 위한 이론적 기반과 교 육 과정 및 내용은 아직 한계성을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우리나라 교육 및 학술 연구계가 중국 전문인력 교육 과정 및 내용의 정체성을 정립하지 못하고 있는 이유는 무엇보다도 중국 지역학 에 대한 이론적 토대가 모호 하다는 점에 기인한다 전통적으로 식민지배와 지적 호기심을 추구하기 위한 서구의 중국 지역학은 쌍방향적 학술 교류가 아닌 일방적이며 주관 적인 관찰에 기초하고 있으며 접근 대상인 중국의 특수성과 낙후성 정체 성을 전제로 하는 오리엔탈리즘의 이론적 철학적 배경을 가지고 있다 이 와 같은 전통적 지역학 영역의 인식체계는 현대 중국의 급격한 변화와 기 능적 사회 수요 그리고 보편적 학문 대상으로서의 중국학의 새로운 등장 을 수용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중국 전문인력 양성을 위한 우리의 교육 체계의 정체성과 낙후성을 야기했다 기능적 측면에서 한국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 체계는 중국시장 진출 기업이나 중국과의 협상에 임하는 정부

(14)

기관이나 기업의 현실적 수요를 효율적으로 충족시키지 못했으며 보편적 중국의 연구를 목적으로 하는 학계의 학술적 수요에도 대응하지 못하는 정체성의 혼란에 직면하고 있다

이와 같은 중국 전문인력 양성체계의 결함을 보완하기 위해 본 연구에 서는 쌍방향적 지역학 인식론과 보편적 국가로서의 중국을 교육 연구하 기 위한 어문교육 사회과학 분과 학문 교육 중국의 경로의존적 역사배경 이해 및 교육을 목표로 하는 이론적 틀을 제 시하였다 특히 강조해야 할 것은 중국 지역 전문인력의 전문 분야 세분 화 및 이를 뒷받침할 수 있는 교육의 특화이다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중국 전문인력 교육체계는 구체적 전문영역에 있어서의 토론과 문헌 작 성을 위한 전문적 어문능력 배양 관련 사회과학 분과 학문의 전문적 지 식과 분석 능력의 효율적 육성 역사적 맥락에서 중국의 구조적 특성을 이해할 수 있는 거시적 안목 육성 등의 목표를 충족시킬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제한된 교육 기간과 재원의 제약 속에서 이중 언어능력과 분과 학문 의 분석 능력 그리고 경로의존적 측면의 중국적 특징을 파악할 수 있는 거시적 안목을 가진 인적자원을 육성하기 위한 효율적 대학 교육 과정의 확립과 교수 요원의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한 과제임을 제시하였다 효율 적 대학 교육 과정과 교수 요원의 확보를 위해서는 기존의 중국 관련학과 교과과정의 개편과 각 지역 대학별 비교우위의 개발 및 특화가 필요하다 특히 사회과학 분과 학문 영역으로부터 파생된 종속적 지역학 개념이 아 니라 중국 전문인력의 배출을 위해 특성화 측면에서 고안된 중국학과의 적극적 활용이 보다 효율적인 방식임을 결론으로 도출하였다

다음에 제시하고 있는 두 가지 벤치마킹 마킹 사례는 우리의 중국 전문 인력 육성 방안이 지향해야 할 특성화된 교육 프로그램과 졸업생의 기능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취업지원체계 건립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 있다

(15)

따라서 중국 전문 인력 양성과 관련하여 본문에서 논의한 것과 같이 양 질의 인력 양성을 위해서는 국가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할 필요가 있 으며 이를 위한 지원 체제가 상당 부분 강화될 필요가 있고 효율적인 인 력 양성을 위한 정책적 제언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단기적으로 현재의 대학생 대학원생 박사학위 취득자 대상으로 수준별로 중국 전문 인력 양성을 위한 단기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현재 중국 전문 인력에 대한 수요가 많으나 실제적으로 대 학에서 운영되는 프로그램으로는 양성에 어려움이 따르므로 국가 차원에 서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단기적으로 공학 전공 출신의 중간 관리자와 마케팅 인력이 필요하므로 공학 전공 출신자들의 실업 해소를 위해서도 필요한 프로그램이라고 보여 진다

둘째 고도의 전문성을 지닌 고도의 중국전문가의 양성이 필요하다 이 를 위해서는 각 분야별 박사학위 소지자를 우선순위에 따라서 중국 전문 인력으로 양성 및 활용하고 중국에서 학위를 받은 자를 미국에서 년간 박사 후 과정 과정 을 받게 함으로써 균형감각을 배양시켜 활용 할 수 있는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다 또한 구미계에서 박사학위를 받 은 자를 싱가포르의 프로그램과 마찬가지로 중국에서 인턴으로 활 동하게 함으로써 중국어 어휘습득 및 전문성 배양을 가능토록 하고 이 과정에서 특히 이공계 경상계의 중요성이 강조될 필요가 있다 이 과정에 서 이러한 인력을 활용하고자 하는 수혜 업체에서 대응자금

을 제공토록 하는 경우 정부의 재정부담은 훨씬 줄어들 수 있을 것 이다

셋째 대학원과정 석사 에서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다 국제 학대학원의 중국전문 교수 인력을 풀로 써서 한시적이기는 하지만 년간 상호교차 수강하여 학점을 이수하게 하든지 아니면 디지털 시스템 의 활용을 통한 원격강의를 통해서 국제대학원내의 중국강의를 보다 내

(16)

실화함으로써 국제대학원의 학생배출을 조속히 체계화 정상화시킬 필요 가 있다

넷째 대학생 중국 전문 인력 인증제의 도입 및 추진이 필요하다 학부 단계로서 중국 전문 인력 인증제를 도입실시하고 이를 취득한 경우 중국 관련 업무 취업 시 가산점 등을 부여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검토하여 야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중국관련 문제의 전반적인 소양을 일정 학점이 상 이수했을 경우에 한해서 이들에게 중국전문가 인증서를 부여하면 이 들은 일반 중국 전문 인력군으로 분류될 수 있을 것이며 이들은 유관기 업의 취업 시 우대를 받을 수 있을 것이다

다섯째 중국 전문 인력 양성에 필요한 관련 전문 교재 개발이 필요하 다 국내에는 중국관련 책자가 물밀 듯 간행되고 있으나 일본어서적 영어 서적 중국어서적의 단순번역에 그치는 예가 다반사다 이를 극복하는 한 방안으로서 중국 전문가들을 엄선해서 교재를 정치 경제 사회 문화 등 에서 각기 한 권씩 편찬하여 산재해 있는 지식을 조직화해서 교과서를 출 간하여야 한다

여섯째 대학의 중국관련 최고위과정 개설시 우대 부여 지원 방안을 고 려하여야 한다 최고 경영진에 대한 중국경제 경영 마인드를 배양하기 위한 전문교육이 필요하며 이러한 차원에서 중국 전문 최고위과정 개설 을 유도하여야 한다 즉 중국 진출 희망 업체인사들을 대상으로 하되 특 히 업체의 전문가 양성 프로그램도 대체적으로 무엇이 필요한지를 요청 받아서 이를 만족시키도록 노력하는 것이 필요가 있다

일곱째 중국어 제 외국어 채택의 조기 확대가 필요하다 현재 중국어 의 제 외국어 채택희망 학생 수가 근 를 넘어서고 있으나 실제수요 충족이 정도에 불과하고 이는 기본적으로 여타 제 외국어 교사의 합 리적인 전공재배치 문제와 결부되어 있다 국내에 유학해 있는 대학원생 이상 유학생 정부초청 연수생 또는 교사 교수 일반전문인의 활용을 극

(17)

대화하여 원어민 교사로 활용하여 재정적인 지원을 해줌으로써 중국 유 학 인력을 유치하고 국내의 중국어 수요를 충족시킬 수 있는 방안을 고려 하여야 한다

여덟째 한자교육의 조기 실시가 필요하다 초등학교 때부터 한자교육 의 조기채택을 통한 중국문화 이해의 일반화를 위한 기반 조성이 필요하 다 동남아의 경우 한자 문화권에 있기 때문에 한자교육의 필요성이 설득 력이 있으며 중국어 교육을 위한 기반이 될 수 있다

아홉째 중국어 및 중국학 교사 양성 확대가 필요하다 중국어 및 중국 학 교사 양성 활용 방안이 다양화할 필요가 있는데 중국 교포 활용 방 안이 모색될 필요가 있으며 중국 관련 교사의 전문 분야별로 자격을 세 분화하여 인력을 양성할 필요가 있다

(18)

제 1 장

서 론

제 절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배경 및 필요성 1.

세계는 국제화 개방화 지식정보화 시대를 맞이하면서 다자주의와 지역주 의의 병행발전을 모색하고 있으며 아시아 특히 동북아 는 와 함께 대 경제권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참여정부는 동북아경제공동체 건설 을 지향하며 년 월 일 동북아경제중심추진위원회 현 동북아시대위원회 를 구성하였다 구성의 배경은 중국의 경제적 급부상과 동북아권의 대두라는 대외적 환경에 대처할 수 있는 우리의 지리적 경제적 이점을 최대한 활용하는데 있다

한편 중국은 아시아의 중화권 중국 홍콩 마카오 대만 싱가포르 기타 아시 아 국가의 화교 을 형성하면서 중국의 위상 제고와 경제적 정치적 사회 문 화적 우위를 점하고자 노력하고 있다 또한 중국은 관변 학자를 동원하여 화평 굴기론和平崛起論 등 이론적 논리까지 개발하여 주변 국가들을 긴장시키고 있다

이러한 실정에서 중국과 아시아 중화권의 급부상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차원

(19)

의 대책 수립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

다른 한편 한 중 양국의 관계는 그동안 적대적 관계에서 상호 협력관계로 발전하면서 수교 이후 우리 사회의 모든 분야에서 교류 협력이 급속히 증가하 고 있다 특히 중국은 년 개혁개방정책 이후 급속한 경제성장과 가 입 북경 올림픽 상해 국제박람회 유치 등으로 동북아는 물론 세계의 중심 국가로 부상하고 있다 중국은 년대 말부터 개혁 개방 을 추진한 이후 지 난 년간 연평균 증가율이 에 달하는 등 경이적인 성장을 해오고 있으며 월 제 차 각료회의 카타르 도하 에서 중국의 가입 이 확정됨에 따라 중국경제가 본격적으로 에 의해 운영되게 되 고 중국은 자국 상품에 대한 관세 인하 및 비관세장벽 완화에 따른 수출 확대 와 외국인 직접투자 유입 증대 등으로 경제성장이 더욱 가속화될 전망이다 이 에 따라 년에는 구매력평가를 기준으로 중국의 수준이 미국의 수준 에 근접할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이는 동북아시아 지역의 경제 규모

가 미국과 유럽 경제권에 버금갈 정도로 팽창하는 것을 의미하며 이러한 추세 의 한가운데에 중국이 자리 잡고 있는 것이다

한편 한 중 양국의 긴밀성 증가에 따른 인적자원개발 차원에서 중국 전문 인력 양성이 필요하며 또한 중국 전문 인력은 동북아지역에서 지정 역사 문 화적으로 밀접한 관계와 배경을 가지고 있어 향후 양국간 교류협력 과정에서 상호 발전을 추구하는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다 이렇게 중국 전문 인력의 중요성이 증대되고 있고 우리나라의 많은 학생이 중국에서 유학하고 있지만 이들에 대한 체계적인 현황 파악과 지도가 미진한 실정이며 또한 중국과의 교육분야 협력도 민간 차원에서는 개별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어 정부 차원의 노력은 아직 성숙되지 못한 상태이다

다른 한편 우리 정부는 년 말 수립된 국가인적자원개발기본계획 에서도 동북아 경제권의 변화를 성장의 기회로 활용하기 위해 동북아 국과의 발전적 분업관계를 구축하고 이를 위한 지역전문가를 양성하며 역내 인적자원 이동 의 활성화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처할 필요가 있음을 강조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중국의 위상 변화와 아시아 동북아 지역의 중요성에 대처하고

(20)

지속적인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서 이에 능동적으로 대처할 수 있는 중국지 역 전문 인력 개발과 이를 위한 지원체제 구축과 전략이 필요하며 또한 교육 인적자원분야에서 중국과 교류 및 협력을 강화하여 국익의 보호 발전과 상호 성장에 기여할 필요가 있다

목적 2.

본 연구는 이상의 필요성과 배경을 인식하면서 정부가 관련 정책을 구상 추진하는데 기여하고 민간부문의 관련 기관들이 연구 결과를 활용하는데 목적 이 있다 즉 아시아 동북아 시대의 도래와 함께 정부 및 민간부문 기업 등 에 서 인적자원과 관련한 정책을 수립하는데 필요한 관련 정보 자료 전략 등을 연구 개발 제공하기 위해 중국의 급부상 실태와 향후 전망에 기초하여 우리 나라의 대응전략 실태와 문제점을 파악하고 중국전문 인력 개발의 방안과 전 략을 수립하는데 연구의 목적이 있다

제 절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연구 내용 1.

본 연구의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의 급부상 실태에 대하여 살펴보았다 우선 중국 부상의 중국측 논리를 검토하였다 중국은 관변 학자들이 주도하여 중국의 부상 전략을 개발 하고 있는데 이는 소위 화평굴기론和平崛起論이다 다음으로 중국 부상의 구체적인 현황 분석과 향후 중국의 지속적인 부상 전망을 하였다 계속해서 이 들 내용을 바탕으로 중국 부상이 우리나라에 미치는 영향 위협 과 대처 방향 및 시사점을 논의하였다

(21)

둘째 중국 전문 인력개발 실태 등에 관련한 내용이다 현재 중국 전문 인력 개발은 고등교유기관과 기업 차원에서 이루어지기 때문에 고등교육기관의 중 국 전문 인력 양성과 기업 차원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 등을 분석하였다

셋째 외국 사례 분석이다 주로 일본을 집중적으로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 하였다 일본은 일찍부터 중국 전문 인력을 양성하기 위한 다양한 정책과 제도 를 준비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는 중국에 근접한 같은 동북아 국가로서 우리에 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볼 수 있다 더불어 미국과 영국 및 싱가포르의 중국 전문 인력 양성 지원 제도를 검토하였다

넷째 중국 전문 인력 개발 전략과 방안 등을 논의하였다 우선 중국 전문 인 력 개발의 기본 전제와 방향을 살펴보고 전문 인력개발 모형을 정립하였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전제와 방향 및 모형 그리고 외국의 사례 등을 바탕으로 전문 인력 개발 방안을 모색하였다

마지막으로 현재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 추진할 필요가 있는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연구 방법 2.

문헌분석으로 관련 문헌 및 통계자료 분석을 통한 중국의 부상과 발전 등을 살펴보고 일본 등 각 국의 중국 전문 인력 개발 실태를 파악하였다

다음으로 사례분석 방법을 통해 중국 전문 인력 양성 사례 대학 기업 등 와 각국의 중국 전문 인력 개발 사례를 분석하여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한편 전문가 회의는 지역 및 인적자원개발 분야 전문가의 주장과 논리 및 의견을 수렴하여 연구에 반영하고 연구 결과의 객관성을 높이고자 하였다 즉 포커스 그룹 인터뷰 는 국내외 관련 기관 관계자 및 전문 가들을 대상으로 하여 각 기관 및 전문가의 식견과 의견을 연구에 반영하였고 면담 조사는 국내외 중국 진출 기업체 현장 방문을 통해 중국 전문가 인력 양 성에 대한 의견과 수요 양성 공급 실태 등을 조사하여 연구의 기초 자료로 활용하였다

(22)

제 절 연구의 범위와 용어의 정의 3

연구의 범위 1.

본 연구의 범위는 기본적으로 중국 전문 인력 양성의 전반적인 실태와 문제 를 파악하되 전문 인력의 범위는 대학 수준 이상으로 하며 개발 전략은 거시 적인 차원에서 개선 방향 및 방안을 모색하고 개발 전략과 모형 및 방안을 제 시하였다

한편 중국 전문 인력개발 주체의 범위는 학교와 기업체 등을 중심으로 하였 다

외국 사례는 주로 일본을 심층적으로 분석하여 그 시사점을 도출하고 미국 과 영국 및 싱가포르는 주요 정책과 제도 등을 파악하였다

시기적 범위는 현재의 실태 파악을 기본으로 하되 장 단기적인 전망과 공 급 전략을 수립한다

용어의 정의 중국 전문 인력

2. :

우리나라의 경우 중국 전문 인력이란 선진국의 인문학 위주의 중국전문가로 는 한계가 있다고 하는 것이 공통된 인식이다 왜냐하면 선진국은 세계의 전략 지역 통치 관리차원에서 중국 지역 전문가를 양성해온 반면 우리나라로서는 중국의 비중이 우리에게 크게 대두됨으로써 이를 여하히 슬기롭게 대처하느냐 에 따른 전문가가 필요해진다는 점을 인식해야 한다

따라서 중국 전문 인력이란 대체로 언어 이외의 자신의 전공을 가지고 있으 면서 적어도 중국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에 대한 일반적인 이해가 충실 한 일반 중국전문가군 과 전공분야에 대한 고도의 전문성 박사 또는 석사학 위 소지자 이상 에다가 중국어로 된 차 자료를 해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국의 움직임까지 자체적으로 파악하고 평가할 수 있는 고도 중국전문가군

(23)

으로 대별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논의와 주장에 근거하여 본 연구에서는 중국 전문 인력을 기본적으 로 중국어문을 이해 활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중국 문화와 현상을 자체적으 로 파악할 수 있는 능력을 보유하고 실제로 중국 현지 및 국내외에서 중국과 관련한 분야 및 업무를 수행할 수 있는 자 로 정의한다

(24)

제 2 장

중국의 부상과 대응 방향

최근 중국의 부상과 관련하여 서구는 중국 위협론으로 중국의 부상을 경계 하고 중국은 기존의 도광양회 책략을 버리고 중국화평굴기론 또는 화평발전론 으로 맞서는 대결 태세를 보이고 있다

년 천안문사건 이후 중국은 등소평의 제안으로 재능을 감추고 은거하여 때를 기다린다는 도광양회韜光養晦를 외교 책략으로 삼아왔다 이는 천안문 사건으로 인한 국제적인 압력과 외교적인 고립을 벗어나려는 고식적인 정책이 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년 이후 서구에서 중국의 부상

의 부정적인 영향과 결과에 대한 예측들 즉 중

국위협론 중국붕괴론 중국경제

거품론中國經濟水分論 이 전개되었다

중국은 이러한 서구의 중국 위협론 등을 서구의 음모 또는 왜곡으로 비난을 해왔다 중국은 도광양회와 동시에 이와 모순되는 약간의 행위를 의미하는 유 소작위 有所作爲 책략을 제시하여 필요한 대외적인 행동을 정당화해 왔지만 역부족을 인식하고 중국 위협론 등에 적극 대처하기 위해 심하게는 맞불을 놓기 回擊 回應 위해 약간의 행위 를 보다 구체화하여 화평굴기론 또는 화 평발전론을 주장하게 되었다 이는 중국 위협론에 대한 스핀 닥터

물론 국제적인 배경 외에도 리더십의 교체 국내사회문제 등의 배경도 있다 자세한 내용은 다 음을 참조

(25)

의 해독제 이자 오래 지연된 답변 이자 첫 답변으로 평가 된다

년 말부터 중국 권력층을 중심으로 서구에서 사용되던 을 중국굴기 中國崛起로 번역하고는 과거 서구의 비평화적인 부상과 차별화된 중국의 평화로운 부상 이란 의미의 중국화평굴기 中國 를 활용하여 중국위협론에 대처하여왔다 중국은 세계에 대한 일방 和平崛起

적인 선언적 약속 인 화평굴기 를 기본국책基本國策 국가의지 국가이념 및 국가발전목표 등으로 규정하여 대내외에 적극 홍보하여 왔다

중국이 갑자기 굴기 를 외치자 오히려 도광양회 를 통해 쌓은 실력을 행동 으로 옮긴다는 인상을 주게 되었고 결국은 중국 위협론 의 재 확산을 촉발하 게 되었다 이렇게 중국 화평굴기론이 국제사회의 긍정적인 이해를 얻지 못하 자 중국정부는 화평굴기 대신 화평발전으로 후퇴했다 하지만 관변 씽크탱크들 은 정권의 속셈을 대변하여 화평굴기론을 대대적으로 지속적으로 이론화하고 있다

여기서는 중국의 부상과 관련하여 이론적인 측면에서 중국 측의 중국화평 굴기론 의 전개 과정 과 현실 측면에서 중국이 주장하는 중국 부상의 현황과 전망 및 세계의 중국 부상에 대한 인식을 다루고 마지막으로 중국 부상의 한 국에 대한 영향과 대처방안을 제시하기로 한다

검색

년 월 일 검색 이에 대한 문제점은 추후 논의하기로 한다

(26)

제 절 중국의 부상 논리 중국화평굴기론 1 - ( 中國和平崛起論 )

중국 화평굴기론은 년 말에 한 개인이 제기하면서 곧 중국 국가정책으 로 채택되었으나 국내외의 많은 의구심과 반론에 년 봄 국가 차원에서는 화평굴기론에서 화평발전론으로 약간 후퇴하는 입장을 보였으나 관변 학자들 은 정부 입장과 달리 계속 화평굴기론을 주장해 오다가 년 여름을 계기로 화평굴기론과 화평발전론을 병칭竝稱하는 입장이 나오고 있다

관방의 중국 화평굴기론 제기 1.

년 말부터 중공중앙당교 전상무부교장前常務副校長인 정필견鄭必 을

堅 필두로 전대외경제무역부 부부장과 수석대표단장을 역임한 용 영도龍永圖 국무원총리 온가보溫家寶 국가주석 호금도胡錦濤 중앙군 사위원회 부주석 조강천曹剛川 상장上將 국가부주석 증경홍曾慶紅 등 최고위층이 약 반년 간 대내외에 집중적으로 중국화평굴기론을 제기했다

년 말 정필견은 중공중앙당교 부교장 신분으로 미국을 방문하여 라이스 키신저 브레제진스키 등 미국 정부요인과 학자들을 만난 뒤 그들 로부터 중국위협론을 감지하고 귀국한 뒤 중앙정책연구실의 명의로 당중앙에 화평굴기 개념을 대외적으로 사용할 것을 건의했고 호금도의 비준에 따라 화 평굴기과제조 和平崛起課題組가 구성되어 중국화평굴기에 대한 연구가 진행 되었다 이렇게 개인관점 관점에서 출발한 화평굴기는 짧은 시간에 국가의

정필견은 등소평과 같은 사천 객가족客家族 출신으로 중공 총서기 호요방胡耀邦 호남 객가족 의 비서 중국공산당 선전부 부부장 및 중국공산당중앙당교 상무부교장을 역임하면서 모택동 사후 모택동의 공과에 대한 평가에 참여하였고 년 천안문사건 후 경제가 침체되었을 때 등소평의 지시에 따라 남순강화 南巡講話 등 일련의 경제성장 관련 논문을 발표하였고 강택민을 위해 좌파 등력군鄧力群을 소외시켰고 년 월 제 세대 대표주자인 호금도가 국가주석이 되면서 호금도의 지시에 의해 호금도를 위한 외교전략을 연구하였다 정필견의 다 른 이력에 대해서는 다음을 참조

년 월 일 검색

(27)

지가 되었고 중국의 전략선택으로 승화해 갔다

화평굴기 첫 연구 성과는 정필견이 년 월 일 중공중앙당교 학술위원 회 주임 겸 중국개혁개방포럼 이사장 신분으로 해남성에서 열린 보아오포럼 에서 행한 중국화평굴 博鰲論壇

기의 새로운 길과 아시아의 미래 中國和平崛起新道路和亞洲的未來라는 제 목의 강연이었다 정필견은 여기서 화평굴기 和平崛起 개념을 대내외적으로 처음 공개했다

정필견은 중국 개혁개방이래 중국이 개척한 중국 국정國情에 적합하고 시 대 특징에 적합한 전략의 길은 경제글로벌화와 분리되지 않고 서로 연계하는 과정에서 독립 자주적으로 중국특색 사회주의를 건설하는 것 으로 규정하고 이를 간단히 화평굴기의 새로운 길 이라고 명명했다 그에 따르면 중국은 일련 의 대규모 난제를 지닌 발전 중 국가로 너무 작아서 등한시될 경제사회 난제도 억을 곱하면 대규모 초대규모의 문제가 되며 절대수량이 아무리 많은 재력 과 물리력도 억으로 나누면 개인당 수준은 매우 낮아지는 문제가 있다고 한 다

정필견의 화평굴기론의 요점은 경제글로벌화와의 연계 독립자주의 발전 화 평을 견지하고 패권을 추구하지 않는 길로 요약된다 경제글로벌화와의 연계는 년대의 대내개혁과 대외개방 년대의 경제글로벌화에의 적극 참여로 표현되었다고 한다 독립자주의 발전의 길은 국제사회에 의존해서는 안 되며 그러한 생각을 할 수도 없고 반드시 일은 자기역량에 기반 해야 한다 는 것을 가리킨다 이는 자신의 체제창신體制創新에 의거하고 갈수록 커지는 국내시 장 개발에 의존하고 방대한 국민저축의 투자로의 전환에 의존하고 국민소질 의 제고와 과학기술 진보에 의존하여 자원과 환경문제를 해결해야 한다는 것

文平 中國向世界營銷 和平崛起 營銷論壇

년 월 일 검색 楊中旭 馮亦斐 和平崛起 指引中

國未來」 년 월

검색 화평굴기론이 제기되고 전개된 과정은 다음을 참조 他站在 和平崛起 背後新聞午報

年 月 년 월

일 검색

鄭必堅 中國和平崛起新道路和亞洲的未來 學習時報 년 월 일 검색

(28)

이다 화평을 견지하고 패권을 추구하지 않는 길은 근대 이래 강대국 흥기에는 국제질서의 급변 대외확장 전쟁 및 패권 추구 등이 수반되어 결국 실패하고 말았는데 중국은 화평의 국제환경을 쟁취하여 자신을 발전시키고 또 자신의 발전으로 세계화평을 수호하겠다는 것이다

정필견은 아울러 화평굴기의 길을 가기 위한 개 전략을 제시했다 첫째는 사회주의시장경제와 사회주의민주정치를 기본 내용으로 하는 경제와 정치체제 개혁을 동요 없이 추진하여 화평굴기를 실현하는 제도보증을 형성하는 것이며 둘째는 인류문명 성과를 대담하게 빌려오고 흡수하면서 동시에 중화문명의 홍 양弘揚을 견지하여 화평굴기를 실현하는 정신지주를 형성하는 것이며 셋째 는 도농城鄕 발전 지역 발전 경제사회 발전 인간과 자연의 화해和諧 발 전 국내발전과 대외개방 등을 포함한 각종 이익관계를 주도면밀하게 통일하고 동시 고려하여 화평굴기를 실현시키는 사회 환경을 형성하는 것이다

년 월 일 대외경제무역부 부부장과 수석대표단장을 역임한 용영도龍永圖는 무한대학에서 세계무역기구 가입과 중국경제 加入世貿與 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면서 중국의 굴기는 화평적 굴기이지 이른바 中國經濟

도전과 위협이 아니다 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표명했다

년 월 일 국무원총리 온가보溫家寶는 하버드대학 강연에서 화평 굴기 를 중국의 정책방침으로 처음으로 천명했다 그는 오늘의 중국은 개혁 개방과 화평굴기의 강대국 이라고 천명하면서 중국은 발전 중인 강대국이다 우리의 발전은 외국에 의지해서는 안 되고 의지할 수도 없고 반드시 자신의 역 량에 근거해야 하고 그럴 수밖에 없다 우리는 대외개방을 확대하는 동시에 자 신의 체제창신體制創新을 보다 충분히 자각적으로 의지해야 하고 갈수록 커지는 국내시장의 개발에 의지해야 하고 방대한 주민 저축의 투자로의 전환 에 의지해야 하고 국민소질의 제고와 과학기술의 진보에 의한 자원과 환경문 제 해결에 의지해야 하는데 이것이 중국화평굴기 발전의 길의 요의要義이

龍永圖表示

中國的崛起是和平的崛起而不是威脅 中國新聞網 년 월 일 검색 溫家寶 把目光投向中國 在哈佛大學的演講

년 월 일 검색

(29)

다 라고 밝혀 정필견의 견해를 그대로 반복하였다 정필견의 곱셈과 나눗셈도 반복하였다

온가보는 정필견의 의견을 빌리는 동시에 추가로 화평과 관련하여 중화민 족은 세계에서 화평을 가장 사랑하는 민족 이며 화이부동和而不同은 중국 고대사상가가 제기한 위대한 사상으로 화해和諧하면서도 천편일률적이지 않 고 같지 않으면서 서로 충돌하지 않으며 화해로서 공생공장共生共長하고 부동不同으로 상호보완相補相成한다 화이부동 의 관점에서 문제를 관찰 하고 처리하면 우방을 대하는데 유리할 뿐 아니라 국제사회 모순을 해결하는 데에도 유리하다 고 주장했다 한편 굴기의 단계와 관련하여 현대화 단계 론을 언급했다 그는 중국은 현재부터 년까지 소강 을 전

三步走 小康

면 실현하고 년 중화인민공화국 성립 주년 때에는 세계 중진국 수준에 도달할 것이다 라고 했다

년 월 일 국가주석 호금도胡錦濤는 모택동탄생 주년기념좌담 회에서 화평굴기 발전의 길과 독립자주의 화평외교정책의 견지를 재천명했 다 호금도는 화평굴기와 관련하여 우리가 견지해야 할 길은 등소평 동지 가 개척하고 강택민 동지를 핵심으로 하는 제 대 중앙영도가 집체적으로 견지 하고 발전시킨 중국특색 사회주의의 길이다 이 길을 견지하려면 화평굴기 의 발전의 길을 걸어가야 하고 화평공처和平共處 개 원칙의 기초 위에서 각 국가와 우호적으로 공존하고 평등호혜의 원칙 위에서 각국과의 교류와 협 력을 적극 전개하여 인류화평과 발전이란 숭고한 사업에 공헌해야 한다 고 하 면서 우리는 다른 국가가 선택한 발전의 길을 충분히 존중하며 자신의 의지 를 남에게 절대로 강요하지 않으며 어느 누구도 자신의 의지를 중국 인민에게 강요하는 것을 절대로 허용하지 않을 것이다 라고 천명했다 이와 같이 호 금도는 단 한 차례 화평굴기를 언급했다

화평외교정책과 관련하여 호금도는 우리는 세계화평을 수호하고 공동발전

胡錦濤 在紀念毛澤東誕辰 週年座談會的講話 년 월 일 검색 胡錦濤 在紀念毛澤東誕辰 週年座談會的講話

년 월 일 검색

(30)

을 촉진하는 우리나라 외교정책의 취지를 시종 견지할 것이며 냉정한 관찰과 침착한 대응의 방침 상호존중과 구동존이求同存異의 정신을 견지하여 세계 각국 인민과 함께 국제관계 민주화와 발전모델 다양화를 창도唱導하고 각종 형식의 패권주의와 강권정치를 반대하고 모든 형식의 테러리즘을 반대하여 공 정하고 합리적인 새로운 국제정치경제질서의 건립을 추진하고 인류화평과 발 전이란 숭고한 사업을 공동으로 추진하겠다 고 했다

년 월 일 호금도의 발언으로 중국사회과학원 등 기관 요망 瞭 과 학습시보 등 간행물 및 해방군보 등 일간지 등은 화평굴기론의 정 望

확성과 적실성을 크게 다루기 시작했다

년 월 일 중국공산당중앙정치국 제 차 집체학습 외교학원 秦亞靑 교수와 중국사회과학원 張宇燕 연구원 발표 을 마무리하는 자리에서 호금도 주석은 화평굴기의 발전의 길과 독립자주의 화평외교정책을 견지해야 하고 세계화평을 수호하고 공동발전을 촉진하는 취지를 견지해야 하고 화평공처 개 원칙 위에서 각국과 우호적으로 존립하는相處 것을 견지해야 하고 국제 무대에서 화평 발전 및 합작의 기치를 높이 들어 인류화평과 발전이란 숭고한 사업을 위해 공헌해야 한다 고 강조하였다

년 월 일 온가보 총리는 제 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 차 회의 기자 회견에서 싱가포르 기자의 질문에 답변하면서 화평굴기의 대 의의要義를 천명했다 첫째 중국의 굴기는 세계화평의 시기를 충분히 이용하여 자신을 발 전시키고 키우도록壯大 노력해야 한다 동시에 자신의 발전을 이용하여 세 계화평을 지켜야維護 한다 둘째 중국굴기의 기점基點을 주로 자신의 역

胡錦濤 在紀念毛澤東誕辰 週年座談會的講話 년 월 일 검색 中央領導論中國和平崛起 新華網

일 현재 이 문장은 삭제됨 재인용 년 월 일 검색

胡錦濤在中共中央政治局第十次集體學習的講話 官方論壇

년 월 일 검색 瞭望東方週刊 政治 局第十次集體學習探勝 瞭望東方週刊

년 월 일 검색

(31)

량에 두어 독립자주여야 한다 셋째 중국의 굴기는 세계와 떨어질 수 없다 중 국은 개방정책 평등호리平等互利의 원칙을 견지하여 세계의 모든 우호국가 와 경제무역거래를 발전시켜야 한다 넷째 중국의 굴기는 매우 긴 시간이 필 요하므로 장기간 분투해야 한다 다섯째 중국의 굴기는 어느 누구를 방해하지 않으며 어느 누구도 위협하지도 않으며 어느 누구를 희생시키지 않는다 중국 은 현재 패권을 부르짖지稱覇 않으며 앞으로 강대해져도 영원히 패권을 부 르짖지 않을 것이다

년 월 일 중국 중앙군사위원회 부주석 국무위원 및 국방부장을 겸 직하는 조강천曹剛川 상장上將은 태국 국방연구원 강연을 통해 중국은 화평적인 수단으로 굴기를 완성할 것이다 중국은 서방 강대국이 국력이 상승 한 다음 대외확장을 꾀한 고리타분한 길을 가지 않고 발전의 기본 입장을 국내 에 두고 대외적으로는 합작방식으로 윈윈할共嬴 것이다 종전과 마찬가지로 화평공처 개 원칙을 견지하고 각국과의 평등협상을 통해 국제관계의 민주화 를 실현하자고 주장한다 고 했다 또한 중국의 화평굴기는 세계와 떨어지지 않을 것이다 중국은 대외개방 정책을 견지하고 평등호혜에 기초하여 세계의 모든 국가와 관계를 발전시킬 것이다 중국은 중국의 사회 안정 유지와 조국통 일에 대한 국제사회의 이해와 지지를 필요로 한다 고 했다 아울러 중국굴기 의 최종 목표는 화평이다 오랜 문명을 지닌 동방 대국으로서 위대한 민족부흥 을 화평적으로 실현하는 자체가 인류에 대한 공헌이다 중국의 발전은 화평 역 량의 증대로서 주변국을 포함한 다른 국가의 이익에 손해가 되지 않을 뿐만 아 니라 그들로 하여금 중국의 발전에서 서로 다른 정도의 이익을 얻도록 할 수 있다 이는 세계에 대한 공헌이다 안정적이고 발전하는 중국은 이 지역의 안 정과 번영에 유리하다 고 말하여 상술 최고지도자들과 맥을 같이하였다

溫家寶闡述中國和平崛起五要意 重申中國永遠不會稱覇

년 월 일 검색

曹剛川在泰國演講 中國決心以和平手段完成崛起 中新社

년 월 일 검색

(32)

관방의 입장 변화 화평굴기론에서 화평발전론으로

2. :

조강천의 발언을 마지막으로 중국 최고위층의 화평굴기 언급이 사라졌 다 년 월 일 해남성 보아오博鰲에서 열린 중국화평굴기와 경제 글로벌화 를 주제로 한 원탁회의에서 국가주석 호금도는 화평발전 현대화 및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 을 언급하고 화평굴기는 언급하지 않았다 전대외 경제무역부 부부장을 역임한 보아오아시아포럼博鰲亞洲論壇 비서장 용영도 도 중국의 발전은 화평적 발전이며 중국은 이 발전과정 중 영원히 龍永圖

패권을 추구하지 않는 화평적인 책임을 지는 강대국이 될 것이다 라고 피력하 여 화평굴기라는 어휘 사용을 삼갔다

국가부주석 증경홍曾慶紅은 년 월 일 상해에서 열린 유엔아시아태 평양경제사회이사회 제 차 회의 개막식 치사에서 중국화평굴기를 언급하지 않고 중성적인 화평발전의 길 和平發展的道路 개념을 제시했다 그는 중국 은 개혁개방 중 화평발전의 길 을 걸어왔고 중화민족은 고래로 화평을 몹시 사랑하고 화목을 숭상하여 왔고 중화문명의 우량 전통의 하나는 화해 和諧 를 중시하고和爲貴 화해를 이루면서 부화뇌동하지 않으며和而不同 자신이 바라지 않는 것을 남에게 강요하지 않는 것己所不欲 勿施於人 이며 근대 이래 중화민족은 강권强權의 압박과 유린을 충분히 경험하여 강권은 필연적 으로 무력을 남용하게黷武 되고 패권을 부르짖으면稱覇 반드시 인심을 잃 게 된다는 것을 잘 알고 있다 현재든 장래든 어느 정도까지 발전하게 되든 중 국은 영원히 패권을 부르짖지 않을 것이며 영원히 세계화평을 수호하는 견고 한 역량이 될 것이다 라고 천명했다 증경홍은 앞의 위정자들의 화평굴기론과 같은 맥락에서 화평발전의 길을 해석하기를 화평발전의 길은 국내발전과 대외

김애경은 년 월 일에 열린 제 기 전국인민대표대회 제 차회의부터라고 하나 본문에 적시한 바와 같이 사실과는 약간 차이가 있다 김애경 중국의 화평굴기 론 연구 논쟁과 함 의를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

胡錦濤 中國的發展 亞洲的機遇 在博鰲亞洲論壇 年年會開幕式上的演講 新華網

년 월 일 검색

龍永圖

中國將成爲永不稱覇和平負責的大國 中國國際戰略硏究網 년 월 일 검색

(33)

개방을 통일시킨 발전의 길이며 경제글로벌화에 용감히 참여하고 광범위한 합 작 호혜 및 윈윈共嬴을 견지하는 발전의 길이라고 규정했다 아울러 화평과 발전의 관계에 대해서는 화평은 발전의 기초이고 발전은 화평의 근본이다

라고 했다 和平是發展之基 發展是和平之本

년 월 일 산동성 청도에서 열린 아시아협력대화 제 차 외무장관회의 에서 국무원총리 온가보는 중국의 일이 잘 되는 것이 아시아의 화평과 발전에 대한 공헌이며 중국은 화평공처 개 원칙을 견지할 것이며 영원히 패권을 부 르짖지 않을 것이라고 천명했으나 중국화평굴기나 화평발전에 대한 언급은 없 었다

그 이후 중국 최고 위정자의 발언에서 중국굴기 중국화평굴기라는 어휘는 사라지고 대신 화평안정 공동번영 및 공동발전 등의 어휘가 주로 사용되었다 이는 중국굴기론이 중국의 팽창에 대한 위협 즉 중국위협론으로 재생산되는 세계 여론을 의식한 때문으로 보인다 사실 화평굴기론이 제기된 이후 중국 정권 내에서는 매파와 비들기파의 논쟁이 거세게 일었다고 한다 매파는 주로 인민해방군 관원들로서 화평 에 불만을 가졌다 화평을 내세우면 대만독립분 자에게 무력을 사용할 수 없게 된다는 이유에서이다 한편 비들기파는 주로 외교부 관원들이었는데 이들은 굴기 에 불만을 가졌다 굴기는 지나치게 침략 성과 위협성을 띤 어휘로서 미국의 중국전문가들의 중국위협론의 확대가 걱정 되기 때문이라고 한다 중국정부는 이들을 화해시키기 위해 화평굴기를 버리고 화평발전을 쓰기로 결정했다고 한다

년 월 일 전직 외교관으로 외교학원 원장인 오건민吳建民은 중화

曾慶紅 走和平發展道路 謀亞太共同繁榮 新華網 년 월 일 검색

溫家寶在亞洲合作對話外長會議上發表重要講話 新華網

년 월 일 검색 中國崛起與中美辭令過招

년 월 일 검

색 관련 논쟁에 관한 영문 자료는 다음을 참조 년 월 일 검색 년 월 일 검색

(34)

인민공화국 성립 주년 경축활동에 참가한 재외동포들에게 한 보고에서 아직 은 등소평이 제기한 외교정책인 도광양회 유소작위 韜光養晦 有所作爲는 온가보 총리가 말한 바와 같이 백년이 되어도 바꿀 수 없다 고 주장했다 그 도 중국전통문화의 일부분은 화평 화위귀和爲貴인데 중국은 화평발전의 길 和平發展的道路을 가야한다고 주장했다

중국 관방의 공식 견해는 년 월 일 중국국무원판공실이 발표한 중 국의 화평발전의 길 中國的和平發展道路이라는 백서에 드러났다 백서는 중 국 발전에 대한 중국정부와 중국인민의 정중한 선택과 장중한 약속 을 천명하 여 국제사회의 이해를 구했다 백서는 화평굴기라는 어휘를 피하고 화평발 전이란 어휘로 통일하였다 백서는 화평발전의 길 을 화평적인 국제환경을 쟁 취하여 자신을 발전시키고 또 자신의 발전으로 세계화평을 촉진하며 자신의 역량과 개혁창신에 의존하여 발전을 실현하고 동시에 대외개방 실행을 견지하 며 경제글로벌화 발전추세에 순응하여 각국과의 호리공영互利共嬴과 공동 발전의 실현에 노력하며 화평 발전 합작을 견지하여 각국과 공동으로 장기 적인 화평과 공동번영의 화해세계和諧世界 건설에 노력하는 것 으로 규정하 였다 또한 화평발전의 길 을 중국 국정에 기반한 필연선택 중국역사문화전 통에 기반 한 필연선택 현 세계발전조류에 기반한 필연선택 임을 강조하고

중국은 과거에 패권을 부르짖지 않았고 현재도 패권을 부르짖지 않으며 장 래 강대해져도 패권을 부르짖지 않을 것이다 중국의 발전은 어떠한 사람에게 도 위협이 되지 않을 것이고 다만 세계에 보다 많은 발전 기회와 보다 광활한 시장을 제공할 것 이라고 하여 중국위협론을 부정하고 중국기회론 中國機遇

또는 중국공헌론 論

을 적극 앞세웠다

년 월 일 미국을 방문한 국가주석 호금도는 예일대학 강연에서 화평 발전을 단 회 언급했지만 강조하지 않았고 본론의 거의 절반을 중화문명의

中國要長期堅持韜光養晦 有所作爲方針 中新社 日電

년 월 일 검색

中華人民共和國國務院新聞辦公室 中國的和平發展道路 二 ○○五年十二月二十二日 년 월 일 검색

(35)

자랑以民爲本 自强不息 社會和諧 親仁善隣에 할애했다

지속되는 관변 씽크탱크의 중국화평굴기론 3.

중국 최고위층의 갑작스런 화평굴기 주장은 대내적으로 관변 학자들의 화 평 및 굴기 개념에 대한 이의 외교 영역을 침범한 정필견에 대한 외교부의 불만 강택민과 그 지지자의 이의 제기 등으로 년 봄 호금도 및 기타 영도 자들은 화평굴기 를 화평발전 으로 개칭하기로 결정했으나 하부 기관에는 이 결정을 통지하지 않고 고의로 방임했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등소평 강택민 호금도 대를 보필하면서 중국화평굴 기론 을 처음 공식 제창하고 중앙화평굴기과제조 和平崛起課題組 총책임자 로 있는 정필견은 화평굴기 나 화평발전 이나 마찬가지라는 입장을 견지하고 근 명의 연구자와 관원을 동원하여 연구를 지속하는 한편 자신의 견해를

胡錦濤 中國國家主席胡錦濤在美國耶魯大學的演講 全文 中國網 년 월 일 검색

일부는 화평굴기 대신에 화평발전을 내세우게 된 것을 화평굴기가 제 세대 지도부의 국가전 략의 공식입장으로 자리매김하는데 실패한 것으로 단정하기도 한다 김애경 중국의 화평굴 기 론 연구 논쟁과 함의를 중심으로국제정치논총 하지만 화평발전이란 어휘를 쓴 것은 일시적인 방어책 또는 위장술이지 결국은 화평굴기이든 무력굴 기이든 굴기 는 중국인의 이상으로 중단될 목표는 아닐 것이 한편 중국 관방에서 화평굴기론 을 중단한 이유 및 배경에 대해 는 독립으로 향하는 대만 정세에 대한 조야의 분노 화평굴기론 자체의 성급함과 불완전성에 대한 학자들의 이의 제기 호금도와 온 가보의 중앙정치군사위원회 주석 강택민 년 월 일 사퇴 과 그 지지자에 대한 타협을 들었다

년 월 검색 전미육군대령 겸 전주중무관이었던 은 강택민이 년 월 군사현대 화를 제약시킨다는 이유로 화평굴기론의 폐기를 주장했다는 인민해방군 관리의 말을 들었고 또 월 강택민의 중앙군사위원장을 사임하고 월 당이 최종적으로 군사현대화와 화평굴기는 모순 되지 않는다는 결론을 내렸다는 정필견의 말을 들었다고 한다

년 월 일 검색 다른 분석은 다음을 참조

년 월 일 검색

鄭必堅可能正式放棄 和平崛起 而改用 和平發展 天下北京 日 電

년 월 일 검색 中國硏究員縱論中國和平崛起 華爾街日報

년 월 일 검색 다른 소식에 따르면 이

(36)

지속적으로 발표하였다

정필견은 년 월 프랑스 지의 요청에 따라 기고한 중국화평 굴기의 새로운 길과 중 유럽관계 라는 글과 년 월 일 중국과학원 연구 생원硏究生院이 주최한 중국과학과 인문포럼 에서의 중국화평굴기의 발전 의 길 이란 강연 중국과학원연구생원 인문학원 원장 신분 에서 년 월 일 강연 내용을 반복하였다 그리고 개월 뒤 반월담 半月談 에 실은 글 에서는 자신의 화평굴기론을 더욱 체계화시켰다

년 월 일 반월담 에 발표한 중국의 화평굴기와 아태지역의 기회 에서 정필견은 중국의 화평굴기 를 中國的和平崛起與亞太地區的機遇

년 말 중국공산당 제 차 전국대표대회 제 차 중앙위원회 전체회의 十一屆三 부터 세기 중엽까지 중국이 화평과 발전의 시대라는 주제 아래 개혁 中全會

개방을 통해 지속적이고 빠르고 조화롭고 건강하게 발전하는 가운데 현대화라 는 역사과정을 기본적으로 실현하고 이를 견지해온 발전의 길을 가리킨다 고 하면서 이 길은 중국 현대화를 화평적으로 실현하는 길이며 중화민족의 위대 한 부흥을 화평적으로 실현하는 길이며 화평발전의 길이다 라고 선언하였다 정필견은 본래 대립된 사물인 화평과 굴기 사항을 중국이 통일시켰고 그 통일 의 동력은 앞서 언급한 경제글로벌화와의 상호 연계 와 독립자주적인 중국 특색의 사회주의 건설 이라고 하였다

정필견은 중국의 아무리 작은 난제도 억 인구를 곱하면 매우 큰 문제 가 되고 아무리 거대한 재력과 물리력도 억 인구로 나누면 매우 미약해 지는데 그만큼 중국의 인구는 발전에 압력과 동력을 동시에 가져다준다고 한 다 또한 아시아태평양경제에 중국 억 인구의 시장과 급속 성장하는 중국경 제를 더하면 거대한 성장 잠재력을 낳게 될 것이고 이를 빼면 큰 시장 진공

전부터 정필견은 중국정부의 지원 만 위안 으로 중앙당교를 중심으로 한 여 명의 연구인 력을 동원하여 화평굴기론을 연구했다고 한다 國家撥款 萬 請學者打造中國 和平崛起 理論

羊城晩報 年 月

년 월 일 검색

鄭必堅 中國和平崛起的新道路文滙報

년 월 일 검색 中國和平崛起成爲維護 世界和平的堅定力量 中新社

년 월 일 검색

(37)

이 생기므로 중국의 화평굴기는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거대한 역사 기회 眞空

를 가져다주지 위협이 되지 않는다고 했다 또 이르기를 이러한 거대한 기회는 중국의 독립자주의 화평외교정책 중국과 주변국가 간에 형성되는 하위지역합 작메커니즘次區域合作機制 및 긴밀히 결합되는 지연경제地緣經濟 그리고 중국문화전통 및 이의 아시아태평양지역에 대한 영향에서 비롯한다고 한다 정 필견은 중국 전통문화 중 화이부동 과 화위귀 전통이 중국과 아태지역 각종 문화와의 화해상처和諧相處 병존공영竝存共榮에 도움이 된다고 했다 정 필견은 또 중국과 아태 각국과 각방에 유리한 내용이 다른 다양한 차원의 이 익공동체를 건설할 필요가 있고 특히 대국 사이에는 협력파트너 관계를 유지 하여 위기경보와 관리 메커니즘을 탐색해야 한다고 했다

정필견은 년 월 일 중국기업 해외진출 국제포럼 中國企業走出去國 에서 중국화평굴기 발전의 길에 대한 약간의 생각

際論壇 關於中國和平崛起

이라는 주제의 강연을 통해 중국화평굴기의 대 특징으로 發展道路的若干思考

경제건설 중심 대외개방과 경제글로벌화와의 연계 개 의존依靠에 근거한 독립자주 각 방면의 전략관계와 이익관계의 통일과 고려 독립자주적인 화평 외교정책을 제시했다

년 월 일 중국개혁개방포럼 보아오아시아포럼 및 미국 아시아협회 가 공동 주최한 보아오원탁회의博鷔圓卓會議에서 정필견은 먼저 중국은 화 평굴기의 황금발전기 를 맞이한 동시에 모순돌출기 矛盾凸顯期를 맞이하여 경제사회발전 영역에서 자원 특히 에너지상의 도전 생태환경상의 도전 경제 사회 화해발전和諧發展 과정 중의 일련의 양난兩難 문제 등 대 도전에

鄭必堅 中國的和平崛起與亞太地區的機遇半月談 年 月 년 월 일 검색 鄭必堅 關於中國和平崛起發展道路的若干思考

년 월 일 검색 개 의존은 자 신의 관념갱신과 체제창신에 의존하고 자신의 산업구조 조정에 의존하고 개발할수록 커지는 국내시장에 의존하고 방대한 주민저축의 지속적인 투자 전환에 의존하고 보다 넓고 보다 깊 이 인력자원을 개발하고 즉 국민소질을 제고하고 과학진보를 가속화하여 자원과 환경문제를 해결하는 것에 의존한다는 것이다

경제사회발전 과정 중의 양난 문제는 지속적인 경제성장을 유지해야 하면서도 사회건설 보조 를 가속화해야 하고 동부지역의 강력한 발전 추세를 유지해야 하면서도 동중서부 공동발전을 촉진해야 하고 안정적으로 도시화를 추진해야 하면서도 사회주의 신농촌을 건설해야 하고 기

(38)

직면해 있다고 시인하면서 이를 해결하는 대 전략으로 신형 공업화 추진 근 대이래 강대국 굴기의 길과 이데올로기로 선을 긋는 냉전사고 극복을 통한 경 제글로벌화에의 적극 참여 사회주의 화해사회和諧社會의 건설 등을 추진해 야 한다고 했다 정필견은 대 도전을 대 전략으로 극복하여 화평굴기를 실현 하는 시기를 세기 중엽으로 보았다 즉 년에 를 배 증대시키고 년 다시 배로 증대시켜 달러를 달성하여 전면적인 소강사회를 실현하고 세기 중엽에 이르러 기본적인 현대화를 실현하여 부강하고 민주 적이고 문명적인 사회주의국가를 건설할 예정이라고 한다 이 목표를 달성하면 중국은 중진국 수준에 진입하고 중화민족의 위대한 부흥을 실현하고 중국화 평굴기를 실현하게 된다고 했다

한편 정필견은 중국은 후발현대화국가로서 서구의 것을 가져오는 것 拿 과 서구의 것을 가져다 중국식으로 사용하는 것 은 찬성하

來主義 洋爲中用

지만 다음의 네 가지를 배워서는 안 된다四個不學고 했다 전쟁을 발동하여 타국의 자원을 약탈하는 야만행위 이데올로기 수출 자신의 가치관념의 수출 집단정치 책동에 열중인 냉전사고 공업화 과정 중 재생할 수 없는 자원을 대 량 소비하는 약탈식 경영 외부로의 대량 이민을 통해 해외에 식민지를 건립 하는 확장행위 정필견은 이것을 남에게 손해를 끼치고 자신에게 이익이 되 는 損人利己 또는 남에게 손해를 끼치고 자신에 이익이 되지 않는 損人不 서구의 행위로 규정하고 중국에는 이를 강요하지 말라고 중국 성어인 利己

기소불욕 물시어인 己所不欲 勿施於人을 빌어 표현했다 정필견은 중국화 평굴기는 서로 다른 방식 모델 및 속도로 진행되는 아시아화평굴기의 하나로 서 아시아 및 국제사회에 위협이 되지 않고 기회가 될 것이라고 단정했다

술진보와 산업승급을 가속화해야 하면서도 사회취업과 재취업을 확대해야 하고 시장으로써 기술을 사들여야 하면서도 과학기술 자주 창신을 강화해야 하고 대외무역을 확대해야 하면서 도 내수확대를 견지해야 하고 외자 도입을 확대해야 하면서도 외자 도입 구조를 개선해야 하 고 각종 개혁을 심화시키면서도 사회안정을 유지해야 하고 사회공평과 격차축소를 중시해야 하면서도 활력을 유지하고 효율을 제고해야 하고 시장경쟁을 추진해야 하면서도 생활곤란 군 중의 생산생활 문제에 관심을 가져야 하는 등등의 문제를 가리킨다 趙長茂 胸懷大局 正確 應對經濟社會發展中经兩難問題的挑戰」

년 월 일 검색

鄭必堅 中國的和平崛起與亞洲的新角色 學習時報網絡版

Gambar

표 계속
표 계속
표 계속

Referensi

Dokumen terkait

1949년 이후 중국 공산당의 시각이 재미유학생들의 매판성과 반동성을 입증하기 위한 부 정적 요소를 찾는데 주력했다면 현재 중국학계는 그와 정반대로 애국 자의 면모를 찾는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9 예컨대 元青은 민국시기의 미국유학생들이 서양의 현대자연과학과 인문과학을 수용, 전파, 교육, 연구하여 중국의 현대과학기술체계와 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