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등산국립공원에 서식하는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군집구조 연구
전세근
1·이동준
2*
1국립공원연구원
2㈜누리생태기술센터
A Study of Community Structure on Benthic Macro-invertebrate in Mudueng-san National Park
Se-Kun Jeon
1and Dong-Jun Lee
2*
1Nationlal Park Research Institute, Wonju 220-947, Korea
2Nuri Ecology Technical Center, Kimhae 624-749, Korea
요 약 :본 연구는무등산국립공원의주요 수계에서 2013년 3월부터 10월까지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에대한조사 를 실시하여 전체적인 분류군의 분포 및 군집구조를 파악하고, 고유종, 법정보호종등 보호가요구되는 종에 대한 분포를파악하는데그목적이있다. 무등산국립공원 일대의계곡에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군집은 4문 8강 19목 68과 152종이 조사되었다. 편형동물문 1종, 유선형동물문 1종, 연체동물문 12종, 환형동물문 7종, 절지동물문 131종 이 출현하였고, 국외반출승인종은 줄새우, 가재, 대륙뱀잠자리 등 18종, 한국고유종은 산골조개, 두두럭징거미새우 등을포함하여총 9종이출현하였다.
주요어 :국립공원, 계곡,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 part of the natural resource surveys to understand the distribution and community structure of benthic macro-invertebrates in Mudueng-san National Park from June to October, 2013. And this study identified for distributiojn of Korean endemic species, protected species. A total of 152 species belonging to 68 families, 19 orders, and 8 classes in 4 phyla were identified at major valley of Mudueng-san National Park. We finded Korean endemic species (14 species) included Semisulcospira coreana, Palaemon paucidens and protected species (7 species) included Anisogomphus melanopsoides, Neoperla quadrata.
Key words : National Park, Valley Stream, Macro-invertebrates.
서 론
하천생태계에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담수생태계에 존 재하는 생물군 중에서 가장 다양하고 풍부한 무리일 뿐만 아니라, 영양단계의 저차소비자(1차 또는 2차 소비자)로서 담수생태계로 유입되는 물질과 에너지를 하천을 따라담수 생태계 및 육상생태계로 이동 및 분산시키는 역할을 하는 중요한 구성원이다. 또한 이들은 하천생태계의 다양한 환경 요인과서식처에 따라적응방식이다양하고, 수질환경에대 하여민감하게 반응하는 종이 많으므로 순수생태학적 연구 뿐만 아니라, 지표종으로 이용되는 등 응용연구에도 좋은
재료가 된다(Boon 1988; Dudgeon 1994, 1995; Minshall 1988; Reice & Wolemberg 1993; Rosenberg & Resh 1993).
무등산 지역은 토심이 깊고 식생 밀도가 높아, 연중 꾸준 하게 유량이 공급되는 비교적 안정적인 수생태계 환경을 가 지고 있다. 무등산국립공원 내 계곡은 크게 원효계곡, 증심 사계곡, 4수원지로유입되는 화암동계곡, 순천과동천, 서쪽 으로 광주천, 동쪽으로 동복천, 이서천 및 남천이 형성되어 있다. 연평균 강수량은 지난 30년간 1,368 mm로 온대남부지 역의 평균 수준이며, 일반적인 남부 산악지역에 비해 비교 적 계곡내유량이 안정적인특징을 보이고있다.
무등산국립공원저서무척추동물의분포에관해 과거에수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행되었던 연구는나 등(1989), 조등(1991), 그리고『2011년 국립공원 타당성 조사』에서도 담수저서성무척추동물을 조 사하였던 바가 있다. 나 등(1989)의 연구는 분류군 범위가 곤충강에 한정되어 있고, 조사시기 뿐 아니라, 조사지점, 출 현종의 분포현황 등에대한공간정보가 구체적으로 명시되 어 있지 않았다. 또한 우점종을 포함한 군집 내 점유율만을 명시하여, 본 연구와 직접적인 비교가 어려운 것으로 생각 된다. 이후 조 등(1991)에 의해 무등산국립공원 일원의 수서 곤충에 대해 연구가 이루어졌으나, 현재의 분류체계 및 종 속명 등이 상당한 차이를 보여 종단위의 비교는 본 연구에 서 수록하지 못했다.
본연구는무등산의주요 수계에서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여 전체적인 분류군의 분포 및 군집 구조를 파악하고, 나아가 수계별 수생태계 특성을 파악하고 자 한다. 또한, 고유종, 법정보호종 등 보호가 요구되는 종 에 대한분포를파악하여국립공원보전 정책에활용하고자 한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기간본 연구는 2013년 3월부터 2014년 2월까지 수행하였고,
Figure 1. Study area in major valley of Mudueng-san National Park.
무등산지역의 주요수계에서격자당 총 1개 지점이상, 지 점당 2회이상조사하였다.
2. 연구방법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채집은 각조사지점이 모니터링 지점인 경우 계류형 정량채집망인 Surber net(30×30 cm) 및 D-Frame net(Bottom 30 cm)을 이용하여 총 90×90 cm2 면적 에 대하여 정량채집을 실시하였다. 또한 모니터링 지점 외 지역에서는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생태적 특성을 고려하 여 Hand net 및 D-Frame net을 이용하여 미소서식처(riffle- run-pool sequence)에 따라 정성채집을 수행하였다. 또한 채 집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시료는 현장에서 Ethyl alcohol 95%에고정하였고, 실험실로 운반·sorting한후 70% ethanol 에 보존하였다.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의 각 분류군 중 수서곤충의 경우는 윤(1988, 1995), McCafferty(1981), Kawai(1985), Merritt &
Cummins(1984, 1996) 및 Peckarsky et al.(1990) 등을 참고 로 하여 동정하였다. 특히곤충류 중 꼬마하루살이류는 배 등(1998)을 참고하였고, 연체동물의 경우는 권(1990), 권 등
(1993)을 참고로 하였고, 새우류는 김(1977)을 이용하였으며,
거머리류는송(1995)을 참고로하였다. 기타갑각류및환형 동물류등은 岡田要(1965a, b, c), Pennak(1988) 및 Peckarsky et al.(1990)을 이용하여 동정하였다. 동정된 학명의 체계 및 국명은 한국곤충명집(한국곤충학회, 1994), 한국동물명집(한 국동물분류학회, 1997) 및 국립공원생물종 목록집(국립공원
관리공단, 2012)에의거하여 작성하였다.
3. 군집분석
군집구조의분석은 무등산국립공원의 주요조사지점에서 정량적으로 채집된 자료로부터 출현한 분류군의 수를 비교 하여 출현종수 및 개체수, 우점종, 군집지수-우점도지수(DI, Dominant index), 종풍부도지수(RI, Species richness index), 종다양도지수(H', Species diversity index) 및 균등도지수(J',
Evenness index)를 산출하였다. 한편 출현종수의 경우에는
정성적으로 얻어진 자료를 포함하여 산출하였다. 총출현개 체수를 N, i 종의 개체수를 Ni, 총출현종수를 S, 제1우점종 의 개체수를 N1, 제2우점종의 개체수를 N2라 할때, 아래의 식으로 표현할 수 있다.
결과 및 고찰
무등산국립공원내 분포하는 수계에대한 조사에서 저서 성대형무척추동물의 총분류군은 4문 8강 19목 68과 152종, 6,583개체로 조사되었다.
출현한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편형동물문 1종, 유선형 동물문 1종, 연체동물문 12종, 환형동물문 7종, 절지동물문
131종으로 확인되었다. 전체의 86% 이상을 차지하는 절지
동물문 중에는 단각목 1종, 십각목 4종, 하루살이목 29종, 잠자리목 13종, 강도래목 18종, 풀잠자리목 1종, 노린재목 8 종, 딱정벌레목 12종, 파리목 16종, 날도래목 29종이조사되 었다. 곤충강에 속하는 전체 126종중에 EPT(하루살이목, 날 도래목, 강도래목)분류군이 76종이 출현하여 60.3%를 차지
하는것으로 나타났다. 과거조 등(1991)은 무등산국립공원
중 광주광역시에 해당하는 지역에서 곤충강에 해당하는 분 류군을 조사하여 총 7목 28과 75종을 기록하였다. 이 중에 서 하루살이목은 23종, 잠자리목 1종, 강도래목 20종, 풀잠 Table 1. Formula of community analysis in this study.
DI (Dominant index) = McNaughton (1967)
H' (Species diversity index) = ,
Shannon-Weaver (1949) RI (Richness index) =
Margalef (1958) J' (Evenness index) =
Pielou (1975) N1+N2
---N
−
i=1
∑
s ( )Pi ⋅log2Pi Pi = N---NiS–1 ln N --- H′
log2S ---
Figure 2. Taxonomic composition in Mudueng-san National Park.
자리목 1종, 딱정벌레목 2종, 파리목 8종, 날도래목 20종으 로 기록하고 있다. 현재와 종과거 국내 종목록에 기록된 종 이 적었고, 해당 연구는 산간계류에만 집중되어 있는 영향 인 것으로 보인다. 종의 조성변화는 앞서 언급한 내용과 같 이 분류체계및종속명의상이성으로직접적인비교가어려 워 수록하지 않았다.
1. 군집분석
무등산국립공원일원의주요 계곡에서출현한저서성대형 무척추동물의 군집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과거 조 등(1991)에 의해 조사된 지역은 원효계곡, 증심사 일원과 제 2 수원지 상류부이며, 해당 수계에 대한 개체군 Table 2. Comparison of benthic-Insect Species number in 1991
and 2013.
Order Name Species Number/Composition (%) 1991 (Jo) 2013 (Jeon) Ephemeroptera 23/30.67 29/23.02
Odonata 1/1.33 13/10.32
Plecoptera 20/26.67 18/14.29
Megaloptera 1/1.33 1/0.79
Hemiptera 0/0.00 8/6.35
Coleoptera 2/2.67 12/9.52
Diptera 8/10.67 16/12.70
Trichoptera 20/26.67 29/23.02
Total 75/100 126/100
Table 3. Richness index, diversity index and eveness index in Juengam Stream.
NO Dominant Subdominant
DI RI H' J'
Species Ind. Species Ind.
6 Semisulcospira libertina 106 Sigara substriata 47 0.575 2.276 2.419 0.936
10 Epeorus pellucidus 43 Ameletus montanus 20 0.304 5.063 4.171 0.868
11 Choroterpes altioculus 72 Ephemera strigata 57 0.239 7.947 4.598 0.811
16 Gammarus sp. 26 Hydatophylax nigrovittatus 12 0.514 3.253 3.065 0.785
17 Hydatophylax nigrovittatus 36 Ephemera strigata 35 0.220 6.754 4.501 0.846
13 Gammarus sp. 14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7 0.477 2.907 3.034 0.846
19 Ephemera strigata 92 Semisulcospira libertina 74 0.294 8.366 4.601 0.799
Table 4. Richness index, diversity index and eveness index in Gwangju Stream.
NO Dominant Subdominant
DI RI H' J'
Species Ind. Species Ind.
3 Ephemera strigata 3 Chironmidae sp. 2 0.556 2.276 2.419 0.936
22 Goerodes KUb 12 Hydatophylax nigrovittatus 10 0.407 3.510 3.456 0.885
23 Gammarus sp. 800 Epeorus pellucidus 81 0.757 3.825 1.978 0.411
28 Gammarus sp. 1256 Ephemera strigata 55 0.907 3.298 1.031 0.222
29 Semisulcospira libertina 108 Choroterpes altioculus 49 0.328 7.291 4.274 0.774
33 Semisulcospira libertina 3 Eubrianax KUa 2 0.455 2.502 2.664 0.949
Table 5. Richness index, diversity index and eveness index in Yiseo Sream.
NO Dominant Subdominant
DI RI H' J'
Species Ind. Species Ind.
18 Hydatophylax nigrovittatus 26 Gammarus sp. 19 0.570 2.517 2.764 0.771
25 Gammarus sp. 313 Ecdyonurus kibunensis 123 0.590 3.936 2.960 0.623
36 Gammarus sp. 42 Goerodes KUb 3 0.900 1.278 0.979 0.379
Table 6. Richness index, diversity index and eveness index in Sukgok Sream.
NO Dominant Subdominant
DI RI H' J'
Species Ind. Species Ind.
9 Semisulcospira libertina 93 Ephemera strigata 49 0.458 6.798 3.726 0.700
15 Chironmidae sp. 16 Cloeon dipterum 14 0.326 5.971 4.100 0.853
Table 7. Richness index, diversity index and eveness index in Hwasun Stream.
NO Dominant Subdominant
DI RI H' J'
Species Ind. Species Ind.
34 Gammarus sp. 38 Ecdyonurus dracon 11 0.766 1.443 1.860 0.662
38 Ephemera strigata 32 Gammarus sp. 16 0.696 1.653 2.112 0.704
점유율을 제시하였다. 해당 자료를 인용하여 본 연구와 일 치하는 수계에 대한 점유율을 비교한 자료는 다음과 같다.
전체적으로강도래목, 파리목등의 점유율이줄어들고, 하 루살이목, 잠자리목의 점유율이 비약적으로 증가한 것을 볼 Table 8. Comparison of benthic-Insect individuals composition (%) in 1991 and 2013.
Order Name
Composition (%)
1991 (Jo) 2013 (Jeon)
Wonhyo Chungsim Yongchu Wonhyo Chungsim Yongchu
Ephemeroptera 40.43 59.24 40.93 53.02 52.32 56.40
Odonata 0.28 0.93 0.48 4.26 8.56 6.69
Plecoptera 30.20 24.05 25.58 9.33 18.34 13.37
Megaloptera 0.21 0.59 0.06 0.44 − −
Hemiptera − − − 4.35 − −
Coleoptera 0.14 0.51 0.77 2.84 0.49 1.45
Diptera 10.37 8.02 6.25 10.04 4.40 6.40
Trichoptera 18.36 6.67 25.94 15.72 15.89 14.83
Table 9. Protected species and Korean endemic species in Mudueng-san National Park.
Squere No.
Species Name
3 6 9 10 11 13 15 16 17 18
19 22 23 25 28 29 33 34 36 38
Pisidium coreanum* ●
Cipangopaludina japonica ●
Semisulcospira forticosta* ● ●
●
Semisulcospira coreana* ● ● ●
●
Palaemon paucidens ● ●
● ●
Macrobrachium koreana* ● ●
● ●
Cambaroides similis ●
● ●
Drunella aculea* ● ● ●
● ●
Ephemera separigata* ● ●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 ● ● ● ●
Davidius lunatus ● ● ● ● ●
● ● ● ● ● ● ● ● ●
Sieboldius albardae ●
●
Macromia amphigena fraenata ●
Amphinemura coreana
● ●
Kamimuria coreana* ● ●
● ● ● ●
Neoperla coreensis*
● ●
Psilotreta locumtenens* ● ● ● ● ●
● ● ● ● ●
Semblis phalaenoides ●
*: Korea endemic species
수 있었다. 특히, 원효계곡의 경우 1991년에비해하루살이 목의 점유율은 12.59%가 높고, 강도래목은 20.87% 적은 것 을 나타내고 있다. 조 등(1991)의 자료에 따르면 유속이 빠 른 지역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진 것을 명시하고 있어, 조사 지점선정의 상이성으로 인한요인이 가장큰 것으로 여겨 진다. 특히 이번 연구에서는 원효계곡 일원에서 정수환경을 선호하는 노린재목의 서식이 확인됨으로서 이전 연구자료의 조사대상지와 상이성을 대변해주고 있다.
2. 법정보호대상종 및 한국고유종의 분포 현황
무등산국립공원 일원에 분포하는 주요 수계에서 멸종위기 종은출현하지않았고, 본연구에서 확인된국외반출승인종 및 한국고유종은다음과같다.
본 연구는 이전의 무등산국립공원에서 이루어진 연구와 달리 좀더 다양한 종 및 수생태계 내 다양한 미소서식지 발
굴에 그 목적이 있다. 무등산국립공원은 기후적인 조건 등 으로 인한 수생태계의 연속성 및 안정성은 양호한 지역으로
1~2차 수계는 물론, 수생태계 연속성이 비교적 잘 보전되어
있고, 범람습지, 묵논습지 등 다양한 미소서식처를 보유하고 있다. 이에 반해 하천연속성이 훼손되어 있는 광주와 인접 한 일부 지역에 대한 인공구조물, 하수 유입 등에 대한 관 리가 요망된다. 또한, 풍암제 등을 포함한 인공저수지의 급 격한 수면 변화는 미소서식지의 형태 및 질적 변화를 야기 하므로 관리기관과의협의가필요한것으로생각된다.
무등산국립공원 일원에 대한 다양한 형태의 미소서식지를 아울러 종을 발굴하기 위한 연구는 아직 미진한 편이다. 대 표적인 미소서식지에 대한 꾸준하고 반복적인 현장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좀더많은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이 발굴됨은 물론 무등산국립공원의 담수생태계 이해 증진을 통해 효율 적인 보전 및 관리를 도모할 수 있을 것으로 믿는다.
Table 10. The comparison of the present study with the former data near by Mudueng-san National Park.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a
(1991)
KNPS (2011)
Present (2014)
Phylum Platyhelminthes 편형동물문
Class Turbellaria 와충강
Order Tricladida 삼기장목
Family Planariidae 플라나리아과
Dugesia japonica 플라나리아 ●
Phylum Nematomorpha 유선형동물문
Class Gordioida 연가시강
Order Gordea 연가시목
Family Gordiidae 연가시과
Gordius aquaticus 연가시 ●
Phylum Mollusca 연체동물문
Class Gastropoda 복족강
Order Architaenioglossa 고설목
Family Viviparidae 논우렁이과
Cipangopaludina chinensis 논우렁이 ◎ ●
Cipangopaludina japonica 큰논우렁이 ●
Family Ampullariidae 사과우렁이과
Pomacea canaliculata 왕우렁이 ●
Order Mesogastropoda 중복족목
Family Pleuroceridae 다슬기과
Semisulcospira paucicincta 주머니다슬기 ◎
Semisulcospira coreana 참다슬기 ◎ ●
Semisulcospira forticosta 주름다슬기 ◎ ●
Semisulcospira libertina 다슬기 ◎ ●
Semisulcospira tegulata 좀주름다슬기 ◎
Order Basommatophora 기안목
Family Lymnaeidae 물달팽이과
Lymnaea auricularia 물달팽이 ◎ ●
Family Planorbidae 또아리물달팽이과
Gyraulus chinensis 또아리물달팽이 ◎ ●
Hippeutis cantori 수정또아리물달팽이 ●
Polypylis hemisphaerula 배꼽또아리물달팽이 ●
Class Bivalvia 이매패강
Table 10.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a
(1991)
KNPS (2011)
Present (2014)
Order Veneroida 백합목
Family Sphaeriidae 산골과
Pisidium coreanum 산골조개 ●
Sphaerium lacustre japonicum 삼각산골조개 ●
Family Corbiculidae 재첩과
Corbicula fluminea 재첩 ◎
Phylum Annelida 환형동물문
Class Oligocheata 빈모강
Order Archioligocheata 물지렁이목
Family Naididae 물지렁이과
Chaetogaster limnaei 물지렁이 ●
Limnodrilus gotoi 실지렁이 ◎
Class Hirudinea 거머리강
Order Rhynchobdellida 부리거머리목
Family Glossiponidae 넙적거머리과
Alboglossiphonia lata 조개넙적거머리 ●
Order Arhycobdellida 턱거머리목
Family Hirudinidae 거머리과
Hirudo sp. 거머리류 ◎ ●
Whitmania acranulata 갈색말거머리 ●
Whitmania sp. 말거머리류 ●
Family Erpobdellidae 돌거머리과
Erpobdella lineata 돌거머리 ●
Erpobdella sp. 돌거머리류 ●
Phylum Arthropoda 절지동물문
Class Crustacea 갑각강
Order Amphipoda 단각목
Family Gammaridae 옆새우과
Gammarus sp. 옆새우류 ◎ ●
Order Decapoda 십각목
Family Atyidae 새뱅이과
Caridina denticulata denticulata 새뱅이 ◎ ●
Family Palaemonidae 징거미새우과
Macrobrachium koreana 두두럭징거미새우 ●
Palaemon paucidens 줄새우 ◎ ●
Family Cambaridae 가재과
Cambaroides similis 가재 ●
Class Insecta 곤충강
Order Ephemeroptera 하루살이목
Family Leptophlebiidae 밤색하루살이과
Choroterpes (Euthraulus) altioculus 세갈래하루살이 ◎ ●
Paraleptophlebia chocolata 두갈래하루살이 ○ ◎ ●
Thraulus grandis 여러갈래하루살이 ●
Family Ephemeridae 하루살이과
Ephemera orientalis 동양하루살이 ●
Ephemera separigata 가는무늬하루살이 ●
Ephemera strigata 무늬하루살이 ○ ●
Family Ephemerellidae 알락하루살이과
Acerella longicaudata 긴꼬리하루살이 ○
Cincticostella levanidovae 민하루살이 ○ ●
Cincticostella tshernovae 먹하루살이 ○ ●
Drunella aculea 뿔하루살이 ○ ◎ ●
Drunella crytomeria 알통하루살이 ○
Ephemerella setigera 범꼬리하루살이 ○
Uracanthella rufa 등줄하루살이 ◎ ●
Ephemerella kozhovi 흰등하루살이 ●
Family Heptageniidae 납작하루살이과
Bleptus fasciatus 맵시하루살이 ○ ●
Cinygmula grandifolia 봄처녀하루살이 ●
Cinygmula hirasana 봄총각하루살이 ○
Ecdyonurus dracon 참납작하루살이 ◎ ●
Ecdyonurus joernensis 꼬리치레하루살이 ◎
Ecdyonurus levis 네점하루살이 ○ ◎ ●
Ecdyonurus kibunensis 두점하루살이 ○ ◎ ●
Ecdyonurus tobiironis − ○
Epeorus curvatulus 흰부채하루살이 ○ ●
Epeorus latifolium 부채하루살이 ○ ◎ ●
Epeorus napaeus − ○
Epeorus ikanonis − ○
Iron aesculatus 중부채하루살이 ◎ ●
Iron maculatus 긴부채하루살이 ●
Heptagenia kyotoensis 총채하루살이 ○ ●
Family Ameletidae 피라미하루살이과
Ameletus costalis 피라미하루살이 ●
Ameletus montanus 멧피라미하루살이 ○ ●
Family Baetidae 꼬마하루살이과
Baetiella tuberculata 애호랑하루살이 ●
Baetis fuscatus 개똥하루살이 ◎ ●
Baetis ursinus 방울하루살이 ●
Baetis KUa 꼬마하루살이 KUa ○
Baetis KUc 꼬마하루살이 KUc ○
Baetis KUd 꼬마하루살이 KUd ○
Cloeon dipterum 연못하루살이 ●
Labiobaetis atrebatinus orientalis 입술하루살이 ●
Nigrobaetis bacillus 깜장하루살이 ●
Family Siphlonuridae 옛하루살이과
Siphlonurus chanke 옛하루살이 ○
Order Odonata 잠자리목
Family Calopterygidae 물잠자리과
Calopteryx atrata 검은물잠자리 ●
Calopteryx japonica 물잠자리 ◎ ●
Family Coenagrionidae 실잠자리과
Cercion calamorum calamorum 등검은실잠자리 ●
Ischnura asiatica 아시아실잠자리 ●
Mortonagrion selenion 황등색실잠자리 ●
Family Platycnemididae 방울실잠자리과
Platycnemis phillopoda 방울실잠자리 ◎
Family Aeshnidae 왕잠자리과
Anax nigrofasciatus nigrofasciatus 먹줄왕잠자리 ●
Family Gomphidae 측범잠자리과
Davidius lunatus 쇠측범잠자리 ◎ ●
Davidius nanus 검은얼굴쇠측범잠자리 ○
Sieboldius albardae 어리장수잠자리 ●
Gomphidia confluens 어리부채장수잠자리 ◎
Trigomphus melampus 애측범잠자리 ◎
Family Corduliidae 청동잠자리과
Macromia ampjigena fraenata 잔산잠자리 ●
Family Libellulidae 잠자리과
Table 10.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a
(1991)
KNPS (2011)
Present (2014)
Crocothemis servilia 고추잠자리 ●
Lyriothemis pachygastra 배치레잠자리 ●
Orthetrum albistylum speciosum 밀잠자리 ●
Orthetrum triangulare melania 큰밀잠자리 ●
Order Plecoptera 강도래목
Family Taeniopterygidae 메추리강도래과
Taeniopterygidae sp. 메추리강도래류 ●
Taeniopterygidae KUa 메추리강도래 KUa ○
Taeniopterygidae KUc 메추리강도래 KUc ○
Family Nemouridae 민강도래과
Amphinemura coreana 총채민강도래 ○ ●
Amphinemura KUa 총채민강도래 KUa ●
Amphinemura KUb 총채민강도래 KUb ○ ●
Nemoura tau 토우민강도래 ○ ●
Nemoura KUa 민강도래 KUa ○ ●
Nemoura KUb 민강도래 KUb ○
Protonemura KUa 삼새민강도래 KUa ○
Family Capniidae 흰배민강도래과
Paracopnia recta 애강도래 ○ ●
Family Leuctridae 꼬마강도래과
Rhopalopsole mahunkai 꼬마강도래 ○ ●
Rhopalopsole sp. 꼬마강도래류 ●
Family Peltoperlidae 넓은가슴강도래과
Yoraperla KUa 넓은가슴강도래 KUa ○ ●
Family Perlodidae 그물강도래과
Isoperla KUa 줄강도래 KUa ○
Megarcys ochracea 그물강도래 ○
Perlodiae sp. 그물강도래류 ●
Stavsolus sp. 그물강도래붙이류 ○
Stavsolus KUa 그물강도래붙이 KUa ●
Family Perlidae 강도래과
Kamimuria coreana 한국강도래 ◎ ●
Kiotina decorata 무늬강도래 ○ ●
Neoperla coreensis 두눈강도래 ○ ●
Oamia nigribasis 진강도래 ○ ◎ ●
Paragnetina flavotincta 강도래붙이 ○ ◎ ●
Family Chloroperlidae 녹색강도래과
Sweltsa nikkoensis 녹색강도래 ○ ◎ ●
Sweltsa KUa 녹색강도래 KUa ○
Order Neuroptera 풀잠자리목
Family Corydalidae 뱀잠자리과
Parachauliodes continentalis 대륙뱀잠자리 ○ ◎ ●
Order Hemiptera 노린재목
Family Nepidae 장구애비과
Ranatra chinensis 게아재비 ◎ ●
Family Belostomatidae 물장군과
Diplonychus esakii 각시물자라 ●
Family Corixidae 물벌레과
Sigara substriata 방물벌레 ●
Family Notonectidae 송장헤엄치게과
Notonecta triguttata 송장헤엄치게 ●
Family Veliidae 깨알소금쟁이과
Veliidae sp. 깨알소금쟁이류 ●
Family Gerridae 소금쟁이과
Table 10.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a
(1991)
KNPS (2011)
Present (2014)
Aquaris paludum 소금쟁이 ●
Aquaris sp. 소금쟁이류 ◎
Gerris latiabdominis 애소금쟁이 ●
Metrocoris histrio 광대소금쟁이 ●
Order Coleoptera 딱정벌레목
Family Dytiscidae 물방개과
Agabus japonicus 땅콩물방개 ●
Agabus sp. 땅콩물방개류 ●
Agabus regimbarti 큰땅콩물방개 ●
Cybister brevis 검정물방개 ●
Hydaticus grammicus 꼬마줄물방개 ●
Laccophilus difficilis 깨알물방개 ●
Rhantus pulverosus 애기물방개 ●
Family Gyrinidae 물맴이과
Gyrinus japonicus francki 물맴이 ●
Family Hydrophilidae 물땡땡이과
Stenolophus rufipes 애물땡땡이 ●
Family Elmidae 여울벌레과
Elmis sp. − ○
Family Psephenidae 물삿갓벌레과
Eubrianax KUa 둥근물삿갓벌레 KUa ●
Eubrianax granicollis 물가둥근물삿갓벌레 ○
Psephenoides KUa 물삿갓벌레 KUa ●
Family Chrysomelidae 잎벌레과
Galerucella KUa 딸기잎벌레 KUa ●
Order Diptera 파리목
Family Tipulidae 각다귀과
Dicranota KUa 애기각다귀 KUa ●
Dicranota KUb 애기각다귀 KUb ●
Dicronomyia sp. − ○
Eriocera sp. − ○
Hexatoma KUa 검정날개각다귀 KUa ●
Ormosia sp. 모기각다귀류 ●
Tipula KUa 각다귀 KUa ◎ ●
Tipula KUb 각다귀 KUb ●
Tipula sp. 각다귀류 ○ ●
Family Limoniidae −
Antocha sp. 명주각다귀류 ○
Family Blepharoceridae 멧모기과
Philorus KUa 멧모기 KUa ●
Family Culicidae 모기과
Aedes sp. 숲모기류 ●
Family Simuliidae 먹파리과
Simulium sp. 먹파리류 ○ ◎ ●
Family Tabanidae 등에과
Tabanus sp. 등에류 ●
Family Stratiomyiidae 동애등에과
Stratiomyiidae sp. 동애등에류 ●
Family Athericidae 개울등에과
Atherix KUa 개울등에 KUa ●
Atherix ibis − ○
Suragina KUb 긴개울등에 KUb ●
Family Chironomidae 깔따구과
Chironomidae sp. 깔따구류 ◎ ●
Pentanura sp. − ○
Table 10.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a
(1991)
KNPS (2011)
Present (2014)
Orthocladius sp. 깃깔따구류 ○ ◎
Family Dolichopodidae 장다리파리과
Dolichopodidae sp. 장다리파리류 ●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Stenopsychidae 각날도래과
Stenopsyche griseipennis 수염치레각날도래 ○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과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
Glossosoma KUb 광택날도래 KUb ●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
Apsilochorema sutshanum 긴발톱물날도래 ○
Rhyacophila biolobata 두잎물날도래 ○
Rhyacophila brevicephala 넓은머리물날도래 ○ ●
Rhyacophila clemens 클레멘스물날도래 ○
Rhyacophila kisoensis − ○
Rhyacophila kuramana 계곡물날도래 ○
Rhyacophila impar 거친물날도래 ○
Rhyacophila nigrocephala 검은머리물날도래 ◎ ●
Rhyacophila shikotsuensis 민무늬물날도래 ○ ●
Rhyacophila sibirica 시베리아물날도래 ○ ●
Rhyacophila transquilla − ○
Rhyacophila KUa 물날도래 KUa ●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Diplectrona KUa 산골줄날도래 KUa ●
Cheumatopsyche brevilineata 꼬마줄날도래 ◎ ●
Cheumatopsyche echigoensis − ○
Cheumatopsyche KUb 꼬마줄날도래 KUb ●
Hydropsyche kozhantschikovi 줄날도래 ●
Hydropsyche orientalis 동양줄날도래 ○ ◎ ●
Hydropsyche valvata 흰점줄날도래 ●
Macronema radiatum 큰줄날도래 ◎
Family Polycentropodidae 깃날도래과
Plectrocnemia KUa 깃날도래 KUa ◎ ●
Family Phryganeidae 날도래과
Semblis phalaenoides 굴뚝날도래 ●
Family Phryganopsychidae 둥근날개날도래과
Phryganopsyche latipennis 둥근날개날도래 ●
Family Brachycentridae 둥근얼굴날도래과
Micrasema sp. 둥근얼굴날도래류 ○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
Limnephilidae sp. 우묵날도래류 ●
Hydatophylax nigrovittatus 띠무늬우묵날도래 ●
Family Dolichopodidae 장다리파리과
Dolichopodidae sp. 장다리파리류 ●
Order Trichoptera 날도래목
Family Stenopsychidae 각날도래과
Stenopsyche griseipennis 수염치레각날도래 ○
Family Glossosomatidae 광택날도래과
Glossosoma KUa 광택날도래 KUa ●
Glossosoma KUb 광택날도래 KUb ●
Family Rhyacophilidae 물날도래과
Apsilochorema KUa 긴발톱물날도래 KUa ●
Apsilochorema sutshanum 긴발톱물날도래 ○
Table 10.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a
(1991)
KNPS (2011)
Present (2014)
Rhyacophila biolobata 두잎물날도래 ○
Rhyacophila brevicephala 넓은머리물날도래 ○ ●
Rhyacophila clemens 클레멘스물날도래 ○
Rhyacophila kisoensis − ○
Rhyacophila kuramana 계곡물날도래 ○
Rhyacophila impar 거친물날도래 ○
Rhyacophila nigrocephala 검은머리물날도래 ◎ ●
Rhyacophila shikotsuensis 민무늬물날도래 ○ ●
Rhyacophila sibirica 시베리아물날도래 ○ ●
Rhyacophila transquilla − ○
Rhyacophila KUa 물날도래 KUa ●
Family Hydropsychidae 줄날도래과
Diplectrona KUa 산골줄날도래 KUa ●
Cheumatopsyche brevilineata 꼬마줄날도래 ◎ ●
Cheumatopsyche echigoensis − ○
Cheumatopsyche KUb 꼬마줄날도래 KUb ●
Hydropsyche kozhantschikovi 줄날도래 ●
Hydropsyche orientalis 동양줄날도래 ○ ◎ ●
Hydropsyche valvata 흰점줄날도래 ●
Macronema radiatum 큰줄날도래 ◎
Family Polycentropodidae 깃날도래과
Plectrocnemia KUa 깃날도래 KUa ◎ ●
Family Phryganeidae 날도래과
Semblis phalaenoides 굴뚝날도래 ●
Family Phryganopsychidae 둥근날개날도래과
Phryganopsyche latipennis 둥근날개날도래 ●
Family Brachycentridae 둥근얼굴날도래과
Micrasema sp. 둥근얼굴날도래류 ○
Family Limnephilidae 우묵날도래과
Limnephilidae sp. 우묵날도래류 ●
Hydatophylax nigrovittatus 띠무늬우묵날도래 ●
Hydatophylax soldatovi − ○
Nemoyaulius sp. 띠우묵날도래류 ●
Neophylax ussuriensis 가시우묵날도래 ●
Limnephilus KUa 모시우묵날도래 KUa ●
Family Goeridae 가시날도래과
Goera japonica 일본가시날도래 ●
Goera interrogationis 알록가시날도래 ●
Family Limnephilidae 애우묵날도래과
Apatania KUa 애우묵날도래 KUa ●
Nothopsyche KUa 갈색우묵날도래 KUa ●
Family Lepidostomatidae 네모집날도래과
Lepidostoma KUa 네모집날도래 KUa ◎
Lepidostoma KUb 네모집날도래 KUb ◎ ●
Georodes japonicus − ○
Family Odontoceridae 바수염날도래과
Psilotreta locumtenens 수염치레날도래 ●
Psilotreta kisoensis 바수염날도래 ○ ◎
Family Philopotamidae 입술날도래과
Wormaldia coreana 입술날도래 ●
Table 10. Continued.
Scientific Name Korean Name Na
(1991)
KNPS (2011)
Present (2014)
사 사
본 연구 논문은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수 행한 무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사업(2013)의 일부 결과 를 반영하여 작성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권오길. 1990. 한국동식물도감제32권동물편(연체동물Ⅰ). 문교부. 권오길, 박갑만, 이준상. 1993. 원색한국패류도감. 아카데미서적. 김종선. 1996. 한국산강도래목(Plecoptera, Insecta)의분류및생태
학적연구. 전남대학교.
김훈수. 1977. 한국동식물도감. 제19권. 동물편(새우류). 문교부. 나철호, 백순기, 조영관. 1989. 무등산주요계곡의계절별수서곤
충의분포에관한연구. 생태와환경. 22(4): 14.
윤일병. 1988. 한국동식물도감. 제30권. 동물편(수서곤충류). 문교부. 윤일병. 1995. 수서곤충검색도설. 정행사.
원두희, 권순직, 전영철. 2005. 한국의수서곤충. 생태조사단. 조영관, 백순기, 나철호. 1991. 무등산주요계곡에서식하는수서
곤충군집에계절변화에관한연구. 생태와환경. 24(1): 1-10.
한국곤충학회. 1994. 한국곤충명집. 한국곤충학회건국대출판부. 한국동물분류학회. 1997. 한국동물명집아카데미서적.
황정훈, 2006. 한국산날도래목의분류학적연구. 고려대학교박사
학위논문.
Kawai T. 1985. An illustrated book of aquatic insects of Japan. 東海 大學出版會.
Lepneva SG. 1964. Trichoptera. II. Larvae and pupae of Annulipalpi. Fauna SSSR (N. S.) 88: 1-560.
Margalef R. 1957. La teoria de la informacion en ecologia. Mem.
Real Acad. Cienc. Artes Barcelona. 32: 373-449.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n grassland. Nature, 261(5111): 168-169.
McCafferty WP. 1981. Aquatic entomology. Jones and Bartlett, Boston.
Merritt RW, KW Cummins. 1996. An Introduction to the Aquatic Insects of North America. 3rd. ed. Kendall/Hunt Publ. Co.
Minshall GW. 1988. Stream ecosystem theory: a global perspec- tive. J. N. Benthol. Soc. 7(4): 263-288.
Pielou EC. 1998. Species-diversity, and pattern-diversity in the study of ecological succession. J. theor. Bio. 10: 370-383.
Reice SR, M Wohlemberg. 1993. Monitoring freshwater benthic macroinvertebrates and benthic processes: measures for assess- ment of ecosystem health. 287-305.
Rosenberg DM, VH Resh. 1993. Freshwater biomonitoring and benthic macroinvertebrates. Chapman and Hall, New York.
Shannon CE, W Weaver. 1949.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v, Illinois press, Urban, IL.
Ueno M. 1929. Studies on the stoneflies of Japan, Mem. Coll. Sci.
Kyto Imp. Univ., Ser. B. 4: 97-155.
Ward JV. 1992. Aquatic insect ecology. John Wiley & Sons, New York.
Wiederholm T. 1983. Chironomidae of the Holarctic region Keys and diagnose. Part I - Larvae. Ent. Scand. Suppl. 19.
Willams DD, BW Feltmate. 1992. Aquatic Insects. C·A·B Inter- national. Wallingford, UK.
(2014년 9월 1일접수; 2014년 1월 15일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