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무등산국립공원의 자연생태적 가치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무등산국립공원의 자연생태적 가치"

Copied!
4
0
0

Teks penuh

(1)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5, No. 2, pp. 76-79 (2014) ISSN 2093-0674

무등산국립공원의 자연생태적 가치

채희영*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Valuing as Environmental Resources of Moodeungsan National Park

Hee-Young Chae*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20-708, South Korea

머리말

무등산은 1972년 5월 22일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2013년 3월 4일 국립공원 제21호로 지정되었다. 무등산국립 공원은 전체 면적 74.425 km2로 광주광역시(북구, 동구)와 전라남도(담양, 화순군)에 위치하고 있다. 특히 해발 1,187m 의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 일대는 서석대, 입석대, 규봉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기암·괴석 등 다양한 형태의 경관자원이 분포하고 있다. 무등산에는 증심사, 원효사, 충 민사, 약사암 등 사찰과 유적이 있으며, 화순과의 경계에는 너릿재, 육판제, 장불재 등 고개가 많다.

지금까지 무등산에 관한 연구 내용을 살펴보면, 크게 자 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연구, 탐방 및 휴양을 위한 기초 연구, 지질 자원 현황 파악을 위한 연구, 기타 국립공원 지 정과 관련된 연구 등이 있다.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한 기초 연구는 박수현(1970), 조와 이(1980), 조와 이(1981), 김과 길(1992), 박과 오(1993), 김 등(1997), 조 등(2000), 이 등(2004), 오영상(2004), 이 등

(2012), 홍 등(2013) 등의 연구결과가 있는데, 대부분의 연구

결과는 식물과 관련된 내용이다. 탐방 및 휴양과 관련된 연 구는 김과 오(1998a), 김과 오(1998b), 최와 이(1999), 황과 이(1999), 오 등(2010), 엄과 남궁(2001), 조동범(2008), 김상 오(2011a), 김상오(2011b), 오 등(2011), 이 등(2011), 오

(2012), 김과 김(2013) 등이 있다. 탐방 및 휴양과 관련한 연

구는 2000년 초반부터 본격적으로 추진되었으며, 탐방행태 분석 등이 주된 연구 내용이다. 더불어, 무등산의 지질 자원 현황 파악을 위한 연구도 활발히 진행되었다(이희보 1983;

박승필 1996; 김 등 2002; 박 등 2002; 박 등 2005; 오 등

2012). 지질 자원에 대한 연구는 광물학적 연구가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다. 2010년 이후 도립공원 무등산을 국립공원으

로 무등산으로 승격시키기 위한 연구도 진행되었다.

현재까지의 무등산에 대한 조사는 분류군별로 단편적으로 이루어 졌으며, 2010년 국립공원 승격과 관련하여 이루어진 종합조사도 공원 계획 수립, 공원경계 조정 등에 초점이 맞 추어져 있어 무등산국립공원의 자원 가치를 평가하는 데는 한계가 있었다. 무등산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이후에 진행 된 무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가 무등산의 가치를 종합적 으로 평가할 수 있는 최초의 종합 조사라고 할 수 있다. 따 라서 본 논문에서는 무등산 자연자원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무등산의 자연생태적 가치를 평가해 보고자 한다.

무등산국립공원의 현황 및 특징

무등산은 1972년 5월 22일 도립(자연)공원으로 지정되었 으며(전남고시 제 85호), 2013년 3월 4일 제21호 국립공원 으로 승격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전체 면적은 75.425 km2 로 광주광역시(북구, 동구)와 전라남도 담양군과 화순군에 위치한다. 해발 1,187m의 무등산 최고봉인 천왕봉 일대는 서석대, 입석대 등 주상절리대를 포함하여 산봉 기암괴석 등 많은 경관자원이 분포하고 있다. 북한산, 계룡산국립공원 과 함께 무등산국립공원도 공원 인근에 대단위 배후도시(광 주광역시)가 있어 년간 500만명 정도의 탐방객 사계절 이용 하고 있다. 이번 무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를 통해 무등 산국립공원의 생태적 가치가 높은 것으로 파악되었다. 무등 산국립공원에는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천연기념물, 한반 도 고유종 등이 다수 서식하고 있다는 사실이 확인되었다.

지금까지 무등산에서 서식이 확인되지 않은 많은 생물종이 새롭게 확인되었다. 더불어, 무등산국립공원을 대표할 수 있 는 무등산 주상절리의 형성이 용암에 의해 형성된 것이 아 니라 용암재에 의해 형성되었다고 하는 새로운 사실도 연구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2)

무등산국립공원의 자연생태적 가치 77

진에 의해 확인되었다. 또한 국립공원 최대의 북방산개구리 번식도 확인할 수 있었으며, 세계적인 희귀종인 주황흰점무 늬새똥거리도 확인되었다. 더불어 이번 조사에서는 무등산 국립공원이 지니고 있는 탄소저장량을 과학적으로 분석하여 그 의미를 부여하기도 하였다.

무등산국립공원의 가치 1. 도시형국립공원 생물상 비교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에 도시형 국립공원에 가까운 국립

공원은 계룡산, 북한산, 무등산을 들 수 있다. 이들 공원 면 적은 각각 65.3 km2, 76.9 km2, 75.4 km2로 거의 비슷하다.

이들 3개 공원의 생물자원 현황을 비교·분석하기 위하여 3 기 자연자원조사 결과를 활용하였다. 3기 자연자원조사는 가장 최근에 시행된 국립공원 종합조사로, 동일한 분야, 동 일한 방법으로 시행되어 무등산의 생물자원 현황을 비교적 객관적으로 평가할 수 있을 것이다.

식물은 계룡산에서 1, 098종, 북한산에서 904종, 무등산에 서 933종이 확인되었다. 계룡산이 북한산과 무등산에 150종 이상 많은 종이 확인되었다(Table 1). 포유류도 계룡산에서

29종으로 북한산 23종, 무등산 22종에 비해 많이 관찰되었

다. 어류 또한 계룡산에서 31종으로 북한산 13종, 무등산 17 종에 비해 많이 관찰되었다. 곤충도 계룡산이 2,275종으로 북한산 1,937종, 무등산 871종에 비해 많이 관찰되어 전체 적으로 계룡산국립공원의 생물상이 북한산, 무등산과 비교 하여 많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1).

하지만 조류의 경우 북한산에서 150종으로 가장 많은 종 이 확인되었으며,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은 무등산에서 152 종이 확인되어 가장 많은 종이 확인되었다. 양서·파충류는 계룡산과 북한산에서 각각 24종이 확인된 반면 무등산에서 는 22종이 확인되었다. 거미류는 계룡산에서 56종, 북한산에 서 103종, 무등산에서는 164종이 확인되어 무등산이 타 공 원에 비해 많은 종이 확인되었다. 고등균류는 계룡산에서

483종, 북한산에서 433종이 관찰되었으나, 무등산에서는 266

종이 확인되었다. 담수조류는 무등산에서 526종으로 계룡산

(63종)과 북한산(82종)과 비교하여 현저하게 많은 종이 확인

되었다(Table 1).

이상의 결과로 볼 때, 무등산국립공원의 생물자원의 가치 는 비슷한 면적의 도시형국립공원인 계룡산국립공원과 북한 산국립공원과 비교해도 결코 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 었다.

2. 도시형국립공원 멸종위기종 비교

비교대상인 계룡산, 북한산국립공원내에 서식하고 있는 멸종위기종은 각각 36종, 13종으로 무등산 12종에 비해 많 은 것으로 조사되었다. 무등산국립공원에는 멸종위기 I급에 해당되는 수달을 포함하여, II급에 해당하는 으름난초, 담비, 삵, 하늘다람쥐, 독수리, 팔색조, 쌍꼬리부전나비 등 12종이 확인되었다(Table 2).

수달은 생태계의 핵심종(Keystone species)으로 수생태계 의 조절자 역할을 하며, 건강한 수생태계의 지표종으로 이 용되고 있는데, 무등산국립공원의 10곳 이상에서 서식이 확 인되어 무등산국립공원의 수생태계 건강성을 확인하는 계기 가 되었다. 또한, 삵, 담비, 새매, 붉은배새매, 수리부엉이, 소쩍새, 새호리기 등 육상생태계의 상위 포식자도 다수 확 인되어 무등산국립공원의 육상생태계도 건강한 것으로 나타 났다.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종 II급에 해당하는 쌍꼬리부전나비 의 서식지는 중부이북지역으로 알려져 있었으나, 이번 조사 결과에 의해 한반도 남부지역까지 서식한다는 것이 확인되 었다. 또한, 으름난초는 무등산과 제주도 등 일부 한정된 지 역에서 서식하고 있으며, 무등산국립공원내에서도 서식지역 이 매우 한정되어 있어 보호가 절실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3. 도시형국립공원 한반도 고유종 비교

무등산국립공원에서는 이끼도롱뇽, 은사시나무, 얼록동사 Table 1. 도시형국립공원 생물상 비교

분야 계룡산 북한산 무등산

식물 1,098 904 933

포유류 29 23 22

조류 108 150 95

어류 31 13 17

곤충 2,275 1,937 871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39 121 152 양서·파충류 24 24 22

거미류 56 103 164

고등균류 483 433 266

담수조류 63 82 526

합 계 4,306 3,790 3,068

Table 2. 도시형국립공원 멸종위기종 비교

분 야 계룡산 북한산 무등산

포유류 2 1 4

조류 3 8 7

어류 31 1 0

곤충 0 2 1

양서·파충류 0 1 0

합 계 36 13 12

Table 3. 도시형국립공원 한반도 고유종 비교

분야 계룡산 북한산 무등산

식물 25 22 18

어류 10 0 6

곤충 15 40 12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13 5 9

양서·파충류 0 0 2

거미류 0 7 6

합 계 63 74 53

(3)

78 국립공원연구지 제 5 권 제 2 호 (2014)

리, 산골조개 등 한반도 고유종 53종도 확인되었다(Table 3).

식물 18종, 어류 6종, 곤충 12종, 저서성대형무척추동물 9종, 양서·파충류 2종, 거미류 6종의 한반도 고유종은 무등산국 립공원내에 서식하고 있는 것이 확인되었다. 이 수치는 계 룡산과 북한산에 비해서는 떨어지지만 한반도 남부지역에서 만 서식하는 고유종이 다수 확인되어 의미를 더해주고 있다.

무등산국립공원의 문제점 및 관리방안 1. 식재림 관리

무등산국립공원의 주요사찰, 주거지, 탐방로 주변에는 리 기다소나무, 아까시나무, 삼나무, 편백, 메타쉐콰이아, 잣나 무, 은사시나무, 왕대, 구상나무, 주목, 영산홍, 홍단풍, 가이 즈카향나무, 테에다소나무 등이 조림되어 있는데, 이들에 대 한 체계적인 관리 대책마련이 필요하다. 특히, 과거 약 20년 전에 장불재와 중봉 주변에 구상나무와 주목이 조림되었는 데, 이들 지역을 활용하여 아고산 자연생태교육장 및 식생 천이 연구를 위한 모니터링 지역으로서 활용하는 것도 필요 할 것으로 판단된다.

2. 사유지 매수

2014년 4월 현재 무등산국립공원의 사유지는 73.3%로 과

다한 사유지 비율은 공원자원 관리를 어렵게 할 뿐만 아니 라 주민들의 지속적인 민원사항이 되고 있다. 지속적으로 사유지 매입을 통해 사유지를 국유지화 해나가야 할 것이다.

이번 무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결과, 멸종위기종, 천연 기념물, 한반도 고유종 등 희귀생물이 많이 서식하고 있는 지역은 증심사지구, 원효사지구, 장불대지역, 매봉지역, 광일 목장지역 등으로 나타났다. 사유지 매수시 이러한 지역의 사유지를 우선으로 매입되어야 할 것이다. 더불어 무등산국 립공원내에 지금까지 알려지지 않은 자연형습지가 관찰되었 는데, 이 지역의 생물다양성이 매우 높은 것으로 분석되어 사유지 이들 지역의 우선 매입도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3. 소나무림 보호

무등산국립공원내에는 해발 200m 이하지역에 소나림이 잘 보전되어 있으나 본 조사결과 화순군 이서초교 주변에서 소나무재선충의 매개충으로 알려진 솔수염하늘소가 발견되 어 소나무재선충 확산이 우려되는 시점이다. 더불어 낙엽활 엽수로 생태적 천이가 진행되면서 일부 소나무가 고사되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무등산국립공원내의 소나무림의 개 체군동태를 지속적으로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

4. 훼손지 복원

무등산국립공원 장불대의 경우 7개, 중머리재의 경우 6개 의 탐방로가 교차하는 지역이며, 대부분의 탐방객이 휴식장 소로 이용하는 지역이다. 이러한 과도한 탐방압에 의해 넓 은 면적의 독립훼손지가 발생하였고 현재도 나지가 확대되 고 있으며, 침식이 진행중인 상태이다. 따라서 이 지역에서

는 훼손지 복원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되어야 할 것이다.

복원 대상지 주변으로 출입통제 펜스를 설치하여 탐방객의 출입을 제한하여 자연복원을 유도하여야 한다. 복원 대상지 주변에는 안내판을 설치하여 공원에서 추진하고 있는 사업 을 적극적으로 홍보한다. 공원사무소에서는 자연복원 상태 에 대하여 지속적인 모니터링을 통해 복원상태 등을 점검하 여 무등산국립공원의 독립훼손지가 성공적으로 복원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맺음말

어머니의 산, 호남의 진산(鎭山)으로 알려진 무등산이 국 립공원으로 승격되면서 무등산은 지역의 명산에서 국가를 대표하는 세계적인 명산으로 거듭나는 계기가 되었다. 지금 부터는 이렇게 의미있는 무등산국립공원을 어떻게 관리하고 보전할 것인가? 하는 큰 과제가 남아있다. 더불어 지역주민 들과 함께하는 국립공원을 만들어 가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 야되는지? 무등산의 자원과 인간이 어떻게 공존하며 상생할 수 있는지? 등에 관하여 깊이 생각해 보아야 할 것이다.

무등산을 국립공원에 걸맞게 보호·관리하기 위해서는 무 등산을 이용하는 탐방객의 탐방문화 개선이 필요하다고 생 각된다. 선진 탐방문화 정착을 위해서는 무등산의 특성이 충분히 반영된 개성있고 친근한 다양한 탐방프로그램 운영 이 요구된다. 이번 무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에는 각 분 야의 조사결과가 수록되어 있어 무등산 탐방프로그램 개발 에 적극적으로 활용되어야 할 것이다. 선진 탐방문화가 정 착되면 자연스럽게 무등산을 배려하게 될 것이고 무등산을 배려하게 되면 무등산의 자원은 자연스럽게 보전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감사의 글

본 연구는 2013년 무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사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음을 알립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관리공단. 2013. 무등산국립공원 탄생이야지: 21번째 국 립공원이 되기까지. 국립공원관리공단.

광주광역시. 2011. 무등산공원계획 타당성검토, 자연자원조사 및 보전·관리계획. 광주광역시.

김덕진. 2013. 전라도 광주 무등산의 신사(神祠)와 천제단(天際壇).

호남사회학회지. Pp. 137-164.

김규진, 윤태호, 김종완. 1997. 무등산에 분포하는 다지류에 관한 연구. 한국토양동물학회지. Pp. 1-9.

김보현, 오구균. 2012. 무등산도립공원 시간대별 탐방객 이동패턴 에 따른 관리방안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Pp. 960-969.

김상미, 김상오. 2013. 하이킹 휴양활동을 위한 자원 대체성과 관 련요인 - 무등산 도립공원과 어등산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 태학회지. Pp. 765-776.

(4)

무등산국립공원의 자연생태적 가치 79

김상오. 2011a. 자연과의 유대가 휴양객의 케이블카 설치 지지도 에 미치는 영향 - 무등산도립공원을 대상으로. 한국환경생태 학회. Pp. 235-246.

김상오. 2011b. 무등산 도립공원 케이블카 설치에 대한 탐방객의 인식 및 태도. 한국환경생태학회. Pp. 421-431.

김상오, 오광인. 1998a. 무등산 도립공원 시설물의 관리상태 평가 와 개선방안. 한국임학회지. Pp. 590-600.

김상오, 오광인b. 1998. 무등산 도립공원의 사회 생태적 평가기준 에 의한 현 운영 상태의 평가와 관리방안. Pp. 107-122.

김용준, 박재봉, 박병규. 2002. 무등산 지역에 분포하는 화성암류 의 암석화학. 한국암석학회. Pp. 214-233.

김창환, 길봉섭. 1992. DCCA와 Polar Ordination에 대한 무등산의 삼림 군락 분석. 한국생태학회지. Pp. 117-125.

나철호, 백순기, 조영관. 1991. 무등산 주요 계혹에 서식하는 수서 곤충 군집에 계절 변화에 관한 연구. 한국하천호수학회지. Pp.

1-10.

김용준, 박재봉, 박병규. 2002. 무등산 지역에 분포하는 화섬암류 의 암석화학. 한국암석학회지. Pp. 214-233.

박수현. 1970. 무등산식물조사연구. 한국식물분류학회지. Pp. 23- 39.

박승필. 1996. 무등산 지역의 지형특성에 관한 연구. 한국지형학회.

Pp. 115-134.

박병규, 김용준, 김윤중. 2002. 무등산지역 화산암류의 암석화학적 고찰 및 주요한 구성 광물(정석)의 광물학적 연구. 대한지질공 학회 학술발표논문집. Pp. 101-101.

박병규, 김용준, 김윤중. 2005. 무등산지역 화산암류에서 산출되는 사장석의 광물학적 연구. 한국광물학회. Pp. 155-164.

박철수, 오장근. 1993. 무등산의 식생에 대한 식물사회학적 연구.

Pp. 93-114.

엄영숙, 남궁문. 2001. 환경자원과 문화자원으로서 자연공원의 가 치추정 -무등산 자연공원을 사례로. 한국환경경제학회지. Pp.

1-23.

이대행, 김민희, 서희정, 민경우, 김승호, 서광엽, 정원삼, 강영주, 안기완, 백계진, 문용운. 2012. 무등산 인공 침엽수림에서 테르 펜과 기상인자의 상관성분석. 한국환경과학회지. Pp. 1221- 1234.

이희보. 1983. 무등산 주변의 화산암지대의 지열지대 탐사. 공학연 구. Pp. 277-281.

양해근. 2004. 무등산 자연샘의 지화학적 특성. 한국지형학회지.

Pp. 29-40.

오구균, 김보현, 김철의. 2011. 무등산국립공원 탐방객 수 추정 및 통해 패턴. 한국환경생태학회. Pp. 227-234.

오구균, 김보현, 김철의. 2010. 도시림: 무등산도립공원 탐방객 통 행 패턴. 한국환경생태학회. Pp. 190-192.

이승휘, 권은호, 신영희. 2004. 지리산과 무등산에 서식하는 한국 산 양서류의 피부에 관한 연구. 한국환경생태학회. Pp. 205- 209.

오영상. 2004. 무등산 야생화. 전라도닷컴.

이윤국, 박옥현, 안상수, 김연희, 김종민, 배석진, 백계진, 문운용.

2011. 무등산 약수터의 강우 전후 수질특성. 한국환경분석학회.

Pp. 146-157.

오종주, 박승필, 성영배. 2012. 무등산 암설지형의 유형과 특징. 한 국지역지리학회. Pp. 253-267.

조동범. 2008. 도시 배후 산 지형 스카이라인 경관의 조망 특성과 경관 대표성 평가 -시점 위치에 따른 무등산 조망경관 분석을 중심으로. 한국조경학회. Pp. 84-96.

조덕현, 이지열. 1980. 무등산일대의 고등균류상(1). 한국균학회지.

Pp. 73-76.

조덕현, 이지열. 1981. 무등산일대의 고등균류상(2). 한국균학회지.

Pp. 73-76.

조현제, 조재형, 이창석. 2000. 도시림 관리를 위한 식생단위구분 과 정밀식생도 작성 -무등산을 중심으로. 한국임학회지. Pp.

470-479.

최기호, 이규완. 1999. 무등산도립공원의 이용실태 및 행태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 학술박표논문집. Pp. 40-42.

황국웅, 이규완. 1999. 생태 및 시각특성을 기초로 한 무등산도립 공원의 경관평가. 한국환경생태학회. Pp. 14-21.

홍행화, 장정원, 선은미, 김별아, 김상준, 서승룡, 임형탁. 2013. 무 등산 지역의 식물상. 한국생물환경학회. Pp. 121-153.

(2014년 5월 1일 접수; 2014년 6월 1일 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단, 파견직, 용역직, 사내하청 근로자 등 간접고용 형태의 직원은 제외하고 응답해 주십시오... 비정규직도 포함하여 응답해

외해양식 1 유럽 ○ 북구 유럽의 양식 강국인 노르웨이를 비롯하여 스웨덴, 아일랜드를 중심으로 외해양 식이 발달되었음 ○ 지중해 연안국을 중심으로 1990년대 초반부터 외해 양식기술이 발달해 왔고, 그 양 식 대상 어종은 대서양연어, 참치 등이 주류를 이루고 있음 ○ EU 6개국과 노르웨이가 참여하여 Offsho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