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외해 심층가두리를 이용한 대구 ․참치 등 양식기술개발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외해 심층가두리를 이용한 대구 ․참치 등 양식기술개발"

Copied!
260
0
0

Teks penuh

본 보고서는 원해 심가장을 이용한 대구, 참치 양식기술 개발사업 보고서로 제출되었습니다. 심해 가두리를 이용한 대구, 참치 양식기술 개발 대구의 양식업 관리 및 산업화 전략 수립을 위해 연안 가두리에서 경제성을 평가하였다.

참치 양식을 위한 관리 및 산업화 전략 수립, 연안 가두리의 경제성 평가. 대구 양식을 계속하는 것은 불가능했습니다. 외해 수중 가두리 양식의 타당성 조사.

양식관리 측면에서 경제성 평가 자료를 연안 가두리를 이용한 대구양식의 수익 창출을 위한 자료로 활용하고자 합니다.

SUMMARY

Section 1. Pacific cod culture

  • Basic study in seed production
  • Physiological characteristic in juvenile A. Oxygen consumption rate
  • Rearing the juveniles from wild
  • Optimal stocking density and feeding frequency
  • Application to offshore submergible cage on cod culture A. Status of offshore cage in Korea
  • Economical Analysis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and photoperiod on the oxygen consumption of fasted juvenil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average body weight 79.9±2.0 g) in order to quantify metabolic response of this species to given conditions . A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water temperature on daily pattern and rate of total ammonia nitrogen (TAN) excretion in juvenile Pacific cod Gadus macrocephalus (mean body weight: 36.5±0.3 g) under fasted and fed conditions. Both endogenous and post-prandial TAN excretion increased with increasing water temperature (P<0.05).

The overall results show that water temperature has a significant effect on nitrogen excretion in juvenile Pacific cod. In 2010, when the water temperature suddenly dropped, all the fin fish died and it was found that some of the steel sheet had come off, so the plan to put the immature cod in the cage was cancelled. It was not possible to process the cod culture used for offshore cages in the cold waters.

These results recommended that the business of cod culture used for offshore cage system is not economically viable from the NPV was less than and the B/C ratio was less than in all scenarios.

Section 2. Bluefin tuna culture

  • Capturing Juveniles for Tuna Aquaculture
  • Development of Rearing Technology for Offshore Cage Culture
  • Environment Assessment of Offshore Cage
  • Economic Assessment of Offshore Cage

We captured 833 juveniles under 1 year of age by trolling, and 371 of them were contained in the offshore cage. These problems are necessary to be solved through the long-term cooperation between the two countries. The young tuna caught in the offshore cage were caught in 2009 and fed raw fish-based wet pellets.

The duel frequency identification sonar also showed that tuna swim in a small radiation and in the bottom depth at night while they swim in a large radiation and in the shallow depth during the day. The open-type offshore cage is evaluated as eco-friendly as it is not affected by ocean currents, is free from land-based pollution and deals with pollutants in a very fast way. Even though it costs a lot in terms of regular maintenance and early investment, offshore tuna farming is judged to be competitive based on its high survival rate.

The offshore culture is considered to be more competitive than the coastal culture based on the fact that the former has higher survival rate and less vulnerability to red tide, typhoon, low water temperature and other natural abnormalities.

CONTENTS

동해대학교는 민간기업과 함께 육상양식업에 대한 연구를 지속하고 있습니다. 연안 가두리 양식의 대상품종으로 적합하며, 제주도 남해안 및 남부 일부지역에서 지하해수를 이용한 묘목생산 및 양식수요가 예상된다. 12kg/m3 이상의 밀도로 번식하는 것이 개량에 적합하다고 여겨진다.

이는 'Offshore'가 'Aquaculture'라는 용어에서 그대로 번역되어 사용되기 때문에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따라서 여름철 수온의 변화는 대구양식에 있어 매우 중요한 생육조건으로 작용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 과정에서 대구의 적정 수온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시간을 고려해야 한다고 판단했다.

에어쿠션 실린더 조립시 틈이 생긴 곳에서는 상대적으로 부력이 감소하였다. 대구 종자 생산 기술은 아직 안정적으로 확립되지 않았습니다. 다만 대구의 해상 가두리 양식장은 수중형 기준으로 수심 약 60m에 설치돼 있어 관광 효과는 없을 것으로 판단된다.

분석에서는 가두리 시설에서 생산된 양식산물의 판매가격을 이익으로 산정하였다. 분석된 효율은 상대적으로 가장 낮았다. 체중 감소(싱커 및 중력 코어 사용)를 조사했으며 다른 양식 환경에는 묘목 및 사료 생산이 포함되었습니다.

또한 사육관리의 다른 특성을 고려하여 가두리를 선정하여야 할 것으로 추정된다. 원인은 또 다른 수질 악화로 밝혀졌다. 기술적으로는 양식용 묘목으로 사용할 수 있을 것으로 추정되었다.

일본산 참다랑어 인조모종 도입과정. 현재 일본에서 들여온 인조 참다랑어 모종을 우리로 옮겨 도축하고 있다. 어류 등을 공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표 1.  세계수산물 양식 생산량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united  nations)                                                                                                                                          (단위:  천 톤)
표 1. 세계수산물 양식 생산량 (FAO: Food and Agriculture organization of united nations) (단위: 천 톤)

Day (year/month/day)Water temperature (oC)

이때 먹이와 수영 여건은 좋았다. 5월 이후 수온은 단계적으로 상승하여 6월 중순경에는 19℃에 이르며 앞으로도 계속 상승할 것으로 판단된다. 외해에 배치된 이후 현재 생존율은 91%로 높은 생존율을 보이고 있다.

사육관리가 8개월밖에 되지 않아 직접적인 비교는 어렵지만 일본 연안 일반 내파 우리에 방류되기 전까지 평균 생존율 60% 이상일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일본의 경우 묘목 수용 후 이리도 바이러스로 인한 폐사, 겨울철 낮은 수온으로 인한 폐사, 인공 소음, 빛 등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으로 인한 폐사가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다. 개방 수역 케이지의 경우 수집 후 초기 단계에서 주로 건강이 좋지 않고 영양 상태가 좋지 않은 개체에서 사망이 발생했습니다.

특히 11월에는 폭풍주의보로 9일간의 급식 중단 이후 누적 10마리가 폐사했다. 수온이 오르는 5월 이후 안정적인 식량 공급과 수온 상승으로 사망자가 거의 없다.

Gambar

그림  1. NOAA 에서 진행되고 있는 자원학적 연구 .
그림  2. 일본 다랑어 연구소의 연구 추진체계
그림  4. 표지가 부착된 방류용 참다랑어 종묘
그림  6. 대구 수정란 입식 및 부화모습
+7

Referensi

Dokumen terkait

LMX와 LMX차별화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선행연구에서는 LMX차별화 가 클수록 LMX가 낮은 직원들의 수행이 증가하며, 직무열의에 대한 LMX와 LMX차별화의 상호작용 효과에 대한 연구에서는 LMX차별화가 클수록 LMX 가 높은 직원들의 직무열의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개인의 LMX 질 에 따라 차이가 있지만

최종목표 ○ 국내 주요해안 해상풍력단지 조성 시 지지구조물 최적설계를 위하여 발전단지의 해양 환경, 지반조건 및 발전조건, 제작, 운반, 설치조건 등을 고려한 에너지단가Levelized Cost of Energy, LCOE 분석방법 원천기술 개발 ○ 주요 해상풍력발전 지지구조 형식별 표준모델 선정, LCOE 산출 및 이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