농업관측센터
인터넷 홈페이지 http://www.krei.re.kr
'11. 4. 17(일 ) 발표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배추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무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4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월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속보
배추 ․ 무 4 월 속보
배추
□ 가격 동향
○ 4월 중순 도매가격 상순보다 26% 하락
- 4월 가락시장 도매가격: 상순 7,894원/10kg → 중순 5,515원 - 4월 가락시장 일평균 반입량: 상순 578톤 → 중순 649톤
- 4월 중순가격은 작년 동기대비 57%, 평년 동기대비 35% 낮은 수준 - 배추 가격이 하락한 것은 중순 이후 저장 겨울배추와 시설봄배추 출하
량이 증가하였고, 수입량은 증가하였으나 수요는 감소하였기 때문임.
- 대체재인 얼갈이배추 가격도 하락 추세임.
4월 상․중순 배추, 얼갈이배추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0kg, 원/4kg, %
배추 얼갈이배추
상순 7,894 3,199
중순 5,515 2,532
변화율 -30.1 -20.9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공사.
□ 생산 및 출하 전망
○ 시설봄배추 생산량 평년대비 70% 증가
- 시설봄배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61%, 평년보다 70% 증가한 25만 3천톤, · 시설봄배추 재배면적은 4,823ha, 단수는 5,242kg/10a으로 추정됨.
- 시설봄배추 작황은 일조량이 많아 작년보다 23%, 평년보다 10% 증가 할 것으로 나타나 3월 조사치 보다 작황이 좋아지고 있음.
○ 노지봄배추 생산량 평년 수준 전망
- 노지봄배추 생산량은 작년보다 22% 증가한 37만 9천톤으로 추정됨.
· 노지봄배추 재배면적은 7,308ha, 단수는 5,184kg/10a(평년)으로 추정됨.
- 노지봄배추 작황은 초기 꽃샘추위가 있었으나, 현재까지 양호한 것으로 조사됨.
○ 배추 4월 출하량 작년보다 45% 이상 증가
- 겨울배추 4월 출하분은 겨울배추 출하량과 시설봄배추 출하량이 증가하 고, 김치수입량도 많아 중순에는 작년 동기보다 46%, 평년 동기보다 23%, 하순에는 각각 48%, 27%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겨울배추 저장량은 김치수입 증가와 수요 감소에 따른 가격 하락으로 출 하가 지연된 것으로 나타남.
○ 배추 5월 출하량 작년보다 40% 이상 증가
- 5월 상순에는 겨울배추 출하량이 증가하고 시설봄배추가 출하가 충청지 역까지 확대되면서 작년 동기보다 40%, 평년 동기보다 46% 증가할 것 으로 전망됨.
- 5월 중순에는 시설봄배추와 노지터널봄배추 출하가 혼재되면서 작년보 다 42%, 평년 동기보다 41%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 5월 하순에는 노지배추가 출하되면서 출하량은 작년보다 48%, 평년보 다 25% 증가할 것으로 전망됨.
배추 순별 공급량 작년과 평년 대비 증감률
단위: %
구분 4월 5월
중순 하순 상순 중순 하순
작년대비 45.9 48.3 40.1 42.3 47.8 평년대비 22.7 27.3 45.6 40.8 24.7
자료: 농업관측센터, 추정치.
□ 가격 전망
○ 배추 5월 도매가격 상품 10kg 당 2,500원 내외 전망
- 배추 4월 중순 도매가격은 겨울배추 출하가 집중되면서 작년보다 63%, 평년보다 44% 낮은 상품 10kg당 4,800원이며, 하순에는 시설봄배추 출 하가 크게 증가하면서 도매가격은 작년보다 72%, 평년보다 59% 낮은 상품 10kg당 3,200원 전망
- 시설봄배추 출하지역이 확대되는 5월 상순에는 출하량이 크게 증가하면 서 도매가격은 작년보다 70% 이상 낮으며, 중순 이후에는 상품 10kg당 2,500원 이하 전망
무 알타리무 열무
상순 14,391 2,931 4,427
중순 12,434 2,633 2,881
증감률 -13.6 -10.2 -34.9
무
□ 가격동향
○ 4월 중순 도매가격 상순보다 14% 하락
- 4월 가락시장 도매가격 : 상순 1만 4,390원/18kg → 중순 1만 2,430원 - 4월 가락시장 일평균 반입량 : 상순 547톤 → 중순 546톤
· 4월 중순 무 가격은 작년 동기보다 11% 낮으나 평년보다 95% 높은 수준 · 무 가격이 하락한 것은 월동무 산지 출하와 저장작업이 마무리되면서
저장성이 낮은 중․하품 출하비중이 증가하였기 때문임.
· 대체재인 알타리무, 열무 등의 가격도 하락 추세임.
4월 상․중순 무, 알타리무 및 열무 도매가격 동향
단위: 원/18kg, 원/2kg, 원/4kg, %
자료: 서울특별시 농수산물 공사
□ 생산 및 출하 전망
○ 월동무 저장량 작년보다 25% 이상 감소
- 월동무 산지 출하는 4월 중순에 종료될 것으로 조사됨.- 무 저장량은 작년보다 25% 이상 감소할 것으로 조사됨.
· 저장량이 적었던 작년보다 더 감소할 것으로 조사됨.
○ 봄무 생산량 작년보다 증가 전망
- 시설봄무 생산량은 작년과 비슷한 3만 4천 톤으로 추정됨.
- 노지봄무 생산량은 재배면적과 단수 증가로 작년보다 27%, 평년보다 9% 증가한 31만 1천 톤으로 추정됨.
· 금년 노지봄무 재배면적은 작년 출하기와 금년 파종기 가격이 높아 작 년보다 13%, 평년보다 9% 증가한 8,500ha로 추정됨.
4월 5월
-4.2 5.2
· 단수는 작년보다 12% 증가한 10a당 3,700kg로 평년과 비슷한 수즌으로 조사됨.
○ 무 4월 출하량 작년보다 4% 감소 전망
- 4월 무 전체 출하량은 시설봄무 출하가 시작되나 월동무 출하량 감소로 작년 동월보다 4% 감소할 것으로 전망됨.
○ 무 5월 출하량 작년보다 5% 증가 전망
- 무 5월 출하량은 월동무 저장 출하량이 감소하나 시설봄무와 노지 터널 봄무 출하량이 증가하여 출하량이 적었던 작년 동월보다 5% 증가할 것 으로 전망됨.
무 월별 출하량 작년 대비 증감률
단위: %
자료: 농업관측센터, 4월 15일 모니터 조사치.
□ 가격 전망
○ 무 4월 하순 도매가격은 중순 대비 보합세 전망
- 무 4월 하순 도매가격은 월동무 저장 출하가 본격적으로 시작되나 출하 량 감소로 중순 대비 보합세인 상품 18kg당 1만 1,000원이 될 것으로 전망
○ 무 가격 하락세 지속으로 6월에는 평년 수준 전망
- 5월 무 도매가격은 월동무 저장 출하량이 감소하나 봄무 출하량이 증가 하여 상품 18kg당 1만원(중품 8,000원)으로 4월보다 하락할 것으로 전 망됨.
· 이는 작년 동월보다 38% 낮으나 평년보다 27% 높은 수준
- 노지 봄무 주출하기인 6월 무 도매가격은 평년 수준으로 하락한 상품 18kg당 9,000원이 될 것으로 전망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