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일대의 식물상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일대의 식물상"

Copied!
8
0
0

Teks penuh

(1)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일대의 식물상

오현경1

*

·한윤희1·이지희2·소민석2

1한반도생태연구소, 2국립공원관리공단 변산반도국립공원사무소

The Flora of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Hyun-Kyung Oh

1

*, Yun-Hee Han

1

, Ji-Hee Lee

2

and Min-Seok Soh

2

1Korean Peninsula Institute of Ecology, Jeonju 561-851, Korea

2Byeonsanbando National Park Office, KNPS, Buan 579-852, Korea

요 약 :변산반도국립공원하섬일대의식물상은 83과 176속 192종 2아종 36변종 5품종으로 총 235분류군이확인 되었다. 이중 목본식물은 87분류군(37.0%), 초본식물은 148분류군(63.0%)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희귀식물(IUCN)은 옥녀꽃대(자료부족종), 버들금불초(취약종), 모새달(약관심종) 등 3분류군이확인되었다. 식물구계학적특정식물은 III 등급에멀구슬나무, 왕쥐똥나무, 방울비짜루등 3분류군, I등급에는 실고사리, 홀아비꽃대, 옥녀꽃대, 폭나무, 개구리 발톱, 예덕나무, 대극, 상산, 백선, 사철나무, 줄사철나무, 말오줌때, 장구밤나무, 사스레피나무, 보리밥나무, 송악, 갯 까치수염, 갯메꽃, 반디지치, 개질경이, 해국, 모새달, 천문동, 진황정등 24분류군으로 총 27분류군(전체 235분류군

의관속식물중 11.5%에해당)이확인되었다. 귀화식물은소리쟁이, 창명아주, 다닥냉이, 뚱딴지, 개망초, 망초, 큰망

초, 붉은서나물, 미국가막사리, 만수국아재비, 방가지똥, 큰방가지똥, 오리새 등 5과 11속 13분류군이확인되었으며,

귀화율은전체 235분류군의관속식물중 5.5%로분석되었다.

주요어 :하섬, 귀화식물, 희귀식물, 특정식물

Abstract :The flora of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were listed 235 taxa; 83 families, 176 genera, 192 species, 2 subspecies, 36 varieties and 5 forms. Divided into 235 taxa; woody plants were 87 taxa (37.0%) and herbaceous plants were 148 taxa (63.0%). Based on the list of rare plants (IUCN) by the Korea Forest Service and Korea National Arboretum 3 taxa were recorded; Chloranthus fortunei (A. Gray) Solms (Data Deficient), 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ura (Vulnerable), and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Least Concerned). Based on the list of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were total 27 taxa (11.5% of all 235 taxa of flora); 3 taxa (Melia azedarach L., Ligustrum ovalifolium Hassk., and Asparagus oligoclonos Maxim.) in class III, 24 taxa (Lygodium japonicum (Thunb.) Sw.,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Euphorbia pekinensis Rupr., Dictamnus dasycarpus Turcz.,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Rehder,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Eurya japonica Thunb., Lysimachia mauritiana Lam., Lithospermum zollingeri A. DC., and Polygonatum falcatum A. Gray, etc.) in class I. The naturalized plants recorded from Haseom Island belong to 5 families, 11 genera and 13 species (Rumex crispus L., Atriplex hastata L., Lepidium apetalum Willd., Tagates minuta L., and Dactylis glomerata L., etc.). The rate of naturalization was recorded as 5.5% for 235 taxa of the flora.

Key words :Haseom Island, Naturalized plants, Rare plants, Specific plants

서 론

하섬은 전라북도 부안군 변산면 마포리 757번지로 전체 면적은 113,442 m2이며, 원불교 성지가 있는 사유지로 일부 신도들이 정착하고있는유일한유인도서이다. 원불교성지

를 제외한 나머지 섬지역은 변산반도국립공원 경계에 포함 되며, 5개 지구인 변산지구, 격포지구, 외변산지구, 내변산 지구, 내소사지구 중 격포지구에 해당된다. 하섬은 고사포 해안까지 1 km 내외에 있는 작은섬으로 간조시에는 건너갈 수 있으나, 원불교 성지가 있어 일반인의 출입은 통제되고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있다.

하섬이속해있는변산반도국립공원은총면적이약 154 km2 로 행정구역상 전라북도 부안군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쪽의 상서면, 서쪽의 변산면, 남쪽의 진서면과 보안면, 북쪽의 하 서면이 포함되는 1도 1군 5면의 행정구역에 있는 지역으로

1971년 도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가 1988년 6월 11일에 국

립공원으로승격되었다(국립공원관리공단 1999).

변산반도의 산세는 주봉인 의상봉(508.6 m)을 중심으로 쌍선봉(459.1 m), 세봉(433 m), 옥녀봉(432.7 m) 및 삼예봉

(354.6 m)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변산반도의 수계는

원래 운산천과 직소천이 상서면의 청림리에서 변산면의 대 항리까지 흐르는 백천내를 통과하여 서해바다로 흐르고 있 었으나, 대부분은 부안호로 유입된다(선과 백 2001).

변산반도는식생학적으로 온대형이고 남해안아구와 친화 성이높으며, 제주도아구나울릉도아구와도공통점이많다(이 와 임 1978). 이는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호랑가시나무군락(제122호), 후박나무군락(제123호), 꽝꽝나 무군락(제124호)으로 확인할 수 있다.

하섬 일대의 식물상 및 식생에 대한 기존연구는 확인할 수 없었으나, 변산반도 일대의 기존 식물상 연구로는 곽 등(1991)이 국립공원 일대의 식물상으로 119과 411속 698 분류군, 선 등(1995)이 125과 444속 844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다. 또한 오(1999)는 제1차 자연자원조사에서 118과

721분류군, 선과 백(2001)은 의상봉과 인근 산지의 식물상

으로 111과 352속 609분류군, 오 등(2004)이 회양계곡 일 대에서 100과 254속 395분류군을 보고한 바 있다. 최근에 는 오 등(2009)이 국립공원 내 귀화식물로 24과 65속 88분

류군, 오와 변(2009)이 작은당 일대의 식물상으로 50과 88

속 105분류군, 또한 양(2009)이 제2차 자연자원조사에서 123과 791분류군, 오 등(2010)이 닭이봉, 봉화봉 일대의 식 물상으로 80과 192속 288분류군, 오 등(2011)이 자원모니터 링 고정조사구내의 식물상으로 73과 164속 248분류군을 조 사하여보고한바 있다.본 연구는변산반도국립공원경계에 속해있는 하섬일대의 식물상을 조사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향후 기후에 따른 변화상을 파악하고 변산반 도국립공원내의 식물자원보전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을 하 고자 수행한 것이다.

연구범위 및 방법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일대의 식물상은 2011년 3월 20 일, 4월 18일, 5월 17일, 7월 26일, 8월 11일~12일까지 총

5차례 6일 동안 실시하였으며, 하섬 전역을 대상으로 현지

조사를 수행하였다(Figure 1).

식물에 대한 배열순서와 학명의 기재는 Engler 분류체계

(Melchior 1964) 및국립수목원과한국식물분류학회(2007)의

국가표준식물목록에 따라 정리하였다. 가능한 현지에서 동 정을 하되, 동정이 불가능한 식물들은 채집하여 이(1996a) 와 이(2003) 및 이(2006)의 문헌을 바탕으로 동정하였다. 본

대상지에서 확인된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은 산 림청과 국립수목원(2008)의 목록에 따라 구분하였다. 또한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제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지침에 따라정리(김 2000)하였으며, 귀화식물은박(2009)이 제시한 목록을 기준하였다. 귀화율(Naturalization rate)은 본 대상지 에서 출현하는 관속식물 총 종수에 대한 귀화식물 총 종수 의 비율로 산정(Numata 1975)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식물상

변산반도국립공원하섬일대의 식물상은 83과 176속 192 종 2아종 36변종 5품종으로 총 235분류군(taxa)이 확인되었 다(Appendix 1). 식물상 중 목본식물(Woody plants)은 87분 류군(37.0%), 초본식물(Herbaceous plants)은 148분류군(63.0%) 으로 구분되었다. 또한 양치식물(Pteridophyta)은 3과 3속 3 분류군(1.3%), 나자식물(Gymnospermae)은 5과 9속 13분류 군(5.5%), 피자식물(Angiospermae)은 75과 164속 219분류군 (93.2%)이다. 이중 단자엽식물(Monocotyledoneae)은 11과 31속 42분류군(19.2%), 쌍자엽식물(Dicotyledoneae)은 64과 133속 177분류군(80.8%)으로 분류되었다(Table 1).

본 대상지에서는 환경부의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야생식 물과 국내에서만분포하고 있는 고유종인 특산식물은확인 하지못하였다.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일대의 층위별 식생현황을 살펴보 면, 우선 교목층에는 곰솔군락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었으 며, 아교목층에는 팽나무, 고로쇠나무, 음나무, 졸참나무, 팥 배나무, 자귀나무 등이 중층을 형성하였다. 관목층에는 소 사나무가 군락을이루고있는가운데사스레피나무, 예덕나 무, 검노린재, 장구밤나무, 상산, 산검양옻나무, 두릅나무, 보리밥나무, 때죽나무, 찔레꽃 등이 하층으로 구분되었다. 지피층에는 마삭줄, 송악, 맥문동, 실고사리, 우산나물, 큰애 Figure 1. The mapping of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Mapo-ri, Byeonsan-myeon, Buan-gun, Jeollabuk-do, Korea (http://local.daum.net).

(3)

기나리, 계요등, 참나리, 파리풀, 산박하, 노박덩굴, 인동 등 이 확인되었다.

또한 원불교 성지 주변에는 왕대, 이대, 편백, 화백, 삼나 무 등이 방풍림 목적으로 과거에 심어져 있었으며, 이 밖 에도정원수인 배롱나무, 동백나무, 돈나무, 측백나무, 살구 나무, 모란, 구골나무, 산수유, 주목 등이 다양하게 식재되 어 있었다.

본 대상지가 속해있는 변산반도 일대는 남해안아구와 친 화성이 높으며, 제주도아구 및 울릉도아구와도 식생학적으 로 유사하다고 보고(이와 임 1978)된 바 있다. 이와 같이 본 대상지에는 상록활엽수나 남부인자인 식물이 자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이에 해당되는 식물로는 사철나무, 계요등, 송악, 사스레피나무, 까마귀머루, 예덕나무, 마삭줄, 보리밥 나무, 산검양옻나무, 진황정, 말오줌때, 왕쥐똥나무, 상산 등 이 해당된다.

2. 희귀식물

IUCN 평가기준에따른한국의희귀식물은야생멸종(Extinct

in the Wild) 4분류군, 멸종위기종(Critical Endangered) 144 분류군, 위기종(Endangered) 122분류군, 취약종(Vulnerable)

119분류군, 약관심종(Least Concerned) 70분류군, 자료부족

종(Data Deficient) 112분류군 등 6개 범주와 총 571분류군

으로 구분된다. 이중 양치식물은 70분류군(12.3%), 나자식물 은 11분류군(1.9%), 피자식물은 490분류군(85.8%) 중 쌍자 엽식물은 360분류군(63.0%), 단자엽식물은 130분류군(22.8%) 으로 구분된다(산림청과 국립수목원 2008).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일대의 IUCN 평가기준에 따른 희귀식물은옥녀꽃대(자료부족종), 버들금불초(취약종), 모새 달(약관심종) 등 3분류군이 확인되었다(Table 2).

옥녀꽃대(Figure 2)는 홀아비꽃대과 식물로 우리나라 제 주도 및 남부지방의 숲속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식물은 IUCN 평가항목 중 자료부족종에 해당되는데, 이는 홀아비꽃대(Chloranthus japonicus Siebold)와 유사한 종으로

학자간의 분류학적소견을거쳐기재된종(이 1996b)이지만

향후 정확한분류학적 재검토 및 추가 자생지확인이 필요 하다. 본 대상지에서는 여러 개체가 연속적으로 확인되었으 며, 일반인의 출입이 통제되고 있기 때문에 인위적인 훼손 우려는 없을 것으로 보인다.

버들금불초(Figure 3)는 국화과 식물로 우리나라 산과 들의 습기 있는 곳에서 자라는 여러해살이풀이다. 이 식물

은 IUCN 평가항목 중 취약종에 해당되는데, 우리나라 전

역에 분포하지만 개체수가 현저하게 적기 때문에 향후 추 가 자생지 확인 및 종자 채취 등 유전자원의 현지내외 보 전이 필요하다. 이 식물은 하섬 해안 바위틈에서 여러 개 Table 1. Taxonomic numbers of flora distributed in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Class of tracheophyta Family Genus Species Subsp. Variety Forma Total

Pteridophyta 3 3 2 - 1 - 3

Gymnospermae 5 9 10 - 3 - 13

Angiospermae Monocotyledoneae 11 31 36 - 6 - 42

Dicotyledoneae 64 133 144 2 26 5 177

Total 75 164 180 2 32 5 219

Taxa 83 176 192 2 36 5 235

Figure 2. Chloranthus fortunei (A. Gray) Solms.

Figure 3. 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ura. Figure 4.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Table 2. The list of rare plants in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Family name Rare plants Criteria*

Chloranthaceae Chloranthus fortunei (A. Gray) Solms 옥녀꽃대 Data Deficient

Compositae Inula salicina var. asiatica Kitamura 버들금불초 Vulnerable

Gramineae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모새달 Least Concerned

*Data Deficient (DD) 자료부족종, Vulnerable (VU) 취약종, Least Concerned (LC) 약관심종

(4)

체가확인되었으며, 인위적인 간섭으로인한훼손우려는없 어보인다.

모새달(Figure 4)은 벼과 식물로 우리나라 해안가나 기 수역에 자라는 여러해살이풀로, IUCN 평가항목 중 약관심 종에 해당된다. 아직까지는 우리나라 전역에 자생지나 개체 수가 많은 편이며, 본 대상지에서는 해안 바위틈에서 여러 개체가확인되었다.

3.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

특정식물은 우리나라 4,200여종의 관속식물 중 1,071분류 군을 5개의 등급으로 구분하였으며, 이중 V등급 식물군은 고립 혹은 불연속적으로 분포하는 분류군, IV등급 식물군은 4개의 아구 중 1개의 아구에만 분포하는 분류군, III등급 식물군은 4개의아구 중 2개의 아구에분포하는 분류군, II 등급 식물군은 일반적으로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비교적

1,000 m이상 되는 지역에 분포하는 분류군, I등급 식물군은

4개의 아구 중 3개의 아구에 걸쳐 분포하는 분류군으로 구 분하였다(Kim 2000).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일대의 식물구계학적 특정식물은 III등급에 멀구슬나무, 왕쥐똥나무, 방울비짜루 등 3분류군,

I등급에는 실고사리, 홀아비꽃대, 옥녀꽃대, 폭나무, 개구리 발톱, 예덕나무, 대극, 상산, 백선, 사철나무, 줄사철나무, 말 오줌때, 장구밤나무, 사스레피나무, 보리밥나무, 송악, 갯까 치수염, 갯메꽃, 반디지치, 개질경이, 해국, 모새달, 천문동, 진황정 등 24분류군으로 총 27분류군(전체 235분류군의 관 속식물 중 11.5%에 해당)이 확인되었다(Table 3).

4. 귀화식물

귀화식물의 목록은 박(2009)의 기준으로 작성하였으며, 귀 화도, 이입시기, 생활형 및 원산지 등은 박 등(2002)의 문 헌을 인용하였다. 이중 귀화도 등급은 5단계로 구분하여 귀 화도 5는 우리나라 전 지역에 이미 토착화된 식물로 널리 분포하고 개체수도 많은 종, 귀화도 4는 국지적으로 분포하 나 개체수가 많은 종, 귀화도 3은 널리 분포하나 개체수가 많지 않은 종, 귀화도 2는 어느 지역에 제한적으로 분포하 고 개체수도 적은 종, 귀화도 1은 분포지역이나 개체수가 희귀한 종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입시기를 3단계로 구분 하여 1기에는 개항이후부터 1921년까지, 2기는 1922년부터

1963년까지, 3기는 1964년 이후 현재까지를 기준으로 하였

고, 생활형과 원산지 또한 박 등(2002)에 근거하여 작성하

Table 3. The list of specific plants by floral region in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Family name Specific plants Degree*

I II III IV V

Schizaeaceae Lygodium japonicum (Thunb.) Sw. 실고사리

Chloranthaceae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 홀아비꽃대

Chloranthus fortunei (A. Gray) Solms 옥녀꽃대

Ulmaceae Celtis biondii Pamp. 폭나무

Ranunculaceae Semiaquilegia adoxoides (DC.) Makino 개구리발톱

Euphorbiaceae Mallotus japonicus (Thunb.) Muell. Arg. 예덕나무

Euphorbia pekinensis Rupr. 대극

Rutaceae Orixa japonica Thunb. 상산

Dictamnus dasycarpus Turcz. 백선

Meliaceae Melia azedarach L. 멀구슬나무

Celastraceae Euonymus japonica Thunb. 사철나무

Euonymus fortunei var. radicans Rehder 줄사철나무

Staphyleaceae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 말오줌때

Tiliaceae Grewia parviflora Bunge 장구밤나무

Theaceae Eurya japonica Thunb. 사스레피나무

Elaeagnaceae Elaeagnus macrophylla Thunb. 보리밥나무

Araliaceae Hedera rhombea (Miq.) Bean 송악

Primulaceae Lysimachia mauritiana Lam. 갯까치수염

Oleaceae Ligustrum ovalifolium Hassk. 왕쥐똥나무

Convolvulaceae Calystegia soldanella (L.) Roem. & Schultb. 갯메꽃

Borraginaceae Lithospermum zollingeri A. DC. 반디지치

Plantaginaceae Plantago camtschatica Cham. ex Link 개질경이

Compositae Aster spathulifolius Maxim. 해국

Gramineae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 모새달

Liliaceae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 천문동

Asparagus oligoclonos Maxim. 방울비짜루

Polygonatum falcatum A. Gray 진황정

*V = Taxa distributed isolating or discontinuous, IV = Taxa distributed only one subregion, III = Taxa distributed two subregions, II = Taxa distributed generally 1,000 m or more, a whole subregion, I = Taxa distributed at least three subregions

(5)

였다.

변산반도국립공원 하섬 일대의 귀화식물은 소리쟁이, 창 명아주, 다닥냉이, 뚱딴지, 개망초, 망초, 큰망초, 붉은서나 물, 미국가막사리, 만수국아재비, 방가지똥, 큰방가지똥, 오 리새 등 5과 11속 13분류군이 확인되었으며(Table 4), 귀화 율은 전체 235분류군의 관속식물 중 5.5%로 분석되었다.

사 사

본 논문은 2011년도 “변산반도국립공원유인도서 모니터

링”에의해수행된결과의일부이며, 이에감사드립니다.

참고문헌

곽승훈, 점헌용, 김창환, 길봉섭. 1991. 변산반도국립공원의식생.

한국생태학회지 14(2): 181-194.

국립공원관리공단. 1999. 변산반도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수목원, 한국식물분류학회. 2007. 국가표준식물목록.

김철환. 2000. 자연환경평가-I. 식물군의선정-. 한국환경생물학회

지 18(1): 163-198.

박수현, 신준환, 이유미, 임종환, 문정숙. 2002. 우리나라귀화식물

의분포. 임업연구원·국립수목원. 박수현. 2009. 한국의귀화식물. 일조각. 서울. 산림청, 국립수목원. 2008. 한국희귀식물목록집.

선병윤, 김철환, 서정수. 1995. 변산반도국립공원일대의식물상.

한국자연보존협회종합학술조사보고서 34: 19-23.

선병윤, 백태규. 2001. 의상봉(전북부안)과인근산지의식물상.

제2차전국자연환경조사-제5차년도-. 환경부.

양효식.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

단·국립공원연구원.

오장근. 1999. 변산반도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국립공원관리공단.

오현경, 변무섭, 김영하, 박준모. 2004. 내변산회양계곡유역의관

속식물상. 한국산림휴양학회지 8(3): 41-52.

오현경, 변무섭.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작은당일대의식물상및

군락분석.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77-186.

오현경, 임동옥, 김용식. 2009. 변산반도국립공원의귀화식물분포

특성및관리대책.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3(2): 105-115.

오현경, 한윤희, 소민석, 이지희. 2010. 부안닭이봉, 봉화봉일대의 관속식물상유형별분류. 국립공원연구지 1(4): 267-276.

오현경, 한윤희, 이지희, 소민석. 2011. 변산반도국립공원고정조

사구내의관속식물상연구. 국립공원연구지 2(1): 6-18.

이영노. 2006. 새로운한국식물도감. 교학사. 서울.

이우철, 임양재. 1978. 한반도관속식물의분포에관한연구. 한국

식물분류학회지(부록) 8: 1-33.

이우철. 1996a. 원색한국기준식물도감.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우철. 1996b. 한국식물명고. 아카데미서적. 서울.

이창복. 2003. 원색대한식물도감. 향문사. 서울.

沼田眞. 1975. 歸化植物, 環境科學ライブラリ-13. 大日本圖書. 東京.

http://local.daum.net (다음지도).

Melchior H. 1964. A Engler’s syllabus der Pflanzenfamilien Band II.

Gebruder Bornteaeger. Berlin.

(2011년 8월 23일 접수; 2011년 11월 1일 채택) Table 4. The list of naturalized plants in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Family name Naturalized plants Remark*

I II III IV

Polygonaceae Rumex crispus L. 소리쟁이 5 1 P E

Chenopodiaceae Atriplex hastata L. 창명아주 2 3 A E

Cruciferae Lepidium apetalum Willd. 다닥냉이 3 1 B E

Compositae Helianthus tuberosus L. 뚱딴지 3 1 P NA

Erigeron annuus (L.) Pers. 개망초 5 1 B NA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 망초 5 1 B NA

Conyza sumatrensis E. Walker 큰망초 4 2 B SA

Erechtites hieracifolia Raf. 붉은서나물 3 3 A NA

Bidens frondosa L. 미국가막사리 5 3 A NA

Tagetes minuta L. 만수국아재비 4 3 A SA

Sonchus oleraceus L. 방가지똥 3 1 A E

Sonchus asper (L.) Hill. 큰방가지똥 5 1 A E

Gramineae Dactylis glomerata L. 오리새 5 1 P Eu

*I: Degree of naturalization, II: Introduction period, III: Type of growth, IV: The place of origin

(A: Annuals, B: Biennials, P: Perennials, E: Europe, Eu: Eurasia, NA: North America, SA: South America)

(6)

Appendix 1. The list of vascular plants in Haseom Island, Byeonsanbando National Park.

Vascular plants Vascular plants

1. 고비과 Osmundaceae 쇠무릎 Achyranthes japonica (Miq.) Nakai

고비 Osmunda japonica Thunb. 20. 석죽과 Caryophyllaceae

2. 실고사리과 Schizaeaceae 쇠별꽃 Stellaria aquatica (L.) Scop.

실고사리 Lygodiumj aponicum (Thunb.) Sw.② 21. 미나리아재비과 Ranunculaceae

3. 고사리과 Pteridaceae 참으아리 Clematis terniflora DC.

고사리 Pteridium aquilinum var .latiusculum Underw. 노루귀 Hepatica asiatica Nakai

4. 은행나무과 Ginkgoaceae 개구리발톱 Semiaquilegia adoxoides Makino②

은행나무 Ginkgo biloba L.④ 작약 Paeonia lactiflora Pall.④

5. 주목과 Taxaceae 모란 Paeonia suffruticosa Andr.④

주목 Taxus cuspidata S. et Z.④ 22. 으름덩굴과 Lardizabalaceae

6. 소나무과 Pinaceae 으름덩굴 Akebia quinata Decne.

전나무 Abies holophylla Maxim.④ 23. 방기과 Menispermaceae 개잎갈나무 Cedrus deodara (Roxb.) Loudon④ 댕댕이덩굴 Cocculus triobus DC.

소나무 Pinus densiflora S. et Z. 24. 목련과 Magnoliaceae

곰솔 Pinus thunbergii Parl. 백합나무 Liriodendron tulipifera L.④

7. 낙우송과 Taxodiaceae 25. 현호색과 Fumariaceae

삼나무 Cryptomeria japonica (L. fil.) D. Don④ 현호색 Corydalis remota Fisch. ex Maxim.

8. 측백나무과 Cupressaceae 26. 십자화과 Cruciferae

측백나무 Thuja orientalis L.④ 다닥냉이 Lepidium apetalum Willd.③ 편백 Chamaecyparis obtusa (S. et Z.) Endl.④ 냉이 Capsella bursapastoris (L.) Medicus 화백 Chamaecyparis pisifera (S. et Z.) Endl.④ 27. 돌나물과 Crassulaceae

서리화백 Chamaecyparis pisifera var. squarrosa④ 땅채송화 Sedum oryzifolium Makino 둥근향나무 Juniperus chinensis var. globosa④ 말똥비름 Sedum bulbiferum Makino 가이쓰카향 Juniperus chinensis var. kaizuka Hort.④ 28. 범의귀과 Saxifragaceae

9. 홀아비꽃대과 Chloranthaceae 빈도리 Deutzia crnata S. et Z.④

홀아비꽃대 Chloranthus japonicus Siebold② 수국 Hydrangea macrophylla (Thunb.) Ser.④ 옥녀꽃대 Chloranthus fortunei (A. Gray) Solms①② 29. 돈나무과 Pittosporaceae

10. 가래나무과 Juglandaceae 돈나무 Pittosporum tobira (Thunb.) W.T. Aiton④ 굴피나무 Platycarya strobilacea S. et Z. for. strobilacea 30. 장미과 Rosaceae

11. 자작나무과 Betulaceae 국수나무 Stephanandra incisa Zabel var. incisa

소사나무 Carpinus turczaninowii Hance 멍석딸기 Rubus parvifolius L. for. parvifolius

12. 참나무과 Fagaceae 오이풀 Sanguisorba officinalis L.

상수리나무 Quercus acutissima Carruth. 찔레꽃 Rosa multiflora Thunb. var. multiflora

졸참나무 Quercus serrata Thunb. ex Murray 돌가시나무 Rosa wichuraiana Crep. ex Franch. & Sav.

13. 느릅나무과 Ulmaceae 살구나무 Prunus armeniaca var. ansu Maxim.④

폭나무 Celtis biondii Pamp.② 복사나무 Prunus persica (L.) Batsch for. persica

팽나무 Celtis sinensis Pers. 왕벚나무 Prunus yedoensis Matsumura④

14. 뽕나무과 Moraceae 산벚나무 Prunus sargentii Rehder

꾸지뽕나무 Cudrania tricuspidata Bureau ex Lavallee 개벚나무 Prunus verecunda Koehne var. verecunda 꾸지나무 Broussonetia papyrifera L'Her. ex Vent. 팥배나무 Sorbus alnifolia (S. et Z.) K. Koch.

15. 삼과 Cannabinaceae 31. 콩과 Leguminosae

환삼덩굴 Humulus japonicus S. et Z. 자귀나무 Albizia julibrissin Durazz.

16. 쐐기풀과 Urticaceae 차풀 Cassia mimosoides var. nomame H. Ohashi

거북꼬리 Boehmeria tricuspis (Hance) Makino 고삼 Sophora flavescens Solander ex Aiton

모시풀 Boehmeria nivea (L.) Gaudich.④ 다릅나무 Maackia amurensis Rup. & Max. var. amurensis

17. 마디풀과 Polygonaceae 조록싸리 Lespedeza maximowiczii C.K. Schneid.

소리쟁이 Rumex crispus L.③ 괭이싸리 Lespedeza pilosa (Thunb.) S. et Z.

명아자여뀌 Persicaria nodosa (Pers.) Opiz 매듭풀 Kummerowia striata (Thunb.) Schindl.

봄여뀌 Persicaria vulgaris Webb & Moq. 칡 Pueraria lobata (Willd.) Ohwi

메밀 Fagopyrum esculentum Moench 새콩 Amphicarpaea bracteata ssp. edgeworthii H. Ohashi

18. 명아주과 Chenopodiaceae 32.괭이밥과 Oxalidaceae

명아주 Chenopodium album var. centrorubrum Makino 괭이밥 Oxalis corniculata L.

창명아주 Atriplex hastata L.③ 33. 대극과 Euphorbiaceae

19. 비름과 Amaranthaceae 예덕나무 Mallotus japonicus Muell. Arg.②

(7)

Appendix 1. Continued.

Vascular plants Vascular plants

광대싸리 Securinega suffruticosa (Pall.) Rehder 50. 부처꽃과 Lythraceae

깨풀 Acalypha australis L. 배롱나무 Lagerstroemia indica L.④

땅빈대 Euphorbia humifusa Willd. ex Schltdl. 51.두릅나무과 Araliaceae

대극 Euphorbia pekinensis Rupr.② 송악 Hedera rhombea (Miq.) Bean②

34. 회양목과 Buxaceae 음나무 Kalopanax septemlobus (Thunb.) Koidz.

회양목 Buxus microphylla var. koreana Nakai ex Chung④ 두릅나무 Aralia elata (Miq.) Seemann

35. 운향과 Rutaceae 52. 산형과 Umbelliferae

산초나무 Zanthoxylum schinifolium S. et Z. 바디나물 Angelica decursiva (Miq.) Fr. et Sav.

상산 Orixa japonica Thunb.② 53. 층층나무과 Cornaceae

백선Dictamnus dasycarpus Turcz.② 금식나무 Aucuba japonica for. variegata Rehder④ 36. 소태나무과 Simaroubaceae 산수유 Cornus officinalis Siebold & Zucc.④ 소태나무 Picrasma quassioides (D. Don) Benn. 54. 진달래과 Ericaceae

가죽나무 Ailanthus altissima Swingle for. altissima 왜철쭉 Rhododendron spp.④ 37. 멀구슬나무과 Meliaceae 55. 앵초과 Primulaceae

멀구슬나무 Melia azedarach L.② 큰까치수염 Lysimachia clethroides Duby

38. 노박덩굴과 Celastraceae 갯까치수염 Lysimachia mauritiana Lam.②

사철나무 Euonymus japonica Thunb.② 56. 감나무과 Ebenaceae

줄사철나무 Euonymu sfortunei var. radicans Rehder② 고욤나무 Diospyros lotus L.

참빗살나무 Euonymus hamiltonianus var. hamiltonianus 감나무 Diospyros kaki Thunb.④

노박덩굴 Celastrus orbiculatus Thunb. 57. 노린재나무과 Symplocaceae

39. 고추나무과 Staphyleaceae 검노린재 Symplocos tanakana Nakai

말오줌때 Euscaphis japonica (Thunb.) Kanitz② 58. 때죽나무과 Styracaceae

40. 옻나무과 Anacardiaceae 때죽나무 Styrax japonica S. et Z.

붉나무 Rhus javanica L. 59. 물푸레나무과 Oleaceae

산검양옻나무 Rhus sylvestris Siebold & Zucc. 왕쥐똥나무 Ligustrum ovalifolium Hassk.②

41. 단풍나무과 Aceraceae 구골나무 Osmanthus heterophylla P.S. Green④

고로쇠나무 Acer pictum subsp. mono Ohashi 60. 협죽도과 Apocynaceae

단풍나무 Acer palmatum Thunb.④ 마삭줄 Trachelospermum asiaticum Nakai var. asiaticum

42. 포도과 Vitaceae 백화등 Trachelospermum asiaticum var. majus Ohwi

머루 Vitis coignetiae Pulliat ex Planch. 61. 박주가리과 Asclepiadaceae

까마귀머루 Vitis thunbergii var. sinuata H. Hara 박주가리 Metaplexis japonica (Thunb.) Makino

새머루 Vitis flexuosa Thunb. 62. 메꽃과 Convolvulaceae

개머루 Ampelopsis brevipedunculata Trautv. 갯메꽃 Calystegia soldanella Roem. & Schultb.② 담쟁이덩굴 Parthenocissus tricuspidata Planch. 메꽃 Calystegia sepium var. japonicum Makino

43. 피나무과 Tiliaceae 고구마 Ipomoea batatas Lam.④

장구밤나무 Grewia parviflora Bunge② 63. 가지과 Solanaceae

44. 벽오동과 Sterculiaceae 구기자나무 Lycium chinense Mill.④

벽오동 Firmiana simplex (L.) W.F. Wight④ 가지 Solanum melongena L.④ 수까치깨 Corchoropsis tomentosa Makino 배풍등 Solanum lyratum Thunb.

45. 차나무과 Theaceae 까마중 Solanum nigrum L. var. nigrum

동백나무 Camellia japonica L.④ 64. 파리풀과 Phrymaceae

사스레피나무 Eurya japonica Thunb.② 파리풀 Phryma leptostachya var. asiatica Hara 46. 물레나물과 Hypericaceae 65. 지치과 Borraginaceae

고추나물 Hypericum erectum Thunb. 반디지치 Lithospermum zollingeri A. DC.②

47. 제비꽃과 Violaceae 꽃마리 Trigonotis peduncularis Benth. ex Hemsl.

둥근털제비꽃 Viola collina Besser 66. 꿀풀과 Labiatae

제비꽃 Viola mandshurica W. Becker 익모초 Leonurus japonicus Houtt.

왜제비꽃 Viola japonica Langsd. ex Ging. 송장풀 Leonurus macranthus Maxim.

콩제비꽃 Viola verecunda A. Gray var. verecunda 들깨풀 Mosla punctulata (Gmel.) Nakai

48. 박과 Cucurbitaceae 층층이꽃 Clinopodium chinense var. parviflorum Hara

하늘타리 Trichosantheskirilowii Maxim. 들깨 Perilla frutescens var. japonica Hara④ 호박 Cucurbita moschata Duchesne④ 산박하 Isodon inflexus (Thunb.) Kudo

49. 보리수나무과 Elaeagnaceae 67. 쥐꼬리망초과 Acanthaceae

보리밥나무 Elaeagnus macrophylla Thunb.② 쥐꼬리망초 Justicia procumbens L.

(8)

Appendix 1. Continued.

Vascular plants Vascular plants

68. 질경이과 Plantaginaceae 조릿대 Sasa borealis (Hack.) Makino

질경이 Plantago asiatica L. 이대 Pseudosasa japonica (S. et Z.) Makino④

개질경이 Plantago camtschatica Cham. ex Link② 산조풀 Calamagrostis epigeios (L.) Roth

69. 꼭두선이과 Rubiaceae 속털개밀 Agropyron ciliare (Trin.) Fr.

계요등 Paederia scandens Merr. var. scandens 오리새 Dactylis glomerata L.③

갈퀴꼭두서니 Rubia cordifolia var. pratensis Maxim. 강아지풀 Setaria viridis (L.) P. Beauv. var. viridis

70. 인동과 Caprifoliaceae 갯강아지풀 Setaria viridis var. pachystachys Mak. & Nem.

인동덩굴 Lonicera japonica Thunb. 가을강아지풀 Setaria faberii Herrm.

71. 초롱꽃과 Campanulaceae 나도개피 Eriochloa villosa (Thunb.) Kunth

층층잔대 Adenophora verticillata Fisch. 주름조개풀 Oplismenus undulatifolius Roem. et Schult.

도라지 Platycodon grandiflorum (Jacq.) A. DC.④ 돌피 Echinochloa crusgalli (L.) P. Beauv. var. crusgalli

72. 국화과 Compositae 억새 Miscanthus sinensis var. purpurascens Rendle

풀솜나물 Gnaphalium japonicum Thunb. 모새달 Phacelurus latifolius (Steud.) Ohwi①② 버들금불초 Inula salicina var.asiatica Kitamura① 74. 사초과 Cyperaceae

금불초 Inula britannica var. japonica Franch. & Sav. 그늘사초 Carex lanceolata Boott 뚱딴지 Helianthus tuberosus L.③ 참방동사니 Cyperus iria L.

긴담배풀 Carpesium divaricatum S. et Z. 75. 천남성과 Araceae

등골나물 Eupatorium japonicum Thunb. 토란 Colocasia esculenta (L.) Schott④ 향등골나물 Eupatorium tripartitum Murata & H. Koyama 76. 닭의장풀과 Commelinaceae 벌등골나물 E. makinoi var. oppisitifolium Kawa. & Yahara 닭의장풀 Commelina communis L.

참취 Aster scaber Thunb. 77. 골풀과 Juncaceae

개쑥부쟁이 Aster meyendorfii (Regel & Maack) Voss 길골풀 Juncus tenuis Willd.

해국 Aster spathulifolius Maxim.② 78. 백합과 Liliaceae

개망초 Erigeron annuus (L.) Pers.③ 원추리 Hemerocallis fulva (L.) L.

망초 Conyza canadensis (L.) Cronquist③ 털중나리 Lilium amabile Palibin

큰망초 Conyza sumatrensis E. Walker③ 참나리 Lilium lancifolium Thunb.

머위 Petasites japonicus (S. et Z.) Maxim.④ 산자고 Tulipa edulis (Miq.) Baker 붉은서나물 Erechtites hieracifolia Raf.③ 무릇 Scilla scilloides (Lind.) Druce

우산나물 Syneilesis palmata (Thunb.) Maxim. 천문동 Asparagus cochinchinensis (Lour.) Merr.② 중대가리풀 Centipeda minima (L.) A. Br. & Asch. 방울비짜루 Asparagus oligoclonos Maxim.② 산국 Dendranthema boreale Ling ex Kitamura 비짜루 Asparagus schoberioides Kunth

감국 Dendranthema indicum (L.) Des-Moul. 둥굴레 Polygonatum odoratum var. pluriflorum Ohwi

사철쑥 Artemisia capillaris Thunb. 진황정 Polygonatum falcatum A. Gray②

제비쑥 Artemisia japonica Thunb. 애기나리 Disporum smilacinum A. Gray

뺑쑥 Artemisia feddei H. Lev. & Vaniot 큰애기나리 Disporum viridescens (Maxim.) Nakai

쑥 Artemisia princeps Pamp. 개맥문동 Liriope spicata (Thunb.) Lour.

털진득찰 Sigesbeckia pubescens (Makino) Makino 맥문동 Liriope platyphylla Wang et Tang

한련초 Eclipta prostrata (L.) L. 선밀나물 Smilax nipponica Miq.

도깨비바늘 Bidens bipinnata L. 청미래덩굴 Smilax china L.

미국가막사리 Bidens frondosa L.③ 79. 수선화과 Amarylidaceae 삽주 Atractylodes ovata (Thunb.) DC. 상사화 Lycoris squamigera Maxim.④ 엉겅퀴 Cirsium japonicum var. maackii Matsum. 80. 마과 Dioscoreaceae

만수국아재비 Tagetes minuta L.③ 마 Dioscorea batatas Decne.

왕고들빼기 Lactuca indica L. 부채마 Dioscorea nipponica Makino

산씀바귀 Lactuca raddeana Maxim. 단풍마 Dioscorea quinqueloba Thunb.

사데풀 Sonchus brachyotus A.P. DC. 81. 붓꽃과 Iridaceae

방가지똥 Sonchus oleraceus L.③ 각시붓꽃 Iris rossii Baker var. rossii

큰방가지똥 Sonchus asper (L.) Hill.③ 82. 생강과 Zingiberaceae

이고들빼기 Crepidiastrum denticulatum Pak & Kawano 양하 Zingiber mioga (Thunb.) Rosc.④

73. 벼과 Gramineae 83. 난초과 Orchidaceae

왕대 Phyllostachys bambusoides S. et Z.④ 보춘화 Cymbidium goeringii Reichb. fil.

*: Rare plants, : Specific plants, : Naturalized plants, : Planted & cultivar species

Referensi

Dokumen terkait

PA GE 20 67 IPRC 2022/BOR B- Student’s Life 02 The Effect of Online Learning Readiness on Academic Reading and Writing Self- Efficacy of Undergraduate Students in Indones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