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 도 자 료
즉 시
담당 부서
자연보전국 자연정책과
김동진 과장 / 백동섭 사무관 / 오유순 주무관
02-2110-6731 / 6738 / 6742 국립환경과학원
자연자원연구과
김명진 과장 / 노환춘 연구사
032-560-7540 / 7543 2012. 11. 5.(월) / 총 8매
전남 신안군 6개 도서‘특정도서’지정
◇ 생태․경관적 가치가 높은 ‘구도’, ‘대술개도’ 등 전남 신안군 소재 6개 도서를 특정도서로 지정
◇ 생태계 모니터링 및 주민감시원
(인근 어민 등)배치 등 보전․
관리대책 추진
□ 환경부는 무인도서 자연환경조사(국립환경과학원) 결과, 자연생태계 및 경관이 뛰어난 전남 신안 소재 구도 등 6개 도서를 특정도서로
‘12.11.5일 지정․고시했다고 밝혔다.
○ 이에 따라 환경부가 특정도서로 관리하는 무인도서는 전국적으로 총 183개로 늘어났다
※ 특정도서 : 「독도 등 도서지역의 생태계보전에 관한 특별법」제4조에 따라 자연생태계․지형․지질․자연환경이 우수한 무인도서
□ 금번 특정도서로 지정된 구도, 저도, 다라도, 대술개도, 외엽산도, 국흘섬 6개 도서는 해식애(해안절벽) 등 수려한 경관과 멸종위기 종이 서식하는 등 생태·경관적 가치가 매우 뛰어난 것으로 평가되고 있다.
※ 해식애(sea cliff): 해식절벽이라고도 함. 파도, 조류, 해류 등의 침식 으로 깎여 해안에 형성된 절벽.
○ 멸종위기야생동물인 수달, 구렁이가 서식하고 있는 구도는, 난대성 상록활엽수림인 모밀잣밤나무군락과 돈나무 등 식물의 종 다양성이 풍부한 섬이다. 아울러 대규모 타포니, 파식대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침식 미지형들이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한다.
※ 타포니(tafoni) : 바위가 풍화에 의해 벌집모양으로 만들어진 지형
[구도 “난대성 식물군락”] [구도 “해안 암벽에 발달한 타포니”]
○ 저도에는 멸종위기종인 구렁이, 검은머리물떼새가 서식하고 있으며, 파도에 의해 생성된 파식대, 해식애, 자갈 해안이 발달하여 보존가치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 파식대(shore platform) : 파랑의 침식으로 형성된 평평한 해안 침식지형
[저도 “파식대”] [저도 “검은머리물떼새”]
○ 다라도는 가마우지와 바다제비 등 해양성 조류 번식지로 규모가 큰 (30m) 해식애와 풍화동이 조화를 이뤄 아름다운 경관을 연출할 뿐만 아니라 해양생물 서식에 양호한 환경을 가지고 있는 섬이다.
[다라도 “전경”] [다라도 “가마우지 번식지”]
○ 대술개도와 외엽산도는 인접해 있는 섬으로 매와 칼새가 서로 이동․서식하고 있으며, 국흘섬과 더불어 시스택, 토르 등 지형경관이 수려한 섬으로 평가되었다.
[외엽산도 “매”] [대술개도 “칼새”]
[국흘섬 “해식애”] [국흘섬 “토르와 암석지대”]
□ 환경부는 이번에 추가 지정된 특정도서의 자연생태계 보전을 위하여 야생 동․식물 포획 또는 채취 금지, 주기적인 생태계 정밀 조사와 모니터링을 실시하고, 인근 어민 등을 명예감시원으로 위촉하여 배치할 계획이다.
○ 앞으로도, 환경부에서는 도서지역에 대한 지속적인 조사를 통해 지형․
경관이 우수하거나 멸종위기 야생 동․식물, 희귀종이 서식하는 등 생태․경관이 우수한 도서는 특정도서 지정 등 지속적으로 관 리해 나갈 계획이다.
□ 붙임: 1. 해안지형 설명자료 1부.
2. '12년도 특정도서 지정예정 도서 현황 1부. 끝.
이 보도자료와 관련하여 보다 자세한 내용이나 취재를 원하시면 환경부 자연정책과 백동섭 사무관(☎ 02-2110-6738)에게 연락주시기 바랍니다.
<파식대와 시스택>
붙임 1 해안지형 설명자료
□ 해식애(海蝕崖, sea cliff) : 육지가 파랑의 침식작용을 받아 후퇴할 때 해안에 절벽이 형성되는데, 이를 해식애라고 한다. 해식애는 암석해안에 널리 나타나며 파식에 의하여 발달․유지된다. 해식애의 기저부에 파식이 가해져서 오목한 노치(notch)가 파여 단면이 불안정
해지면, 단애면에서는 암설이 낙하하여 급사면의 사면이 유지된다.
□ 파식대(波蝕臺, shore platform) : 암석해안에서 육지의 기반암이 파식을 받아 후퇴할 때, 해식애 밑 에 형성되는 평평한 침식면을 파 식대라고 한다. 파식대는 해식애 의 기저부(맨 아래 바닥)에서 시작 되어 저조위(썰물시 해수면) 밑으 로 연장되며, 서해안처럼 조차가 큰 해안에서는 썰물 때 파식대가 전 부 노출되는 것이 보통이다.
□ 토르(tor) : '토르'란 말은 원래 잉글랜드의 Dartmoor 고원에 발달한 화강 암 암괴를 가리키는 지방어였으나, 현재는 학문적으로 정착되어 널리 쓰인다. 토르는 풍화에 약한 암석이나 절리가 많은 암석에 잘 나타나는 데, 화강암은 암석 중에서 수직, 수평 절리가 가장 잘 발달하는 암 석이다. 수직과 수평 방향의 절리들로 인해 블록모양으로 갈라진 화 강암이 오랜 시간동안 풍화가 작용을 받으면, 블록의 모서리부분이 더 많이 풍화되어 가운데는 동글동글한 돌(핵석, core stone)이 남고 주변은 풍화 물질로 완전히 둘러싸이게 된다. 모서리 부분의 풍화된 토양이 씻겨 지고 나면 둥글둥글한 핵석만 석탑처럼 쌓이게 되는데, 이것을 가리켜 토 르라고 한다.(우리말로는 호박바위라고 부르기도 한다.)
□ 타포니(tafoni) : 암석이 물리적․화학적 풍화작용을 받은 결과 암석의 표면에 형성되는 요형(凹型)의 미지형을 풍화혈이라고 하는데, 풍화혈 중 에서도 특히 암석의 측면(암벽)에 벌집처럼 집단적으로 파인 구멍들을 타포니라고 한다. 풍화혈은 해안이나
화강암 산지에서 흔히 나타나는데, 비가 내린 후 물이 괴거나 그늘이 져서 주변보다 습하기 때문에 입상붕괴가 선택적으로 촉진될 수 있는 부위에 형성된다. 또한 역암, 사암이나 석회암에서도 형성되며, 특히 건조 지역에서는 이의 발달이 인상적이다.
지정
번호 도서명 지정사유 면적(㎡) 지번
180 구도
• 파식대, 해식와, 대규모 타포니와 파식대에 형성된 다양한 형태의 미지형이 이루는 경관이 수려
• 멸종위기야생동물 수달, 구렁이 서식
• 난대성 상록활엽수림인 모밀잣밤나무군락과 돈나무, 후박나무 등 난대성식물을 비롯한 식물 종다양성이 높음
19,342
신안군 장산면 마진도리 산
91-1,2
181 저도
• 전형적인 파식대 및 해식애, 자갈 해안 등 지형경관 발달
• 멸종위기야생동물 구렁이, 검은머리물떼새 서식
• 음나무, 졸참나무, 소사나무 등이 곰솔과 혼 효림을 이루고 관속식물의 다양성이 높음
39,067 신안군 하의면 후광리 산 105
붙임 2 '12년도 특정도서 지정예정 도서 현황
<특정도서 위치도>
지정
번호 도서명 지정사유 면적(㎡) 지번
182 다라도
• 대규모 해식애, 풍화에 의해 형성된 것으로 추정되는 소규모 동굴(풍화동) 등 경관 수려
• 해양성 조류인 가마우지 집단번식, 바다 제비 서식
• 해양생물 서식에 양호한 환경으로 자연성이 높음
10,589 신안군 흑산면 태도리 산406
183 대술개도 (대성개도)
• 해식애의 규모와 전형성이 뛰어나며, 토르와 소 규모 암괴원, 섬에서 주변해역과 도서를 조 망하는 경관 우수
• 멸종위기야생동물인 매와 해양성 조류 칼새 서식
• 해양무척추동물 종다양성이 높으며 격판담치, 거북손, 검은큰따개비 서식대가 발달하는 등 생물분포대 뚜렷
3,868 신안군 흑산면 태도리 산3
184 외엽산도 (무명도)
• 시스택, 해식애, 토르 등 특이지형 분포
• 멸종위기야생동물인 매가 서식하며 번식 가능성이 큼
• 암반이 발달하는 등 다양한 해양생물 서식에 적합한 환경
7,485 신안군 흑산면 태도리 산404
185 국흘섬 (국혈도)
• 대규모 해식애, 토르, 시아치 등 경관 수려
• 칼새를 비롯한 해양성조류가 서식하며 번식 가능성 있음
• 해양무척추동물 종다양성이 높으며 격판담치, 거북손, 검은큰따개비 서식대가 발달하는 등 생물분포대 뚜렷
4,661 신안군 흑산면 태도리 산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