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CODE BOOK
자료번호 A1-2009-0060
연구책임자 최청락
연구수행기관 부산여성가족개발원 조사년도 2009 년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1 년
코드북 제작년도 2011 년
료인용표준서식에 준하여 자료의 출처를 반드시 명시하여야 합니다. 자료 출처는 자료명이 최초로 언급되는 부분이나 참고문헌 목록에 명시할 수 있습니다.
자료를 이용, 참고,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부산여성가족개발원. 2009. 「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 . 자료서비스기관: 한국사회과학자료원. 자료공개년도: 2011년. 자료번호:
A1-2009-0060 .
코드북을 인용할 경우 표준서식
한국사회과학자료원. 2011. 「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CODE BOOK 」 . pp. 5-10.
이 자료의 코드북에 대한 모든 권한은 KOSSDA에 있으며 KOSSDA의 사
전허가 없이 복제, 송신, 출판, 배포할 수 없습니다.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A1
월평균 가구수입 전체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30
최대값 370
평균 118.18
표준편차 52.377
A2_1
월평균 가구수입1: 본인수입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60
평균 67.86
표준편차 27.935
A2_2
월평균 가구수입2: 동거가구원 수입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300
평균 42.37
표준편차 58.110
A1. 귀 가구의 월평균 수입은 얼마나 됩니까?
A2. 귀 가구의 월 평균 수입은 어디서 얼마만큼 마련하였습니까?
① 본인 수입
A2. 귀 가구의 월 평균 수입은 어디서 얼마만큼 마련하였습니까?
② 동거가구원(가족) 수입
A2_3
월평균 가구수입3: 정부지원금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90
평균 5.17
표준편차 13.894
A2_4
월평균 가구수입4: 이전소득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20
평균 1.96
표준편차 9.667
A2_5
월평균 가구수입5: 기타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50
평균 0.82
표준편차 8.227
A2. 귀 가구의 월 평균 수입은 어디서 얼마만큼 마련하였습니까?
③ 정부지원금
A2. 귀 가구의 월 평균 수입은 어디서 얼마만큼 마련하였습니까?
④ 이전소득(비동거 형제, 친척 지원 등)
A2. 귀 가구의 월 평균 수입은 어디서 얼마만큼 마련하였습니까?
⑤ 기타(민간 후원금 등)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A3
월평균 생활비 전체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30
최대값 360
평균 120.81
표준편차 51.496
A4_1
월평균 생활비1: 식료품비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3
최대값 100
평균 29.03
표준편차 15.391
A4_2
월평균 생활비2: 보건의료비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10
평균 9.33
표준편차 11.033
A3. 귀 가구에서 한 달에 평균적으로 쓰는 생활비는 얼마입니까?
A4. 귀 가구에서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하십니까?
① 식료품비
A4. 귀 가구에서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하십니까?
② 보건․의료비
A4_3
월평균 생활비3: 교육비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30
평균 21.19
표준편차 24.044
A4_4
월평균 생활비4: 주거비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10
평균 13.50
표준편차 14.391
A4_5
월평균 생활비5: 교통통신비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60
평균 11.82
표준편차 7.919
A4. 귀 가구에서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하십니까?
③ 교육비
A4. 귀 가구에서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하십니까?
④ 주거비(월세, 주택자금 대출이자 등)
A4. 귀 가구에서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하십니까?
⑤ 교통․통신비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A4_6
월평균 생활비6: 세금공과금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70
평균 11.49
표준편차 7.779
A4_7
월평균 생활비7: 피복비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30
평균 5.42
표준편차 5.812
A4_8
월평균 생활비8: 기타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50
평균 19.03
표준편차 20.796
A4. 귀 가구에서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하십니까?
⑥ 세금․공과금(주민세, 전기 및 수도요금 등)
A4. 귀 가구에서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하십니까?
⑦ 피복비(의류비)
A4. 귀 가구에서 한 달 평균 생활비를 어디에 얼마만큼 지출하십니까?
⑧ 기타
A5
월평균 최소 생활비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15
최대값 800
평균 149.00
표준편차 64.210
A6
가구내 경제생활이 어렵게 된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내가 일자리를 잃어서 1 31 4.1 4.1
배우자가 일자리를 잃어서 2 80 10.5 10.5
보증선것이 잘못 되어서 3 23 3.0 3.0
가족의 질병으로 4 60 7.8 7.8
배우자와의 이혼이나 별거 5 164 21.4 21.4
배우자의 사망 6 100 13.1 13.1
사업에 실패해서 7 108 14.1 14.1
수입에 비해 지출이 많아서 8 102 13.3 13.3
고용이 불안정한 일자리에 종사 9 76 9.9 9.9
기타 10 21 2.7 2.7
765 100.0 100.0
A6_e
가구내 경제생활이 어렵게 된 이유: 기타 구체적==> 데이터 참조
A5. 귀 가구에서 한 달을 생활하는데 필요한 최소한의 생활비는 얼마라고 생각하십니까?
A6. 귀 가구의 경제생활이 어렵게 된 가장 큰 원인이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A7
가구의 부채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80000
평균 1832.30
표준편차 7122.787
A8
가구내 부채가 생긴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식료품 등 생계비 부족 1 72 9.4 14.8
수술비, 입원비, 약값 등 2 40 5.2 8.2
학자금 등 교육비 3 103 13.5 21.2
전세금, 월세 등 주택관련 비용 4 120 15.7 24.7
자동차, 가구 구입 5 3 .4 .6
사업자금 6 62 8.1 12.8
부채(빛)를 갚기 위해서 7 69 9.0 14.2
결혼 및 관혼상제 비용 8 4 .5 .8
기타 9 13 1.7 2.7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79 36.5
765 100.0 100.0
A8_e
가구내 부채가 생긴 이유: 기타 구체적==> 데이터 참조
A7. 현재 귀 가구의 부채(빚)는 얼마나 됩니까?
A8. 귀 가구가 현재의 부채(빚)이 생기게 된 가장 큰 이유는 무엇입니까?
B1
현재 일자리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지역자활센터 사회서비스 바우처 1 191 25.0 25.0
지역자활센터 자활공동체 사업(사회서비스 바
우처 외) 2 147 19.2 19.2
노동부 사회적 일자리 및 사회적 기업 3 122 15.9 15.9
지역자활센터 외 사회서비스 바우처 4 198 25.9 25.9
민간 일자리(민간 기업 고용, 자영업 등) 5 68 8.9 8.9
무직(직업없음) 6 39 5.1 5.1
765 100.0 100.0
B2
현재 하고 있는 일: 구체적==> 데이터 참조
B3
과거 일을 한 적이 있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458 59.9 59.9
없다 2 307 40.1 40.1
765 100.0 100.0
B4_1
가장 최근에 한 일: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도매 및 소매업 1 11 1.4 2.4
음식점업 2 35 4.6 7.6
미용업 3 3 .4 .7
기타 자영업 4 47 6.1 10.3
생산직(공장내) 5 32 4.2 7.0
생산직(가내부업) 6 13 1.7 2.8
B1. 귀하의 현재 일자리는 무엇입니까?
B3. 귀하는 현재 참여하고 있는 일자리 이전에 다른 일을 하신 적이 있으십니까?
B4. 현재 일자리 이전에 일을 하신 적이 있다면, 가장 최근에 어떤 일을 하셨습니까?
B2. 귀하가 현재하고 있는 일은 구체적으로 무엇입니까?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건설노동자, 막노동 7 3 .4 .7
가사 및 간병 8 36 4.7 7.9
청소용역부 9 12 1.6 2.6
서비스직(식당근무, 배달원, 점원 등) 10 107 14.0 23.4
사무직 12 42 5.5 9.2
전문직 13 35 4.6 7.6
기타 14 14 1.8 3.1
지역자활센터 사회서비스 바우처 15 12 1.6 2.6
지역자활센터 자활공동체 사업 16 17 2.2 3.7
노동부 사회적 일자리 및 사회적 기업 17 16 2.1 3.5
지역자활센터 외 사회서비스 바우처 18 12 1.6 2.6
공공근로사업 19 7 .9 1.5
기타 일자리 사업 20 4 .5 .9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07 40.1
765 100.0 100.0
B4_2
가장 최근에 한 일: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도매 및 소매업 1 1 .1 .6
음식점업 2 5 .7 3.1
미용업 3 2 .3 1.3
기타 자영업 4 13 1.7 8.1
생산직(공장내) 5 9 1.2 5.6
생산직(가내부업) 6 13 1.7 8.1
건설노동자, 막노동 7 2 .3 1.3
가사 및 간병 8 11 1.4 6.9
청소용역부 9 7 .9 4.4
서비스직(식당근무, 배달원, 점원 등) 10 34 4.4 21.3
사무직 12 11 1.4 6.9
전문직 13 4 .5 2.5
기타 14 3 .4 1.9
지역자활센터 사회서비스 바우처 15 13 1.7 8.1
지역자활센터 자활공동체 사업 16 5 .7 3.1
노동부 사회적 일자리 및 사회적 기업 17 11 1.4 6.9
지역자활센터 외 사회서비스 바우처 18 4 .5 2.5
공공근로사업 19 6 .8 3.8
기타 일자리 사업 20 6 .8 3.8
시스템 결측값 605 79.1
B5
현재일 고용형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상용직 1 68 8.9 9.4
임시고용(임시직, 계약직) 2 433 56.6 59.6
일용고용 3 197 25.8 27.1
기타 4 28 3.7 3.9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765 100.0 100.0
B5_e
현재일 고용형태: 기타 구체적==> 데이터 참조
B6
현재일 월평균 보수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0
최대값 160
평균 67.86
표준편차 27.935
B7
현재일 사업장 규모값
유효합계 726
최소값 0
최대값 200
평균 26.80
표준편차 24.175
B5. 귀하의 현재 일자리 고용형태는 무엇입니까?
B6. 귀하가 현재하고 있는 일의 월평균 보수는 얼마입니까?
B7. 귀하가 일하고 있는 사업장(사업단) 규모는 어떠합니까?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B8
현재일 주평균 노동시간값
유효합계 726
최소값 2
최대값 84
평균 25.56
표준편차 16.338
B9
주평균 근로일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일 1 1 .1 .1
2 일 2 12 1.6 1.7
3 일 3 18 2.4 2.5
4 일 4 46 6.0 6.3
5 일 5 518 67.7 71.3
6 일 6 105 13.7 14.5
7 일 7 26 3.4 3.6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765 100.0 100.0
B10
현재일 취직경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신문, 벽보, 지역정보지 등 구인정보 1 86 11.2 11.8
가족, 친구 등 주변소개 2 180 23.5 24.8
직업훈련기관 3 21 2.7 2.9
지자체(시청, 구청, 동사무소) 4 187 24.4 25.8
고용지원센터 5 65 8.5 9.0
지역자활센터 6 116 15.2 16.0
취업정보사이트 7 26 3.4 3.6
기타 8 45 5.9 6.2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B8. 현재 귀하의 주 평균 노동시간은 얼마나 됩니까?
B9. 귀하의 일주일 평균 근로일수는 얼마나 됩니까?
B10. 현재의 일자리는 어떻게 알게 되었습니까?
B10_e
현재일 취직경로: 기타 구체적==> 데이터 참조
B11_1
일에 대한 만족도1: 전체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26 3.4 3.6
약간 불만족 2 107 14.0 14.7
보통 3 352 46.0 48.5
약간 만족 4 177 23.1 24.4
매우 만족 5 64 8.4 8.8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765 100.0 100.0
B11_2
일에 대한 만족도2: 보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68 8.9 9.4
약간 불만족 2 220 28.8 30.3
보통 3 301 39.3 41.5
약간 만족 4 114 14.9 15.7
매우 만족 5 23 3.0 3.2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765 100.0 100.0
B11_3
일에 대한 만족도3: 고용의 안정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81 10.6 11.2
약간 불만족 2 166 21.7 22.9
보통 3 345 45.1 47.5
약간 만족 4 110 14.4 15.2
매우 만족 5 24 3.1 3.3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765 100.0 100.0 B11. 현재 귀하가 하고 일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합니까?
(1) 전체
B11. 현재 귀하가 하고 일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합니까?
(2) 보수
B11. 현재 귀하가 하고 일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합니까?
(3) 고용의 안정성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B11_4
일에 대한 만족도4: 근무시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20 2.6 2.8
약간 불만족 2 102 13.3 14.0
보통 3 374 48.9 51.5
약간 만족 4 167 21.8 23.0
매우 만족 5 63 8.2 8.7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765 100.0 100.0
B11_5
일에 대한 만족도5: 노동강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매우 불만족 1 26 3.4 3.6
약간 불만족 2 127 16.6 17.5
보통 3 405 52.9 55.8
약간 만족 4 145 19.0 20.0
매우 만족 5 23 3.0 3.2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765 100.0 100.0
B12
현재일 이외에 추가로 일을 하고 있는지 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다 1 36 4.7 5.0
없다 2 690 90.2 95.0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9 5.1
765 100.0 100.0 B11. 현재 귀하가 하고 일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합니까?
(4) 근무 시간
B11. 현재 귀하가 하고 일에 대한 만족도는 어떠합니까?
(5) 노동 강도
B12. 귀하는 현재하고 있는 일 외에 추가로 하고 있는 일이 있으십니까?
B13
추가로 하고 있는 일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도매 및 소매업 1 1 .1 2.8
음식점업 2 4 .5 11.1
기타 자영업 4 4 .5 11.1
생산직(가내부업) 6 2 .3 5.6
가사 및 간병 8 6 .8 16.7
청소용역부 9 2 .3 5.6
서비스직(식당근무, 배달원, 점원 등) 10 9 1.2 25.0
전문직 13 2 .3 5.6
기타 14 6 .8 16.7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729 95.3
765 100.0 100.0
B14_1
구직시 겪었던 어려움1: 취업정보를 몰라서 어려웠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58 7.6 7.6
약간 그렇지 않다 2 107 14.0 14.0
그저 그렇다 3 277 36.2 36.2
약간 그렇다 4 232 30.3 30.3
매우 그렇다 5 91 11.9 11.9
765 100.0 100.0
B14_2
구직시 겪었던 어려움2: 기능, 학력이 부족해서 힘들었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7 8.8 8.8
약간 그렇지 않다 2 112 14.6 14.6
그저 그렇다 3 286 37.4 37.4
약간 그렇다 4 206 26.9 26.9
매우 그렇다 5 94 12.3 12.3
765 100.0 100.0 B13. 추가로 하고 있는 일은 무엇입니까?
B14. 귀하가 일반적으로 일자리를 구할 때 겪었던 다음 각 항목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합니 까?
(1) 취업정보를 몰라서 어려웠다
B14. 귀하가 일반적으로 일자리를 구할 때 겪었던 다음 각 항목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합니 까?
(2) 기능/학력이 부족해서 힘들었다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B14_3
구직시 겪었던 어려움3: 나이가 많아서 어려웠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66 8.6 8.6
약간 그렇지 않다 2 81 10.6 10.6
그저 그렇다 3 221 28.9 28.9
약간 그렇다 4 220 28.8 28.8
매우 그렇다 5 177 23.1 23.1
765 100.0 100.0
B14_4
구직시 겪었던 어려움4: 자녀양육과 병행하기 힘들었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22 15.9 15.9
약간 그렇지 않다 2 112 14.6 14.6
그저 그렇다 3 255 33.3 33.3
약간 그렇다 4 175 22.9 22.9
매우 그렇다 5 101 13.2 13.2
765 100.0 100.0
B14_5
구직시 겪었던 어려움5: 저임금 일자리가 대부분이었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0 1.3 1.3
약간 그렇지 않다 2 49 6.4 6.4
그저 그렇다 3 248 32.4 32.4
약간 그렇다 4 252 32.9 32.9
매우 그렇다 5 206 26.9 26.9
765 100.0 100.0 B14. 귀하가 일반적으로 일자리를 구할 때 겪었던 다음 각 항목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합니 까?
(3) 나이가 많아서 어려웠다
B14. 귀하가 일반적으로 일자리를 구할 때 겪었던 다음 각 항목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합니 까?
(4) 자녀양육과 병행하기 힘들었다
B14. 귀하가 일반적으로 일자리를 구할 때 겪었던 다음 각 항목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합니 까?
(5) 저임금 일자리가 대부분이었다
B14_6
구직시 겪었던 어려움6: 건강이 안좋아서 어려웠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145 19.0 19.0
약간 그렇지 않다 2 104 13.6 13.6
그저 그렇다 3 268 35.0 35.0
약간 그렇다 4 169 22.1 22.1
매우 그렇다 5 79 10.3 10.3
765 100.0 100.0
B14_7
구직시 겪었던 어려움7: 원하는 직종의 일자리가 없었다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그렇지 않다 1 46 6.0 6.0
약간 그렇지 않다 2 70 9.2 9.2
그저 그렇다 3 293 38.3 38.3
약간 그렇다 4 230 30.1 30.1
매우 그렇다 5 126 16.5 16.5
765 100.0 100.0
C1_1_1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1: 지역자활센터 사회서비스 바우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502 65.6 65.6
모른다 2 263 34.4 34.4
765 100.0 100.0
C1_1_2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 이용경험1: 지역자활센터 사회서비스 바우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음 1 260 34.0 51.8
없음 2 242 31.6 48.2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63 34.4
765 100.0 100.0 B14. 귀하가 일반적으로 일자리를 구할 때 겪었던 다음 각 항목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합니 까?
(6) 건강이 안 좋아서 어려웠다
B14. 귀하가 일반적으로 일자리를 구할 때 겪었던 다음 각 항목의 어려움 정도는 어떠합니 까?
(7) 원하는 직종의 일자리가 없었다
C1. 귀하는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참여도는 어떠합니까?
지역자활센터 사회서비스 바우처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C2_2_1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2: 지역자활센터 자활공동체 사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450 58.8 58.8
모른다 2 315 41.2 41.2
765 100.0 100.0
C2_2_2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 이용경험2: 지역자활센터 자활공동체 사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음 1 236 30.8 52.4
없음 2 214 28.0 47.6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15 41.2
765 100.0 100.0
C3_3_1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3: 노동부 사회적일자리 및 사회적기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412 53.9 53.9
모른다 2 353 46.1 46.1
765 100.0 100.0
C3_3_2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 이용경험3: 노동부 사회적일자리 및 사회적기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음 1 214 28.0 51.9
없음 2 198 25.9 48.1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353 46.1
765 100.0 100.0 C1. 귀하는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참여도는 어떠합니까?
지역자활센터 자활공동체 사업
C1. 귀하는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참여도는 어떠합니까?
노동부 사회적일자리 및 사회적 기업
C4_4_1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4: 지역자활센터외 사회서비스 바우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466 60.9 60.9
모른다 2 299 39.1 39.1
765 100.0 100.0
C4_4_2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 이용경험4: 지역자활센터외 사회서비스 바우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음 1 285 37.3 61.2
없음 2 181 23.7 38.8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99 39.1
765 100.0 100.0
C2_1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 도움정도1: 지역자활센터 사회서비스 바우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 안됨 1 3 .4 1.2
도움 안 됨 2 9 1.2 3.5
보통 3 94 12.3 36.2
도움 됨 4 126 16.5 48.5
매우 도움 됨 5 28 3.7 10.8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505 66.0
765 100.0 100.0 C1. 귀하는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대한 인지도 및 참여도는 어떠합니까?
지역자활센터외 사회서비스 바우처
C2. 귀하가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참가한 적이 있거나 참가하고 있다면, 얼마나 도 움이 되었습니까?
(1) 지역자활센터 사회 서비스 바우처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C2_2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 도움정도2: 지역자활센터 자활공동체 사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 안됨 1 5 .7 2.1
도움 안 됨 2 7 .9 3.0
보통 3 102 13.3 43.2
도움 됨 4 91 11.9 38.6
매우 도움 됨 5 31 4.1 13.1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529 69.2
765 100.0 100.0
C2_3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 도움정도3: 노동부 사회적일자리 및 사회적기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 안됨 1 2 .3 .9
도움 안 됨 2 1 .1 .5
보통 3 101 13.2 47.0
도움 됨 4 84 11.0 39.1
매우 도움 됨 5 27 3.5 12.6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550 71.9
765 100.0 100.0
C2_4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 도움정도4: 지역자활센터외 사회서비스 바우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 안됨 1 1 .1 .4
도움 안 됨 2 23 3.0 8.1
보통 3 142 18.6 49.8
도움 됨 4 95 12.4 33.3
매우 도움 됨 5 24 3.1 8.4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480 62.7
765 100.0 100.0 C2. 귀하가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참가한 적이 있거나 참가하고 있다면, 얼마나 도 움이 되었습니까?
(2) 지역자활센터 자활 공동체 사업
C2. 귀하가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참가한 적이 있거나 참가하고 있다면, 얼마나 도 움이 되었습니까?
(3) 노동부 사회적 일자 리 및 사회적 기업
C2. 귀하가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참가한 적이 있거나 참가하고 있다면, 얼마나 도 움이 되었습니까?
(4) 지역자활센터 외 사 회서비스 바우처
C3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참가하지 않는 이유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생계를 유지하는데 필요한 수입을 얻을 수 없
다 1 16 2.1 25.8
고용의 안정성이 낮아서 오랫동안 일을 할 수
없다 2 9 1.2 14.5
일을 하고 싶은 직종이 없다 3 10 1.3 16.1
참여할 수 있는 인원이 적다 4 3 .4 4.8
참여할 수 있는 조건이 까다롭다 5 7 .9 11.3
관련 정보를 얻을 수 없다 6 13 1.7 21.0
정부사업 참여에 대한 사회의 부정적인 인식이
싫다 7 1 .1 1.6
기타 8 3 .4 4.8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703 91.9
765 100.0 100.0
C4_1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이 탈빈곤에 도움정도1: 지역자활센터 사회서비스 바우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 안됨 1 24 3.1 3.1
도움 안 됨 2 80 10.5 10.5
보통 3 328 42.9 42.9
도움 됨 4 287 37.5 37.5
매우 도움 됨 5 46 6.0 6.0
765 100.0 100.0
C4_2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이 탈빈곤에 도움정도2: 지역자활센터 자활공동체 사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 안됨 1 18 2.4 2.4
도움 안 됨 2 82 10.7 10.7
C3. 귀하가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에 참가한 적이 없고 현재도 참가하고 있지 않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C4.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이 귀하가 경제적으로 자립(탈빈곤)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1) 지역자활센터 사회 서비스 바우처
C4.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이 귀하가 경제적으로 자립(탈빈곤)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2) 지역자활센터 자활 공동체 사업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보통 3 365 47.7 47.7
도움 됨 4 254 33.2 33.2
매우 도움 됨 5 46 6.0 6.0
765 100.0 100.0
C4_3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이 탈빈곤에 도움정도3: 노동부 사회적일자리 및 사회적기업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 안됨 1 19 2.5 2.5
도움 안 됨 2 73 9.5 9.5
보통 3 378 49.4 49.4
도움 됨 4 252 32.9 32.9
매우 도움 됨 5 43 5.6 5.6
765 100.0 100.0
C4_4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이 탈빈곤에 도움정도4: 지역자활센터외 사회서비스 바우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도움 안됨 1 19 2.5 2.5
도움 안 됨 2 65 8.5 8.5
보통 3 388 50.7 50.7
도움 됨 4 252 32.9 32.9
매우 도움 됨 5 41 5.4 5.4
765 100.0 100.0
C5
탈빈곤하는데 필요한 월평균 수입값
유효합계 765
최소값 30
최대값 1200
평균 192.18
표준편차 84.738
C4.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이 귀하가 경제적으로 자립(탈빈곤)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3) 노동부 사회적 일자 리 및 사회적 기업
C4. 다음의 각 자립지원 고용정책이 귀하가 경제적으로 자립(탈빈곤)하는데 얼마나 도움이 된다고 생각하십니까?
(4) 지역자활센터 외 사 회서비스 바우처
C5. 귀 가구가 경제적으로 자립(탈빈곤)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월 평균수입은 얼마입 니까?
C6
탈빈곤하는데 필요한 일자리 형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영업(창업) 1 247 32.3 32.3
정규직 취업 2 474 62.0 62.0
기타 3 44 5.8 5.8
765 100.0 100.0
C7_1
[자영업] 희망하는 창업업종: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용관련 1 30 3.9 12.1
음식관련(외식산업 포함) 2 122 15.9 49.4
제과,제빵관련 3 16 2.1 6.5
의류(옷수선)및 세탁관련 4 23 3.0 9.3
건강 관련 5 19 2.5 7.7
교육 관련 6 31 4.1 12.6
기타 7 6 .8 2.4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518 67.7
765 100.0 100.0
C7_2
[자영업] 희망하는 창업업종: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용관련 1 14 1.8 5.7
음식관련(외식산업 포함) 2 32 4.2 13.0
제과,제빵관련 3 55 7.2 22.3
의류(옷수선)및 세탁관련 4 32 4.2 13.0
건강 관련 5 33 4.3 13.4
교육 관련 6 23 3.0 9.3
기타 7 58 7.6 23.5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518 67.7
765 100.0 100.0 C6. 귀 가구가 경제적으로 자립(탈빈곤)하는데 필요하다고 생각하는 일자리의 형태는 무엇 입니까?
C7. 다음 [보기]에서 귀하가 희망하는 창업 업종을 2가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C8_1
[자영업] 창업시 가장 필요한 지원: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창업관련 기술훈련 및 교육 1 75 9.8 30.4
창업 자금지원 2 116 15.2 47.0
판로개척 및 마케팅 지원 3 19 2.5 7.7
창업업종 및 아이템 선정 4 12 1.6 4.9
행정절차에 관한 교육 5 2 .3 .8
돌봄서비스(영아, 아동, 노인, 병자 등) 6 4 .5 1.6
창업 입지선정 7 8 1.0 3.2
창업관련 정보 제공 8 11 1.4 4.5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518 67.7
765 100.0 100.0
C8_2
[자영업] 창업시 가장 필요한 지원: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창업관련 기술훈련 및 교육 1 46 6.0 18.6
창업 자금지원 2 71 9.3 28.7
판로개척 및 마케팅 지원 3 40 5.2 16.2
창업업종 및 아이템 선정 4 29 3.8 11.7
행정절차에 관한 교육 5 8 1.0 3.2
돌봄서비스(영아, 아동, 노인, 병자 등) 6 10 1.3 4.0
창업 입지선정 7 17 2.2 6.9
창업관련 정보 제공 8 26 3.4 10.5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518 67.7
765 100.0 100.0 C8. 다음 [보기] 중에서 창업을 하려고 할 때, 가장 필요한 지원을 2가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C9_1
[정규직] 희망하는 취업 직종분야: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관리직 1 68 8.9 14.3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 2 48 6.3 10.1
금융, 보험 관련직 3 15 2.0 3.2
교육 및 사회과학, 자연과학 연구 관련직 4 29 3.8 6.1
보건, 의료 관련직 6 27 3.5 5.7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7 158 20.7 33.3
문화, 예술, 디자인 관련직 8 7 .9 1.5
운전 및 운송 관련직 9 4 .5 .8
영업 및 판매관련직 10 22 2.9 4.6
경비 및 청소 관련직 11 9 1.2 1.9
미용, 숙박, 여행, 오락 관련직 12 17 2.2 3.6
음식서비스 관련직 13 53 6.9 11.2
건설 관련직 14 3 .4 .6
기계 관련직 15 2 .3 .4
섬유 및 의복 관련직 18 2 .3 .4
전기, 전자 관련직 19 2 .3 .4
정보통신 관련직 20 2 .3 .4
식품가공 관련직 21 3 .4 .6
환경, 인쇄, 목재, 가구, 공예 및 생산단순직 22 3 .4 .6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91 38.0
765 100.0 100.0
C9_2
[정규직] 희망하는 취업 직종분야: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관리직 1 24 3.1 5.1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 2 27 3.5 5.7
금융, 보험 관련직 3 22 2.9 4.6
교육 및 사회과학, 자연과학 연구 관련직 4 39 5.1 8.2
법률, 경찰, 교도관련직 5 9 1.2 1.9
보건, 의료 관련직 6 47 6.1 9.9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7 74 9.7 15.6
문화, 예술, 디자인 관련직 8 10 1.3 2.1
운전 및 운송 관련직 9 7 .9 1.5
C9. 다음 [보기] 중 희망 취업 직종분야를 3가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영업 및 판매관련직 10 42 5.5 8.9
경비 및 청소 관련직 11 12 1.6 2.5
미용, 숙박, 여행, 오락 관련직 12 40 5.2 8.4
음식서비스 관련직 13 58 7.6 12.2
기계 관련직 15 1 .1 .2
화학 관련직 17 1 .1 .2
섬유 및 의복 관련직 18 14 1.8 3.0
전기, 전자 관련직 19 1 .1 .2
정보통신 관련직 20 7 .9 1.5
식품가공 관련직 21 26 3.4 5.5
환경, 인쇄, 목재, 가구, 공예 및 생산단순직 22 6 .8 1.3
기타 24 7 .9 1.5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91 38.0
765 100.0 100.0
C9_3
[정규직] 희망하는 취업 직종분야: 3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관리직 1 18 2.4 3.8
경영, 회계, 사무관련직 2 23 3.0 4.9
금융, 보험 관련직 3 17 2.2 3.6
교육 및 사회과학, 자연과학 연구 관련직 4 21 2.7 4.4
법률, 경찰, 교도관련직 5 5 .7 1.1
보건, 의료 관련직 6 45 5.9 9.5
사회복지 및 종교 관련직 7 30 3.9 6.3
문화, 예술, 디자인 관련직 8 21 2.7 4.4
운전 및 운송 관련직 9 2 .3 .4
영업 및 판매관련직 10 25 3.3 5.3
경비 및 청소 관련직 11 16 2.1 3.4
미용, 숙박, 여행, 오락 관련직 12 45 5.9 9.5
음식서비스 관련직 13 54 7.1 11.4
건설 관련직 14 2 .3 .4
섬유 및 의복 관련직 18 20 2.6 4.2
전기, 전자 관련직 19 5 .7 1.1
정보통신 관련직 20 14 1.8 3.0
식품가공 관련직 21 38 5.0 8.0
환경, 인쇄, 목재, 가구, 공예 및 생산단순직 22 13 1.7 2.7
농림, 어업 관련직 23 2 .3 .4
기타 24 58 7.6 12.2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91 38.0
C10_1
[정규직] 취업시 가장 필요한 지원: 1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취업정보 제공(취업처 알선 등) 1 285 37.3 60.1
직업응모관련 교육(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
기술 등) 2 18 2.4 3.8
현장경험, 경력을 쌓기 위한 인턴제 3 49 6.4 10.3
돌봄서비스(영아, 아동, 노인, 병자 등) 4 45 5.9 9.5
직업교육훈련(실무 및 기술능력 등) 5 52 6.8 11.0
가족의 가사노동 분담 6 13 1.7 2.7
가족의 정서적 지원 7 9 1.2 1.9
기타 8 3 .4 .6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91 38.0
765 100.0 100.0
C10_2
[정규직] 취업시 가장 필요한 지원: 2순위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취업정보 제공(취업처 알선 등) 1 62 8.1 13.1
직업응모관련 교육(이력서, 자기소개서, 면접
기술 등) 2 51 6.7 10.8
현장경험, 경력을 쌓기 위한 인턴제 3 91 11.9 19.2
돌봄서비스(영아, 아동, 노인, 병자 등) 4 52 6.8 11.0
직업교육훈련(실무 및 기술능력 등) 5 145 19.0 30.6
가족의 가사노동 분담 6 31 4.1 6.5
가족의 정서적 지원 7 32 4.2 6.8
기타 8 10 1.3 2.1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91 38.0
765 100.0 100.0
C11_1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 인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안다 1 320 41.8 41.8
모른다 2 445 58.2 58.2
765 100.0 100.0 C10. 다음 [보기] 중 취업을 할 때, 가장 필요한 지원을 2가지 선택하여 주십시오.
C11. 귀하는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다음의 항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인지유무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C11_2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 이용경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있음 1 164 21.4 51.3
없음 2 156 20.4 48.8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445 58.2
765 100.0 100.0
C11_3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 도움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도움됨 1 144 18.8 87.8
도움안됨 2 20 2.6 12.2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601 78.6
765 100.0 100.0
C12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한 경우 큰 문제점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훈련기간 중 가족생계를 위한 지원금이 적다 1 83 10.8 50.9
훈련비가 싸다 2 4 .5 2.5
훈련 후 취업알선일 제대로 이뤄지지않는다 3 37 4.8 22.7
훈련 직종이 비현실적이고 다양하지 못하다 4 13 1.7 8.0
교육기간이 길다 5 4 .5 2.5
기타 6 22 2.9 13.5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602 78.7
765 100.0 100.0 C11. 귀하는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다음의 항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이용경험
C11. 귀하는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과 관련하여 다음의 항목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하십니까?
도움유무
C12.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한 적이 있다면, 가장 큰 문제점은 무엇이었 습니까?
C13_1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 이유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직업교육훈련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1 27 3.5 17.2
생계가 급하여 교육받을 여유가 없어서 2 71 9.3 45.2
자녀양육 때문에 3 10 1.3 6.4
직업교육훈련이 있는지 자체를 몰라서 4 17 2.2 10.8
직업교육훈련을 받아도 취업이 되지 않을 것이
라고 생각해서 5 14 1.8 8.9
인접한 직업교육훈련기관이 없기 때문에 6 3 .4 1.9
희망하는 직종의 직업교육훈련이 없기 때문에 7 11 1.4 7.0
필요한 조건(시간, 기간 등)의 직업교육훈련이
없기 때문에 8 1 .1 .6
기타 9 3 .4 1.9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608 79.5
765 100.0 100.0
C13_2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하지 않은 경우 이유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직업교육훈련 비용이 부담스러워서 1 4 .5 2.5
생계가 급하여 교육받을 여유가 없어서 2 18 2.4 11.5
자녀양육 때문에 3 13 1.7 8.3
직업교육훈련이 있는지 자체를 몰라서 4 11 1.4 7.0
직업교육훈련을 받아도 취업이 되지 않을 것이
라고 생각해서 5 19 2.5 12.1
인접한 직업교육훈련기관이 없기 때문에 6 15 2.0 9.6
희망하는 직종의 직업교육훈련이 없기 때문에 7 19 2.5 12.1
필요한 조건(시간, 기간 등)의 직업교육훈련이
없기 때문에 8 54 7.1 34.4
기타 9 4 .5 2.5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608 79.5
765 100.0 100.0 C13.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에 참가하지 않았다면, 그 이유는 무엇입니까?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C14
향후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 이용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예 1 497 65.0 65.0
아니오 2 268 35.0 35.0
765 100.0 100.0
C15_1
향후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 받고 싶은 경우, 희망직종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미용관련 직종(미용, 피부관리 등) 1 120 15.7 24.1
조리관련 직종(제과, 제빵, 칵테일 등) 2 153 20.0 30.8
양재관련 직종(봉재, 한복, 자수 등) 3 43 5.6 8.7
건축관련 직종(봉재, 한복, 자수 등) 4 13 1.7 2.6
컴퓨터관련 직종(정보관리 등) 5 86 11.2 17.3
운전(자동차, 중기 등) 6 14 1.8 2.8
공예관련 직종(목공예, 칠보공예 등) 7 15 2.0 3.0
간병서비스 관련직(물리치료사, 요양보호사
등) 8 47 6.1 9.5
소규모 창업 9 6 .8 1.2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68 35.0
765 100.0 100.0
C15_2
향후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 받고 싶은 경우, 희망직종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조리관련 직종(제과, 제빵, 칵테일 등) 2 37 4.8 7.4
양재관련 직종(봉재, 한복, 자수 등) 3 33 4.3 6.6
건축관련 직종(봉재, 한복, 자수 등) 4 9 1.2 1.8
컴퓨터관련 직종(정보관리 등) 5 72 9.4 14.5
운전(자동차, 중기 등) 6 31 4.1 6.2
공예관련 직종(목공예, 칠보공예 등) 7 38 5.0 7.6
간병서비스 관련직(물리치료사, 요양보호사
등) 8 133 17.4 26.8
소규모 창업 9 90 11.8 18.1
기타 10 54 7.1 10.9
비해당 (시스템 결측값) 268 35.0
765 100.0 100.0 C14. 귀하는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을 향후에 이용하고 싶으십니까?
C15. 향후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을 받고 싶다면, 희망하는 직종은 무엇입니까?
C15_e
향후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 받고 싶은 경우, 희망직종2: 기타 구체적==> 데이터 참조
C16_1
탈빈곤과 관련하여 직업교육훈련의 필요성1: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필요없다 1 6 .8 .8
필요없다 2 32 4.2 4.2
보통 3 250 32.7 32.7
필요하다 4 347 45.4 45.4
매우 필요하다 5 130 17.0 17.0
765 100.0 100.0
C16_2
탈빈곤과 관련하여 직업교육훈련의 필요성2: 일반적인 직업교육훈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전혀 필요없다 1 1 .1 .1
필요없다 2 27 3.5 3.5
보통 3 280 36.6 36.6
필요하다 4 359 46.9 46.9
매우 필요하다 5 98 12.8 12.8
765 100.0 100.0
C17_1
탈빈곤 할 수 있도록 정부가 해야 할 고용지원정책1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생업지원자금, 자립지원자금 등 융자 1 394 51.5 51.5
양질의 취업처 알선 2 203 26.5 26.5
취업관련 다양한 정보제공 3 98 12.8 12.8
효과적인 직업교육훈련 제공 4 50 6.5 6.5
직업상담 제공(심리 및 정서지원 포함) 5 9 1.2 1.2
C16. 귀 가구의 경제적 자립(탈빈곤)과 관련하여 다음의 직업교육훈련이 어느 정도 필요하 다고 생각하십니까?
1) 저소득여성가장 대상 직업교육훈련
C16. 귀 가구의 경제적 자립(탈빈곤)과 관련하여 다음의 직업교육훈련이 어느 정도 필요하 다고 생각하십니까?
2) 일반적인 직업교육훈련
C17. 귀 가구가 경제적으로 자립(탈빈곤)할 수 있도록 정부가 해야 할 고용지원정책으로 어 떠한 것이 가장 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대규모 공공근로사업 추진 6 6 .8 .8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의 확대 7 4 .5 .5
양질의 일자리 관련 사회적 기업의 육성 8 1 .1 .1
765 100.0 100.0
C17_2
탈빈곤 할 수 있도록 정부가 해야 할 고용지원정책2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생업지원자금, 자립지원자금 등 융자 1 1 .1 .1
양질의 취업처 알선 2 160 20.9 20.9
취업관련 다양한 정보제공 3 102 13.3 13.3
효과적인 직업교육훈련 제공 4 162 21.2 21.2
직업상담 제공(심리 및 정서지원 포함) 5 59 7.7 7.7
대규모 공공근로사업 추진 6 56 7.3 7.3
마이크로크레딧 사업의 확대 7 65 8.5 8.5
양질의 일자리 관련 사회적 기업의 육성 8 157 20.5 20.5
기타 9 3 .4 .4
765 100.0 100.0
C18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자립과 관련하여 부산시에 바라는 점==> 데이터 참조
C18. 저소득 여성가구주의 경제적 자립과 관련하여 부산시에 바라는 사항이 있으시면 적어 주십시오.
D1
거주지역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강서구 강서 22 2.9 2.9
금정구 금정 59 7.7 7.7
기장군 기장 6 .8 .8
남구 남 34 4.4 4.4
동구 동 21 2.7 2.7
동래구 동래 87 11.4 11.4
북구 북 98 12.8 12.8
사상구 사상 75 9.8 9.8
사하구 사하 65 8.5 8.5
서구 서 22 2.9 2.9
수영구 수영 44 5.8 5.8
연제구 연제 44 5.8 5.8
영도구 영도 49 6.4 6.4
중구 중 16 2.1 2.1
부산진구 진 49 6.4 6.4
해운대구 해운대 74 9.7 9.7
765 100.0 100.0
D2
가구특성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모자 수혜가구 1 160 20.9 20.9
의료특례 가구 2 21 2.7 2.7
차상위계층 의료지원 수혜가구 3 119 15.6 15.6
일반 저소득 가구 4 465 60.8 60.8
765 100.0 100.0 D1. 귀하의 거주지는?
D2. 귀하의 가구는 다음 중 어디에 해당되십니까?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D3
응답자 연령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30 세 30 5 .7 .7
31 세 31 2 .3 .3
32 세 32 3 .4 .4
33 세 33 7 .9 .9
34 세 34 8 1.0 1.0
35 세 35 7 .9 .9
36 세 36 4 .5 .5
37 세 37 11 1.4 1.4
38 세 38 18 2.4 2.4
39 세 39 21 2.7 2.7
40 세 40 49 6.4 6.4
41 세 41 18 2.4 2.4
42 세 42 21 2.7 2.7
43 세 43 13 1.7 1.7
44 세 44 25 3.3 3.3
45 세 45 33 4.3 4.3
46 세 46 22 2.9 2.9
47 세 47 21 2.7 2.7
48 세 48 40 5.2 5.2
49 세 49 37 4.8 4.8
50 세 50 86 11.2 11.2
51 세 51 32 4.2 4.2
52 세 52 51 6.7 6.7
53 세 53 42 5.5 5.5
54 세 54 39 5.1 5.1
55 세 55 27 3.5 3.5
56 세 56 26 3.4 3.4
57 세 57 19 2.5 2.5
58 세 58 23 3.0 3.0
59 세 59 13 1.7 1.7
60 세 60 21 2.7 2.7
D3. 귀하의 연령은?
61 세 61 4 .5 .5
62 세 62 2 .3 .3
63 세 63 5 .7 .7
64 세 64 1 .1 .1
65 세 65 5 .7 .7
66 세 66 1 .1 .1
68 세 68 1 .1 .1
69 세 69 1 .1 .1
70 세 70 1 .1 .1
765 100.0 100.0
D4
응답자 최종학력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초졸이하 1 35 4.6 4.6
중졸 2 170 22.2 22.2
고졸 3 448 58.6 58.6
대졸 4 108 14.1 14.1
대학원 이상 5 4 .5 .5
765 100.0 100.0
D5
응답자 혼인상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편이 있고, 함께 살고 있음 1 341 44.6 44.6
남편이 있으나, 함께 살지 않음(별거, 가출, 복
역, 질병 등) 2 81 10.6 10.6
이혼 3 201 26.3 26.3
사별 4 132 17.3 17.3
비혼모(미혼모) 5 5 .7 .7
기타 6 5 .7 .7
765 100.0 100.0 D4. 귀하의 최종학력은?
D5. 귀하의 혼인상태는?
부산시 저소득 여성가구주 경제생활 실태조사
D5_1
남편동거여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남편동거 1 341 44.6 44.6
남편부재 2 424 55.4 55.4
765 100.0 100.0
D6
가구원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1 명 1 48 6.3 6.3
2 명 2 188 24.6 24.6
3 명 3 279 36.5 36.5
4 명 4 206 26.9 26.9
5 명 5 35 4.6 4.6
6 명 6 7 .9 .9
7 명 7 1 .1 .1
8 명 8 1 .1 .1
765 100.0 100.0
D7
보살필이 필요한 가구원수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0명 1 419 54.8 54.8
1명 2 154 20.1 20.1
2명 3 148 19.3 19.3
3명 이상 4 44 5.8 5.8
765 100.0 100.0 D7. 귀 가구에는 보살핌이 필요한 가구원이 몇 명 있습니까?
D6. 귀하를 포함하여 전체 가구원수는?
D8_1
보살핌이 필요한 가구원1: 남편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706 92.3 92.3
그렇다 1 59 7.7 7.7
765 100.0 100.0
D8_2
보살핌이 필요한 가구원2: 부모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727 95.0 95.0
그렇다 1 38 5.0 5.0
765 100.0 100.0
D8_3
보살핌이 필요한 가구원3: 자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472 61.7 61.7
그렇다 1 293 38.3 38.3
765 100.0 100.0
D8_4
보살핌이 필요한 가구원4: 기타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아니다 0 759 99.2 99.2
그렇다 1 6 .8 .8
765 100.0 100.0
D9
주거형태변수값 빈도 퍼센트 유효 퍼센트
자가 1 211 27.6 27.6
전세 2 241 31.5 31.5
월세 3 172 22.5 22.5
공공임대주택 4 92 12.0 12.0
무상(친척집, 친구집 등) 5 48 6.3 6.3
기타 6 1 .1 .1
765 100.0 100.0 D8. 보살핌이 필요한 가구원은 누구입니까?
D9. 귀하의 주거형태는 어떠합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