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해상도 부산항 해상기상예보 시스템. 고해상도 부산항 조수 및 3D 해양순환 예측 시스템.
고해상도 부산항 해양기상예측 시스템
Cycling 3D-Var 방식을 이용한 데이터 동화 시스템 구축 해양기상예보모델과 자료동화시스템 연계시스템 구축 해양기상예보시스템(WRF)의 해양풍속 결과 자료동화 적용 전후 비교.
9지점 부표 관측자료를 이용하여 성능, 적합지수, RMSE를 계산하여 예측정확도 비교. 데이터 동화를 사용한 후의 풍속 예측 결과는 사용 전보다 더 나은 효과를 나타냅니다. 데이터 동화 효과는 초기 시간부터 최대 40시간까지 지속됩니다.
고해상도 부산항 조석 및 3차원 해양순환 예측 시스템 A.
고해상도 부산항내 조석 및 3차원 해양순환예측 시스템
MOHID 모델은 전 세계 해양 시뮬레이션에 부적합한 해안 공학 모델이므로 OGCM(Ocean General Circulation Model)에서 다운스케일링 기술을 사용하여 수온, 염도, 해류 및 SSH를 계산하여 정확한 그리드로 3차원 계산을 수행합니다. 이 모델을 사용하여 해안에서. 필요해 구축하고자 하는 그리드가 해안에 한정되어 있기 때문에 넓은 지역의 조석 및 순환 결과는 OOC(Operational Ocean Prediction System)의 9(km) 해상도 결과를 사용하였다. 해안 순환 예보 시스템의 주요 개념은 더 넓은 지역에서 계산된 모델 결과를 정확한 지역 Ham에서 초기 및 경계 조건으로 적용하는 것입니다(Leitão et al, 2005).
여기에서 모델은 3D baroclinic 모델로 구성되며 국부 조수, 해류 및 고해상도 기상 데이터와 같은 데이터가 추가되고 계산됩니다.
고해상도 부산항내 파랑예측 시스템
특히 리미터를 사용하여 수치적 방법의 안정성을 높였다. 플럭스 항을 계산할 때 MUSCL-TVD 기법에 따라 각 셀의 경계에서 좌우 값을 계산한 후 이 값들을 이용하여 수치 플럭스를 계산한다. HLL 기법은 수치 플럭스를 계산하는 기법으로 사용된다. FUNWAVE-TVD 수치모델에서 쇄파를 모사하기 위해 두 가지 방법이 사용되었는데, 수심(Rsd)에 대한 수면 변위의 비율을 사용하는 방법과 Kennedy et al. (2000).
특히, Rsd를 이용한 방법의 경우, 비율이 일정 값 이상인 셀에서 Boussinesq 방정식을 NSWE(Natural Natural Water Equation)로 변환하여 NSWE에서 쇄파를 시뮬레이션합니다. 2012), 그러나 본 연구에서는 FUNWAVE-TVD 수치모형을 수정하여 다시 보존식으로부터 지배방정식을 도출하였다. Vincent and Briggs(1989)의 파단시험에서 제시한 실험값과 비교하기 위해 NSWE의 파단시험 결과와 와류점도에 의한 파단시험 결과를 비교하였다.
FUNWAVE-TVD 수치모형을 이용한 파랑예측시스템 구축 부산항의 고해상도 실시간 파랑 예측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최근 수정된 FUNWAVE-TVD 수치모형(Choi and Seo, 2015)을 이용하여 부산항 일대에서 파랑 변형 실험을 수행하였다. FUNWAVE-TVD 모델에서 내부 파동 발생기를 사용하기 위해 시뮬레이션 영역을 220° 회전시켜 파동 변형 실험을 수행하였고, 시뮬레이션 영역 양단에 스펀지층을 설치하였다.
관측 자료를 이용한 검증 및 시스템 고도화
관측 데이터를 이용한 검증 및 시스템 개선 3차원 해양순환 예측 시스템의 조석 비교. 3차원 해양순환 예측 시스템의 수온 비교.
FUNWAVE-TVD 모델을 이용한 파랑예측시스템 검증. 파랑관측에서 얻은 각 봉우리의 유의파고를 이용하여 파랑예측시스템을 검증하였다. 예보시스템 검증시 요구경계입사파고는 한국해양과학기술원 해양예보시스템에서 시간당 계산되는 SWAN 모델을 사용한다.
SWAN 모델에서 계산된 예측 시스템 제한의 제안된 최고 값입니다.
시제품 설치, 사용기술 교육 및 유관기관 지원을 통한 예측시스템 개선 - 부산시청 및 제주센터에 설치 및 광고 부산항 해상 고해상도 기상예보 시스템 - 부산항의 고해상도 조수 및 3D 기반 순환예보 시스템. 지역해상정보시스템 구축을 통해 고해상도 해상상태 예측기술을 확보하였으며, 특히 항만에 60m 격자간격의 예측시스템을 구축하여 안정적인 운영 및 서비스를 제공하여 실용화가 가능하도록 하였다.
실시간 예보 정보를 활용하여 안전한 항해를 지원하고 사고 발생 시 대응 및 피해 감소에 기여합니다. 부산항의 안전한 항해를 위한 정확한 해양환경현황 및 예보정보를 제공합니다. 실시간 관측예보시스템을 활용하여 항만이용자에게 제공함으로써 부산항의 활용도 제고 및 선사의 매력도 제고에 기여합니다.
부산항 입구에 위치한 한국해양과학기술원은 부산항의 정확한 해양상태정보시스템을 개발·구축·활용하여 지역사회(부산)의 발전에 기여해 왔습니다. 피해를 높이고 줄이는 데 기여할 수 있습니다.
유관 기관에 시제품 설치 및 운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