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사람의 중요성 산업인력 현황 및 정책방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사람의 중요성 산업인력 현황 및 정책방향"

Copied!
6
0
0

Teks penuh

(1)

혁신주도형 산업정책은 기 술·지식의 생산·유통·분 배·활용을 통해 생산성과 경 쟁력을 제고하는‘사람’의 중 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국내 산업인력 수급의 가장 큰 문제는 인력수급의 양적불 일치 현상으로 인한 왜곡에 있다.

사람의 중요성

21세기를 규정하는 단어들 중 가장 중요한 것은‘지식기반경제’일 것이다. 이는 국부창출의 원천이 과거와 같은 자본, 노동 등의 유형적 생산요소의 양적 투입이 아 니라, 기술과 지식에 의한 질적 혁신에 의존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 현상은 WTO, FTA 등의 확산으로 물리적 의미의 국경이 사라지고 자본과 노동의 이동이 자유로워지면서 점점 가속화되고 있다.

이에 따라, 산업자원부에서도 기민하게 자본과 노동 등‘투입주도형 산업정책’에 서‘혁신주도형 산업정책’으로 정책의 방향을 전환한 바 있다. 혁신주도형 산업정책 은 기술·지식의 생산·유통·분배·활용을 통해 생산성과 경쟁력을 제고하는데 있 어‘사람’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1).

한편, 미국, 유럽, 일본 등 선진국에서도 사람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미래 경쟁력 확보를 위해서 우수한 인재의 확보와 육성을 위해 관련 정책을 경쟁적으로 추진하고 있는 것은 우리에게 시사하는 바가 크다고 할 것이다.

산업인력 현황 및 정책방향

사람의 중요성이 높아지면서 정부 각 부처에서는 다양한 정책수단을 활용하여 우 수한 인력을 양성하고 활용하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국 내 산업인력 수급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들은 쉽게 해결되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가장 큰 문제는 무엇보다도 인력수급의 양적 불일치 현상으로 인한 왜곡이다. 흔히

‘구인난 속의 구직난’이라고 일컫는 현상으로 산업계에서는 인력부족을 호소하는 반면 실업자 특히 젊은층의 실업난은 갈수록 심각해지는 현실을 의미한다.

| 남 경 모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인력과 사무관 ([email protected]) 정책동향

1) 미국의 21st Century Skills for 21st Century Jobs 보고서는, 미국 기업의 시설투자 10% 증액에 의한 생산 성 향상은 3.6%인 반면, 교육훈련투자 10%에 의한 생산성 증가는 8.4%로 분석하고 있다.

(2)

인력수급의 불균형이라는 시장실패가 나타나는 것은 산업의 동태적 변화속도를 교육기관이 따라가지 못하는 인력공급곡선의 가격(임금) 비탄력적 특성에 있는 것으 로 분석할 수 있다. 이런 구조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산업부문에서 인력 수 요에 대한 현황과 장기적인 전망을 정확하게 제시하고 이를 바탕으로 교육기관이 인 력양성구조를 적합하게 변화시켜야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를 위해 산업자원부는 2004년에 전자, 기계, e-biz산업 등 3개 산업을 대상으 로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를 구성하여 시범운영한 바 있으며, 2004년말에 이 를 반도체, 조선 등 10개 분야로 확대 구성하여 산업별로 인력수급 분석 및 전망체 계를 구축하고 있다. 또한 산업기술인력수급 통계조사사업, 국가기술인력지도사업 등을 통해 산업별·전공별·지역별 인력수급에 대한 분석적 틀을 만들어 나가고 있 다. 이러한 정책들이 성공적으로 정착된다면 인력수급의 자동조절체계가 원활하게 작동되어 양적 불일치에 기인하는 여러가지 문제들이 해결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 다. 한편, 산업자원부는 인력수급의 불균형으로 발생하는 신규 실업자를 대상으로 재훈련과 연수를 통해 취업을 지원하고 있으며, 2005년에는 이공계 미취업자현장 연수사업과 중소기업 석박사 고용지원사업에 250억 원을 투입하여 이공계 졸업인 력에 대한 고용지원 사업을 추진하고 있다.

산업자원부는 2004년 전자, 기계, e-biz산업 등 3개 산업 을 시작으로 반도체, 조선 등 10개 분야에서 산업별 인적 자원개발 협의체를 구성하고 산업별로 인력수급 분석 및 전망체제를 구축하고 있다.

구 분 전문대졸 학 사 석 사 박 사 총 계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현원 부족률 기계 11,989 18.85 16,214 6.79 2,401 0.87 426 0.00 31,031 11.39 반도체 4,313 0.74 9,266 2.23 2,752 3.89 560 6.98 16,891 2.29

섬유 2,043 13.19 5,153 2.84 1,105 2.04 398 4.10 8,698 5.44 자동차 10,961 5.94 26,826 4.24 3,574 5.02 882 0.00 42,242 4.67 전자 16,149 4.86 24,335 4.92 3,452 3.98 511 1.21 44,447 4.78 조선 1,857 9.32 3,869 1.53 415 0.72 9 0.00 6,150 3.96 철강 2,717 20.05 6,420 5.93 836 2.68 112 0.00 10,085 9.91 화학 11,004 1.26 27,076 2.65 4,362 2.10 768 3.97 43,210 2.27 총계 61,034 8.48 119,158 4.18 18,898 3.11 3,665 2.58 202,755 5.39

자료: 2004년 10월 산업기술인력수급동향 실태조사.

자료: 통계청, 『경제활동인구연보』, 각 년도.

교육인적자원부·한국교육개발원, 『교육통계연보』, 각 년도.

<표1> 주력기간산업의 산업별·학력별 현원 및 부족률 (단위: 명, %)

구 분 99 00 01 02 03 04

실업률 전 체 6.3 4.1 3.8 3.1 3.4 3.5

15~29세 10.9 7.6 7.5 6.6 7.7 7.9

대 졸 전 체 51.3 56.0 56.7 60.7 59.2 56.4

취업률 이공계 51.6 55.0 57.0 59.4 58.5 56.1

<표2> 연령별 실업 및 대졸 취업률 현황 (단위: %)

(3)

두 번째 문제는 대학에서 공급되는 인력의 질적 수준에 대해서 공급기관인 대학과 수요자인 산업계의 눈높이가 크게 다르다는 것이다. 산업계 대표기관인 전경련, 경 총 등의 조사결과에 따르면 대졸 신입사원의 수준과 재교육 비용의 증가에 대한 기 업체의 불만족이 크게 증대하고 있으며, 기업체로부터 대학을 포함한 교육 분야의 개혁 요구가 강하게 제기되고 있다2).

한편, 산업계의 신입사원에 대한 불만족은 채용구조의 변화로 이어져 바로 실무에 투입할 수 있는 경력직 채용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인력수급의 질적 불균형이 나오는 것은 궁극적으로 교육기관이 인력을 양성하는 방식이 Stand Alone형이라는 점에 기인한다고 분석되고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서는 산학협력을 통한 인력양성 체계의 확산과 함께 산업계 종사자에 대한 재교육을 활성화해야 할 필요가 있다.

산업자원부는 이와 관련하여, 특히 공과대학의 교육과정을 산학협력체제로 전환 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공학분야의 교육체계 개선을 지원하기 위해 창의적 공학교육설계(Capstone-Design) 사업, 현장실습학점제도, 공학교육개편 지원사업 등을 통해 우수한 산학협력 모델을 보급하는 한편, 교육인적자원부와 공동 으로 산학협력 중심대학을 산업권역별로 1개씩 선정하여 산학협력 교육체계의 중핵 으로 육성할 계획이다. 특히, 산학협력중심대학과 관련하여 금년에는 노동부가 신규 참여함으로써 3개 부처가 공동으로, 사업대상도 4년제 공대에서 대학원, 전문/기능 대, 실업고를 포함하여 지원하는‘제2기 산학협력확산사업’도 추진 중이다.

더불어, 산업계에 재직 중인 기술인력들이 급속하게 변화하는 기술발전에 적응할 수 있도록 대학과 연구소 등을 통해 33개 분야를 대상으로 신기술 이론 및 장비 등 에 대한 재교육을 추진하고 있다.

세 번째 문제는, 장래 대한민국 산업을 이끌어갈 이공계 인력의 양적 수준이 하락

산업자원부는 인력수급의 질 적불일치를 해소하기 위해 우 수한 산학협력 모델의 보급, 산학협력중심대학의 육성 등 다양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1996 1997 1998 1999 2000 2001 2002 2003 2004 전체 근로자수 1,542 1,581 1,469 1,338 1,320 1,264 1,246 1,272 1,310 신규 채용자수 181 166 146 231 257 156 157 147 72 경력자 채용 비중 39.6 43.1 61.9 75.9 77.0 81.0 79.5 70.7 79.0

자료: 고용보험전산망.

<표3> 주요 기업들의 채용추이 (단위: 천명, %)

구분 연도

2) 최근 경총에서 실시한‘대졸 신입사원 재교육 현황조사’(2005.5.8)에 따르면 대졸신입사원의 재교육 소요 기 간은 평균 20.3개월, 연간 재교육비용은 신입사원 1인당 6,218만원(연간 3,776만원)이 소요되며, 신입사원의 업무성취도에 대조사 대상기업의 25.9%만이 만족한다고 응답하였다. 경총은 이러한 현상의 원인으로서 산업 계 수요를 반영하지 못하는 대학교육, 평준화를 강조하는 교육정책으로 인한 사회전체적인 인력의 질적 저하 현상을 지적하였다.

(4)

하고 있는 이른바‘이공계 기피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는 것이다. ‘천재 1명이 1만 명 을 먹여살린다’는 지식기반경제시대에 우수한 인재를 확보할 수 없다는 것에 대해 많은 사람들이 우려를 표명하고 백가쟁명식의 다양한 처방전을 제시하고 있다. 산업 자원부를 포함한 정부에서도‘청소년 이공계진출 촉진대책’, ‘전문연구 요원의 병역 특례 기간 단축’, ‘이공계 공직진출 확대’, ‘창조형 인재강국 실현을 위한 과학기술 인력 육성방안’등 다양한 정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고 있다.

이러한 정책이 효과를 가져왔는지 몰라도 다행히 수능 자연계열 응시비중이 2002 년 26.9%를 저점으로 2003년 이후부터는 30%를 넘어서고 있다. 그러나 우수한 학 생들은 여전히 이공계보다는 의학계열을 선호하는 현상은 여전히 변하지 않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3).

사실, 우수한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현상은 선진국에서 이미 오래 전부터 경험해왔 고 여러가지 방안을 시도했지만 현상을 되돌리는 데 실패하였다. 가장 중요한 원인 으로 지적되는 것이 상대적 소득격차인데, 이는 사회적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인위적 변화가 어렵고 공공재원을 통해 이를 해소하는 것은 원천적으로 불가능하기 때문이 다. 따라서, 기존의 이공계 촉진대책을 지속적으로 추진하면서 이공계를 선택한 학 생들을 제대로 교육시켜 높은 수준의 지식과 기술을 보유한 산업인력으로 양성하는 방안을 적극 추진해야 할 것이다.

이와 관련하여 산업자원부에서는 공학교육 수준의 질적 제고를 위해서 공학교육 인증원을 통해 공학교육인증을 받는 대학을 확대하고, 인증 대학에 대해서는 각종 예산지원 사업에서 혜택을 확대해 나갈 계획이다. 더불어 창의적인 공학교육에 대한 방법론을 개발해 보급하는 사업도 적극 지원하는 등 수준 높은 산업인력 양성을 위 한 정책을 강화해나갈 방침이다.

다음으로, 참여정부가 핵심 국정과제로 추진중인 국가균형발전정책의 실효성을 제고하기 위한 지역혁신 인력양성이 중요한 현안으로 떠오르고 있다. 현재 지방대학 의 열악한 환경과 부실한 교육, 우수한 학생과 교수들의 수도권으로의 탈출 등을 방 치할 경우, 엄청난 재원이 투입되는 국가균형발전정책이 자칫 당초의 목적과 다른 방향으로 결론이 나올 수 있기 때문이다4).

지방의 우수인력 양성이 필요하다고 해서 과거와 같은 양적투자 위주의 정책으로 는 곤란하다. 지방대학과 지역산업간의 산학연계를 강화하고, 대학의 구조 및 교육 체계의 질적 변화가 수반되지 않고서는 목적없는 투자가 될 가능성이 클 것이기 때 문에 정부의 지원정책도 이런 점을 고려하여 추진되어야 한다.

우수 학생들의 이공계 기피현 상을 해소하기 위하여 정부는 이공계 촉진대책을 지속적으 로 추진중에 있다.

산업자원부는 지역 인적자원 개발을 위해 2003년부터 지 역 전략 산업과 연계된 산학 협력 기술개발 및 지방대 우 수 석박사 인력을 양성하는 지역혁신인력양성사업을 시행 중에 있다.

3) 수능 자연계열 응시비중은 (1994) 45.8% → (1998) 42.4% → (1999) 39.9% → (2001) 29.4% → (2002) 26.9% → (2003) 30.3% → (2004) 31.5%로 변화하고 있다.

4) 2002년 기준으로 수도권과 대전에 전체 연구인력의 67.1%가 존재하는 것으로 분석되고 있는 것은 국가균형 발전과 지역혁신체계 구축을 위해 많은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5)

지역의 인적자원개발을 위해 산업자원부에서는 2003년부터 지역전략산업과 연계 된 산학협력 기술개발 및 지방대 우수 석박사 인력을 양성하기 위하여 지역혁신인력 양성사업( 2005년 예산 270억 원)을 지원하고 있는바, 지원 대상을 지역전략산업분 야로 한정하여 지역특화기술개발 및 기반구축 사업 등과 함께 상승효과를 창출해 줄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앞서 언급한 산학협력중심대학사업에서는 지원내용과 조건 을 정밀하게 설계해서 지방대학이 지역산업지원을 위하여 자율적인 산학협력 체제 로의 개편을 촉진할 수 있도록 지원할 계획이다.

이 외에도, 산업교육체제(실업고-전문대-산업대) 개편, 산업기능인력과 관련한 산업연수생제도, 여성기술인력의 양성과 활용, 첨단기술인력 유인을 위한 Gold Card 제도 등 여러 가지 현안이 남아 있는 상황이다.

양적 목표에서 질적 변화로

지금까지와 마찬가지로 앞으로도 산업자원부의 산업인력정책 방향은 양적인 목표 를 설정하고 이를 위해 재원을 투입하는 정책보다는 수준이 높은 인력이 양성될 수 있도록 체질 변화를 지원하는 쪽으로 정책의 무게중심을 둘 계획이다. 특히, 조선 중기 율곡 이이의 10만 양병설과 같이‘○○분야 ○○○명 양성’식의 정책은 가급적 추진하지 않을 방침이다. 정부가 인력공급에 대해 직접적으로 개입할 경우에 시장왜 곡이 발생할 가능성이 많기 때문에, 시장원리가 작동하여 산업인력의 수급문제가 자 율적으로 해결 될 수 있는 제도적 환경을 조성해주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하고 있다.

최근, 산업자원부에서는 산업인력이 중요하다고 판단하고 2004년 11월 기존 산업 인력팀을 산업기술인력과로 승격하여 산업인력 정책 전반에 대해 종합적인 검토를 하고 있다. 앞으로 산업인력과 관련하여 산업자원부는 수요부처 입장에서 교육인적 자원부, 노동부 등 공급부처와 견제와 균형을 이루면서 적극적인 정책을 추진해 나 갈 계획이다. 요컨대, 수요자 중심의 산업인력 정책이 제자리를 잡는다면 앞에서 언 급한 우수한 산업기술인력 양성과 관련된 여러 가지 문제들이 대부분 원만하게 해결 될 것이라고 믿는다.

산업자원부 산업인력정책은 양적인 목표와 함께 수준 높 은 인력이 양성될 수 있도록 체질변화를 지원하는 방향으 로 무게 중심을 둘 계획이다.

(6)

구분 사 업 명 2005예산 사 업 내 용

<표4> 산업자원부 산업기술인력양성분야 사업 현황 (단위: 억원)

현장기술인력 재교육 170 산업체 근무인력 대상의 신기술 재교육 과정(이론, 실습) 운영

차세대 기술인력 양성 60 성장동력분야 중심의 우수 공학기술인력양성(대학 원, 실업고)

산학협력중심대학 220 산업집적지의 혁신 지원을 위해 대학을 산학협력체 제로 전환

지역혁신인력양성 270 지방 대학과 기업간 산학협동 연구를 통해 지방대 우수인력(석·박사) 양성

산업기술지원단사업 25 대학교수, 기업체 연구원을 활용하여 중소기업에 기 술 자문

공학교육연구센터 5 산업계수요 반영을 위한 현장중심의 공학교육과정 연구/개발

공학교육인증사업 5 학과별 공학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인증평가 및 자 문

창의적 공학교육설계 28 학부졸업생들의 졸업작품 설계를 통한 창의적 공학 교육 확산

공학교육과정 개편지원 14 기업과 대학간 공동 교육과정 설치 지원(과정 졸업 후 해당기업 취업)

CEO 공학교육지원 13 기업체 CEO의 대학/고교 강의지원

현장실습학점제 13 공대생 대상으로 1학기 이상 산업체 근무경험을 정 규 학점으로 인정

Sector Council 지원 14 산업별 인적자원개발협의체 지원 산업기술인력수급 통계 5 업종별, 지역별 인력수급 현황 조사

국가기술인력지도 5 국가기술인력 양성 로드맵 작성 산학협력 인력양성

기반구축 3 국내외 산학협력 사례조사 및 DB구축 산학협동 기술교육프라자 75 산학협동 기술교육프라자 건립

해외기술인력 유치지원 2 국내유입 외국인 기술인력 비자발급 추천 및 국내외 취업박람회 지원

산업기술문화 확산 56 산업기술대전, 도서발간, 문화 활동 등 산업기술에 대한 인식제고

청소년 산업기술체험캠프 5 대학교수와 중고교생간 아이디어 발굴 및 시제품 제 작

이공계 미취업자 현장연수 150 이공계 미취업자 대상으로 연수기관에서 6개월 간 연수/취업지원

중소기업 석박사

80 기업연구소에서 미취업 석·박사인력 고용시 인건비

연구인력 고용지원 지원

합 계 1,218

산학협력을 통한 핵심기술

인력 양성

공학교육 혁신

산업계수요 반영을 위한 인력양성 인프라 구축

산업기술 저변확대

실업대책

Referensi

Dokumen terkait

또한 2013년부터는 가정폭력을 4대 사회악으로 포함하고 국가적으로 가정 폭력을 근절하기 위한 적극적인 노력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2013년에 실시한 가정폭력실태조사 결과 부부폭력발생률이 45.5%로 나타나는 등 여전히 우리사회의 가정폭력 문제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