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Copied!
10
0
0

Teks penuh

(1)

생물다양성 증진을 위한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신용석*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Study on the National Park-centric National Ecological Network for the Enhancement of Biodiversity

Yong Seok Shin

*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590-811, Korea

Abstract :Designating as many Protected Areas and networking them is essential for the enhancement of national biodiversity. In Korea, 20 National Parks occupy most large Proteced Area in total and have most abundant biodiversity.

So, It needs to build National Ecological Network which focusing on National Parks. This study propose 5 ecological axis and 6 eco-region as a alternative of the current government policy. The Ecological Network is composed of Core Area, Buffer Zone and Corridor. In this study I suggest 50 km2 for the proper area criteria as a mountainous Core Area, and 1 km2 in inland wetland, and 10 km2 in coastal wetland. And also suggest 40~60 km as a proper distance between Core Area in good-managed area, and 20~30 km in more small or fragmented area. The proper outline-distance of Buffer Zone from the outline of Core Area is suggested as 2 km in mountainous area, and 1km in wetland area. The proper width of Corridor is suggested as 2~4 km in mountainous area, and 0.5~1 km at the river or stream. Based on the such criteria, I propose 38 Core area and 60 sub-Core Area in the 6 eco-regions of Korea. Among the 38 Core Area, 19 area is existing National Park and the other areas are needed new designation as the National Park.

Key words : National Park, Ecological network, National Ecological network, Biodiversity, Protected Area, eco-region, ecological axis

서 론

환경시대, 기후변화시대를 맞아 전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 확보는 국가의 가장 중요한 정책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법정보호지역을 최대한확보하고 기존의파편화된 생태계 를 네트워크화하여 통합적으로관리하는 시스템은 필수적 이다. 이와 관련, 우리나라에서는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

(2006~2015)에서 2015년까지 국토면적 대비 보호지역 면적

을 15%까지 확대하고(2009년 기준 10.8%), ‘한반도 생태축 구축방안(2010)’에서 3대 핵심생태축과 5대 광역생태권을 구축하여 전국을 생태네트워크화하는 계획을 수립하였다.

그러나 이 3대 핵심생태축과 5대 광역생태권은 도식적, 행 정적 측면이 강하고, 우리나라의 법정보호지역 중 국립공 원을 제외한 대부분 지역은 현장관리가 매우 미흡한 상태에 있으며(paper park),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국립공원 역

시 대부분 도시지역에 둘러싸여 고립되고 있거나 도로에 의 해 단절되어 있어 국가의 생물다양성 보전이 여의치 않은 실정이다. 따라서 국립공원을 중심으로 다수의 보호지역을 생태적으로 연결하는 국토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가 생 물다양성을 극대화하는 여건을 만들 필요성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국토핵심생태축과광역생태권을재설정하고, 각 광역생태권에서 국립공원 중심의 생태네트워크를 구축하여 국토생태네트워크로 통합하는 방안을 도출하는 것을 목적으 로 하였다.

연구범위 및 방법

생태네트워크는일반적으로지구-도시-광역-국토생태네트 워크로 구분하는바, 본 연구는 국토생태네트워크 스케일에 서 남한지역 전체를 공간적 범위로 하였다. 단, 제주도 지역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총설]

(2)

은제외하였다. 내용적으로, 생물다양성 증진을위한 중요한 수단및 보호지역을 관리하는 새로운 패러다임으로 생태네 트워크 개념을 정립하고, 국립공원 중심으로 생태네트워크 를 구축해야 할 당위성에 대하여 논하였다. 우리나라의 핵 심생태축, 광역생태권 정책을 검토하여 이를 보완하는 차원 으로 새로운 핵심생태축-광역생태권을 설정하였으며, 생태 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인 핵심(거점)지역-완충지역-연결통로- 복원지역에대해 우리나라 실정에 맞는선정기준을 도출하 였고, 주로 지형도를 참조하여 구체적인 핵심지역과 거점지 역을 선정하였다.

생물다양성과 생태네트워크 생물다양성 현황

생물다양성은 지구의 모든 생명체들이 서로의 상호관계 및 환경과의 작용·반작용을 통해 생명활동을 지속하고 진화 하는데 필요한 유전자, 종, 생태계 또는 군집 다양성을 통틀 어 일컫는 개념이다. 생물다양성이 높고 복잡하고 오래 지 속될수록 자연생태계는 더욱 안정되고, 더욱 경쟁·공존·진 화하며, 사람에게도더욱 많은혜택을가져다준다. 우리나라 에는 약 10만종의 생물이있는것으로추정하고있으나서 식이 확인된 종은 39,150종(환경부)이다. 국토면적의 약

6.5%에 이르는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에서 가장 넓은 보호지

역이며, 산림·습지·하천·해안·사구·바다·섬 등 여러 종류의 생태계가 다양하게 어우러져 있고, 국내 생물종수의 약 41%(15,944종), 멸종위기종의 약 59%(145종)가 전국 21 개국립공원에 고루분포하고있다는점에서우리나라의생 태계다양성을대표하고 있다. 우리나라의생물다양성①위 협요인은 고도의 도시화·도로화·산업화에 의한 자연지역 의 지속적인 감소 및 파편화·고립화, ② 서식지 감소 및 교 란에 따른 핵심종, 내부종의 감소와 외래종 증가에 따른 고 유생태계 교란, ③ 기후변화 및 재해증가 등에 의한 생물적 응력감소, ④ 생물다양성 조사-보전-복원을 위한전문인력 및노하우 부족, ⑤ 생물다양성의중요성에 대한정책적지 원(예산, 인프라) 미흡 및 국민적 공감대 부족 등을 들 수 있다.

2. 생태네트워크의 개념과 구성요소

생태네트워크 개념은 개별 서식처나 생물종을 보전하는 부분적방법에는한계성이있어각 서식처와생물종을통합 하여 고려하는 전체적 관점의 사고방식에서 태동하였다. 생 태네트워크는 “토지의 파편화와 집약적인 토지이용에 대응 하기 위한 수단이며, 단일종·단일 환경이슈를 벗어나 자연 보전과 환경문제에 대한 포괄적인 접근방법을 제공하는 방 편”1)으로, 본 연구에서는 생태네트워크를 “도시 또는 도로 등에의해 단절되어 있는자연지역을 연결하여 생물다양성 을유지·증진시키고, 생태적안정성및 생태적용량을확대 하고자 하는 ‘자연지역 통합시스템’”으로, 국토생태네트워크 를 “국가의 생물다양성을 유지·증진하고 자연생태계의 가치

를 지속적으로 보전하기 위하여국토의 핵심적인 생태축을 연결하는 광역적인 생태망(生態網)”으로정의하고자 한다.

생태네트워크의 구성요소는 다음과 같다. ① 핵심지역

(Core Area), 거점지역; 핵심지역은 하나의 생태네트워크에

서 가장 큰 단위면적을 가진 구성요소로서, 가장 중요한 생 물종 및 그 서식처가 있는 곳이다. 거점지역은 핵심지역보 다 규모나 기능이 상대적으로 적은 지역으로, 도시에서 부 도심과같은기능을한다. 핵심지역은거점지역과 완충지역, 연결통로 등에 생물종을 공급하는 기능을 하고, 거꾸로 이 들 지역으로부터 생물종이 대피할 수 있는 공간이 되기도 한다. ② 완충지역(Buffer Zone); 완충지역은 핵심지역 및 연 결통로를 둘러싸면서 환경오염, 외래종 침입, 인간간섭, 재 해 등의 외부영향을 차단하거나 충격을 저감시키는 공간이 다. 일반적으로 대규모 산림의 밑자락, 농경지, 하천 및 습 지 주변의녹지대등을완충지역으로 생각할수 있다. 핵심 지역에 완충지역이 없거나 매우 좁을 경우 핵심지역의 외곽 선, 즉 가장지리나 주연부가 그 기능을 대신할 수 있다. ③ 연결통로(Corridor); 연결통로는 핵심(거점)지역 사이를 연결 하는 길쭉한 형태의 공간으로, 생물종 및 유전자의 이동과 확산, 에너지의흐름통로, 경관연결 등의기능을 한다. 연결 통로는 일반적으로 선형이지만, 대규모 면적(matrix, landscape corridor)일수도, 징검다리(stepping stone)일 수도 있다. ④ 복원지역 또는 자연창출지역(nature development

area); 생태네트워크에서 복원지역을 별도로 선정하여 기존

구역의 확대, 또는 지속가능한 생존을 보장하는 구역으로 역할을 부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는 견해가 있다.2) 즉, 현 상태에서는 핵심지역 또는 연결통로의 기능이 미약하지만 장래의관리개선및 복원을통하여그기능을발휘할수있 는 지역이다.

3. 국립공원 중심의 생태네트워크 구축 필요성

국립공원은 자연공원법에 ‘국가의 대표적 자연생태계 또 는 자연·문화경관’으로정의되어 있으며, 우리나라에서가 장넓은 보호지역으로(6,656 km2/육상 3,902 km2, 해상 2,754 km2) 전국에 고루 21개소가 지정되어 있다. 국제자연보전연 맹(IUCN)에서는 국립공원을 ‘상당한 면적의 자연생태계가 개발이나 점유에 의해 큰 변화를 입지 않고, 생물종·서식 지·지형 등이 과학적·교육적·위락적 가치가 있거나 매우 아름다운자연경관을지닌지역’이라고 정의하고있다. 그러 나 전세계적으로 국립공원을 비롯한 보호지역 대부분은 인 위적인 개발과 과도한 방문, 밀렵, 외래종 칩입, 기후변화, 환경오염, 도시개발에 의한 고립화 등으로 본래의 자연생태 계와 생물다양성이 상당한 위협에 직면해 있다. 이와 관련,

2003년 제5차 세계공원총회에서는 공원이 하나의 섬으로 존

재해서는 안되고, 광역경관에서 연결매개체기능을 하도록

1)Kalev Sepp. 2002. Development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s in the Baltic Countries in the framework of the Pan-European Ecological Network. IUCN: p. 5.

(3)

계획·관리되어야한다고3)생태네트워크 필요성을강조하였 다. 우리나라의 경우, 이용광은 국내주요보호지역의 관리 상태를 비교분석한 결과 생태계 단절에 의한 큰 피해가 우 려된다고 지적하여4) 생태네트워크 필요성을 제기하였고, 권 혁수는 3개 국립공원(지리산·덕유산·가야산) 인접지역에 대 한 ‘생물다양성 통합평가모형(종풍부도·주요종·대표성·희 귀성·연결성)’을적용한결과, 야생동물이동로확보를위한 지리산과 덕유산 사이의 징검다리 산림필요, 백두대간 축 에서 동떨어져 있는 가야산의 국지적 고립을 막기 위한 덕 유산과의 연결성 증진, 지리산의 대체서식지로서 백운산과 의 연결성 확보가 필요하다고 지적하여5) 국립공원과 주변 자연지역의 연결성을 증진시키는 생태네트워크 필요성을 제 기하였다. 국토 생태네트워크에서 국립공원이 핵심지역이 되어야할 구체적인 사유는다음과같다.

1) 국립공원의 상징성과 생물다양성

국립공원은 우리나라의 보호지역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고 있고, 산림·습지·농지·하천·해안·사구·바다·

섬 등 여러 종류의 생태계가 다양하게 어우러져 있으며, 국

내 생물종의 약 41%(15,944종), 멸종위기종의 약 59%(145

종)가 전국 21개 국립공원에 서식하고 있다는 점에서 우리 나라의 생태계다양성을 대표하고 있다. 그러나 각 공원에 탐방압력 및 개발압력이 상존해있고, 고립화 현상이 심화되 고 있다는 점에서 각 공원을 생태적으로 연결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특히 반달가슴곰, 산양, 광릉요강꽃 등 대부분의 멸종위기종이특정지역에만 서식하는경우가많아 생태네트 워크구축에의한이들의 서식범위확대가 필요하다.

2) 한반도 핵심생태축에서 국립공원의 위치

백두대간 생태축의 경우 7개의 국립공원이 위치하여 백두 대간보호지역 총면적의 48%를 차지하고 있고, 백두대간 정 맥에는 5개의 국립공원이 위치하여 각각 권역별 핵심지역으 로역할을 하고있으며, 도서연안 생태축에는 4개국립공원 이 위치하고 있다. 이를요약하면, 그림 1과 같이, 전국 20 개 국립공원 중 18개 공원이 한반도의 주요 생태축에 위치 해 있으므로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은 필 연적이라고 볼 수 있다.

3) 국립공원의 관리수준

전국에많은보호지역이지정되어 있지만, 국립공원을제 외하고 실제적이고 전문적인 관리를 하는 곳은 많지않다.

국립공원은공원계획과공원별 보전·관리계획에의거체계 적으로관리되고 있어국제자연보전연맹(IUCN)에서는한국 의 20개 국립공원 중 15개 국립공원을 국제적 수준의 국립 공원인 ‘카테고리(Category) II’로 인증하였다. 또한, 2005년 도 국정감사에서 국립공원관리공단이 국가의 보호지역을 총 괄 관리할 것을 권고한 바 있으며6), 관련 연구에서도 보호 지역관리에많은노하우를 축적하고, 관리인원이전국적으 로 배치된 국립공원관리공단의 기능을 확대하여 환경부가 관리하고 있는 전체 보호지역을 담당하게 하는 것이 효율적 이라고 제시한 바 있다.7) 연안과 갯벌지역에 대하여도 “지 방자치단체는 개발압력을 드세게 받으므로 국가에서 통일성 을 갖고 관리하는 국립공원 지정이 바람직하다.”8)는 의견이 제기된바 있다.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방안 우리나라에는 국토생태네트워크의 기본구상으로 ‘한반도 생태축 구축방안’이 마련되어 있는바, 본 연구에서는 이 구 상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더 유용한 대안을 제시하는 측면에 서 국립공원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를 제안하고자한다. 1. 한반도 생태네트워크(생태축) 현황 및 문제점

우리나라에서 생태네트워크는 1995년 환경부의 ‘전국 그 린네트워크 구상’으로 시작되어, 2003년 ‘백두대간 보호에 관한 법률’ 제정에 의해 대규모 생태축 보호개념이 도입되

었고, 2006년 자연환경보전기본계획(2006~2015)과 2009년

‘국가생물다양성전략및 이행계획’의주요 전략으로생태네

2)최준영. 2005. 동북아생태네트워크형성을위한국제협력방안연구.

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27.

3)Graham Bennet. 충남발전연구원번역. 세계의생태네트워크에서배우

생물다양성보전(Integrat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1-6(일부편집).

4)이용광. 2010. 생물종다양성증진을위한보호지역의관리개선방안에

관한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47-48.

5)권혁수. 2011. 보호지역계획을위한생물다양성통합평가모형. 서울대

학교 대학원 박사학위논문: 101-102.

6)국회. 2005.9.29. 국정감사 회의록. 그림 1. 한반도 3대 핵심생태축과 국립공원.

(4)

트워크 개념이 포함되었으며, 2010년에 ‘한반도 생태축 구 축방안’이수립되었다. 이 ‘한반도 생태축구축방안’은① 3 대 핵심생태축(백두대간·DMZ·도서연안) 관리를 강화하고,

② 전국토를 5대 광역생태권(한강·수도권, 태백·강원권, 낙 동강·영남권, 영산강·호남권, 금강·충청권)으로 구분하며,

③ 3대 핵심생태축과 5대 광역생태권 간 연결지점의 보전·

복원을통해산-강-바다로이어지는 한반도생태네트워크를 완성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이 방안은

① 동서(DMZ)·남북(백두대간) 및 중심축(백두대간)·외곽 축(도서연안)을 연결한다는 도식적 측면이 강하고, ② 도서·

연안생태축은 섬생물지리학적 가치, 식물구계(植物區界)적 가치, 사구생태계 등에 대한 고려가 부족한 채9) 설정하였으 며, ③ 5대 광역생태권은 행정권 및 생활권을 중심으로 구 분되어 생태적 논리성이 부족하다는 문제점을 갖고 있다. 따라서 전국토에서핵심(거점)지역과 완충지역, 연결통로를 구체적으로 설정한 광역생태권 설정이 필요하며, 이들 광역 생태권을 통합하는 국토생태네트워크 계획이 국가의 환경계 획과 국토계획에 공히 반영되어야 한다.

2. 국토 생태축, 광역생태권 재설정

1) 국토생태축 재설정

그간 국토생태축 논의는 백두대간, DMZ, 도서·연안의 3 대 핵심축에서 크게 벗어나지 않고 있다. 그러나 백두대간 은 이미 많은 도로와 시설, 점유 등에 의해 단절되거나 파

편화되어 있고, DMZ 일원은 관련기관별로 다양한이용계

획을 갖고있어 생태축으로서의지리적연속성을유지할수 있을지장담할 수없다. 또한동·서·남해는 각각별도의기 후적·지형적·경관적 특징을 갖고 있으므로 하나의 동질적 인 생태축으로 고려할 타당성이 크게 부족하다. 따라서 기 존의 3대 핵심생태축을 보완하는 새로운 구상이 필요하다.

우리나라 산맥체계에서 1차 산맥인 태백산맥, 소백산맥을 척량산맥, 즉 ‘등줄기 산맥’으로 규명한 연구(권혁재)가 있 는데10), 여기서 낙동정맥을 백두대간 수준의 ‘등줄기 산맥’ 으로 보고 있는 것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박창석 등11)은 시·군 단위의 행정구역별 자연자원 분포특성을 유형화함에 있어 생물종 및 유전자 자원의 우수성을 들어 낙동정맥을 중요한 ‘자연자원 축’으로 설정하고 있다. 또한 이 낙동정맥 일원에 주왕산, 경주(단석산 지구) 국립공원과 가지산 도립 공원을 비롯한 해발 1천m 이상의 일월산, 백암산, 영축산 등이 위치하여 영남권 지형을 동고서저(東高西低)로 크게 분할하고 있다. 이상과 같이 낙동정맥을 백두대간과 동일한 위상에서 하나의 핵심생태축으로 선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판단된다.

한편, 산경표(山徑標)의 산줄기에서 호남정맥의 남부해안 지역과 낙남정맥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즉, 이 두 정맥은

우리나라 기후대와 식생대에서 남부해안 지역의 아열대성 기후 및상록활엽수림대특성을 구분하는일종의경계선역 할을 하고 있다. 따라서 이 지역 일원을 핵심생태축으로 설 정하여 남해안의 육상-해상-도서생태계를 연계적으로 관리 하는 체계를 구축할 필요성이 있다. 이에 따라 기존의 도 서·연안 생태축을 갯벌과 습지, 모래해안 중심의 ‘서해안 생태축’, 아열대성기후대 및상록활엽수림대를중심으로한

‘남해연안·도서 생태축’으로구분하고자한다. 동해안은생 태축과는 다른 개념인 경관축으로 관리하는 것이 타당하다 고 판단된다. DMZ 생태축은 현재의 협소한 폭(2~4 km)과 인간간섭(군사진지, 펜스설치, 산불놓기, 벌채 등)을 고려할 때, 남방한계선 이남의 민간인 통제구역 일원(5~20 km)을 생태축에 포함시켜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검토사항을 종합하여백두대간, 낙동정맥, DMZ, 서해안, 남 해연안·도서를한반도의 5대 핵심생태축으로 재선정하고자 한다.

2) 광역생태권 재설정

생태권(ecoregion)은 지형·지리적 기후반응의 동질성에 따 라 구분하는 공간단위이며, 자연환경 관리를 위한 자연적 속성의 동질성이 되는 기준단위로서 그 규모는 대략 100~

10,000 km2 정도이다12). 이와 관련, 영국은 전국토를 자연특

성에 따라 92개의 지역으로, 일본은 10개 지역으로 구분하 여 관리하고 있으며13), 캐나다는 전국토를 경관·생태적 특 징에 따라 39개 지역(Natural Region)으로 나누고, 각각의 지역에 1개이상의국립공원을 지정하여14)핵심지역역할을 하도록하고있다. 우리나라의 연구사례를 살펴보면, 신준환 은 자연·인문지리적요소를결합하여전국을산악권역(태백 산맥 고지대 위주), 남동산야권(백두대간 동쪽 영남지역 위 주), 남서산야권(호남·충청지역 위주), 중부산야권(백두대간 서쪽 경기, 강원지역 위주), 해안 및 도서지역 등 5개 권역 으로 구분한 바 있으며15), 이우철 등은 한반도의 식물구계 (植物區界)를 8개 지역으로 구분하였고16), 공우석은 식물분 포 및 식물종 구성측면에서 한반도를 8개의생물지리구로 구분하였으며17), 국립환경연구원은 전국을 21개 생물기후권 역으로 구분18)한바 있다.

이상의 검토를 토대로, 연속된 고지대 지형이 다른 저지 대 지역과 차별성이 큰 백두대간을 중심으로 하나의 생태권 을 설정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된다. 이 백두대간 생태 권은백두대간 생태축을 중심으로 동쪽의 영동지역을 모두 포함하고, 동서·남북방향으로 연결성이 좋은 강원도 영서지 방 고지대 산악지역을 대부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이 경 우 백두대간 생태권의 영서지방 경계는 1,000m 이상 고지

7)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선진외국보호지역관리기법연구: 145.

8)고철환. 1998. 해양생태계보전과갯벌관리. 해양 21세기. 나남출판: 14.

9)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연안완충공간의보전관리에관한연구: 247(일부편집).

10)이승호. 2010. 자연과의대화, 한국. 황금비율: 25-26.

11)박창석 외. 2010. 국토자연자원의 현명한 이용전략 수립 II. 한국환경 정책평가연구원: 84.

12)신준환. 1997. 산림생태계 구분체계. 월간 임업정보: 25.

(5)

대 축을 중심으로 설악산국립공원 서쪽 경계-인제 내린천- 방태산(1,443m)-평창계방산(1,577m)-가리왕산(1,561m) 동쪽 경계-정선 노추산(1,322m)-민둥산(1,117m)-태백 함백산

(1,572m)-태백산(1,567m)으로 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판단된

다. 태백산 이하 남부지역에서는 마루금을 중심으로 최소 좌우 15 km 이상의 폭(총 30 km 폭)을 갖는 매트릭스

(matrix)형이되는것을원칙으로하고자 한다. 다음은 백두

대간생태권을중심으로동쪽의 ‘영남·동해안 생태권’, 서쪽 의 ‘호남·충남 생태권’을 구분하고자 한다. 이 두 생태권은 같은 남부온대성 기후를 가지면서 낙엽활엽수림대로 이루어 진 지역이나, 백두대간에 의한 지리적 구분과 인문환경적 차이가 두드러진다. 영남·동해안 생태권은 낙동정맥 생태축 을 중심으로, 호남·충남생태권은 한남금북정맥과 호남정맥 의남북축을중심으로 생태권을형성한다. 백두대간생태권 의북부지역서쪽과 호남·충남생태권의북쪽지역(경기, 충 북, 강원 영서)은 북서온대지역 특성을 가진 낙엽활엽수림대 로서, DMZ 생태축을 북쪽 경계로 한 이 지역을 ‘중부생태 권’으로 명명하고자 한다. 이 생태권의 주요 생태축은 한북 정맥과 한남정맥, 그리고 한강수계이다.

호남정맥의남쪽 동서축과낙남정맥의 남쪽은 ‘남해연안·

도서 생태권’으로구분하고자한다. 이 지역은아열대성기 후 및 남방계 상록활엽수림으로 대표되는 특성을 갖추고 있 어 서해안과 별도 지역으로 분류하는 것이 합당하다고 본다.

이 지역의 서쪽 끝은 월출산-영암호-영산강으로 이어지는 지형을 따라 경계를 짓고, 동쪽 끝은 낙동강 하구, 즉 낙동 정맥과마주치는지점으로하는것이합리적으로판단된다. 마지막으로, 백령도지역과한강하구에서영산강 입구까지의 서해안 지역을 ‘서해안 생태권’으로구분한다. 서해안 지역 은 굴곡이 많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으로 갯벌과 모래가 풍부한 사빈, 사구가 남북으로 길게 이어져 있다. 이 서해안 생태권은 해역-도서-조간대-갯벌-사빈-사구-배후습지·농지·

산림 등의 수평적 경관요소들을 ‘서로 영향을 주고받는’ 하 나의시스템으로설정하여 권역화하여야한다.

이상의검토사항을종합하여 표 1, 그림 2와 같이한반도 5대 핵심생태축과 6대 광역생태권을 제시하였다. 6대 광역 생태권의 각 경계는 백두대간과 그 정맥 및 지맥의 지리적 범위를 따르고, DMZ는 민간인통제구역 경계선을 따르는 것 을 원칙으로 한다.

3.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성요소 기준 선정 1) 핵심지역-거점지역(core area)

① 대상지역 선정:핵심·거점지역은생물다양성, 종공급 가능성, 보전가치 평가 등의 기준을 정하여 선정하는 것이 원칙이지만, 국토생태네트워크 수준에서는 공간적 위계(위 치·면적·법정 보호지역·관리수준 등)를 고려하는 것이 보 다 현실적, 합리적으로 사료된다. 따라서 우리나라 보호지역 에서 단위면적이 가장 크고, 생물다양성이 가장 풍부한 국 립공원을 핵심지역으로, 국립공원에 준하여 보전할 필요성 이 있는보호지역을거점지역으로 선정하고자한다. 거점지 역 대상에는 법정 자연공원(도립/군립공원), 생태·경관보전 지역, 습지보호지역, 야생동식물특별보호구역 등이 있다.

② 면적 규모: 광역생태네트워크 수준에서 핵심녹지는

5 km2 이상, 거점녹지는 1 km2 이상의 면적이 제시된바 있고,

대형초식동물 1,000개체 유지를 위하여 100 km2 이상, 대형 육식동물의 경우 10,000 km2 이상의 면적이 요구된다고 하

였으며(환경부, 2004)19), 지리산국립공원에서 반달가슴곰의

연간 행동권은 130.10±73.97 km2로 분석되었고20), 대형조류 의 경우, 검독수리는 80~120 km2, 참매는 40~80 km2의 행동 권을 갖는다21)고 하였다. 이처럼, 핵심지역 면적은 지역의

13)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국토생태네트워크의추진전략에관한 연구: 71-72.

14)Parks Canada Agency. 2010. Corporate plan 2010-2015: p.7.

15)신준환 등. 1996. 우리나라의 생태계 구분(I). 산림과학논문집: 197.

16)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 출판부

17)공우석. 1989. 한반도생물지리구의설정과구성. 지리학 40: 51-52.

18)국립환경과학원. 2007. 기후변화민감생태계연구기법연구(I): 25.

표 1. 기존 한반도 핵심생태축, 광역생태권과 본 연구와의 비교.

구분 기존 본 연구 비고

생태축

백두대간 백두대간 낙동정맥

DMZ DMZ 민간인

통제구역 포함 도서연안 서해안

남해연안·도서

광 역 생 태 권

태백·강원권 백두대간 생태권 폭 확대 한강·수도권 중부 생태권

금강·충청권

낙동강·영남권 영남·동해안 생태권 영산강·호남권 호남·충청 생태권

남해연안·도서 생태권 서해안생태권

그림 2. 한반도 5대 생태축과 6대 광역생태권.

(6)

공간스케일 및 목표종에 따라 다르나, 대형포유류 서식처로 서 최소 100 km2 이상의 면적을 확보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 일 것이다. 그러나 집약적인 토지이용을 하는 우리나라 국 토환경에서 100 km2이상의면적 확보는쉽지않은 것이현 실이므로, 광역생태네트워크 스케일에서 환경부에서 정한 핵심녹지 5 km2, 거점녹지 1 km2의 면적기준을 국토생태네 트워크 스케일에서는 각각 50 km2, 10 km2로 정하는 것에는 무리가 없다고 사료된다. 단, 습지보호지역은 내륙습지의 경 우습지경계를 포함한 면적 1 km2이상을, 연안습지의경우

10 km2 이상을 지역 실정에 맞게 핵심 또는 거점지역으로

선정하는 것이 합리적이다. 이상을 정리하면 다음 표 2와 같다.

③ 핵심(거점)지역 간 거리: 국토생태네트워크 수준에서 핵심(거점)지역 간의 거리는 각 핵심지역의 생태적 유사성 을 고려할 필요가 있다. 백두대간에 있는 7개의 국립공원

중 소백산-월악산-속리산 간의거리는 각각 17, 30 km이고,

설악산-오대산 거리는 36 km, 지리산-덕유산 거리는 53 km

로서 이들 인접한 공원끼리는 서로 생태적 유사성과 연결성 이 비교적 양호한 편이다. 반면에 오대산-소백산의 거리는

162 km, 속리산-덕유산의 거리는 142 km로서 이들 공원 사

이에는 생태적 유사성이 상대적으로 적은 편이다. 이런 거 리기준으로볼 때백두대간과같이 연속된산지에서는최소

한 50 km 이내의거리로핵심(거점)지역선정이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이를테면, 월악산국립공원에서방사한 산양중 일부 개체가 영역범위를 넘어서 12 km에서 24 km까지 이동 하여 서식하는 것이 확인된바 있고22), 산양이 서식하지 않는 속리산 지역에서 산양 사체가 발견되어(2010.11.16 연합뉴스)

이를그 지점에서약 40 km 떨어진 월악산에서 이동한개체

라고추정한 사례가 있다. 따라서 백두대간, 낙동정맥, DMZ

등 자연환경이 비교적 양호한 지역에서는 핵심(거점)지역 간 거리기준을 50 km로 설정하고 지역 여건에 따라 40~60 km로 신축적인 적용을 하는 것이 합리적으로 사료된다. 그 러나 한북정맥 수도권이나 낙남정맥과 같이 저지대 야산으

로 이어져 도시화 또는 경작지화 된 지역은 연결간격을 상 당히 좁혀야 네트워크 기능을 발휘할 수 있을 것이므로 이

런 지역은 20~30 km 내외의간격설정이 타당할것으로판

단된다.

2) 완충지역(buffer zone)

① 대상지역 선정: 완충지역은 도시지역, 도로 등으로부터 의 영향을 차단 또는 저감할 수 있는 마을숲, 2차림 지역, 경작지, 유휴농지등을 우선고려하고, 수계에서는핵심지역 내부의 1차 수계와물리적·생물적 상호작용을하는외곽의 2, 3차 수계지역을기본적인후보지로 선정할 수있다.

② 완충지역의 범위: 환경부의 자연경관심의제도를 살펴 보면, 보호지역으로부터 일정거리 이내의 개발사업을 할 때 자연공원은 1~2 km 이내, 생태·경관보호지역은 0.5~1 km 이내, 습지보호지역은 300m 이내인 경우 자연경관심의를 받도록 되어 있는바 여기서의 ‘일정거리’를 완충지역 개념 으로볼 수 있다. 하천의 경우에는 ‘한강수계 상수원수질개 선 및 주민지원 등에 관한 법률’에 의거 특별대책지역은 그 하천·호소의 경계로부터 1 km 이내 지역, 특별대책지역 이 외 지역은 0.5 km 이내 지역을 수변구역으로 지정한다고 규 정되어 있는바, 이 수변구역 범위를 완충구역으로 간주할 수 있다23). 한편, 백두대간의 지리적 범위에 관한 연구24)

서 표고 200m 이상 지역에 대해 수치지도작업을 한 결과

바람직한 관리범위는 568,549ha로, 이는현재백두대간보호 지역 면적(263,427ha)의 약 2.2배이었다. 이와 관련, 신준환25) 은 식생지리인자를 기준으로 백두대간 북부권역은 해발 700m 이상, 중부권역은 해발 500m 이상, 남부권역은 해발 600m 이상을 관리범위로 하는 것이 타당하며, 핵심종인 삵의 서 식범위(6~7부능선)를 고려하여마루금에서좌우 5 km 이상 을 관리범위(핵심 및 완충지역)로 지정하는 것이 타당하다 고 제안하였다. 이상의 검토결과, 핵심지역은 녹지의 경우 최소 2 km 이상, 거점지역 및 연결통로는 1 km 이상의 완충 지역이 요구되고, 하천 및 습지의 경우에는 수변경계로부터 핵심지역 1 km 이상, 거점지역 0.5 km 이상의 완충지역이 요구된다. 또한, 백두대간에서의 핵심지역은현재처럼 좌우 표 2. 핵심지역, 거점지역 면적기준.

보호지역 구분 국토생태네트워크

핵심지역 거점지역 비고

자연공원 국립공원 50 km2 이상 - 21개 국립공원 전체 해당

도립, 군립공원 국립공원과 동일 생태축에

위치한 50 km2 이상 10 km2 이상 핵심지역 해당지역은 국립공원으로 승격 필요

생태경관보전지역, 기타 산악지역

습지보호구역 내륙습지 1 km2 이상

연안습지 10 km2 이상

DMZ 동부-중부-서부 지역에 최소한 1개 이상씩의 핵심지역(국립공원) 및 핵심지역 사이에 다수의 거점지역(생태경관보전지역 등) 지정 필요

19)김시정. 2009. 생태적토지이용을위한광역생태네트워크구축기법

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51-52.

20)양두하. 2008. 지리산국립공원에방사된반달가슴곰의생태적특성에

관한연구. 경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49-67.

21)이우신. 2010. 야생동물생태관리학. 라이프사이언스: 93.

22)국립공원관리공단. 2010. 산양서식실태조사연구모니터링결과: 49-61.

(7)

300, 700m의 획일적 기준을 탈피하여 최소한 좌우 2 km 이 상의 충분한 폭을 갖도록 재설정하고, 완충지역은 핵심지역 경계로부터 2 km 이상 범위에서 각 지역의 토지이용현황을 고려하여 재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사료된다. 이상의 검토결과를정리하면 다음표 3과 같다.

3) 연결통로(corridor)

연결통로의 위치, 규모, 모양 등은 지형여건과 목표종의 행동특성을 파악하여 계획하여야 하나 우리나라의 경우 이 미 많은 자연통로가 단절되어 있고, 목표종에 대한 행동연 구도 매우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국토 생태네트워크 수 준에서연결통로는대상지역의토지이용및 경관의연속성, 단절지역 연결가능성 등을고려하여 선정하는 것이 현실적 일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각 핵심지역과 거점지역 사이의 지형적, 경관적 연결성을 고려하여 연결통로를 설계하되, 가 급적 산맥체계를 따라 백두대간과 정맥을 잇는 큰 산줄기와 4대강을비롯한 1차하천을대상으로 연결통로를확보하고, 그규모(폭)는 「2) 완충지역」에서논한바와같이 산악형 연결통로는 마루금에서 좌우 2~4 km, 하천형 연결통로는 하천경계로부터 0.5~1 km 범위를 기준으로 하는 것이 타당 하다고 사료된다.

4. 핵심지역 및 거점지역 선정

1) 백두대간 생태권

백두대간보호지역내에서국립공원이외 지역은단절되거 나 파편화된 지역이 많으며, 현행 법령 상 지나치게 허용행 위가 많아 핵심생태축으로서 기능을 유지하기 어렵다. 특히 지리산의 반달가슴곰, 설악산과 월악산의 산양, 소백산의 여 우등 대형포유류복원사업의성공을위해서는이들의이동 과 유전자 교류를 원활하게 하기 위한 보호지역 추가지정 및다수의 이동통로조성이필요하다. 핵심지역 대상은 7개 국립공원을 비롯하여 DMZ·향로봉, 청옥산·두타산, 태백 산도립공원으로, 이들 3개 지역은 엄정한 보전을 위한 국립

공원 지정이 필요하다. 한편, 덕유산국립공원 인근의 가야산 국립공원을 백두대간 생태권 내에서 네트워크화 할 필요가 있으므로 중간위치에 있는 수도산(1,317m)을 거점지역으로 선정하여 덕유산과 가야산을 연결할 필요가 있다.

2) 중부 생태권

① 영서산악지역: 이 지역의 남부(영동고속도로 이남) 생 태축은 백두대간에 인접한 지형조건을 감안할 때 동서방향 연결이, 북부는 DMZ 생태축을 향해 남북방향 연결이 타당 하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치악산국립공원은 백덕산, 가리왕 산을 거점지역으로 연결하여 백두대간 생태권에 연결되도록 하는것이합리적으로사료된다. 가리왕산은생태적가치가 높아 인근의증왕산과 청옥산을 묶어국립공원화 할필요성 이 있고, 하천축이 단절되지 않고 생물다양성과 지형경관이 우수한 동강 유역(생태·경관보전지역/65 km2) 수계를 국립 공원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② 한북정맥 지역: 북한산국립공원의 북쪽(의정부, 양주 방향) 및 서쪽(고양, 파주 방향)의 도시화된 저지대 정맥을 복원하여 북한산국립공원의 고립화를 방지하는 것이 관건이 다. 즉, 핵심지역인 DMZ·대성산(국립공원 신규지정)과 북 한산국립공원 사이에 5개의 거점지역, 북한산국립공원과 곡 릉천 사이에 2개의 거점지역을지정하여생태축의연결성을 강화할 필요성이있다.

DMZ·향로봉(1,296m)-설악산국립공원(1,708m)-오대산국립공원 (1,539m)-동해 청옥산(1,404m)·두타산(1,353m)-태백산도립공원 (1,567m)-소백산국립공원(1,440m)-월악산국립공원(1,094m)-속리 산국립공원(1,058m)-영동 백화산(933m)-김천 황악산(1,111m)-영 동 민주지산(1,242m)-덕유산국립공원(1,614m)-장수 장안산(1,237 m)·백운산(1,279m)-지리산국립공원(1,915m)/가야산국립공원(백 두대간권에 연결)

치악산국립공원(1,282m)-평창 백덕산(1,350m)-정선 가리왕산 (1,561m)·증왕산(1,376m)·청옥산(1,256m)-<백두대간 생태권으 로 연결>

DMZ·화천 대성산(1,175m)-<수피령>-17.5 km-화천 광덕산(1,046 m)-37 km-가평 운악산(945m)-22 km-포천 죽엽산(622m)-23 km-양 주 불곡산 임꺽정봉(449.5m)-14 km-북한산(도봉산)국립공원(721 m)-11.8 km-<고양 숫돌고개>-10.7 km-고양 고봉산(206m)-12.5 km-장명산(102m)·곡릉천

23)성현찬. 2010. 자연환경보전지역설정기준에관한기초연구. 환경

복원녹화 67: 5-6.

24)국립산림과학원. 2010. 백두대간의지리적범위규명훼손지의

태적복원모델개발: 53.

25)신준환. 2004. 백두대간관리범위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지 18

2: 201-202.

표 3. 완충지역 거리 기준.

구분 국토생태네트워크 완충지역

핵심지역 경계로부터 거점지역 경계로부터 연결통로 경계로부터

산악,녹지 지역 2 km 1 km 1 km

하천, 연안 지역 1 km 0.5 km −

습지보호지역 지역 습지보호지역내에 이미 완충공간이 설정되어 있으나 주변여건을 고려하여 완충지역 확대가 필요

백두대간, DMZ 2 km − −

(8)

3) 영남·동해안 생태권

백암산, 가지산도립공원, 낙동강 습지보호지역과 왕피천 유역을 국립공원화 하여 낙동정맥축-왕피천-동해안으로 이 어지는 수계유역을 보전할 필요가 있다.

4) 호남·충남 생태권

이지역에서는계룡산국립공원이위치한금남정맥과내장 산국립공원이있는호남정맥의 연결성강화가중요하며, 내 장산국립공원과 변산반도국립공원과의 네트워크화도 필요 하다.

호남정맥에서는 내륙의 남북방향축과 남해안 동서방향축 의 결절점인 제암산까지를 호남·충남 생태권으로 정한다. 이 지역에서는 서해안에 동떨어져 고립화 위험이 있는 변산 반도국립공원과 선운산 도립공원을 내장산에 연결하는 소생 태축 구축이 필요하다.

5) 남해연안·도서 생태권

① 호남정맥 지역: 생태적 가치가 높고 호남정맥의 종점 인 백운산과 경관이 우수하고 송광사, 선암사 등 전통사찰 이 소재하고 있는 조계산도립공원의 국립공원 지정이 필요 하다.

② 낙남정맥 지역: 낙남정맥은 대부분 낮은 산지와 경작 지로 이루어져 있고, 다수의 도로와 도시근교를 횡단하고 있어계획적인 정맥복원과 다수의 동물이동통로 조성이필 요하다.

③ 월출산국립공원 지역: 호남정맥과 동떨어진 곳에 위치 하여 고립화되고있는월출산국립공원을남해연안의두륜산 도립공원및천관산도립공원과연결하여하나의소생태권을 구축할필요성이 있다. 또한두륜산도립공원은인근의달마 산과 묶어 국립공원으로 지정할 필요성이 있다.

④ 남해연안·도서 지역: 이 지역에서 순천만은 생태적·

경관적 가치가 우수하여 국립공원으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6) 서해안 생태권

이 생태권에서는 DMZ 파주지역과 한강하구 습지보호지 역을 묶어 국립공원으로 지정하고, 서해안 최대의 갯벌지역 인 강화군 볼음도·서도·주문도를 최초의 갯벌국립공원으 로 지정할 필요가 있다. 태안해안국립공원은 인근의 가로림 만과 천수만을, 변산반도국립공원은 줄포만과 고창갯벌을 각각 편입시켜 육상-연안-해양지역을 통합적으로 관리하는 것이합리적이다.

이상 국립공원 중심의 국토생태네트워크 구축을 위한 핵 심지역(38개소) 및 거점지역(60개소) 선정현황은 다음의 표 4와 같다. 호남·충남 생태권과 남해연안·도서 생태권에 거 점지역을 상대적으로 많이 선정한 것은 각 생태축(정맥)의 태백 매봉산(1,303m)·천의봉(1,145m)-21 km-삼척 면산(1,245m)-

35.5 km-울진 통고산(1,066m)·왕피천 유역(103 km2)-36 km-<영양 한티재>-23 km-백암산(1,003m)-32 km-영덕명동산(812m)-20 km- 주왕산국립공원(721m)-35 km-포항 침곡산(725m)-16.5 km-포항 운주산(806m)-27 km-경주 어림산(510m)-34 km-경주국립공원 단 석산(827m)-33 km-가지산도립공원(1,240m)-28km-울산 정족산 (700m)-30 km-산 금정산(802m)-27 km-낙동강하구 습지보호지역· 철새도래지(37.7 km2)

계룡산국립공원(845m)-31.3 km-대둔산도립공원(878m)-31 km-진 안 운장산(1,126m)-12.6 km-<모래재>-32 km-마이산도립공원(690 m)-21.5 km-진안 팔공산(1,148m)-23 km-<백두대간 생태권; 함양 영취산(1,076m)>

장흥 제암산(807m)-20 km-보성 봉화산2(475m)-22.5 km-보성 존제 산(704m)-23 km-조계산도립공원(884m)-20 km-순천 바랑산(620m)- 28.5 km-광양 백운산(1,218m)

<지리산 영신봉>-<고운등재>-27 km-<마곡고개>-15 km-진양호(야 생동식물특별보호구역/26.2 km2)-23 km-사천 무선산(277.5m)-26 km-고성 무량산(583m)-34 km-함안 여항산(770m)-21 km-마산 무 학산(761m)-32 km-창원 대암산(670m)-32 km-김해 신어산(631m)· 동신어산(459m)·낙동강-<낙동정맥의 금정산과 이어짐>

월출산국립공원(813m)-<밤재>-해남 서기산(511m)-주작산(475m)- 두륜산도립공원(700m)·달마산

월출산국립공원(813m)-<풀치재>-강진 수인산(562m)-장흥 괴바위 산(477m)-천관산도립공원(723m)

다도해국립공원 - 한려해상국립공원

신안 증도 갯벌(31.3 km2)-영암호·압해도 철새도래지-진도 갯벌

(1.4 km2)-순천만 갯벌(28 km2)-보성·벌교 갯벌(10.3 km2)

백령도·대청도 연안- DMZ 파주지역·한강하구 습지보호지역(60.1

km2)-강화군 볼음도·서도·주문도 갯벌-옹진 장봉도 갯벌(68.4

km2)·대이작도 주변해역(55.7 km2)-인천 송도갯벌(6.1 km2)- 태안 해안국립공원·가로림만·천수만-서천 갯벌(15.3 km2)-변산반도 국립공원·줄포만 갯벌(4.9 km2)·고창 갯벌(10.4 km2)-무안 갯벌 (42 km2)

완주 주화산(565m)-29 km-<쑥재>-11 km-완주 오봉산(513m)·옥 정호-13 km-내장산·백암산국립공원(763m)-16 km-담양 추월산 (731m)-15.5 km-순창 강천산군립공원-23 km-담양 서암산(456m)- 13 km-곡성 만덕산(575m)-23.5 km-무등산국립공원(1,187m)-22.5 km-화순 천운산(602m)-26.5 km-보성 봉화산1(468m)-23 km-장흥 가지산(511m)-19 km-<장흥 제암산(807m)>

변산반도국립공원(508m)-정읍 두승산(444m)-방장산(743m)-내장 산(백암산)국립공원(763m)

선운산도립공원(336m)-방장산(743m)-내장산(백암산)국립공원 (763m)

(9)

연결성이 그만큼취약하기 때문이다.

결 론

전세계적으로 생물다양성 유지 및 증진은 국가의 가장 중 요한 정책이 되고 있으며, 이를 위해 법정 보호지역을 최대 한확보하고기존의파편화된생태계를네트워크화 하여통 합적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은 필수적이다. 우리나라의 경우 가장 큰보호지역면적과생물다양성을보유하고있는 국립 공원을 중심으로 광역생태권을 설정하고, 이를 국토생태네 트워크로 통합하는 그랜드 플랜을 추진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에서는 기존의 ‘한반도 생태축 구축방안’의 3대 핵 심생태축, 5대 광역생태권의 문제점을 보완하여 5대 핵심생

태축(백두대간, 낙동정맥, DMZ, 서해안, 남해연안·도서)과

6대 광역생태권(백두대간권, 중부권, 영남·동해안권, 호남·

충청권, 서해안권, 남해연안·도서권)을 제시하였다.

생태네트워크의 구성요소인 핵심(거점)지역-완충지역-연결 통로의 선정기준에 대하여 핵심지역은 50 km2 이상, 거점지 역은 10 km2이상의 면적기준을 제시하고, 습지의 경우에는 내륙습지는 1 km2 이상, 연안습지는 10 km2 이상으로 선정 하는 것을 합리적으로 보았다. 핵심(거점)지역 간 거리는, 백두대간 내에서 인접한 국립공원의 거리별 생태적 유사성 을 고려할 때, 백두대간과 같이 자연환경이 양호한 지역에 서는 50 km를 기준으로 40~60 km로, 한북정맥의 수도권과 같이 생태적 연결성을 많이 상실한 지역에서는 20~30 km로 탄력적으로 설정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보았다. 완충지역에 대하여는 핵심지역 경계로부터 산악지역은수평거리 2 km, 연안지역과 하천지역은 1 km로 설정하고, 거점지역은 각각

1 km, 0.5 km로 설정하는 것을 합리적으로 보았다. 연결통로

의 폭에 대하여는 최소한의 생태적 기능을 갖도록 산악지역 에서는 2~4 km, 하천에서는 0.5~1 km를 기준으로 정하였다.

이상과같은기준을토대로, 6대광역생태권에서 총 38개 의 핵심지역과 60개의거점지역을 선정하였다. 핵심지역중 20개소는 기존 국립공원이고, 나머지 18개소 중 16개소는

표 4. 핵심지역-거점지역 선정 현황.

구분 핵심지역

소계 기존 국립공원 신규지정 대상 거점지역

계(98개소) 38 20 18 60

백두대간

생태권 핵심 11 거점 6

설악산, 오대산, 소백산, 월악산, 속리산, 덕유산, 지리산, (가야산)

DMZ·향로봉, 청옥산·두타산,

태백산 백화산, 황악산, 민주지산, 장안산, 백운산, 수도 산

중부 생태권 핵심 5

거점 7 치악산, 북한산 DMZ·대성산, 가리왕산·증왕산·

청옥산, 동강 유역 백덕산, 광덕산, 운악산, 죽엽산, 불곡산, 고봉산, 장명산·곡릉천

영남·동해안

생태권 핵심 6

거점 9 주왕산, 경주 왕피천유역, 백암산, 가지산, 낙동

강 하구 매봉산, 면산, 동고산, 명동산, 침곡산, 운주산, 어림산, 정족산, 금정산

호남·충남

생태권 핵심 4

거점 15 계룡산, 내장산, 변산반도, 무등산

대둔산, 운장산, 마이산, 팔공산, 주화산, 오봉산·

옥정호, 추월산, 강천산, 서암산, 만덕산, 천운산, 봉화산1, 가지산, 두승산, 방장산

남해연안·도

서 생태권 핵심 9

거점 18 월출산, 다도해, 한려해상

백운산, 조계산, 두륜산·달마산, 순천만, 진양호(야생동식물특별보 호구역), 신어산·동신어산(생태경 관보전지역)

제암산, 봉화산2, 존제산, 바랑산, 무선산, 무량산, 여항산, 무학산, 대암산, 서기산, 주작산, 수인산, 괴바위산, 천관산,

증도갯벌, 진도갯벌, 보성·벌교갯벌, 영암호·압해도 철새도래지

서해안 생태권 핵심 4

거점 5 태안해안(확대),

변산반도(확대) DMZ·한강하구, 볼음도·서도갯벌 백령도·대청도 연안, 옹진갯벌, 송도갯벌, 서천갯 벌, 무안갯벌

그림 3. 핵심지역-거점지역 선정 현황.

(10)

국립공원 신규지정이필요한 곳이다. 국립공원 신규지정대

상지 중 특이한 곳은 DMZ(민간인통제구역 포함) 3개소로,

동부지역은 백두대간의 향로봉 지역과 연계하고, 중부지역 은 한북정맥의 대성산과 묶어서, 서부지역은 파주지역과 한 강하구습지를 묶어서 지정하는 것을 합리적으로 보았다. 또 한, 내륙의 하천습지로 동강 유역과 왕피천 유역을, 연안습 지로 낙동강 하구와 순천만일원을 국립공원화 하고, 강화 군볼음도·서도·주문도일원을국내최초의갯벌 국립공 원으로 지정한다면 큰 의의가 있다고 사료된다.

사 사

이 논문은 2011년 국방대학교 안보과정 졸업논문으로 제

출한것을 정리한 것임. 단, 필요한통계에대하여는 2013년

현재수치로수정하였음.

참고문헌

고철환. 1998. 해양생태계보전과갯벌관리. 해양 21세기. 나남

출판.

공우석. 1989. 한반도생물지리구의설정과종구성. 지리학제 40호.

국립공원관리공단. 2010. 산양 서식실태조사 및 연구모니터링 결과.

국립산림과학원. 2010. 백두대간의지리적범위규명및훼손지의 생태적복원모델개발.

국립환경과학원. 2007. 기후변화민감생태계연구기법연구(I).

국회. 2005.9.29. 국정감사회의록.

권혁수. 2011. 보호지역계획을위한생물다양성통합평가모형. 서

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김시정. 2009. 생태적토지이용을위한광역생태네트워크구축기

법연구. 서울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박창석외. 2010. 국토자연자원의현명한이용전략수립 II. 한국환

경정책평가연구원.

성현찬외. 2010. 자연환경보전지역설정기준에관한기초연구. 환

경복원녹화 67호. 한국환경복원기술학회.

신준환. 2004. 백두대간관리범위및관리방안. 한국환경생태학회

지 18권 2호.

신준환. 1997. 산림생태계구분체계. 월간임업정보.

신준환외. 1996. 우리나라의생태계구분(I). 산림과학논문집.

양두하. 2008. 지리산국립공원에방사된반달가슴곰의생태적특

성에관한연구. 경남대학교박사학위논문. 2008.

이승호. 2010. 자연과의대화, 한국. 황금비율.

이용광. 2010. 생물종다양성증진을위한보호지역의관리개선방

안에관한연구. 공주대학교대학원석사학위논문.

이우신외. 2010. 야생동물생태관리학. 라이프사이언스.

이우철, 임양재. 2002. 식물지리. 강원대학교출판부.

최준영. 2005. 동북아생태네트워크형성을위한국제협력방안연

구. 서울대학교대학원박사학위논문.

한국해양수산개발원. 2008. 연안완충공간의보전및관리에관한 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2. 국토생태네트워크의추진전략에 관한연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2006. 선진외국 보호지역 관리기법 연구.

Graham Bennet. 충남발전연구원번역. 세계의생태네트워크에서

배우는생물다양성보전(Integrating Biodiversity Conservation and Sustainable Use).

Kalev Sepp. 2002. Development of National Ecological Networks in the Baltic Countries in the framework of the Pan-European Ecological Network. IUCN.

Parks Canada Agency. 2010. Corporate plan 2010-2015.

(2013년 8월 26일 접수; 2013년 9월 19일 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Zuhdi, Mori, and Kamegai, Analysis of Influences of ICT on Structural Changes in Japanese Commerce, Business Services and Office Supplies, and Personal Services Sectors

Pfukenyi D M 2003 Epidemiology of trematode infections in cattle in the Highveld and Lowveld communal grazing areas of Zimbabwe with emphasis on amphistomes, Fasciola gigantica an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