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립공원 간이식 화장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국립공원 간이식 화장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Copied!
4
0
0

Teks penuh

(1)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2, No. 3, pp. 160-163 (2011)

국립공원 간이식 화장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심 규 원*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A Study on The Improvement of the National Park's Portable Toilet

Kyu-Won Sim *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590-811, Korea

요 약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설치된 간이식 화장실의 악취경감 및 제거를 위한 기술적인 개선방안을 제시하고 자 수행되었다. 그 결과 오물처리펌프, 미생물 분사장치, 동파방지장치 등으로 구성된 간이식 화장실의 제작 및 특 허(실용신안 제20-0454420호) 등록을 통하여 기술적인 개선을 시도하였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개선효과 검증을 위 해서는 화장실 내 악취 경감효과나 탐방객의 이용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이루어져야 할 것 이다.

주요어 :간이식 화장실, 탐방환경 개선, 국립공원, 특허등록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reduce and eliminate the stink of national park’s portable toilet. The results showed that the portable toilet composing of sanitation pump, micro-organism injection system, anti-freezing and bursting equipment was produced and technically improved by registration of patent(Utility Model Registration 20- 0454420). The monitoring of stink reduction effect and visitors’ use satisfaction on the toilet should were conducted consistently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technical improvement.

Key words :Potable toilet, Improvement of visit environment, National park, Registration of patent

서 론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법제처, 2011)에 의하면, 공중 화장실이란 공중의 이용에 제공하기 위하여 국가·지방자치 단체·법인 또는 개인이 설치하는 화장실을 의미하며, 간이 식화장실은 공중화장실을 설치하기 어려운 지역에 설치한 소규모의화장실을의미한다.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는공원관리 및 탐방객 편익도모를 위하여 공중화장실 등 설치·유지관리 매뉴얼(국립공원관리 공단, 2008)에 따라 공중화장실 설치·운영·관리기준을 마 련하여 운영하고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국립공원 지역이 산악지형으로 되어 있어 전기 및 급수 공급이 어렵고, 일 시적인 이용이 집중되는 경우공중화장실의 용량이 초과하 는등현장관리의어려움이가중되고있는실정이다.

특히 간이식식 화장실은 환기시스템이 미흡하고 주기적인 오물수거가 어려워 악취발생의 주된 원인이 되고 있다. 국 립공원 내 공중화장실에 대한 탐방객 인식조사 결과 악취

제거(51.0%)가 가장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으며, 화장실의

악취 및 관리상태 등이탐방 만족도에 영향을주는 것으로 나타났다(국립공원연구원 2010). 이는 공중화장실을 단순히 공원 내 시설이 아닌 공원 자원과 탐방객 관리에 중요한 탐방환경으로 먼저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현재 국립공원에서 설치炤楮µ 중인 간이식 화장실의 악취제거 및 경감을 위한 기술적인 개선방안을제시하고자한다.

국립공원 내 공중화장실 현황

현재 국립공원 내 공중화장실은 크게 고정식과 간이식 화 장실로구분되며, 고정식 358개동과 간이식 533개동이설치 되어운영되고있다.

고정식 화장실은 수세식 287개동, 포세식(절수식 3개동 포함) 41개동, 수거식 21개동, 발효식(EMG;Energy Methan

Generator 3개동 포함) 9개동으로 전체 공원 내 전체 화장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국립공원 간이식 화장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61

실의 약 40%정도를 차지하고 있다. 고정식 화장실 중 오 수처리시설이 구비된 곳은 131개소(36.1%), 정화조가 설치

된 곳은 67개소(18.5%), 공공하수처리장과 연결된 곳은

138개소(38.0%)에 불과한 것으로 나타났다. 반면, 간이식

공중화장실은 발효식 379개동, 수거식 136개동, 차량형 12 개동, 포세식 6개동으로 공원 내 전체 화장실의 약 60%정 도를 차지하고 있다. 하지만 고정식 화장실에 비해 규모가 작고, 오수처리 및 환기시설이 미흡하기 때문에 이용이 집 중될 경우 관리의 어려움이 가중될 수 있으며, 부정적인 탐방경험을 주는 원인으로 작용할 수 있기때문에 이에대 한 기술적인 개선이 필요할 것으로 판단된다.

국립공원 내 공중화장실의 문제점 1. 구조적 문제점

공원 내 설치된 공중화장실 중 상대적으로 악취발생이 심한 간이식 화장실 533개동 중 발효식(379개동)과 수거식

(136개동) 화장실이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정화처리시

설이 전혀 되어 있지 않아 탐방환경에 부정적인 영향으로 작용할 수 있는 실정이다. 간이식 화장실은 오물 수거에 많은비용이소요되고, 주기적인 수거가어려워악취발생의 원인이 되고 있다. 또한 내부 환기시스템이 제대로 구비되 어 있지 않아 암모니아 가스가 외부로 배출되지 못해 악취

가심하게발생되는구조적인문제점을가지고있다. 2. 관리체계 문제점

공원 내 화장실 설치기준이 엄격하게 제한되어 있기 때 문에 일시적으로 탐방이용이 집중되는 지역이나 고지대(탐 방로 포함)에 임의로 설치할 수 없어 민원의 대상이 되고 있다. 또한 위탁업체를 선정하여 화장실을 관리하고 있어 공원별 탐방객 집중시기나 시간등에 따른관리 인력배치 등유연한관리가미흡한실정이다.

3. 이용에 따른 문제점

공원 내 공중화장실의 용량을 초과하는 이용에 따른 일 시적 과부하 현상이 악취가 발생하는 주된 원인이 되고 있 으며, 특정지역에위치한 화장실(예; 노고단대피소화장실) 이나 긴 구간의 탐방로 시작지점에 있는 경우 입장시간과 퇴장시간대에 탐방객의 이용이 시설용량을 초과하여 관리 에 어려움이 가중되고 있다.

결 과 1. 시범 간이식 화장실 구조

시범 간이식 화장실은 아래의 단면도(그림 1)와 같이 구 성되어 있다. 시범 간이식 화장실 부스는 크게 탐방객이 표 1. 국립공원 공중화장실 현황.

사무소명 합계 고정식 화장실(동) 간이식 화장실(동)

소계 수세식 수거식 발효식 포세식 소계 수거식 발효식 포세식 차량형 합 계 891 358 287 21 9(3) 41(3) 533 136 379 6 12

지 리 산 72 20 9 6 3(2) 2 52 27 25 - -

지리산북부 36 13 9 2 - 2(2) 23 - 23 - -

지리산남부 27 18 13 - 1(1) 4 9 3 6 - -

계 룡 산 25 12 11 - 1 - 13 - 13 - -

한려해상 8 8 5 - - 3 - - - -

한려동부 26 19 17 - - 2 7 - 6 - 1

설악산 63 22 22 - - - 41 10 31 - -

속리산 70 33 28 3 - 2 37 11 25 - 1

내장산 40 14 12 - 1 1 26 21 4 - 1

내장산백암 13 11 11 - - - 2 - 2 - -

가야산 30 12 11 1 - - 18 2 16 - -

덕유산 57 29 19 5 - 5 28 - 28 - -

오대산 53 15 14 - - 1 38 18 19 - 1

주왕산 25 10 8 - - 2 15 15 - - -

태안해안 37 16 8 - - 8(1) 21 6 13 - 2

다도해 18 15 13 2 - - 3 3 - - -

다도해서부 9 9 9 - - -

치악산 35 13 13 - - - 22 12 9 - 1

월악산 47 18 15 1 - 2 29 2 24 - 3

북한산 82 11 7 - - 4 71 - 70 - 1

북한산도봉 38 7 5 1 - 1 31 - 31 - -

소백산 27 6 5 - - 1 21 6 13 2 -

소백산북부 14 5 2 - 3 - 9 - 9 - -

월출산 12 10 10 - - - 2 - 2 - -

변산반도 27 12 11 - - 1 15 - 10 4 1

(3)

162 국립공원연구지 제 2 권 제 3 호 (2011)

이용하는 공간(1)과 오물탱크(2)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 으며, 상시적인 오물수거를 위한 외부 보조탱크(3)가 있다. 이러한 일체형 구조는 짧은 주기로 오물을 수거해야 악취 발생을 경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오물탱크 내에 수위 감지 센서가 부착된 오수펌프(4)와 분사간격(타이머) 조절이 가능 한 미생물 분사장치(5)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동절기 동 파방지를위한오물탱크내히터(6)가설치되어있다. 2. 기술적 개선사항

본 연구는 공원 내 설치·운영되고 있는 간이식 화장실의 악취제거 및 경감을 위한 기술적 개선방안을 제시하기 위 하여 수행되었다. 그 결과 간이식 화장실 운영 시 가장 문 제가 되었던 악취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오물처리펌프, 미생 물분사장치, 동파방지히터 등을 자동제어 할 수 있는 시범

화장실을 직접개발·제작하였다. 이를바탕으로 특허(실용

신안제20-0454420호)를 등록하였으며, 주요내용은 다음과

같다.

간이식 화장실 내 악취발생의 주된 원인 중 하나는 이용 공간과 오물탱크가 일체형으로 구성되어 있어 주기적으로 수거하지 못할 경우 암모니아 가스 등의 발생 및 정체현상 이 나타난다. 따라서이용공간과오물탱크를공간적으로이 격시키는 것이 가장바람직하지만 설치및 운영 등의현실 적인 어려움이 많은 실정이다. 이러한 문제를 개선하기 위 해 간이식 화장실의 오물탱크에 남아 있는 오물량을 최소 화하기 위해 공간적으로 이격된 보조오물탱크를 설치하고 각각의 오물탱크에 오수처리펌프(그림 3. 좌측장치)를 설치 하였다. 오물탱크 내 설치된 오물처리펌프는 센서가 부착되 어 있어 오물의 수위가 바닥으로부터 5cm이상이 될 경우 오물을외부보조오물탱크(그림 4. 우측장치)로자동으로 이 동시켜 악취발생 원인을 최소화 할 수 있도록 하였다. 한 편, 오물탱크 내 남아 있는 오물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악 취를 최소화시키기 위하여 분사간격 조절이 가능한 미생물 분사장치를 설치하였다(그림 4. 좌측장치). 그리고 동절기에 사용이 어려워 탐방객 이용에 제약이 있었던 문제점을 개 선하기 위하여 오물탱크 내 온도조절을할 수 있는 동파방 지히터를 설치하였다(그림 3. 우측장치). 그리고 오물수거의 편의성을 제고하기 위하여 보조오물탱크에 오수펌프와 배관 을 설치하여 수거차량으로 쉽게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였 다(그림 5). 또한 소변기의 잔뇨로 인하여 발생되는 요석의 경감을위해스테인레스로된소변기를제작·설치하였다(그

림 2). 이상의 모든 기능들은 자동제어장치를 통해 작동되

그림 1. 시범 간이식 화장실 단면도.

그림 2. 간이식 화장실 전경(우). 그림 3. 스테인레스 소변기. 그림 4. 오수처리펌프(좌)와 동파방지히터.

그림 7. 자동제어장치.

그림 6. 오물수거 배관장치.

그림 5. 미생물 분사장치(좌) 및 보조오물탱크.

(4)

국립공원 간이식 화장실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163

며 현장관리자가 현장 여건에 따라 조절이 가능하도록 구 현되어있다(그림 6).

향후 개선방안

수려한 자연자원을 보유하고 있는 국립공원은 일반 관광 지와달리 제공되는 상품이나 서비스가 과도하게 개발되기 보다는 탐방객이 자연의 일부분으로 동화될 수 있는 경험 과 편의를 제공하는 것에중점을 두는 것이바람직할 것이 다. 하지만 공원을 찾는 탐방객들은 공중화장실 이용 경험 을 탐방활동의 일부이거나 서비스 요소라고 인지하는 경향 이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개선 노력은 지속적으로 이루어 져야 할 필요가 있다. 이러한 측면에서 본 연구는 기존의 간이식 화장실의 악취를 제거하고 경감하기 위해시범화장 실 제작 및 특허등록 등 기술적인 개선을 시도하였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그러나 기술적 개선효과 검증을 위해서는 화장실 내 암모니아 잔존량 측정을 통해 탐방객 이용에 따 른 악취 경감효과나 이용 만족도 조사 등을 통해 지속적인 모니터링이 후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한편, 이러한 기술적 개선 노력과 함께 탐방객이 기대하 는 공공서비스의 수준을 국립공원 여건에 맞게 합리적으로 조정하고 인식을 전환할 수 있는 방안마련이 필요할 것이 다. 이를 위해서는 탐방편의시설인 화장실의 서비스 체계를 이원화하는 방안을 고려할 수 있을 것이다. 먼저 고지대의 경우 신규 화장실 조성, 시설의 고급화 및 현대화, 관리 및 유지 등의 어려움이 있기 때문에 자연환경에 악영향을 최 소화하고 탐방객에게 적정한수준의 편의를 제공하는 최적

의 서비스 방안을 강구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미국이나 일본의국립공원에서도 고지대화장실의악취, 분 뇨처리 문제, 화장실 부족, 신규 설치에 따른 자연환경에 미치는 악영향 등을 경감하기 위해 환경적으로 영향이 적 고 배설물을 스스로 수거해 갈 수 있는 휴대 화장실을 운 영하거나 도입 검토를 하고 있다. 반면 저지대 탐방이용집 중지역은 용수나 전원 공급이 용이하기 때문에 탐방편의 및 만족도 향상을 위해최상의 서비스 제공방안을 마련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사사의 글

본 연구는 국립공원연구원에서 수행한 국립공원 탐방환경

(화장실악취제거) 개선시범사업결과의일부임.

참고문헌

국립공원연구원. 2010. 공원 탐방환경(화장실 악취제거) 개선방 안 연구.

국립공원연구원. 2008. 공중화장실 등 설치·유지관리 매뉴얼 개 정(안).

국립공원관리공단. 2011. 옥외용 화장실 실용신안등록출원서.

법제처. 2011. 공중화장실 등에 관한 법률 제10726호 (2011.5.30 일 부 개정).

(2011년 8월 5일 접수; 2011년 8월 16일 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자연환경해설사 양성교육과정 중요도 - 성취도 Importance-Performance Analysis 분석 연구 남승민⋅허학영⋅심규원* 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A Study on training course of Nature Environmental Interpreter in National Park Usi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