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현황
소순구·명현호·김의경·강승호·이재현·오장근*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Status on the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n Korea National Park
Soonku So, Hyun-Ho Myeong, Eui-kyeong Kim, Seung Ho Kang, Jae-hyeon Lee and Jang-Geun Oh *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NPS
요 약 :국립공원의희귀 야생생물보호와관리를위하여국립공원 생물종목록을대상으로 IUCN 적색목록의범 주와 기준에따라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제시한적색목록 중 멸종우려(threatened species) 범주에 해당하는 위기(CR, Critically endangered), 위급(EN, Endangered), 취약(VU, Vulnerable) 등급 종의 현황을 파악하여 분류군별로 정리하 였다. 국립공원내 서식하는멸종우려종은포유동물, 조류, 양서류, 파충류, 어류, 곤충, 거미, 연체동물, 관속식물 등 9개 분류군 총 300종으로 한국 내 전체 멸종우려종 533종의 56.3%에 해당하며, 위급(CR)종은 28종으로 전체의 50.0%, 위기(EN)종은 84종으로전체의 59.2%, 취약(VU)종은 188종으로전체의 73.4%인것으로분석되었다. 분류군 별 국립공원 멸종우려종현황에따르면파충류는멸종우려종 5종전체의서식이확인되어 가장높은비율(100%)을 나타냈고, 포유동물(92.9%), 곤충(82.4%), 양서류(80.0%), 조류(67.3%), 관속식물(59.4%), 거미(50.0%), 어류(30.8%),
연체동물(5.0%) 순으로나타났다. 전체 국립공원중 적색목록멸종우려종의서식 현황을살펴본결과 지리산국립공
원이 6개 분류군 115종으로 확인되어 가장 많은 멸종우려종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본 현황을 통해 확인된 국립공원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비교적높은 서식비율은 국립공원의 가치를높게 평가할수 있는 중요한 지표로 판단되며국립공원 희귀야생생물의 체계적인보전과서식지관리방안에 대한방향성을 제시할수있을 것 이다.
주요어 :국립공원, 적색목록, 멸종우려종, 보전
Abstract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current status of threatened species of the red list by IUCN categories and criteria in the national parks of Korea and to establish an efficient park management plan for conserving endangered wildlife. The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n the national parks of Korea consisted of a total 300 species (56.3% of the total in Korea) belonging to 9 taxa; mammals, birds, amphibians, reptiles, fish, insects, spiders, mollusks and vascular plants. CR (Critically endangered) species were 28 (50.0% of the total CR species in Korea), EN (Endangered) species were 84 (59.2%) and VU (Vulnerable) species were 188 (73.4%). The current status of threatened species in the 21 national parks of Korea showed that Jirisan National Park was the largest number with 115 species belonging to 6 taxa. It means that relatively high distribution rates of threatened species plays a significant role as a key indicator to assess the value of national parks. Also, these results will provide the direction of habitats management and conservation of endangered species.
Key words : Korea National Park, Red list, Threatened species, Conservation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현황 91
서 론
생물다양성과 자연의 보전, 기후변화 및 지구온난화에 따 른 생태계 변화에 대응을 위해 세계 각국을 비롯해 세계자 연보호기금(WWF, World Wide Fund for Nature), 세계자연 보전연맹(IUCN, International Union for Conservation of Nature) 등대표적국제 비정부기구는적극적인노력을기울이고있 다. 세계자연보호기금(WWF)은 자연의 보존과회복을 위해 각국의 민간이 협력하는 단체로 최근 발행한 ‘지구생명보고 서(Living Planet Report) 2014’에 따르면 지구적 생물다양성 을 판단하는 지표로 제시하는 지구생명지표(LPI, Living Planet Index)가 최근 40년간(1970~2010) 52% 하락한 것으 로 발표했으며(WWF, 2014), 이는 지구의 생물다양성이 절 반이상감소했다는것을의미한다. 세계자연보전연맹(IUCN) 은 생물다양성 보전과 보호지역 관리 및 멸종위기에 처한 생물종의 효율적인 보호와 관리를 위해 이들 종의 분류학적 정보를 비롯하여, 지리적 분포, 서식지와 생태적 특성, 위협 상태 등을 수록한 적색자료집(Red data book)을 발간하고 있다. 전 지구적 IUCN 적색목록 범주와 기준은 장기간에 걸친연구와 다양한 의견수렴과정을 거쳐희귀동·식물 에대한 보전지위평가의객관성과명료화를목표로평가표 준안을 적용한 version 1.0이 1991년 처음 발행되었고, 적색 목록의 평가기준은 1994년 IUCN 적색목록 범주 version 2.3 을 통해 제시하였으며, 이후 2001년 개정된 version 3.1을 현재까지 사용하고 있다(IUCN 2001a). 또한 지역적 수준에 서 적색 목록을 작성하여 적용할 수 있도록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였고(Gärdenfors et al. 1999; IUCN, 2001b), 범주와
기준에대한 검토와개정을거듭하여 2010년 ‘지역및국가
차원의 IUCN 적색목록 기준 적용 지침서’ version 4.0 (IUCN
2010)으로 발표되었으며, 세계 각국은 IUCN의 권고에 따라
자국의 적색목록을 구축하고 있다.
IUCN 적색목록은 전 지구적 관점에서 생물다양성을 평가
할 수 있는 지표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적색 목록의 작성을 위해생물다양성의 변화를 지구적 수준, 지 역 및 국가 수준 그리고 도시와 지방에서 모니터링, 조사, 분석하고 있으며, 이러한 조사결과를 토대로 작성된 적색목 록과 등재된 종의 멸종위기등급을 분석하는 것은 생물다양 성 평가지표의 가장 핵심적인 작업이며 이를 통해 지역의 생물다양성 상태, 국가 자연자산의상태, 세계수준의 생물
다양성위기 실태를파악할수있다(이 등 2011). 특히적색
목록을 이용하여 생물다양성을 평가하고 세계 수준의 활용 을 위해 IUCN과 BirdLife International 등이 Smith et al.
(1993)의 방법을 개선한 RLI (Red List Index)를 개발하였으 며, 2010 생물다양성 지표로 채택되어(2010 Biodiversity Indicators Partnership, 2010) 멸종위기종의 평가를 위한 지 표로서 국제적으로이용되고있다.
전지구적생물다양성과마찬가지로 한반도의생물다양성 또한 무분별한 개발과 도시화 및 산업화로 인한 야생생물의 서식처 소실, 파괴 및 기후변화 등으로 급격히 감소하고 있 는 실정이다. 따라서 제도적으로 희귀 야생 동·식물을 보 호하기 위해 1968년 크낙새를 천연기념물 제 197호로 지정 하여 생물종 자체를 법으로 관리하기 시작하였으며, 이후 천연기념물에 많은종들이 추가되어 보호를 받고 있다. 또 한 멸종위기라는 개념으로 생물종을 법으로 보호하기 시작 한 것은 1989년 환경청이 특정야생동·식물 92종류를 지정
(환경청, 1998)한 이후 2005년도 야생동식물보호법으로 개
정(환경부, 2005)하였고, 2012년에는 멸종위기 야생생물 9개 분류군을 대상으로 I급 51종, II급 195종(총 246종)을 지정
·관리(환경부, 2012)하는등 희귀야생생물의보전을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있다.
국내 생물종에 대한 적색목록집은 환경부에서 멸종위기야 생동·식물 지정관리 기준 마련 및 적색목록집 발간을 위한 연구(국립생물자원관a, 2011)의 수행을 통하여 2011년부터
2014년까지 조류, 양서·파충류, 어류, 관속식물, 포유류, 연
Figure 1. IUCN Red List Categories and Criteria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체동물, 곤충 I, 곤충 II, 곤충 III, 거미 등총 10권의 적색자 료집과 1권의 ‘멸종우려종 적색목록집(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을 발간하였다(국립생물자원관b,c,d, 2011;
국립생물자원관a,b,c,d, 2012; 국립생물자원관a,b, 2013; 국립생 물자원관, 2014;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국립생물자원관의 적색목록 평가는 IUCN의 평가기
준중국가적, 지역적색목록범주와기준(Guidelines for Appli- 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s)으로 평가하였으며(Figure 1), 연차적으로 지역적색자
료집(국가적색목록)을 발간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모든 생물종을 대상으로 환경부·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제시한 적색목록 멸종우려종 에 대한 현황을 파악하여 제시함으로써 공원 내 분포하는 희귀동·식물의보전 및관리방안의수립과희귀 동·식물 의 서식지관리를위한기초자료를제공하고자 하였다.
재료 및 방법
국립공원 내 자연자원조사, 조사연구사업 등의 통계자료 및식물상, 동물상 연구등외부학술연구 결과를토대로국 립공원관리공단에서 발표한 2015년도 국립공원 내 생물종 목록 20,183종(국립공원연구원 2015)을 대상으로 IUCN 적 색목록의 범주와 기준에 따라 국립생물자원관이 제시한 적 색목록 중 멸종우려(threatened species) 범주인 위기(CR, Criti- cally endangered), 위급(EN, Endangered), 취약(VU, Vulner-
able) 등급에해당하는 종을 산출하여 포유동물, 조류, 양서
류, 파충류, 어류, 곤충, 거미, 연체동물, 관속식물 등총 9개 분류군별로정리하였다. 또한 국립공원별, 분류군별로 멸종 우려종의 현황을 정리하여 제시하였다.
결과 및 고찰 1.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현황
국립생물자원관에서제시한포유동물, 조류, 양서류, 파충
류, 어류, 곤충, 거미, 연체동물, 관속식물 등 총 9개 분류군 의 적색목록중에서멸종우려범주에해당하는분류군은위 급(CR)종 56종, 위기(EN)종 142종, 취약(VU)종 256종 등 총 533종인 것으로 집계되었다. 전체 멸종우려종 중 국립공 원 내 서식하는 생물종은 총 300종으로 전체의 56.3%에 해 당하며, 위급(CR)종은 28종으로 전체의 50.0%, 위기(EN)종 은 84종으로 전체의 59.2%, 취약(VU)종은 188종으로 전체
의 73.4%인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각 분류군 별로위급
(CR), 위기(EN), 취약(VU) 등급으로 구분하여 종수와 그 비
율을 정리하였다(Table 1).
1) 포유동물(Mammals)
국립생물자원관에서 제공하는 한반도 생물자원 통계자료 의 국가생물종목록 구축현황(http://species.nibr.go.kr)에 따르 면 국내에 총 30과 82속 125종(종이하 포함)의 포유동물이 서식하고 있으며(2015년 10월 기준),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적색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대상 종은 총 41종이다
(국립생물자원관d 2012). 포유류 적색목록 전체 등재 대상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 속하는 종은 14종(CR: 1종, EN: 4종,
VU: 9종)이며, 이 중 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종은 13종으로
전체의 92.9%이다. 국립공원내 멸종우려등급의포유류중
위급(CR)종은 사향노루 1종이고, 위기(EN)종은 반달가슴곰, 여우 등 4종이며, 취약(VU)종은 산양, 삵, 수달, 하늘다람쥐 등 8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2) 조류(Birds)
국내에 서식하는 조류는 총 72과 230속 522종(종이하포
함)이며,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적색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대상 종은 총 95종이다(국립생물자원관d 2011). 조류 적색목록 전체 등재 대상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 속하는 종 은 55종(CR: 1종, EN: 19종, VU: 35종)이며, 이 중 국립공 원 내 서식하는 종은 37종으로 전체의 67.3%이다. 국립공원 내 멸종우려 등급의 조류 중 위급(CR)종은 없으며, 위기 (EN)종은 검독수리, 검은머리갈매기, 노랑부리백로, 붉은해
Table 1. The comparison of IUC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n Korea National Park.
Taxon
CR
(Critically Endangered)
EN (Endangered)
VU
(Vulnerable) Total
Korea
Korea National
Park
% Korea
Korea National
Park
% Korea
Korea National
Park
% Korea
Korea National
Park
%
Mammals 1 1 100% 4 4 100% 9 8 88.9% 14 13 92.9%
Birds 1 - - 19 8 42.1% 35 29 82.9% 55 37 67.3%
Amphibians 2 1 50.0% 3 3 100% 5 4 80.0%
Reptiles 3 3 100% 2 2 100% 5 5 100%
Fish 4 1 25.0% 13 1 7.7% 9 6 66.7% 26 8 30.8%
Insects 12 11 91.7% 22 19 86.4% 74 59 79.7% 108 89 82.4%
Spiders 8 2 25.0% 2 2 100% 6 4 66.7% 16 8 50.0%
Mollusks 4 - - 19 - - 57 4 8.7% 80 4 5.0%
Plants 28 13 46.4% 86 46 53.5% 110 73 66.4% 224 132 58.9%
Total 56 28 50.0% 142 84 59.2% 256 188 73.4% 533 300 56.3%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현황 93
오라기 등 8종, 취약(VU)종은 까막딱다구리, 노랑부리저어 새, 독수리, 올빼미, 팔색조등 29종인것으로 확인되었다.
3) 양서류(Amphibians)
국내에 서식하는 양서류는 총 7과 12속 22종(종이하 포함) 이며,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적색자료집에 등재되어 있 는 대상 종은 총 17종이다(국립생물자원관b 2011). 양서류 적색목록 전체 등재대상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 속하는종 은 5종(EN: 2종, VU: 3종)이며, 이 중 국립공원 내 서식하 는 종은 4종으로 전체의 80.0%이다. 국립공원 내 멸종우려 등급의 양서류 중 위기(EN)종은 고리도롱뇽 1종이 경주국립 공원 내 서식하고 있으며, 취약(VU)종은 금개구리, 맹꽁이, 이끼도롱뇽 3종으로 양서류 취약종이 모두 국립공원 지역에 서식하는 것으로확인되었다.
4) 파충류(Reptiles)
국내에 서식하는 파충류는 총 11과 24속 32종(종이하 포 함)이며,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적색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대상 종은 총 26종이다(국립생물자원관b 2011). 파충류 적색목록 전체 등재대상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 속하는종 은 5종(EN: 3종, VU: 2종)이며, 국립공원 내에멸종우려 종 전체가 서식하고 있다. 국립공원 내 멸종우려 등급의 파충 류 중 위급(CR)종은 없으며, 위기(EN)종은 구렁이, 비바리 뱀, 표범장지뱀 등 3종, 취약(VU)종은 남생이, 자라 등 2종 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구렁이는 오대산, 소백산 등 13개 국 립공원 지역에 비교적 넓게서식하는 반면, 비바리뱀은 한 라산에 유일하게 서식하며, 표범장지뱀은 해변가의 모래톱 에 주로서식하는 특징으로 국립공원 지역중 유일하게 태 안해안의 사구지역에 서식한다.
5) 어류(Fish)
국내에 서식하는 어류는 총 219과 697속 1,235종(종이하 포함)이지만 해양어류가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담수어
류로한정하면현재까지 국내에총 213종이서식한다. IUCN
의 평가기준에 따라 적색자료집에 등재되어 있는 대상 종은 담수어류만으로 한정하였으며 총 76종이다(국립생물자원관c
2011). 담수어류 적색목록 전체 등재 대상종 중 멸종우려 범
주에 속하는 종은 26종(CR: 4종, EN: 13종, VU: 9종)이며,
이 중국립공원 내 서식하는종은 8종으로 전체의 30.8%이
다. 국립공원 내 멸종우려 등급의 담수어류 중 위급(CR)종 은부안종개 1종이며유일하게변산반도에서식하는것으로 나타났고, 위기(EN)종은 감돌고기 1종이며 국립공원 지역 중 덕유산에 유일하게 서식하며, 취약(VU)종은 다묵장어, 돌상어, 어름치, 열목어 등 6종인 것으로 확인되었다.
6) 곤충(Insects)
국내에서식하는 곤충은 총 554과 6,237속 16,121종(종이 하 포함)으로 국내 모든 생물군 중 가장 종수가 많은 분류 군이다. 따라서 곤충은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총 3권의
적색자료집을 발간하였다. ‘곤충 I’에서는 나비목, 바퀴목, 집게벌레목, 풀잠자리목, 밑들이목등 총 5개분류군을대상 으로 3,703종을 평가하였으며(국립생물자원관b 2012), ‘곤충
II’에서는 딱정벌레목을 대상으로 364종을 평가하였고(국립
생물자원관a 2013), ‘곤충 III’에서는 하루살이, 강도래목, 날 도래목, 잠자리목 등을 대상으로 468종을 평가하였다(국립 생물자원관b 2013). 전체 등재 대상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 속하는 곤충은 총 108종(CR: 12종, EN: 22종, VU: 74종)이 며, 이 중 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종은 89종으로 전체의
82.4%이다. 국립공원 내 멸종우려 등급의 곤충 중 위급(CR)
종은 긴다리소똥구리, 산부전나비, 수염풍뎅이, 장수하늘소 등 11종이며, 위기(EN)종은 대모잠자리, 닻무늬길앞잡이, 송 장벌레, 산꼬마부전나비, 노랑무늬소똥풍뎅이 등 19종, 취약 (VU)종은공작나비, 꼬마잠자리, 네눈박이하늘소, 두점박이사 슴벌레, 가야산민날개강도래등 59종인 것으로확인되었다.
7) 거미(Spiders)
국내에 서식하는 거미는 총 45과 267속 715종(종이하 포 함)이며,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국내 서식하는 715종 전 체를 대상 종으로 평가하였다(국립생물자원관 2014). 전체 등재 대상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 속하는 거미는 총 16종 (CR: 8종, EN: 2종, VU: 6종)이며, 이 중 국립공원 내 서식 하는 종은 8종으로 전체의 50.0%이다. 국립공원 내 멸종우 려 등급의 거미 중 위급(CR)종은 갯가게거미, 흰살받이게거 미 등 2종이며, 위기(EN)종은 주홍거미, 한국땅거미 등 2종, 취약(VU)종은 반야왕거미, 방울가게거미, 여섯뿔가시거미, 점왕거미등 4종인것으로 확인되었다.
8) 연체동물(Mollusks)
국내에 서식하는 연체동물은 1990년도 이후 출간된 126 건의 문헌 자료를 조사해 기록 종으로 인정되는 1,963종이 며, IUCN의 평가기준에 따라 국내 서식하는 1,963종 전체 를 대상종으로평가하였다(국립생물자원관c 2012). 전체등 재 대상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속하는 연체동물은 총 80종 (CR: 4종, EN: 19종, VU: 57종)이며, 이 중 국립공원 내 서 식하는 종은 4종으로 전체의 5.0%이다. 국립공원 내 멸종우 려 등급의 연체동물 중 위급(CR)종과 위기(EN)종은 없으며, 취약(VU)종은 기수갈고둥, 띠구슬다슬기, 민둥배꼽달팽이, 산골조개등 4종인것으로 확인되었다.
9) 관속식물(Vascular plants)
국내에 분포하는 관속식물은 총 225과 1,176속 4,404종
(종이하 포함)으로 국내 분포하는 생물군 중 곤충과 무척추
동물 다음으로 종수가 많은 분류군이다. 전체 관속식물 중
737종의 적색목록 등재후보종을 대상으로 IUCN의 범주와
기준에따라평가한결과, 543종을한국산적색자료집에등
재했다(국립생물자원관a 2012). 관속식물 적색목록 등재대 상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 속하는 종은 224종(CR: 28종, EN:
86종, VU: 110종)이며, 이 중 국립공원 내 분포하는 종은
133종으로전체의 59.4%이다. 국립공원내멸종우려등급의 관속식물 중 위급(CR)종은 광릉요강꽃, 백운란, 산작약, 암 매, 풍란, 한라솜다리 등 13종, 위기(EN)종은 구상나무, 날 개하늘나리, 노랑만병초, 대흥란, 백양더부살이, 복주머니란, 석곡, 왕벚나무, 칠보치마 등 47종, 취약(VU)종은 가는잎개 별꽃, 구름병아리난초, 끈끈이귀개, 노랑붓꽃, 덩굴옻나무, 독미나리, 매화마름, 모데미풀, 백부자, 솔붓꽃, 자주땅귀개, 한계령풀, 홍월귤, 황근등 73종인것으로 확인되었다. 2.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종 관리의 필요성
1) 국립공원 내 멸종우려종의 공원별 현황 및 비교 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적색목록 멸종우려종(Threatened
species)의 등급별 현황(Table 2)과 공원별 생물종수의 비율
과 멸종우려종수의비율비교 그래프를 정리하여 제시하였 다(Figure 2). 지리산국립공원은 국립공원 내 전체 멸종우려 종의 38.3%에 해당하는 6개 분류군 115종(포유류 9종, 조류 10종, 곤충 55종, 거미 1종, 연체동물 1종, 관속식물 39종)이 확인되어 가장 많은 멸종우려종이 서식하는 국립공원 지역 으로 나타났다. 또한 지리산은 국립공원 내 전체 생물종의
37.4%가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전체 생물종수와 멸종우
려종수의 높은 유의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설악산국 립공원은 국립공원 내 전체 멸종우려종의 36.0%인 108종, 한라산국립공원은 31.7%인 95종, 오대산국립공원은 29.0%
인 87종, 치악산국립공원은 22.3%인 67종, 월악산국립공원 과덕유산국립공원은 각 21.7%인 65종, 다도해해상국립공원 과 속리산국립공원은 각 18.3%인 64종, 내장산국립공원과
한려해상국립공원은 각 19.0%인 57종, 변산반도국립공원은 18.7%인 56종, 소백산국립공원은 18.3%인 55종, 무등산국립 공원은 17.0%인 51종, 태안해안국립공원은 15.0%인 45종, 계룡산국립공원은 13.3%인 40종, 주왕산국립공원은 11.7%
인 35종, 북한산국립공원은 10.3%인 31종, 가야산국립공원 은 10.0%인 30종, 월출산국립공원은 9.3%인 28종, 경주국립 공원은 9.0%인 27종인 것으로 나타났다(Figure 2). 본 현황 을 통해확인된국립공원생물 종목록의공원별생물종수와 멸종우려종의 공원별 종수의 서식 비율은 비교적 높은 상관 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본 결과는 전체 적색 목록 중 멸종우려 범주에 해당하는 종만을 정리한 결과이므 로 각 공원별 면적당 생물종수의 현황 또는 전체 생물다양 성 정도를 판단하는 지표와는 다소 차이가 있을 것으로 판 단된다.
2)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관리의 필요성
국립공원 내 분포하는 생물종 중 멸종우려 범주에 해당하 는 적색목록종을 분류군별로 정리한 결과 파충류는 5종 전 체(100%)가 국립공원 내 서식하는 것으로 나타나 그 비율이 가장높았고, 포유동물은 92.9%, 곤충 82.4%, 양서류 80.0%, 조류 67.3%, 관속식물 59.4%, 거미 50.0%, 어류 30.8%, 연 체동물 5.0%의 순으로 나타났다. 국립공원은 우리나라 전체 식물종의 64.3%, 포유동물 75.0%, 조류 70.6% 등 전체 생 물종이 매우 높은 비율로 서식하는 국가 생물유전자원의 원 천이다(윤성일 2007). 본 현황자료를 통해서 국립공원은 전 체 적색목록멸종우려종의 56.3%가서식하는 자연생태계의 보고인국가생물핵심보전지역으로멸종위기에처한 희귀동
Figure 2. The comparison of distribution ratio between total species and threatened species in the 21 national parks of Korea.
국립공원 적색목록 멸종우려종 현황 95
Table 2.Current status of threatened species in the 21 national parks of Korea. Taxon National parks
MammalsBirdsAmphibiansReptilesFishInsectsSpidersMollusksPlants Total CRENVUsub totalCRENVUsub totalCRENVUsub totalCRENVUsub totalCRENVUsub totalCRENVUsub totalCRENVUsub totalCRENVUsub totalCRENVUsub total Gayasan4 4 8 8 1 1 3 9 12 4 15 30 Gyeongju3 3 7 7 11 2 2 2 6 6 3 47 27 Gyeryongsan13 4 8 8 2 2 11 11 17 19 1 1 1 1 1 34 40 Naejangsan1 5 6 11111 1 1 2 3 13 20 24 1 1 1 6 41157 Dadohaehaesang22 525 301 1 2 9 9 11 2 2 1 7 10 18 64 Deogyusan1 2 6 9 117 181 1 11 1 3 4 1 10 111 1 2 5 13 20 65 Mudeungsan4 4 9 9 2 2 11 2 31 21 25 1 5 39 51 Byeonsanbando1 3 4 116 171 1 2 11 12 1114 3 15 18 56 Bukhansan1 1 8 8 1 1 1 1112 1 1 4 48 31 Seoraksan1 2 6 9 111124 4 28 31 41 1 1 1 1 2 16 22 40 108 Sobaeksan2 7 9 12 1211 2 2 4 16 20 8 31155 Songnisan44 15 151 1 2 2 3 3 4 21 25 1 1 1 1 1 5 612 64 Odaesan1 2 8 11111121 1 1 1 2 2 2 37 28 38 2 2 1 1 1 6 1118 87 Woraksan1 3 8 127 7 1 1 11 2 2 14 21 26 11 1 1 2 4 814 65 Wolchulsan2 2 9 9 12 3 3 1114 28 Juwangsan1 2 5 8 11112 6 8 5 38 35 Jirisan1 3 5 9 10 1031141 55 1 1 1 1 1 15 23 39 115 Chiaksan1 2 8 1113 1311 1 1 15 23 29 1 1 1 6 41167 Taeanhaean2 2 416 202 2 22 3 5 8 1 1 2 2 3 58 45 Hallasan22 312 1511 26 26 34 8 18 17 43 95 Hallyeohaesang 2 2 17 17 1 1 12 16 19 1 1 2 2 1 6 815 57
·식물의 높은 서식비율은 국립공원이 안정적인 핵심 서식 처로서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
다만 포유류의 유일한 위급(CR)종인 사향노루는 본 현황 자료를 통해 지리산 등 9개의 국립공원 지역에 서식하는 것 으로 나타났지만 이것은 문헌상의 기록으로 현재는 강원도 일부 지역과 DMZ구간에서만 실체가 확인되고 있어 국립공 원 내 서식 여부에 대한 정밀 조사가 시급한 상황이다. 특 히 강원도의 현 서식지는 밀렵의 위협과 서식지 단편화로 인해 가까운 미래에 멸절될 가능성이 매우 높아 사향노루의 보전을 위한 종 보전전략 및 체계적인 복원 계획의 수립이 요구된다. 그리고 위기(EN)종 중 반달가슴곰, 여우와 취약
(VU)종인 산양은 현재 국립공원관리공단에서 서식지 내 종
복원사업을 통해 생태계에서 안정된 개체군을 확보하기 위 한 노력을 하고 있으므로 향후 지역적으로 절멸된 것으로 보고되고 있는 대륙사슴과 취약종인 무산쇠족제비 등 멸종 위기 야생동물의 증식 및 복원을 위해 국립공원만의 단계별 복원 계획수립을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담수어류, 연 체동물 등 일부 분류군의 경우 국립공원 내 서식 비율이 상 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조사되었는데 이러한 결과는 국립공 원 자연자원조사를 포함한 다수의 연구를 통해 관속식물, 포유동물, 곤충, 양서류, 파충류와 같은 주요 생물종에 대한 연구만이 집중적으로 이루어졌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특히, 담수어류는 수계를 따라 서식하는 특이성이 있으나 국립공 원 수계는 대부분 산림 내 계곡부에 위치하고 있어 담수어 류의 종다양성이 낮게 평가되는 한계점이 있다. 또한 연체 동물의 경우 공원 내 서식현황에 대한 체계적인 조사가 진 행되지 않아 실질적으로 많은 종들이 포함될 수 있으나 낮 게 평가된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공원자원의 보호 및 보 전을 기본이념으로 하는 국립공원에서는 공원관리 측면에서 생물종 인벤토리사업 수행시 집중조사 대상 분류군을 우선 적으로 선정하여 사업을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멸종위기에 처한 희귀 야생생물의 보호와 보전 전략의 수 립을 위해서는 생물학적 특성인 종 분류, 생활사, 분포, 생 육지 특성, 유전적인 정보 등 기초자료 확보를 위한 연구가 필수적이며 증식기술 개발과 같은 응용연구도 병행되어야 한다. 따라서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공원 내 보전을 위해 서는 종 특이적인 생물학적 기초자료의 확보가 필수적이며, 선행 연구자료를 통한 정보를 수집하는 것 외에도 현장조사 를 수행하여 서식지의 현황과 위협요인에 대한 파악이 요구 되며 식재되었을 것으로 추정되는 식물 등 일부 출현 의심 종에 대해서는 실제 서식여부를 파악하여 분류군별 종 특이 적인 관리방안을 수립해야 한다.
본 현황자료를 통한 국립공원 적색목록 멸종우려종 목록 의 제시는 국가 보호지역 관리를 담당하는 국립공원관리공 단의 공원관리적 측면에서 희귀 야생생물의 보전을 위한 유 용한 기초자료로 이용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특히, 환 경부 법정보호종인 멸종위기 야생생물에 주로 초점을 맞춰 왔던 생물종 보전 및 관리의 대상을 적색목록의 멸종우려종 으로 확대하여 해당 종의 주요 서식지를 보호구역으로 지정
·관리하고 분류군별 서식지의 특성을 파악하기 위한 모니 터링의 수행 등 보전 및 관리의 우선권 설정 수립을 통해 생태계 최후의 보루이자 국가생물핵심보전지역인 국립공원 멸종우려 생물종의 현지 내 보전(In situ conservation)을 위 한 노력이 절실히 요구된다.
참고문헌
2010 Biodiversity Indicators Partnership. 2010. Biodiversity indicatos and the 2010 Target: Experiences and lessons learnt from the 2010 Biodiversity Indicators Partnership. Secretariat of the convention on Biological Diversity. Technical Series 53.
Montreal, Canada.
국립공원연구원. 2015. 국립공원내생물종목록. 국립공원관리 공단.
국립생물자원관a. 2011. 멸종위기야생동·식물지정관리기준마 련및적색목록집발간.
국립생물자원관b. 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양서류·파충류」.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c. 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어류」.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d. 2011.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조류」.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a. 2012.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관속식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b. 2012.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곤충Ⅰ」.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c. 2012.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연체동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d. 2012.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포유동물」.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a. 2013.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곤충Ⅱ」.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b. 2013.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곤충Ⅲ」.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2014. 한국의멸종위기야생동·식물적색자료 집「거미」. 환경부
국립생물자원관. 한반도의 생물자원. 국가생물종목록 구축현황 (2015년 10월기준). http://species.nibr.go.kr/
윤성일. 2007. 한국국립공원내야생동물과농작물피해. 환경생
물 25(3): 223-227.
이현우외. 2011. 국가적색목록생물종의보호를위한관리정책연
구.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환경부. 2005. 야생동식물보호법. p 284.
환경부. 2012. 야생생물보호및관리에관한법률 환경청. 1989. 특정야생동식물지정고시제9-5.
Gärdenfors U, JP Rodríguez, C Hilton-Taylor, C Hyslop, G Mace, S Molur, S Poss. 1999. Draft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Species 31-32: 58-70.
IUCN. 2001a. IUCN Red list Categories: Version 3.1. Prepared by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erland.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현황 97
IUCN. 2001b. Draft guidelines for the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National and regional levels. http://www.iucn.org/
themes/ssc
IUCN. 2010. Guidelines for application of IUCN red list criteria at regional and national levels: version 4.0 IUCN Species Survival Commission. IUCN, Gland, Switzerland.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2014. Korea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Second Edition」. National Institute of
Biological Resources
Smith, Fraser DM, Robert M. May. 1993. Estimating extinction rates. Nature 364: 494-496.
WWF. 2014. Living Planet Report 2014: Species and Spaces, People and Places. Gland, Switzerland: WWF.
(2016년 6월 13일접수; 2016년 6월 18일채택)
Appendix I. Korean red List of threatened species in Korea National Park.
Taxon Scientific name Common name Catego ries
Korea National Par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Mammals
Moschus moschiferus parvipes 사향노루 CR * * * * * * * * *
Phoca largha 물범 EN *
Ursus thibetanus ussuricus 반달가슴곰 EN * * * * * *
Vulpes vulpes peculiosa 여우 EN * * * * * * *
Murina ussuriensis 작은관코박쥐 EN * * * * *
Martes flavigula 담비 VU * * * * * * * * * * * * * *
Mustela nivalis 무산쇠족제비 VU * * * * *
Myotis formosus chofukusei 붉은박쥐 VU * * * * * * * *
Naemorhedus caudatus 산양 VU * * * * * * *
Prionailurus bengalensis 삵 VU * * * * * * * * * * * * * * * * * * * * *
Lutra lutra 수달 VU * * * * * * * * * * * * * * * * * * *
Plecotus auritus 토끼박쥐 VU * * * *
Pteromys volans aluco 하늘다람쥐 VU * * * * * * * * * * * *
Birds
Aquila chrysaetos japonica 검독수리 EN * *
Larus saundersi 검은머리갈매기 EN * *
Emberiza aureola 검은머리촉새 EN * * *
Larus relictus 고대갈매기 EN *
Strix uralensis 긴점박이올빼미 EN * *
Egretta eulophotes 노랑부리백로 EN * * * *
Ciconia nigra 먹황새 EN *
Gorsachius goisagi 붉은해오라기 EN *
Haematopus ostralegus osculans 검은머리물떼새 VU * * * *
Terpsiphone atrocaudata 긴꼬리딱새 VU * * * * * * * *
Dryocopus martius 까막딱다구리 VU * * * * * * * * * * * * * * * *
Platalea leucorodia leucorodia 노랑부리저어새 VU * * *
Aegypius monachus 독수리 VU * * * * * * * * * *
Gallicrex cinerea 뜸부기 VU *
Falco peregrinus japonensis 매 VU * * * * * * * * * * * *
Emberiza sulphurata 무당새 VU * * *
Pandion haliaetus haliaetus 물수리 VU * * * * * *
Pernis ptilorhynchus orientalis 벌매 VU * * * * * * * * * * * * *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VU * * * * * * * * * * * * * * * * * * * * * Accipiter nisus nisosimilis 새매 VU * * * * * * * * * * * * * * * * * * * * * Falco subbuteo subbuteo 새호리기 VU * * * * * * * * * * * * * * * * * * * * *
Locustella pleskei 섬개개비 VU * * * *
Milvus migrans lineatus 솔개 VU * * * * *
Bubo bubo 수리부엉이 VU * * * * * * * * * * * * * * * *
Numenius madagascariensis 알락꼬리마도요 VU * * *
Strix aluco 올빼미 VU * * * * * * * * * * * * *
Platalea minor 저어새 VU * *
Accipiter gularis gularis 조롱이 VU * * * * * * * * * * * * * * *
Accipiter gentilis schvedowi 참매 VU * * * * * * * * * * * * * * * * * *
Cygnus cygnus 큰고니 VU * * * *
Ixobrychus eurhythmus 큰덤불해오라기 VU *
Pitta nympha 팔색조 VU * * * * * * * * * * *
Aquila clanga 항라머리검독수리 VU *
Grus monacha 흑두루미 VU * *
Columba janthina 흑비둘기 VU * *
Haliaeetus albicilla albicilla 흰꼬리수리 VU * * * *
Charadrius placidus 흰목물떼새 VU * * * * * * * * * * * * *
Amphi- bians
Hynobius yangi 고리도롱뇽 EN *
Rana chosenicus 금개구리 VU * *
Kaloula borealis 맹꽁이 VU * * * *
Karsenia koreana 이끼도롱뇽 VU * * * * * * * *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현황 99
Appendix I. Continued.
Taxon Scientific name Common name Catego ries
Korea National Par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Reptiles
Elaphe schrenckii 구렁이 EN * * * * * * * * * * * * *
Sibynophis chinensis 비바리뱀 EN *
Eremias argus 표범장지뱀 EN *
Mauremys reevesii 남생이 VU * * * * *
Pelodiscus sinensis 자라 VU * * * * * * *
Fish
Iksookimia pumila 부안종개 CR *
Pseudopungtungia nigra 감돌고기 EN *
Gobiobotia macrocephala 꾸구리 VU *
Lethenteron reissneri 다묵장어 VU *
Gobiobotia brevibarba 돌상어 VU * * * * *
Hemibarbus mylodon 어름치 VU * * * * *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열목어 VU * * *
Cottus hangiongensis 한둑중개 VU * *
Insects
Sisyphus schaefferi 긴다리소똥구리 CR * *
Mellicta britomartis latefasciata 봄어리표범나비 CR * * * * * *
Plebejus subsolanus 산부전나비 CR * *
Aporia crataegi 상제나비 CR * *
Polyphylla laticollis manchurica 수염풍뎅이 CR *
Scarabaeus typhon 왕소똥구리 CR *
Callipogon relictus 장수하늘소 CR *
Cicindela coerulea nitida 주홍길앞잡이 CR *
Blaps japonensis 큰거저리 CR *
Bibasis striata 큰수리팔랑나비 CR *
Sinia divina 큰홍띠점박이푸른
부전나비 CR *
Narathura bazalus turbata 남방남색꼬리부전
나비 EN *
Onthophagus solivagus 노랑무늬소똥풍뎅이 EN * * *
Melitaea protomedia 담색어리표범나비 EN * * * * *
Cicindela anchoralis punctatissima닻무늬길앞잡이 EN *
Libellula angelina 대모잠자리 EN * *
Cybister lewisianus 동쪽애물방개 EN *
Shirozua jonasi 민무늬귤빛부전나비 EN *
Satyrium latior 북방까마귀부전나비 EN *
Hipparchia autonoe 산굴뚝나비 EN * * *
Plebejus argus 산꼬마부전나비 EN * * * * * * * * *
Clossiana thore 산꼬마표범나비 EN *
Nicrophorus japonicus 송장벌레 EN * * *
Melitaea scotosia 암어리표범나비 EN * * * * *
Melitaea ambigua 여름어리표범나비 EN * * * * * * * * *
Leptalina unicolor 은줄팔랑나비 EN * * * *
Onthophagus gibbulus 점박이외뿔소똥풍
뎅이 EN * *
Carterocephalus dieckmanni 참알락팔랑나비 EN * * * * * * * * *
Speyeria aglaja 풀표범나비 EN * * * * * * * * *
Seokia pratti 홍줄나비 EN * *
Aphantopus hyperantus 가락지나비 VU * * * *
Scopura gaya 가야산민날개강도래 VU *
Nymphalis l-album 갈구리신선나비 VU * *
Boyeria maclachlani 개미허리왕잠자리 VU * * * * *
Onthophagus rugulosus 검정뿔소똥풍뎅이 VU * * * * *
Maculinea teleius 고운점박이푸른부
전나비 VU * * *
Nymphalis io 공작나비 VU *
Euphydryas sibirica 금빛어리표범나비 VU * *
Appendix I. Continued.
Taxon Scientific name Common name Catego ries
Korea National Par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Insects
Leptidea amurensis 기생나비 VU * * * * * * * * * * *
Protantigius superans 깊은산부전나비 VU * * * * *
Satyrium w-album 까마귀부전나비 VU * * * *
Sericinus montela 꼬리명주나비 VU * * * * * * * * * * * * * * * * *
Nannophya pygmaea 꼬마잠자리 VU * * * * *
Pyrgus malvae 꼬마흰점팔랑나비 VU * * *
Hesperia florinda 꽃팔랑나비 VU * * * * * * * *
Stenygrinum quadrinotatum 네눈박이하늘소 VU * * * * * * *
Aphodius languidulus 노랑똥풍뎅이 VU * *
Coenonympha hero 도시처녀나비 VU * * * * * * * * * * * * * * * *
Heterocephalus morpheus 돈무늬팔랑나비 VU * * * * * * * * * * * * * * *
Prosopocoilus blanchardi 두점박이사슴벌레 VU *
Nymphalis xanthomelas 들신선나비 VU * * * * * * * * *
Rosalia coelestis 루리하늘소 VU * *
Gonepteryx maxima 멧노랑나비 VU * * * * * * * * * * * *
Lamia textor 목하늘소 VU * * *
Mimathyma nycteis 밤오색나비 VU * * *
Coenonympha oedippus 봄처녀나비 VU * * * * * * *
Parnassius bremeri 붉은점모시나비 VU * * * * *
Chrysochroa coreana 비단벌레 VU * * * * * *
Ochlodes similis 산수풀떠들썩팔랑
나비 VU *
Asiagomphus melanopsoides 산측범잠자리 VU *
Ochlodes venata 수풀떠들썩팔랑나비 VU * * * * * * * * * * *
Coenonympha amaryllis 시골처녀나비 VU * * * * * * * * *
Nymphalis antiopa 신선나비 VU *
Spindasis takanonis 쌍꼬리부전나비 VU * * *
Nymphalis urticae 쐐기풀나비 VU *
Hydaticus thermonectoides 알락물방개 VU *
Palimna liturata 알락수염하늘소 VU * * * * *
Thecla betulae 암고운부전나비 VU * * *
Apatura ilia 오색나비 VU * * * * * * * * * * * * * * * *
Dineutus orientalis 왕물맴이 VU * *
Fabriciana nerippe 왕은점표범나비 VU * * * * * * * * * * * * * *
Limenitis populi 왕줄나비 VU * *
Erebia cyclopius 외눈이지옥나비 VU * * * * * * *
Erebia wanga 외눈이지옥사촌나비 VU * * * * * * * * * * * *
Leptepania japonica 용정하늘소 VU * *
Fabriciana xipe 은점표범나비 VU * * * * * * * * * * * * * * *
Neozephyrus japonicus 작은녹색부전나비 VU * * * * *
Clossiana perryi 작은은점선표범나비 VU * * * * * * * *
Limenitis homeyeri 제삼줄나비 VU * * * *
Aldania deliquata 중국황세줄나비 VU * *
Bolbelasmus coreanus 참금풍뎅이 VU * * * * * * *
Oeneis mongolica 참산뱀눈나비 VU * * * * * * * * *
Clossiana oscarus 큰은점선표범나비 VU * * * * * * *
Osmoderma opicum 큰자색호랑꽃무지 VU * * *
Brenthis daphne 큰표범나비 VU * * * * * *
Oeneis urda 함경산뱀눈나비 VU * * * *
Megaleptura thoracica 홍가슴꽃하늘소 VU * *
Melanargia halimede 흰뱀눈나비 VU * * * * * * * * * * * * * * * * *
Pyrgus maculatus 흰점팔랑나비 VU * * * * * * * * * * * * * * *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현황 101
Appendix I. Continued.
Taxon Scientific name Common name Catego ries
Korea National Par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Spiders
Paratheuma shirahamaensis 갯가게거미 CR *
Thomisus onustus 흰살받이게거미 CR *
Eresus kollari 주홍거미 EN *
Atypus coreanus 한국땅거미 EN * * * * *
Araneus nordmanni 반야왕거미 VU *
Alloclubionoides ovatus 방울가게거미 VU *
Ordgarius sexspinosus 여섯뿔가시거미 VU *
Araneus pinguis 점왕거미 VU *
Mollusks
Clithon retropictus 기수갈고둥 VU * * *
Koreoleptoxis globus ovalis 띠구슬다슬기 VU *
Aegista proxima 민둥배꼽달팽이 VU * *
Pisidium coreanum 산골조개 VU * * * * * * * *
Plants
Cypripedium japonicum 광릉요강꽃 CR *
Cremastra unguiculata 두잎약난초 CR *
Vexillabium yakusimense 백운란 CR * *
Paeonia obovata 산작약 CR * * * * * * * * *
Pterygopleurum neurophyllum 서울개발나물 CR *
Diapensia lapponica 암매 CR *
Codonopsis minima 애기더덕 CR *
Mankyua chejuense 제주고사리삼 CR
Astragalus membranaceus var.
alpinus 제주황기 CR *
Rhamnus taquetii 좀갈매나무 CR *
Neofinetia falcata 풍란 CR * *
Leontopodium hallaisanense 한라솜다리 CR *
Silene fasciculata 한라장구채 CR * *
Utricularia intermedia 개통발 EN *
Anaphalis sinica var. morii 구름떡쑥 EN * *
Abies koreana 구상나무 EN * * * * * * * * * * *
Androsace cortusaefolia 금강봄맞이 EN *
Lilium dauricum 날개하늘나리 EN * * * * *
Viola mirabilis 넓은잎제비꽃 EN *
Rhododendron aureum 노랑만병초 EN *
Anaphalis sinica 다북떡쑥 EN * *
Iris dichotoma 대청부채 EN *
Cymbidium macrorhizon 대흥란 EN * * * * *
Oreorchis coreana 두잎감자난초 EN *
Spiraea chartacea 떡조팝나무 EN * * *
Pedicularis mandshurica 만주송이풀 EN * * *
Berchemia floribunda 먹넌출 EN *
Lecanorchis japonica 무엽란 EN * *
Lysimachia leucantha 물까치수염 EN *
Orobanche filicicola 백양더부살이 EN * * *
Cypripedium macranthos 복주머니란 EN * * * * * * * *
Pseudolysimachion kiusianum
var. diamantiacum 봉래꼬리풀 EN *
Iris setosa 부채붓꽃 EN * *
Lycopodium complanatum 비늘석송 EN * *
Saururus chinensis 삼백초 EN *
Dendrobium moniliforme 석곡 EN * * * * *
Cimicifuga heracleifolia 승마 EN * * * * * * * * * * * * * * *
Chamaegastrodia shikokiana 애기천마 EN * *
Thalictrum coreanum 연잎꿩의다리 EN * * * * *
Huperzia cryptomeriana 왕다람쥐꼬리 EN * * * *
Appendix I. Continued.
Taxon Scientific name Common name Catego ries
Korea National Par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Plants
Prunus yedoensis 왕벚나무 EN * * * * * * * * * * * * * * *
Viola websteri 왕제비꽃 EN * * *
Crataegus komarovii 이노리나무 EN *
Viola biflora 장백제비꽃 EN *
Lecanorchis kiusiana 제주무엽란 EN *
Salix blinii 제주산버들 EN *
Nymphoides coreana 좀어리연꽃 EN * *
Zabelia tyaihyonii 줄댕강나무 EN *
Cleisostoma scolopendrifolium 지네발란 EN * *
Lycoris chinensis var. sinuolata 진노랑상사화 EN *
Hypericum oliganthum 진주고추나물 EN * *
Adenophora palustris 진퍼리잔대 EN * * *
Amelanchier asiatica 채진목 EN *
Michelia compressa 초령목 EN *
Metanarthecium luteo-viride 칠보치마 EN * *
Dendranthema coreanum 한라구절초 EN *
Pedicularis hallaisanensis 한라송이풀 EN * * *
Liparis auriculata 한라옥잠난초 EN *
Lysimachia pentapetala 홍도까치수염 EN * * *
Silene jenisseensis 가는다리장구채 VU * *
Pseudostellaria sylvatica 가는잎개별꽃 VU *
Elsholtzia angustifolia 가는잎향유 VU * * *
Picea jezoensis 가문비나무 VU * *
Euryale ferox 가시연꽃 VU *
Eleutherococcus senticosus 가시오갈피나무 VU * * * * * *
Sophora koreensis 개느삼 VU *
Astilboides tabularis 개병풍 VU * * * *
Cheilanthes chusana 개부싯깃고사리 VU *
Lycopodium annotinum 개석송 VU * *
Apocynum lancifolium 개정향풀 VU *
Ligularia taquetii 갯취 VU * *
Gymnadenia cucullata 구름병아리난초 VU * *
Calanthe striata 금새우난초 VU *
Trientalis europaea ssp. arctica 기생꽃 VU * * *
Thalictrum simplex var. brevipes긴잎꿩의다리 VU *
Euphrasia coreana 깔끔좁쌀풀 VU * *
Deutzia paniculata 꼬리말발도리 VU * * *
Cephalanthera erecta for.
subaphylla 꼬마은난초 VU * * *
Drosera peltata var. nipponica 끈끈이귀개 VU *
Nuphar pumila var. ozeense 남개연 VU *
Iris koreana 노랑붓꽃 VU * * *
Pinus pumila 눈잣나무 VU *
Dryopteris tokyoensis 느리미고사리 VU *
Toxicodendron orientale 덩굴옻나무 VU *
Cicuta virosa 독미나리 VU *
Daphne pseudomezereum var.
koreana 두메닥나무 VU * * * *
Vaccinium uliginosum 들쭉나무 VU * * *
Oplopanax elatus 땃두릅나무 VU * * * * * * *
Forsythia ovata 만리화 VU *
Ranunculus trichophyllus var.
kadzusensis 매화마름 VU *
국립공원 내 적색목록 멸종우려종의 현황 103
Appendix I. Continued.
Taxon Scientific name Common name Catego ries
Korea National Park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Plants
Megaleranthis saniculifolia 모데미풀 VU * * * * * * * *
Ceratopteris thalictroides 물고사리 VU *
Polygonum amphibium 물여뀌 VU *
Abeliophyllum distichum 미선나무 VU * * *
Anemone narcissiflora 바람꽃 VU * * *
Osmanthus insularis 박달목서 VU * *
Aconitum coreanum 백부자 VU * * *
Lycoris sanguinea var. koreana 백양꽃 VU * * * *
Meretrix lusoria 백합 VU * * *
Loxogramme salicifolia 버들일엽 VU *
Salomonia oblongifolia 병아리다리 VU *
Chamerion angustifolium 분홍바늘꽃 VU * *
Forsythia saxatilis 산개나리 VU * *
Plagiogyria japonica 섬꿩고사리 VU *
Diplazium hachijoense 섬잔고사리 VU *
Aconitum austrokoreense 세뿔투구꽃 VU * *
Gymnadenia conopsea 손바닥난초 VU *
Iris ruthenica var. nana 솔붓꽃 VU * * * * * * *
Trapella sinensis var. antennifera 수염마름 VU *
Loxogramme duclouxii 숟갈일엽 VU * *
Empetrum nigrum var. japonicum 시로미 VU *
Goodyera repens 애기사철란 VU * * * *
Pedicularis ishidoyana 애기송이풀 VU *
Calanthe reflexa 여름새우난초 VU *
Albizia kalkora 왕자귀나무 VU *
Vaccinium vitis-idaea 월귤 VU *
Cyrtosia septentrionalis 으름난초 VU * *
Utricularia yakusimensis 자주땅귀개 VU * * * *
Astragalus davuricus 자주황기 VU *
Iris laevigata 제비붓꽃 VU * *
Huperzia selago 좀다람쥐꼬리 VU * *
Crypsinus veitchii 층층고란초 VU *
Bulbophyllum drymoglossum 콩짜개란 VU * * *
Epilobium hirsutum 큰바늘꽃 VU * *
Swertia wilfordii 큰잎쓴풀 VU *
Gymnospermium microrrhynchum 한계령풀 VU * *
Juniperus chinensis 향나무 VU * * * * * * * * * * * * *
Bulbophyllum inconspicuum 혹난초 VU *
Saussurea polylepis 홍도서덜취 VU *
Arctous alpinus var. japonicus 홍월귤 VU *
Hibiscus hamabo 황근 VU *
Liparis nervosa 흑난초 VU *
1. Gayasan, 2. Gyeongju, 3. Gyeryongsan, 4. Naejangsan, 5. Dadohaehaesang, 6. Deogyusan, 7. Mudeungsan, 8. Byeonsanbando, 9. Bukhansan, 10.
Seoraksan, 11. Sobaeksan, 12. Songnisan, 13. Odaesan, 14. Woraksan, 15. Wolchulsan, 16. Juwangsan, 17. Jirisan, 18. Chiaksan, 19. Taeanhaean, 20. Hallasan, 21. Hallyeohaesa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