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립공원 삭도 운영 구간의 탐방객 이용 특성 및 훼손 영향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국립공원 삭도 운영 구간의 탐방객 이용 특성 및 훼손 영향"

Copied!
14
0
0

Teks penuh

(1)

국립공원 삭도 운영 구간의 탐방객 이용 특성 및 훼손 영향

김종엽1

윤주웅2*

정원옥2

1도시생태연구센터, 2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Characteristics of Visitor Use and Impact of Damage in the Operation Section of Ropeway in Korea National Parks

Jong-Yup Kim

1

, Ju-Ung Yun

2*

and Won-Ok Jeong

2

1Urban Ecosystem Research Center, Korea, Seoul 05643, Korea

2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요약: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삭도 운영 구간의 탐방객 이용 특성, 삭도 정류장 시점과 종점 일대의 훼손 현황, 시각 경관 영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설악산 삭도 이용객 95%가 권금성을 방문함에 따라 종점에서 주 탐방로까지의 집중적인 훼손의 요인이 되었다. 삭도 운영 구간은 정류장, 상업시설, 편의시설, 주차장 조성 등으로 1차적인 훼손이 발생하였다. 삭도 이용 탐방객의 일시적이고 집중적인 이용으로 정류장 주변, 탐방로, 우수 조망점에서 2차적인 훼손이 발생하였다. 설악산국립공원 삭도 시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3등급이 9,848㎡, 4등급이 8,407㎡이 었다. 내장산국립공원 삭도 종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3~6등급이 984.4㎡이었다. 덕유산국립공원 삭도 종점 일대 환경피해도는 5등급이 5,017㎡이었다. 삭도 시각 경관 영향 분석결과, 주요 동선에서 보이는 직접가시권, 삭도를 타면서 보이는 간접가시권 등 불량경관 면적은 설악 산 3,022,752㎡, 내장산 1,747,424㎡, 덕유산 6,937,782㎡ 이었다.

주요어: 조망점, 환경피해도, 시각 경관 영향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visitor use of the ropeway operation section in National Park, the status of damage around the departure and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and the impact of the visual landscape. 95%

of the ropeway users of Seoraksan National Park visited Gwongeumseong. Therefore, damage occurred from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to the main viewing point. When the ropeway was operated, primary damage to the ropeway stop, commercial facili- ties, convenience facilities, parking lot, etc. occurred. Secondary damage occurred around destination point, trails, and viewpoints because of the temporary and intensive use of the ropeway. As a result of the condition rating class analysi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Seoraksan National Park, the 3rd grade was 9,848㎡ and the 4th grade was 8,407㎡. The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was 984.4㎡ for grades from 3 to 6. The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the ropeway in Deogyusan National Park was 5,017㎡.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visual land- scape effect of the ropeway, the direct line of sight seen from the main movement trail and the indirect line of sight seen while riding the ropeway were analyzed. The area of these poor landscapes is as follows: Seoraksan National Park was 3,022,752㎡, Naejangsan National Park was 1,747,424㎡, and Deogyusan National Park was 6,937,782㎡.

Key words view point, condition rating class, impact of the visual landscape

서론

삭도는 1962년 서울 남산을 시작으로 대부분 관광용 으로 설치되기 시작하였다. 우리나라 국립공원 중에서 는 설악산국립공원 권금성(1971년), 내장산국립공원 내

장사지구(1980년), 덕유산국립공원 설천지구(1990년)에 서 삭도가 운영되고 있다. 국립공원 내 삭도(케이블카, 곤돌라 등)는 기존의 탐방로나 도로의 제한 내지 폐쇄를 유도하는 등 자연친화적인 공원 환경에 기여할 수 있는 방안으로 제한적으로 운영되어 왔다. 최근 삭도가 국립

Received 30 July 2021; Revised 16 August 2021; Accepted 17 November 2021

*Corresponding to 윤주웅(Ju-Ung Yun) E-mail. juung@knps.or.kr

(2)

공원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관심이 급증하고 있 으나 이와 관련된 자료는 부족한 실정이다.

Seol(2004)은 삭도 설치 시 철탑(지주대),

정류장 건물 조성으로 지형변화와 주변 경관에 미치는 악영향, 정상 부 지형변화와 이용객 집중에 의한 훼손 야기, 부대시설 및 오염원 증가 등의 문제점을 지적하였다. Baek and

Kim(2013)은 자연공원을 효율적으로 관리하고 보전할

수 있는 대안으로서 삭도 시설 설치에 대한 보전과 이용 의 갈등 원인과 대안을 연구한 바 있다. Park(2016)은 케 이블카 사업은 수익성 확보를 위한 경제성이 우선되어 야 하며, 설치에 앞서 자연공원과 일반지역에 대한 관련 법의 면밀한 검토와 지역주민 등 이해당사자 참여와 공 동조사 방식을 제안하였다. 국립공원 내 삭도 운영 구간 의 탐방객의 이용 특성과 이에 따른 훼손지 발생현황 및 영향에 대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삭도 운영 지역에서 탐방객의 이용 특성과 삭도 정류장이 설치되어 있는 시점과 종점 일대의 훼손 현황을 조사하고, 삭도 설치에 따른 시각 경관 영향을 분석하여 장기적으로 삭도에 의한 훼손지 복원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1. 연구대상지

국립공원 중 삭도가 운영되고 있는 지역은 설악산국 립공원, 내장산국립공원, 덕유산국립공원

3개소이다.

설 악산국립공원(1970년 지정)은 1971년에 케이블카가 설 치되어 설악케이블카(주)가 운영하고 있고, 내장산국립 공원(1971년 지정)은 1980년에 설치되었고, 내장산개발

(주)가 운영하고 있으며,

덕유산국립공원(1975년 지정)

은 1990년에 곤돌라가 설치되었고, (주)무주덕유산리조 트가 운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케이블카 및 곤돌라 등 삭도가 운영되고 있는 국립공원 3개소를 연구대상지 로 선정하였다(Fig. 1).

Fig. 1. Location of study site

2. 조사 및 분석방법

1) 삭도 개황 및 탐방객 이용 특성

삭도 개황은 삭도 운영회사, 설치연도, 삭도의 규모 등 제원, 삭도 시점 및 종점의 표고와 표고 차이 등 참고 자료와 현장조사 자료를 바탕으로 작성하였다. 설악산 국립공원에서 여름철 성수기인

2016년 8월 13일(토) 7

30분부터 13시까지 삭도 종점에서 권금성과 안락암

을 방문하는 탐방객 통행량을 조사하였다. 1인

1조 또는 2인 1조로 조사팀을 구성하여 탐방객의 이동이 잘 보이

는 지점에서 계측기를 이용하여 통행량을 조사하였다.

내장산국립공원과 덕유산국립공원의 경우에는 탐방객 수가 적어서 분석결과를 도출하는 데 한계가 있어 본 연 구에서는 제외하였으며, 설악산국립공원의 경우에도 추 후에는 계절별 성수기 때 탐방객 이용행태 특성 연구를 진행할 필요가 있었다.

2) 삭도 시⋅종점 일대 훼손 현황

삭도 정류장 시⋅종점 일대에 탐방객이 집중적으로 이용하는 공간을 범위로 토지이용, 식생상관, 식생 하층 훼손 현황을 반영하여 현존식생과 환경피해도를 조사하 였다. 현존식생 조사는 수치지도와 최근 인공위성 사진 을 중첩하여 교목층 우점종 및 지피식생의 식생상관을

(3)

바탕으로 지도에 블록으로 표기하고 블록별 속성을 야장 에 기록하였으며, AUTOCAD MAP 3D 2020, ARCMAP

10.3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도면화 하였다. 본 연구에서

는 삭도 정류장 시점 일대를

1차 훼손,

삭도 정류장 종점 일대 훼손을

2차

훼손으로 간주하여 그 분석결과를 제시 하였다.

3) 탐방로 노면 유형 및 훼손 현황(환경피해도)

탐방로 노면 상태는 흙이나 암반 외 목재데크, 식생매 트 등 노면재질, 노면상태, 정비현황 등을 파악하였고, 노면 폭은 탐방로 정비 상태와 탐방객이 밟고 다니는 훼 손 노폭을 고려하여 조사하였다. 환경피해도는 Kwon et

al.(1991)과 Korea National Park Service(2007), Korea National Park Service(2020)에서 제시한 기준을

바탕으 로 조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콘크리트포장, 목재데 크로 정비된 탐방로는 평가 등급에서 제외하였다. 국립 공원 탐방로 훼손지 조사 중 훼손등급 기준을 참고로 하 여 환경피해도

0~1등급은

훼손등급 건전, 환경피해도

2~3등급은

훼손등급 약, 환경피해도

4등급은

훼손등급

중, 환경피해도

5~6등급은 훼손등급 강으로 병기하였다 (Table 1).

4) 삭도 시각 경관 영향

국립공원은 보전가치가 높은 생물다양성 보전뿐만 아 니라 아름다운 경관의 보전관리도 중요하므로 삭도 시 각 경관 영향을 조사하였다. 탐방로 동선상의 조망점을 선정하고 삭도 등 목표 경관의 가시율을 조사하였다. 삭 도 시각 경관 영향 조사는 근경, 원경의 지형 및 식생 등을 고려하여 조사하였다. 삭도 시각 경관 영향에 따라 직접가시권, 간접가시권, 비가시권으로 구획하였는데, 이는 조사지점의 위치별로 삭도 시설의 시각 노출 여부 를 근거로 구획하였다. 직접가시권은 탐방로를 이동하 며 조망점에서 바라본 삭도 시설 목표경관의 시각 노출 권역으로서 삭도 시설이 시각적으로 노출된 권역이다.

직접가시권 중 삭도 인접 지역에서 보이는 직접가시권 은 (A), 삭도 인근 탐방로에서 보이는 직접가시권은 (B) 로 표기하였다. 간접가시권은 삭도를 탑승하였을 때 보 이는 경관의 시각 노출권역이며, 비가시권은 삭도가 보 이지 않는 권역이다.

Grade Criteria Forest environment

damaged rating

Strong

• Areas where the original deformation (more than depth of 30 cm) has been carried out, such as root exposure, rock exposure, etc.

• Areas where road scouring (waterway) is expanded and vegetative extinction of surrounding areas is spread

• Areas subject to terrain restoration (more than 80%) + vegetation restoration (less than 20%)

• Areas where the erosion of mud-flat and dune (more than depth of 1 m) is carried out at all times

• Areas with more than 30%/m2 coverage of invasive species (including disturbing species)

• Areas that needs to be immediately restored (1 to 3 years) due to intensified spread of damage

Ⅴ~Ⅵ

Medium

• Areas where the original deformation (less than depth of 30 cm) has been carried out, such as root exposure, etc.

• Areas where road surface erosion and vegetation dieback in the surrounding area are spread

• Areas subject to terrain restoration (50%) + vegetation restoration (50%)

• Areas where the erosion of mud-flat and dune (less than depth of 0.5 ~ 1 m) is carried out at all times

• Areas with 20 ~ 30%/m2 coverage of invasive species (including disturbing species)

• Areas that needs to be restored within a short period (4 to 7 years) due to concerns over the progress of damage (spread)

Ⅲ~Ⅴ

Weak

• Areas where the original deformation (less than depth of 15 cm) has been carried out, such as soil erosion, etc.

• Areas where the loss of topsoil layer (denudation) and the decline of vegetation in the surrounding are spread

• Areas subject to vegetation-based restoration (less that 20%) + vegetation restoration (more than 80%)

• Areas where the erosion of mud-flat and dune (less than depth of 0.5 m) is carried out at all times

• Areas with less than 20%/m2 coverage of invasive species (including disturbing species)

• Areas that needs to be restored within a long period (8 to 10 years) due to concerns over the progress of damage (spread)

Ⅱ~Ⅲ Table 1. Damaged site rating criteria

(4)

결과 및 고찰

1. 삭도 개황 및 탐방객 이용 특성

설악산국립공원 삭도 시점과 종점의 표고차는 477m, 운행거리

1,128m,

소요시간은

3분이었다.

내장산국립공 원 삭도 시점과 종점의 표고차는

230m,

운행거리 630m, 소요시간은 10분이었다. 덕유산국립공원 삭도 시점과 종 점의 표고차는

780m,

운행거리

2,659m,

소요시간은

20

분이었다. 탐방객들이 삭도를 이용하여 주 목적지까지 의 탐방이용 현황을 살펴보면, 설악산국립공원은 삭도 종점에서 권금성까지 거리가 240m, 도보로 10분이 소요 되며, 탐방객 95%가 권금성을 방문하였다. 내장산국립 공원은 삭도 종점에서 연자대 전망대까지 거리가 300m, 도보로 10분이 소요되며, 탐방객 대부분이 연자대를 방

문하였다. 덕유산국립공원은 삭도 종점인 설천봉(표고

1,505m)에서 향적봉(표고 1,614m)까지 거리가 552m,

도보로

15분이 소요되며 탐방객 대부분 향적봉을 방문

하였다(Table 2).

설악산국립공원에서 여름철 성수기인 2016년 8월 13 일(토) 7시

30분부터 13시까지 삭도를 타고 권금성과 안

락암을 방문하는 탐방객 통행량을 분석한 결과, 권금성 은 2,502명, 안락암은 119명으로 총 2,621명이 방문하였 다. 비율로 보면 권금성을 방문하는 탐방객이

95%, 안락

암은

5%로 탐방객은 대부분 삭도를 타고 권금성을 방문

하였다. 시간대별 권금성 방문 탐방객수 변화를 살펴보 면, 9시 이후부터 200~300명 정도가 일정한 패턴으로 이 용하였으며, 이 정도의 통행량은 삭도 운행이 종료되는 시점까지 이루어졌다(Table 3). 이상 종합하면, 삭도 이

용객은

3~20분 만에 230~780m의

표고차를 이동하여,

Site

Ropeway State Visitor Status

Elevation(m) Distance

(m) Time

(min.) Section Distance

(m) Time

(min.) Ratio of use Departure Destination Difference (%)

Seoraksan 222 699 477 1,128 3 Destination

-Gwongeumseong 240 10 95

Naejangsan 200 430 230 630 10 Destination

-Yeonjadae 300 10 -

Deogyusan 725 1,505 780 2,659 20 Seolcheonbong

-Hyangjeokbong 552 15 -

Table 2. Ropeway operation status and utilization rate for main tours

Time Destination → Gwongeumseong Destination → Anrakam (temple) Total

7:30 30 5 35

8 :00 117 17

8 :30 231 19 384

9:00 327 10

9:30 311 23 671

10:00 283 6

10:30 201 14 504

11:00 268 2

11:30 268 10 548

12:00 206 6

12:30 260 7 479

13:00 End End -

Total 2,502 119 2,621

Ratio(%) 95 5 100

Table 3. Gwongeumseong and Anrakam (temple) visitor using pattern in Seoraksan National Park (Unit: individual)

(5)

경관이 우수한 권금성, 연자대, 향적봉에 접근하였으며, 설악산의 경우

95%의 탐방객이

집중적으로 권금성을 방문함에 따라 권금성 일대의 집중적인 훼손을 야기시 켰다.

2. 삭도 시⋅종점 훼손 현황

1) 설악산국립공원 (1) 삭도 시점 훼손 현황

설악산국립공원 삭도(설악케이블카) 시점 중 환경피

해도

3등급(훼손등급 약)

지역은 소나무, 졸참나무 등이

우점하는 군락으로서 하층이 훼손된 면적은 9,848㎡(면 적비율 7.5%)이었다. 환경피해도 4등급(훼손등급 중) 지 역은 소나무, 졸참나무, 전나무, 상수리나무 등이 우점하 는 군락으로서 하층이 훼손된 면적은

8,407㎡(면적비율

6.4%)이었다.

삭도정류장 주변과 주차장, 광장 등 투수

포장지는 6.3%, 불투수포장지는 21.0%이었다. 건폐지는 삭도 시점 정류장, 상업시설, 관리시설, 사찰관련 시설물 등이었다(Table 4, Fig. 2). 이상 종합하면, 삭도 시점 일

대는 삭도 정류장, 상업시설, 주차장, 광장 등 편의시설 개발과 탐방객들의 집중적인 이용으로 기존 자연식생의 하층이 훼손되어 환경피해가 발생하고 있었으며, 이는 삭도 운영에 따른

2차적인

훼손이었다.

(2) 삭도 종점 권금성 훼손 현황

설악산국립공원 권금성 훼손지는

2011년 조사 당시에

도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었는데, 2011년 복원사업 이후

2016월 5월 현재 황마대

쌓기(자갈 및 흙 포설지) 약

201.7㎡, 목재

통제 로프 약 66.4m가 설치된 것이 대부

분이었다. 훼손면적에 비해 복원된 면적은 매우 미미하 였고, 현재도 과도한 이용과 폭우 및 강풍으로 잔존식생 까지 추가 훼손의 위협을 받고 있는 상태였다. 권금성 훼손지 토양유실 추정 지역 1,646㎡를 모두 복원해야 할 것이다(Table 5). 권금성 훼손지는 목재난간 또는 우회탐 방로 조성과 함께 식생복원 사업을 추진해야 할 것이며,

1차적으로 산솜다리,

원추리, 그령 등 자생초본식생, 2차

적으로 병꽃나무, 정향나무 등 자생목본식생을 복원해 야 할 것이다(University of Seoul, 2011).

Division Actual vegetation type and condition rating class Area(㎡) Ratio(%)

Natural Forest

1. Quercus serrata 819 0.6

2.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 15,461 11.7

3. 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Pinus densiflora 4,360 3.3

Remained Forest

4. Pinus densiflora 1,788 1.4

5.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1,292 1.0

6. Abies holophylla 210 0.2

7. Abies holophylla-Prunus sargentii -Quercus serrata 163 0.1

8. Quercus serrata 2,374 1.8

9. 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 725 0.5

10. 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Prunus sargentii 620 0.5

11. Quercus acutissima 229 0.2

12. Robinia pseudoacacia 151 0.1

Commercial area in Remained

Forest

13. Pinus densiflora 855 0.6

14. Quercus serrata 100 0.1

15. Platanus occidentalis -Zelkova serrata 640 0.5

Condition rating class 3

16. Pinus densiflora 1,208 0.9

17.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3,190 2.4

18.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 4,780 3.6

19. Quercus serrata-Quercus variabilis 247 0.2

20. Zelkova serrata-Prunus sargentii (planting) 423 0.3

Table 4. Area and ratio of actual vegeta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parture point of ropeway in Seoraksan National Park

(6)

Division Actual vegetation type and condition rating class Area(㎡) Ratio(%)

Condition rating class 4

21. Pinus densiflora 537 0.4

22.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1,236 0.9

23. Abies holophylla 446 0.3

24. Pinus koraiensis-Quercus serrata 2,169 1.6

25. Quercus serrata 3,022 2.3

26. Quercus serrata-Pinus densiflora 447 0.3

27. Quercus acutissima 550 0.4

Landscape woody planting area

28. Pinus densiflora (planting) 2,433 1.8

29. Abies holophylla (planting) 383 0.3

30. Abies holophylla-Albizia julibrissin (planting) 114 0.1

31. Abies holophylla-Alien deciduous trees (planting) 2,682 2.0

32. Native deciduous trees (planting) 2,423 1.8

33. Prunus sargentii-Abies holophylla (planting) 210 0.2

34. Prunus sargentii-Native deciduous trees (planting) 2,464 1.9

35. Acer palmatum (planting) 2,986 2.3

36. Acer palmatum-Pinus koraiensis (planting) 75 0.1

37. Acer buergerianum-Alien deciduous trees (planting) 862 0.7

38. Native shrub (planting) 689 0.5

39. Lawn grass (planting) 2,884 2.2

40. Slope green 374 0.3

Water 41. Drain 147 0.1

Permeable pavement

42. Permeable pavement 6,153 4.7

43. Parking lot (permeable pavement) 652 0.5

44. Plaza 1,409 1.1

Impermeable pavement

45. Existing tree preservation area 628 0.5

46. Trail 22,044 16.7

47. Woody stair 40 0.0

48. Rode 4,695 3.6

49. Closed rode 259 0.2

50. Parking lot (impermeable pavement) 19,718 14.9

Building area

51. Ropeway departure station 714 0.5

52. Commercial facility 2,246 1.7

53. Closed commercial facility 1,105 0.8

54. Seolseondang (temple stay) 1,107 0.8

55. Ticket box 435 0.3

56. Rest room 380 0.3

57. Parking lot management facility 96 0.1

58. Sinheungsa (temple) Iljumun 70 0.1

59. Concrete Iljumun(entrance) 188 0.1

60. information board 21 0.0

61. Other area 596 0.5

Others 62. Seorak Mountain God Altar 1,250 0.9

63. Construction site 1,365 1.0

Total 131,937 100.0

Table 4. Continued

(7)

2) 내장산국립공원 (1) 삭도 시점 훼손 현황

내장산국립공원 삭도 시점 일대는 대부분 조경수식재 지와 다양한 시설이 조성되어 있었다. 조경수식재지 중 자생활엽수식재지 22.9%, 자생-외래활엽수식재지 및 외 래활엽수식재지가

10.3%로 비교적

넓었고, 주차장

5.0%,

도로 9.6%이었다. 삭도 시점 일대는 도시공원처

럼 조성된 조경수식재지와 연못, 주차장 등의 편의시설 이 대부분이었으며, 외래종(홍단풍, 은행나무 등)을 대 규모 면적으로 식재하여 국립공원의 위상과 맞지 않았 다. 삭도 시점 정류장 주변은 이용을 위한 넓은 면적의 투수포장지가 조성되어 있었다(Table 6, Fig. 3). 이상 종 합하면, 삭도 시점 일대는 삭도 정류장, 조경수식재지, 대면적의 투수포장지 등 자연식생은 남아있지 않았고, 도시지역의 공원과 유사한 형태로 시설물과 각종 편의 시설 도입으로 개발된 상태이었다.

(2) 삭도 종점 훼손 현황

내장산국립공원 삭도 종점 일대는 다층구조의 졸참나 무 대경목군락

15.3%,

탐방객의 이용으로 식생 하층이 훼손된 졸참나무 대경목군락은 3.6%이었다. 삭도 종점 정류장 건폐지는

6.8%,

주변 콘크리트 포장지

4.0%로

훼손되어 있었다. 콘크리트 포장지 주변 훼손지와 연자 대 및 문필대로 향하는 탐방로 주변으로 환경피해도 3등 급 3.0%, 4등급 11.5%, 5등급 5.9%, 개서어나무군락 하 층 훼손지 환경피해도

5등급 0.6%,

환경피해도

6등급 0.6%이었다(Table 7, Fig. 4).

이상 종합하면, 삭도 종점 일대는 삭도정류장과 상업시설 개발 및 탐방객의 답압 으로 기존의 졸참나무 등 대경목 자연식생이 훼손되었 으며, 삭도 종점에서 연자대 전망대로 연결되는 탐방로 주변으로 훼손된 환경피해도

3~6등급지는 면적 984.4㎡

로 조사지역의

21.5%

이었으며, 추가적인 훼손이 야기 되지 않도록 탐방로 동선을 정비하고, 주변 식생을 고려 하여 복원해야 할 것이다.

Fig. 2. Actual vegeta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map around the departure point of ropeway in Seoraksan National Park (refer to Table 3 for legend)

Division Contents

Damage status (2011)*

 Soil loss estimated area : 1,646㎡

 Soil remnant area within the loss site : 36㎡

 Vegetation distribution area within the loss site : 626㎡

Restoration status

(2016)  Building jute : 201.7㎡

 Wood control rope (established in 2011) : 66.4m

* University of Seoul(2011)

Table 5. Status of vegetation restoration in the damaged area of Gwongeumseong in Seoraksan National Park

(8)

Actual vegetation type Area(㎡) Ratio(%) Actual vegetation type Area(㎡) Ratio(%)

1. Native deciduous trees (planting) 10,873.3 22.9 23. Impermeable trail 306.5 0.6

2. Native mixed trees (planting) 8,363.3 17.6 24. Concrete area 338.8 0.7

3. Native shrub (planting) 52.8 0.1 25. Tile pavement 8.2 0.0

4. Native-alien deciduous trees (planting) 4,499.9 9.5 26. Other (impermeable) 254.2 0.5

5. Alien deciduous trees (planting) 383.4 0.8 27. Stair 5.7 0.0

6. Flower bed 74.9 0.2 28. Ropeway departure station 489.5 1.0

7. Field 208.5 0.4 29. Visitor center 1,023.4 2.2

8. Stream 3,393.0 7.2 30. Commercial facility 561.3 1.2

9. Pond 4,173.2 8.8 31. Rest room 305.9 0.6

10. Artificial valley 340.0 0.7 32. Bus station 31.5 0.1

11. Pond bank 162.4 0.3 33. Electrical facilities 25.8 0.1

12. Parking lot 2,354.0 5.0 34. Woody stair 16.3 0.0

13. Permeable Rode 172.3 0.4 35. Bench 39.2 0.1

14. Trail 1,186.6 2.5 36. Woohwajeong 129.6 0.3

15. Colsed trail 174.7 0.4 37. Construction site 788.7 1.7

16. Permeable pavement 679.2 1.4 38. Woody deck 251.5 0.5

17. Bike rack 7.1 0.0 39. Woody bridge 144.1 0.3

18. Shoes cleaner 3.6 0.0 40. Stone bridge 68.4 0.1

19. Narrow permeable area 587.5 1.2 41. Iron bridge 9.1 0.0

20. Narrow permeable trail 331.9 0.7 42. Concrete bridge 30.3 0.1

21. Rock stair 11.4 0.0 43. Discarded cable car 21.1 0.0

22. Impermeable Rode 4,533.1 9.6 Total 47,415.0 100.0

Table 6. Area and ratio of actual vegeta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parture point of ropewa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Fig. 3. Actual vegetation map around the departure point of ropewa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refer to Table 5 for legend)

(9)

3) 덕유산국립공원 (1) 삭도 시점 훼손 현황

덕유산국립공원 삭도 시점 일대는 소나무-굴참나무군 락, 잣나무림, 졸참나무군락 등 산림을 제외하면 대부분 시설지와 조성녹지, 불투수포장지 등이었다. 식재지 중

에서는 배롱나무식재지가 가장 넓었고 그 외에 소나무, 왕벚나무, 느티나무, 전나무 등이 식재되어 있었다. 리프 트 시점 및 스키슬로프 하단부는 잔디-붉은토끼풀이 우 점하였고, 그 외 지역은 대부분 주차장, 불투수포장 도 로, 휴게소 등이었다(Table 8, Fig. 5). 삭도 시점 일대는

Actual vegetation type and condition rating class Area(㎡) Ratio(%)

1. Pinus densiflora-Quercus serrata 142.9 3.1

2. Zelkova serrata-Quercus serrata 144.6 3.3

3. Quercus serrata (big trees) 40.9 0.9

4. Quercus serrata (big trees in multiple structure) 699.8 15.3

5. Quercus serrata (big trees in use area) 166.7 3.6

6. Quercus serrata 201.8 4.4

7. Quercus serrata-Platycarya strobilacea 140.3 3.1

8. Quercus variabilis-Quercus mongolica 233.2 5.1

9. Quercus mongolica-Carpinus tschonoskii 81.1 1.8

10. Carpinus tschonoskii-Quercus serrata 108.6 2.4

11. Meliosma oldhamii 60.6 1.3

12. Acer pseudosieboldianum 28.3 0.6

13. Acer pseudosieboldianum-Prunus sargentii 225.5 4.9

14. Sasa borealis 152.6 3.3

15. Viola mandshurica-Persicaria longiseta 32.8 0.7

16. Damaged area of upper layer(dominant plant is Sasa borealis) 313.3 6.8

17. Acer pseudosieboldianum (damaged area in understroy layer) 16.9 0.4

18. Concrete pavement 184.1 4.0

19. Pavement area 34.1 0.7

20. Concrete stone floor 26.5 0.6

21. Woody stair 5.5 0.1

22. Ropeway destination station 311.1 6.8

23. Commercial facility 148.1 3.2

24. Observation deck directional board 1.0 0.0

25. Daphniphyllum macropodum explanation board 0.9 0.0

26. Trail explanation Board 0.1 0.0

27. Milestone 0.2 0.0

28. Vending machine stand 3.2 0.1

29. Concrete stair 1.6 0.0

30. Concrete bench 1.1 0.0

31. Shopping mall tent 49.3 1.1

C2. Condition rating class 2 34.4 0.8

C3. Condition rating class 3 136.6 3.0

C4. Condition rating class 4 524.2 11.5

C5. Condition rating class 5 270.0 5.9

C5-1. Condition rating class 5 of Carpinus tschonoskii 27.9 0.6

C6. Condition rating class 6 25.7 0.6

Total 4,575.5 100.0

Table 7. Area and ratio of actual vegeta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ropewa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10)

Actual vegetation type Area(㎡) Ratio(%) Actual vegetation type Area(㎡) Ratio(%)

1. Pinus densiflora-Quercus variabilis 1,478.5 1.2 22. Rainwater reservoir 2,636.3 2.1

2. Pinus koraiensis 1,574.4 1.3 23. Permeable pavement 7,628.2 6.1

3. Quercus serrata 2,269.5 1.8 24. Impermeable pavement 599.8 0.5

4. Pueraria lobata -Erigeron annuus 1,760.5 1.4 25. Impermeable rode 14,393.8 11.4

5. Lespedeza cyrtobotrya -Aralia elata 1,379.6 1.1 26. Permeable rode 2,796.7 2.2

6. Pueraria lobata 853.0 0.7 27. Parking lot 28,012.8 22.3

7. Trifolium pratense 2,829.0 2.2 28. Trail 714.8 0.6

8. Pinus densiflora -Prunus yedoensis 931.5 0.7 29. Stair 326.9 0.3

9. Pinus densiflora -Zelkova serrata 259.2 0.2 30. Yard 1,191.2 0.9

10. Abies holophylla 105.1 0.1 31. ATV station 2,658.2 2.1

11. Prunus yedoensis 2,117.0 1.7 32. Ropeway station 699.9 0.6

12. Lagerstroemia indica 4,024.5 3.2 33. Ropeway boarding area 104.7 0.1

13. Acer palmatum var. sangaineum 250.8 0.2 34. Lift station 1,835.2 1.5

14. Lawn grass 1,272.0 1.0 35. Rest area 4,276.2 3.4

15. Horticultural grass 124.8 0.1 36. Youth hostel 16,659.3 13.2

16. Street green 270.5 0.2 37. Rental house 810.7 0.6

17. Lawn grass -Trifolium pratense 7,196.1 5.7 38. ATV reception desk 324.5 0.3

18. Lespedeza cyrtobotrya -Trifolium pratense 6,235.9 5.0 39. Visitor center 204.0 0.2

19. Erigeron annuus -Trifolium pratense 886.4 0.7 40. Commercial facility 82.8 0.1

20. Reservoir(dam) 2,035.6 1.6 41. Ice making facility management building 1,057.4 0.6

21. Reservoir slope 955.2 0.8 Total 125,822.5 100.0

Table 8. Area and ratio of actual vegetation around the departure point of ropeway in Deogyusan National Park Fig. 4. Actual vegeta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map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ropeway in Naejangsan National Park (refer to

Table 6 for legend) Fig. 5. Actual vegeta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map around the

departure point of ropeway in Deogyusan National Park (refer to Table 7 for legend)

(11)

별도의 환경피해도가 나타나지는 않았는데, 이는 기존 에 이 일대가 주차장을 비롯한 대규모 편의시설로 개발 되었기 때문이었다.

(2) 삭도 종점 훼손 현황

덕유산국립공원 삭도 종점 일대는 상업시설, 화장실, 상제루 쉼터, 편의시설과 연결되는 데크, 자연석 판석 포 장, 돌바닥포장 계단 등이 조성되어 있었다. 시설지와 인 접한 스키슬로프는 벼과 식물, 민들레-질경이, 사초류 등 초지가 분포하였고 폐쇄된 스키슬로프 내에 복원을 위 해 주목을 식재한 지역의 생육상태는 불량하였다. 삭도

종점 주변 지역은 설천봉에 도착한 후 향적봉으로 이동 하는 수많은 탐방객들로 인해 주변 일대가 모두 나지화 된 상태였으며, 환경피해도

4등급(훼손등급 중)은 23.5%로

넓었다(Table 9, Fig. 6).

3. 탐방로 유형 및 훼손현황

설악산국립공원 삭도 종점부터 권금성 구간 탐방로는 노면이 돌바닥 111.2m, 철제계단 129.9m이었고 폭은 대

부분

1.5~2.0m이었다.

환경피해도는 철제계단이 설치된

지역을 제외한 모든 탐방로가 환경피해도 5등급 46.1%

Actual vegetation type and condition rating class Area(㎡) Ratio(%)

1. Taxus cuspidata (planting)(closed ski slope) 2,362 11.1

2. Taxus cuspidata (planting)-Weigela subsessilis 101 0.5

3. Salix caprea (coverage 70%) 119 0.6

4. Salix caprea-Betula ermanii (coverage 70%) 633 3.0

5. Viburnum opulus var. calvescens-Salix caprea (coverage 20%) 16 0.1

6. Poaceae (coverage 70%) 823 3.9

7. Poaceae (coverage 30%) 117 0.5

8. Taraxacum platycarpum-Plantago asiatica (coverage 30%) 3,133 14.7

9. Permeable pavement (coverage 20%) 234 1.1

10. Cyperaceae (coverage 70%) 1,336 6.3

11. Poaceae (coverage 66%) 607 2.8

12. Betula ermanii-Taxus cuspidata (understory layer, coverage 30%) 800 3.7

13. Betula ermanii (shrub layer, coverage 80%) 1,216 5.7

14. Weigela subsessilis (shrub layer, coverage 65%) 208 1.0

15. Festuca arundinacea (coverage 80%) 588 2.5

16. Eragrostis curvula 160 0.8

17. Deck 886 4.2

18. Stone laying 329 1.5

19. Stone floor stair 351 1.6

20. Stone stair 73 0.3

21. Mounding area 17 0.1

22. Visiting support center 17 0.1

23. Lift station 302 1.4

24. Commercial facility (landscape floor) and restroom 1,420 6.7

25. Commercial facility (Sangjeru shelter) 123 0.6

26. Restroom 174 0.8

27. Gabion retaining wall 76 0.4

28. Rock outcrop 104 0.5

C4. Condition rating class 4 5,017 23.5

Total 21,342 100.0

Table 9. Area and ratio of actual vegeta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ropeway in Deogyusan National Park

(12)

로 훼손이 심화된 상태이었다. 내장산국립공원 삭도와 인접한 탐방로(내장사~연자봉 구간)는 노면이 흙 135m, 흙+돌 434m, 흙+암반 390m, 목재계단 281m 이었다. 탐

방로 폭은 대부분 3m 미만이었다. 환경피해도는 4등급

26.7%, 5등급 29.5%, 6등급 15.4%로

훼손정도가 심각하 였다. 덕유산국립공원 삭도 종점인 설천봉에서 향적봉 구간 탐방로 노면은 주로 목재데크

247m,

목재계단

201m로 정비되어 있었으며 흙과

암반은 각각 54m, 51m

으로 구간이 짧았다. 탐방로 폭은 대부분 1.5m 미만이었 다. 탐방로 대부분은 목재계단과 목재데크로 정비되어 환경피해도는 3등급 16.1%, 4등급 11.4%, 5등급 7.6%로 피해구간은 짧은 편이었다(Table 10).

이상 종합하면, 삭도 종점에서부터 주요 목적지까지 의 탐방로는 대부분 목재데크 등으로 정비되어 있었으 나, 그 외 구간은 복원이 필요한 환경피해도 3~6등급에 해당되어 추가적인 훼손을 방지하기 위한 복원대책이 필요하였다.

4. 시각 경관 영향

설악산국립공원은 직접가시권(Ⅰ)이 84.5%, 직접가시 권 중 소토왕성골 일대에서 삭도가 보이는 직접가시권

(Ⅱ)은 1.4%,

삭도를 탑승했을 때 보이는 간접가시권(Ⅲ)은

14.1%로

삭도가 보이는 불량경관 총 면적은 3,022,752㎡

이었다. 내장산국립공원은 내장사 방향으로 걸어가면서 Fig. 6. Actual vegeta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map around the

destination point of ropeway in Deogyusan National Park (refer to Table 8 for legend)

Site

Surface Width Condition rating class

Type Distance

(m) Width Distance

(m) Damage

class Condition

rating Distance

(m) Ratio

(%)

Seoraksan

Stone floor and stair 111.2 1.5~2.0m 183.3 Strong 5 111.2 46.1

Iron stair 129.9 Over 2m 57.8 - - 129.9 53.9

Total 241.1 Total 241.1 Total 241.1 100.0

Naejangsan

Soil 135 1~2m 966 Medium 4 358 26.7

Soil and stone 434 2~3m 205

Strong 5 395 29.5

Soil and bedrock 390 Over 3m 169 6 206 15.4

Concrete 47

- - - - 380 28.4

Woody stair 281

Iron stair 52

Total 1,340 Total 1,340 Total 1,340 100.0

Deogyusan

Soil 54 1.1~1.5m 447 Weak 3 89 16.1

Bedrock 51 1.6~2.0m 84 Medium 4 63 11.4

Woody deck 247 2.1~3.5m 21 Strong 5 42 7.6

Woody stair 201 - - - - 358 64.9

Total 552 Total 552 Total 552 100.0

Table 10. Road surface condition and condition rating class by trail section

(13)

삭도가 보이는 직접가시권(Ⅰ)이 40.7%, 직접가시권 중 삭도 맞은편 벽련암과 월영봉 일대에서 삭도가 보이는 직접가시권(Ⅱ)은

18.9%,

삭도를 탑승했을 때 보이는 간 접가시권(Ⅲ)은 37%로 삭도가 보이는 불량경관 총 면적 은 1,747,424㎡이었다. 삭도가 보이지 않는 비가시권(Ⅳ) 은 원적계곡 자연관찰로 중 벽련암 아래 계곡부 일대로

3.4%이었다.

덕유산국립공원은 삭도 시점 정류장 조망

점에서 삭도 종점 설천봉 일대에서 삭도가 보이는 직접 가시권(Ⅰ)은 30.7%, 삭도 시점 정류장에서 탑승해서 내 릴 때까지 보이는 간접가시권(Ⅱ)이

69.3%로 간접가시

권이 더 넓었으며, 불량경관 총 면적은

6,937,782㎡이었

다(Table 11, Fig. 7). 이상 종합하면, 삭도 일대 주요 탐

Division Seoraksan Naejangsan Deogyusan

Area(㎡) Ratio(%) Area(㎡) Ratio(%) Area(㎡) Ratio(%)

Ⅰ. Direct view(A) 2,555,761 84.5 736,213 40.7 2,128,466 30.7

Ⅱ. Direct view(B) 41,389 1.4 341,632 18.9 4,809,316 69.3

Ⅲ. Indirect view 425,602 14.1 669,579 37.0 - -

Ⅳ. Invisible view - - 63,660 3.4 - -

Total 3,022,752 100.0 1,811,084 100.0 6,937,782 100.0

Table 11. Area and ratio by impact area of the visual landscape of ropeway

Ⅰ: Direct view(A), Ⅱ: Direct view(B),

Ⅲ: Indirect view Ⅰ: Direct view(A), Ⅱ: Direct view(B),

Ⅲ: Indirect view, Ⅳ: Invisible view

Ⅰ: Direct view(A), Ⅱ: Direct view(B)

Fig. 7. Impact of the visual landscape of ropeway in Seoraksan National Park, Naejangsan National Park, Deogyusan National Park.

(14)

방로에서 삭도가 보이는 직접가시권과 삭도를 탑승했을 때 보이는 간접가시권은 불량경관으로서 시각적인 악영 향을 미치는 영향권은 광범위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결론 및 제언

설악산국립공원 삭도를 이용하는 탐방객 95%는 권금 성을 방문하였고 권금성을 중심으로

1차적인

훼손뿐만 아니라 삭도 종점에서 권금성으로 연결되는 탐방로 훼 손, 삭도 시점 정류장 일대 상업행위와 탐방객의 집중으 로 인한 2차 훼손까지 유발하였다. 또한 탐방객들의 집 중이용으로 지속적인 훼손과 함께 강풍으로 인한 잔존 수목 도복 등 추가 훼손이 심각한 상태이다. 따라서 목재 난간 또는 우회탐방로 조성과 함께 단기적으로는 자생 초본식생 복원, 장기적으로는 자생목본식생을 복원해야 할 것이다.

국립공원 내 삭도를 설치한 경우에는 시점 및 종점 정 류장, 삭도 노선 및 지주대, 접근성이 용이한 삭도 입구 대형 주차장, 매점 등이

1차적인 개발로 자연생태계가

훼손된다. 삭도를 이용하는 탐방객들은 삭도 종점(1차 목적지)에 도착한 후에 자연경관이 우수한 조망점(2차 목적지)까지 10~15분 만에 접근하게 된다. 이에 삭도를 이용한 탐방객 대부분이 동시에 집중하게 되므로 삭도 종점 정류장 일대, 탐방로, 우수 조망점 주변 등에서 2차 적인 훼손이 발생하게 된다. 물리적인 훼손 뿐만 아니라 삭도 시각 경관 영향 분석결과, 주요 동선에서 보이는 직접가시권 외에도 삭도를 타면서 보이는 간접가시권 등 불량경관 영향권은 넓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삭도 운 영으로 훼손된 생태계를 복원하기 위해서는 탐방객의 이동 동선 내 탐방로를 중심으로 목재데크(난간) 등으로 정비하여 훼손 확산을 예방하고, 토양유실, 노면침식, 뿌 리노출로 훼손된 지역은 탐방로 정비사업 실시와 식생 기반 안정화, 초본 및 목본식생 복원 등 단계별로 생태적 식생복원을 추진해야 할 것이다.

사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 내

삭도 운영지역에 대한 환경 변화 모니터링」(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6) 사 업의 일환으로 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Baek SJ, CH Kim. 2013. A Study on Establishing Convenient Facilities for Effective Conservation of Protected Area -Focusing on constructing cable facilities around National Park-. Journal Packaging Culture Design Research Korea Institute of Packaging Culture Design. 33: 1-13.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7. Trail (damaged site) Maintenance Manual. p. 8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6. Monitoring of Environmental Changes in the Operation Area of the Ropeway in the National Parks. p. 137.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20. A Mid and Long Term Plan to Restore Damaged Korea National Parks. p. 167.

Kwon TH, KK Oh, SD Kwon. 1991.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risan National Park. Journal of Applied Ecology Research Society. 5(1): 91-103.

Park JH. 2016. A Study on Cable-car Project for Vitalization of Local Tourism. p. 103. Mokpo National University Graduate School.

Seol JG. 2004. A Study on Influence of the Cable Car and its Supplementary Facilities to the Natural Environments.

p. 65. Major in Urban Engineering Graduate School of Industrial Science, Gyeongsang National University.

University of Seoul. 2011. Plan of Environment Improvement

Project in Gwongeumseong Area, Seoraksan National

Park. p. 101. Department of Landscape Architecture,

University of Seoul.

Referensi

Dokumen terkait

현재 귀 지역아동센터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으며, 이 것이 향후 지역아동센터 운영에 얼마나 중요하다고 생각하는지 귀하의 의견과 일치하는 곳 에 V표해 주십시오.. 현재 귀 지역아동센터의 전반적인 운영 실태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고 있으며, 이 것이 향후 지역아동센터 운영에 얼마나 중요하다고

귀 자녀가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를 알아보는 문항입니다?. 귀 자녀가 이용하는 지역아동센터에 대한 귀하의 만족도를 알아보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