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운문산군립공원의 탐방로 훼손실태 분석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운문산군립공원의 탐방로 훼손실태 분석"

Copied!
9
0
0

Teks penuh

(1)

운문산군립공원의 탐방로 훼손실태 분석

이상희1

윤주웅2*

최인영2

1충북대학교 산림학과, 2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Analysis of Damage Status to the Trail in Unmunsan County Park

Sang Hee Lee

1

, Ju-Ung Yun

2*

and In-Young Choi

2

1Department of Forest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eongju 28644, Korea 2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요약: 운문산군립공원 내 주요 탐방로 5개 구간 6.73km를 대상으로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훼손정도 및 훼손유형의 조사를 수행하였다. 탐방 로의 물리적 특성 분석을 위하여 구간을 일정 간격으로 조사하는 신속조사법을 이용하여 총 29개 측점을 선정하였으며, 훼손이 발생한 지점을 전체적으로 조사하는 전체조사법을 이용하여 훼손정도와 훼손유형 분석을 위한 284개 지점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였다. 조사 결과,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은 평균경사 7.2°, 평균노폭 2.0m, 평균나지폭 0m, 최대 침식깊이 0.2m로 조사되었고, 훼손정도는 ‘건전’ 4.70km(69.8%),

‘약’ 2.03km(30.2%) 순으로 나타나 ‘중’ 이상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나 탐방로 및 관련 시설에 대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이루어지 고 있다고 판단되었다. 또한 탐방로의 훼손 유형은 근계노출 비율이 49.3%(140개소), 노면침식 비율이 46.8%(133개소), 노폭확대 비율이 2.1%(6개소), 비탈붕괴는 1.8%(5개소) 순으로 조사되었다.

주요어: 물리적 특성, 훼손 정도, 훼손 유형, 전체조사법, 신속조사법

Abstract: In order to analyze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ail, a total of 29 points were selected using rapid survey techniques that investigate the routes at regular intervals, and 284 points were selected using census techniques that investigate the whole point of damage for the analysis of the degree of damage and the deterioration types. As a results,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trails were investigated as follow; 1) 7.2˚ average slope, 2) 2.0m average breadth width, 3) 0m average bared width, and 4) maximum erosion depth of 0.2m. And the degree of damage was found to be 4.70km (69.8%) for “healthy” and 2.03km (30.2%) for “weak”, show- ing that there was no damage more than “medium” Therefore, it was determined that the related facilities including trails were main- tained systematically. Also, the deterioration types of trails were investigated that the ratio of root exposure is 49.3% (140 points), of trail surface erosion is 46.8% (133 points), of breadth width expansion is 2.1% (6 points), and the slope failure is 1.8(5 points)%.

Key words trail, physical characteristics, degree and types of damage

서론

경제 발전에 따른 국민의 생활수준 향상으로 여가, 휴 양에 대한 수요의 증가는 국립공원뿐만이 아니라 도심 근교의 숲에 대한 관심과 이용의 증가로 이어지고 있다.

이런 수요의 증가에 따라 최근 여러 지방자치단체들이 지역의 청정한 환경과 이미지 제고를 위해 군립공원의 지정을 적극적으로 추진하고 있으며, 공원에 생태관광

지를 조성하여 지역 경제 활성화를 도모하고 있다. 자연 자원과 문화유산이 보존된 군립공원은 시민의 휴식공간 으로서 삶의 질을 높여주고 미래세대에게 물려주어야 할 유산으로서 지속가능한 이용과 개발이라는 측면에서 관리가 필요하다.

군립공원은 우수한 자연환경 및 환경적으로 보호할 가치를 지닌 대상지를 체계적으로 관리⋅보전하기 위해 지정된다. 군립공원 지정은 시장 또는 군수가 대상지를

Received 12 October 2021; Revised 14 October 2021; Accepted 17 November 2021

*Corresponding to 윤주웅(Ju-Ung Yun) E-mail. juung@knps.or.kr

(2)

선정⋅조사를 한 후, 도에 보고하게 되면 도⋅군은 타당 성검토를 하고 도공원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서 공원으로 지정을 한다. 그리고, 도지사의 승인이 이루어진 후 고시 절차가 진행되고 군립공원으로 지정된다. 이와 같은 군 립공원은 미국의 카운티파크(County Park)에 해당하는 것으로서 우리나라의 경우 1967년에 공원법이 제정⋅공 포되었으며, 1973년에 일부 개정되어 시행되다가

1980

년에 도시공원법과 자연공원법으로 분리되어 제정되었 다. 1980년대에 정부는 전 국토의 공원화 운동을 전개하 여 군립공원의 수가 이 당시 많이 늘어났으며, 1981년에 처음으로 전라북도 순창의 강천산이 군립공원으로 지정 되어

2019년 12월말 기준 27개소 234.165㎢가 지정되어

있다(Ministry of Environment, 2021).

인간이 자연에 쉽게 접근할 수 있고 숲과 같은 자연생 태계 공간의 내부를 구석구석 연결하는 기반시설이 탐 방로이다(Jeong

et al., 2011; Jeong et al., 2012).

최근 증가하는 여가, 휴양수요의 증가에 편승하여 다수의 군 립공원에서는 도로⋅댐⋅관광시설 등의 무분별한 개발 로 인해 자연경관의 훼손과 자연생태계가 파괴되고 있 으며, 자연재해나 탐방로의 훼손 등으로 자연환경이 훼 손되어 방치된 곳도 있다. 탐방로의 훼손은 대부분 탐방 객들의 지속적인 답압으로 인해 노면침식, 세굴 및 암석 노출이 이어져 이용상 불편을 초래할 뿐만 아니라 주변 식생이나 환경에 영향을 준다(Heo and Yu, 2015). 또한, 지역의 대표적 관광지로 탐방객이 증가하면 자연환경 훼손이 심화하거나 환경오염 등의 문제를 초래하게 된 다. 따라서 군립공원의 체계적인 관리와 복원이 이루어 져야 하며, 공원의 환경훼손 및 오염실태에 대한 파악을 위해서는 현장 방문을 통한 정밀한 조사가 필요하다. 지 금까지 지리산국립공원(Kwon

et al., 1991),

한라산국립 공원(Oh and Heo, 1992), 소백산국립공원(Kwon

et al., 1993),

오대산국립공원(Kwon

et al., 1996),

설악산국립 공원(Lee

et al., 1997),

경주국립공원(Mun et al., 2013) 등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탐방로 훼손에 관한 연구가 지 속해서 진행되었으나, 군립공원, 도립공원의 탐방로 훼 손에 관한 연구는 미비한 실정이다.

본 연구의 대상지인 운문산군립공원의 탐방로는 탐방 객의 이용 빈도가 집중적으로 증가함에 따라 노면훼손

이 심화되고 있는 실정이나 탐방로(훼손지)와 관련된 조 사는 미흡한 실정이다. 군립공원 내 탐방로에 대한 현장 조사를 통해 환경훼손이 발생한 지역 및 조치 여부의 확 인과 주변의 지형⋅지질⋅식생 피해에 대한 구체적인 피해 정도와 범위 등을 용이하게 파악함으로써 환경피 해를 사전에 예방해야 할 필요성이 있다. 이를 통해 보전 해야 할 대상지의 효과적이고 장기적인 관리 및 복원에 대한 목적과 목표를 설정할 수 있는 근거를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운문산군립공원의 탐방객 이용 이 많은 주요 탐방로를 중심으로 현지 조사를 실시하여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과 훼손 정도, 훼손유형 등에 대한 훼손 실태를 분석하여 체계적인 군립공원의 보전 및 관 리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1. 조사대상지 개요

연구대상지인 운문산군립공원은 행정구역상 경상북 도 청도군 운문면과 경상남도 밀양시 산내면 경계에 있 으며, 지리적으로는 북위

35°40′35.21″~

동경

129°02′

2.66″에 위치하며,

생태⋅경관보전지역과 중첩되어 지

정되어 있다. ‘영남알프스’ 중 하나인 운문산은 서측으 로 비슬산, 남측으로 화악산, 철마산, 북측으로 상원산, 선의산 등과 인접해 있으며, 운문사와 주요 부속 암자들 이 위치해 있고 자연환경이 온전히 보전되어 수려한 경 관을 지니고 있다.

또한, 운문산군립공원은 애추⋅암괴류⋅급애 등의 산 지지형과 범람원⋅우각호⋅폭포 등의 하천지형으로 구 성되어 있으며, 운문사를 중심으로 전형적인 계곡형으 로 운문사 도로변 일부는 완경사를 이루고 있으나, 공원 대부분이 경사도

10%

이상으로 운문사 도로변 이외의 지역은 경사가 급한 지역을 이루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운문산군립공원 내에 조성된 탐방로 7개 구간 중 차량진 입도로로 이용되고 있는 북대암, 청신암, 및 내원암의 3 개 진입로 구간을 제외한 매표소~사리암초소(D, 2개 구

(3)

간으로 구분), 사림암초소~삼거리(E), 사리암초소~사리 암(F) 및 문수선원~서래봉(G)의

5개 구간

총 6.73km를 대상으로 하였다(Fig. 1). 조사구간 중 매표소~사리암초소 의 일부(D-09~15, 1.52km), 사리암초소~삼거리(E-01~04,

1.14km),

사리암초소~사리암(F-01~03, 0.35km) 및 문수 선원~서래봉 구간(G-01~07, 1.80km)이 운문산 생태⋅

경관보전지역에 포함되어 있다. 탐방로에서 훼손이 발 생한 지점을 전체적으로 조사하는 전체조사법(Census

techniques)으로 훼손지 284개소,

탐방로별 구간을 일정

한 간격으로 조사하는 신속조사법(Rapid survey techni-

ques)으로 매표소~사리암초소의 일부 구간(1.92km) 8개

소,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에 속하는 구간(4.81km) 21 개소, 총 29개소에 대하여 현장조사를 실시하였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7).

2. 조사방법

1) 탐방로 물리적 특성

운문산군립공원 내 탐방로 물리적 특성의 분석을 위 하여 신속조사법(Rapid survey techniques)을 이용하여

탐방로별 거리를 고려하여 탐방로별로 100~250m 간격 으로 조사 측점을 설정하고, GPS 장비를 이용하여 현장 에서 설정된 좌표의 측점에서 입지인자를 조사하여 탐 방로의 물리적 특성을 조사하였다(Cole, 1983).

2) 탐방로 훼손정도

탐방로 훼손정도는 전체조사법(Census techniques)과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탐방로 훼손정도 평가기준(Table

1)을 이용하여 탐방로 구간 내 훼손이 발생한 지점에 대

하여 위치, 규모(길이, 폭, 깊이 등) 등의 훼손상태를 기준 으로 훼손정도를 강, 중, 약, 건전으로 구분하였다(Cole,

1983;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1; 2013).

3) 탐방로 훼손유형

탐방로의 훼손유형은 자연 상태의 탐방로 상에서 물 리적 훼손의 발생 및 진행 과정을 기준으로 근계노출, 암석노출, 노폭확대, 노면침식 및 비탈붕괴 등 5개의 훼 손 유형으로 구분하여 조사를 실시하였다(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13).

Fig. 1. The location of surveyed routes and points in this study

(4)

결과 및 고찰

1. 탐방로 물리적 특성

운문산군립공원 내 탐방로

4개 구간 총 6.73km에 대

하여 탐방로별로 100~250m 구간마다 신속조사법을 이 용하여 측점을 선정하고 입지인자를 조사하여 물리적 특성을 분석한 결과는

Table 2와 같다.

단, 매표소~사리 암초소(D-01~15) 구간은 1.92km 구간(D-01~08)은 운문 산 생태⋅경관보전지역 바깥쪽에 위치하고, 1.52km 구간

(D-09~15)은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에 포함되어 있

어 분석과정에서는 나누어 분석을 수행하였다(Table 2).

평균경사는 매표소~사리암초소(D-01~08) 구간이

0.2°,

매표소~사리암초소(D-09~15) 구간은 1.0°, 사리암

초소~삼거리(E-01~04) 구간은 0.7°, 사리암초소~사리암

(F-01~03)

구간은 20.5°, 문수선원~서래봉(G-01~07) 구

간이

13.9°로 나타났다.

계곡을 따라 이동하는 매표소~

사리암초소, 사리암초소~삼거리 구간은 완경사지에 주 로 분포하고 있으며, 문수선원~서래봉 구간은 소능선을 따라 주능선까지 급경사 구간에 분포하고 있어 구간별 평균경사의 차이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특히, 사리암 초소~사리암 0.35km 구간의 평균경사

20.5°로 가장 높

은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 구간에는 급경사 계곡부를 따라 시멘트와 잡석으로 포장된 계단형의 탐방로가 주 로 조성된 것으로 조사되었다.

평균노폭은 매표소~사리암초소(D-01~08) 구간이 2.89m, 매표소~사리암초소(D-09~15) 구간은

2.14m,

사리암초 소~삼거리(E-01~04) 구간은 2.73m, 사리암초소~사리암

Degree Criteria

Strong

⋅Route where damage such as rock exposure, root exposure, erosion and expansion of surface, and destruction of surrounding vegetation is spread due to damage severe

⋅Route requiring immediate restoration due to deepening spread of damage

⋅Route with a damaged bare width of 1.8~2.4 m or more and requiring maintenance within 1~3 years Medium

⋅Route where progression of partial bareness, and in which progression of damage such as channelization due to side collapse and poor drainage progressed

⋅Route requiring restoration within a short period due to concerns about progression and spread of damage

⋅Route with a damaged bare width of 1.5~1.8 m or more and requiring maintenance within 4~7 years Weak ⋅Route requiring drainage and movement induction due to local damage

⋅Route requiring maintenance of some trail surface such as drainage, and general facility maintenance

⋅Route with damaged bare width within 1.2~1.5 m

Healthy ⋅Route where the average breadth width is appropriate to be less than 1.2 m, and surface-cover such as fallen leaves remain on the trail surface, or the breadth width is maintained by surrounding vegetation

Table 1. The criteria for assessment the degree of damage to trails

Division Route Distant

(km) Point

(number)

Avg.

slope (°)

Avg.

breadth width

(m)

Avg.

bared width

(m)

Max.

depth of erosion

(m) Unmunsan

county park From ticket office to Sariam post

(D-01~08) 1.92 8 0.2 2.89 0 0.01

Ecological landscape protected area in Unmunsan

county park

From ticket office to Sariam post

(D-09~15) 1.52 7 1.0 2.14 0 0.01

From Sariam post to 3-way intersection

(E-01~04) 1.14 4 0.7 2.73 0 0.08

From Sariam post to Sariam

(F-01~03) 0.35 3 20.5 1.60 0 0.00

From Munsusunwon to Seorae Peak

(G-01~07) 1.80 7 13.9 0.65 0 0.20

Mean 1.34 5.6 7.2 2.00 0 0.06

Table 2. The physical characteristics of surveyed routes in Unmunsan county park

(5)

(F-01~03)

구간은

1.60m,

문수선원~서래봉(G-01~07) 구

간이

0.65m로 조사되었다.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에서 노폭의 정의는 길의 너비로 정의하고 있다(국립국어원, 2021). 노폭은 탐방 로의 상태를 표현하고 이용영향을 나타내는 것(Choi et

al., 2005)으로 숲길의 지속 가능한 이용을 평가하는 가

장 기본적인 지표가 된다. 국립공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일반적인 탐방로의 적정노폭은 양방향 통행이 가능한 최소폭으로

1.5m

내외가 가장 이상적이나 현지 지형, 식 생 및 통행량 등에 따라 1.2~1.8m까지 적절한 것으로 보 고되고 있으며(Jeong

et al., 2012; 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9),

산림청에서는 국내 숲길의 경우 노폭은

1~2.5m

사이이며 적정노폭은

1.2m로 제시하고 있다

(Korea Forest Service, 2016).

운문산군립공원의 탐방로 별 평균노폭의 범위는 0.65~2.89m로 조사되어 국립공원 과 산림청에서 제시하고 있는 적정노폭보다는 넓은 것 으로 나타났다. 평균노폭이

2m

이상인 매표소~사리암초 소(D-01~08, D-09~15), 사리암초소~삼거리(E-01~04) 탐 방로는 노폭확대 등의 흔적이 발견되지 않아 탐방로 조 성 당시에 골짜기를 따라 탐방로 기준 노폭보다 넓게 조 성된 것으로 분석되었다.

나지폭은 국립공원에서 제시하고 있는 노폭 1.5m 기 준보다 넓게 토사가 노출된 지역을 나지폭으로 정의하 였으며, 평균나지폭의 경우 전 구간에서

0m로 나타났으

며, 평균노폭이

2m

이상인 매표소~사리암초소(D-01~08,

D-09~15)

구간은 아스콘 포장이 사리암초소~삼거리

(E-01~04)

구간은 비포장 형태이나 조성 이후 추가적인

자연적/인위적인 노폭확대 등의 훼손이 거의 없는 것으 로 조사되어 나지의 확장이 없는 비교적 안정된 탐방로 를 유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최대침식깊이는 매표소~사리암초소(D-01~08) 구간 이 0.01m, 매표소~사리암초소(D-09~15) 구간은 0.01m, 사리암초소~삼거리(E-01~04) 구간은

0.08m, 사리암초소~

사리암(F-01~03) 구간은

0m,

문수선원~서래봉(G-01~07) 구간이

0.20m로 조사되었다.

문수선원~서래봉

1.80km

구간에서는 평균경사

13.9°,

평균노폭은

0.65m로 가장

좁았으나, 최대 침식깊이는

0.20m로 조사되었으며,

능 선과 사면을 따라 반복되는 급경사 구간에서 탐방객의

답압, 유수의 흐름 등에 의한 노면침식에 기인한다고 판 단되며, 이에 따른 근계노출 구간이 다수 조사되었다.

평균경사는 사리암초소~사리암(F-01~03) 구간, 평균 노폭은 매표소~사리암초소(D-01~08) 구간, 최대침식깊 이는 문수선원~서래봉(G-01~07) 구간에서 가장 높게 나 타났으며, 매표소~사리암초소(D-01~08) 구간에서 평균 경사, 문수선원~서래봉(G-01~07) 구간에서 평균노폭, 사리암초소~사리암(F-01~03) 구간에서 최대침식깊이가 가장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2).

2. 훼손 정도

운문산군립공원 내 탐방로별 훼손 발생지점에 대해 국립공원관리공단의 탐방로 훼손정도 평가기준(Korea

National Park Service, 2001; 2013)을

참고하여 탐방로 별 훼손정도를 뺷건전뺸, 뺷강뺸, 뺷중뺸, 뺷약뺸으로 구분하여 분석한 결과는

Table 3과 같다.

전체조사법에 의하여 구간별 훼손정도를 조사한 결 과, 모든 구간에서 훼손정도 뺷약뺸인 구간이 대부분이며, 훼손정도 뺷중뺸이상의 구간은 나타나지 않은 것으로 확 인되었다(Table 3). 매표소~사리암초소(D-01~08) 구간은 뺷약뺸인 구간이 훼손길이 0.37km, 훼손비율 19.3%, 매표 소~사리암초소(D-09~15) 구간은 훼손길이

0.53km, 훼손

비율

34.9%로 분석되어,

매표소~사리암초소(D-01~15) 전체 구간을 살펴보면 훼손길이 0.90km, 훼손비율 27.1%

로 분석되었다. 사리암초소~삼거리(E-01~04) 구간에서 는 뺷약뺸인 구간 훼손길이 0.52km, 훼손비율

65.7%,

사 리암초소~사리암(F-01~03) 구간에서는 뺷약뺸인 구간은 훼손길이

0.11km,

훼손비율

31.7%,

문수선원~서래봉

(G-01~07)

구간에서는 뺷약뺸인 구간은 훼손길이 0.27km, 훼손비율

15.0%으로 조사되었다.

사리암초소~삼거리

(E-01~04)

구간에서 훼손비율이 65.7%로 가장 높은 것

으로 확인되었으며, 계곡을 따라 차량진입이 가능한 비포장 구간으로 유지되고 있는 것에 기인한다고 판단 된다. 사리암초소~삼거리(E-01~04) 구간에서 훼손정도 뺷약뺸인 구간이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지만 뺷중뺸 이상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은 것은 탐방로 등 관련 시설에 대한 관리가 이루어지고 있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전체 탐방

(6)

로 구간의 30.2%가 훼손정도 뺷약뺸을 보여 운문산군립공 원의 탐방로는 현재까지 비교적 안정된 상태로 판단되 며 차량통행이 가능한 구간을 제외한 문수선원~서래봉

(G-01~07)

구간에서도 구간의

15.0%가

훼손정도 뺷약뺸 으로 조사되었고 뺷중뺸 이상 훼손의 진행을 보이는 곳은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국립공원, 군립공원 탐방로와 관련한 연구에서

Jeong et al.,(2012)은 6개 국립공원에

대한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및 훼손유형 분석에서 뺷강뺸, 뺷중뺸, 뺷약뺸의 훼손정도를 모두 포함하여 전체 훼손비율 이 19.1%로 보고하고 있으며, Jeong et al.,(2011)은 강천 산군립공원 탐방로 연구에서 전체 훼손비율이

23.09%

로 보고하고 있어 운문산군립공원의 훼손정도 및 비율 은 다른 국립공원, 군립공원에 비해서는 낮게 유지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를 바탕으로 운문산군립공 원의 관리 방향은 단기적인 보수 및 관리계획보다는 장 기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관리계획을 수립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3. 훼손유형

탐방로 훼손유형은 훼손진행 단계(과정)를 판단하는 지표로서 중요한 자료가 된다(Jeong

et al., 2011).

훼손 유형은 자연 상태의 탐방로 상에서 물리적 훼손의 발생 및 진행 과정을 기준으로 노면침식, 근계노출, 암석노 출, 노폭확대, 비탈붕괴 등으로 구분하여 전체조사법에

의한 운문산군립공원의 구간별 훼손유형은

Table 4와

같다.

훼손유형별로 분석한 결과, 5개의 훼손유형이 284회 조사되었고, 근계노출 비율

49.3%(140개소),

노면침식 비율 46.8%(133개소), 노폭확대 비율 2.1%(6개소), 비탈 붕괴 1.8%(5개소) 순으로 확인되었다. Jeong et al.,(2012) 의 국립공원 탐방로 훼손유형 연구에서 노면침식, 근계 노출, 노폭확대의 순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Jeong et

al.(2011)의 군립공원 탐방로 훼손유형 연구에서는 노면

침식, 근계노출, 암석노출의 순으로 보고하고 있으며 두 연구 모두 노면침식과 근계노출이 전체 훼손유형의 대 부분을 차지하고 있는 것으로 언급하고 있다. 본 연구에 서도 순서의 차이는 있으나 근계노출과 노면침식이 가 장 높은 훼손비율을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운문산군립공원의 매표소~사리암초소(D-01~08) 구 간에서는 노면침식 1개소, 근계노출 1개소로 총 2개, 매 표소~사리암초소(D-09~15) 구간에서는 주요 훼손유형 은 노면침식 2개소, 근계노출 1개소, 노폭확대 1개소로 총

4개의

훼손유형이 조사되었다. 이는 매표소~사리암 초소(D-01~15) 구간의 전체 측점(15개) 각각의 평균경

사가

15° 미만이었기

때문에 훼손이 많이 발생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되었다. 사리암초소~삼거리 구간(E-01~04) 에서는 노면침식 17개소, 근계노출 14개소, 노폭확대 3 개소, 비탈붕괴 3개소로 총 37개의 훼손유형이 조사되었 는데, 측점별 평균경사는

15°

미만이었으나, 계류와 인

Division Route Distant

(km)

Distant of route ‘Healthy’

(km)

Degree of damage* (km) Ratio of damage**

Strong Medium Weak (%) Unmunsan

county park From ticket office to Sariam post

(D-01~08) 1.92 1.55

(80.7) - - 0.37

(19.3) 19.3

Ecological landscape protected area in Unmunsan

county park

From ticket office to Sariam post

(D-09~15) 1.52 0.99

(65.1) - - 0.53

(34.9) 34.9

From Sariam post to 3-way intersection

(E-01~04) 1.14 0.39

(34.3) - - 0.52

(65.7) 65.7

From Sariam post to Sariam(F-01~03) 0.35 0.24

(68.3) - - 0.11

(31.7) 31.7

From Munsusunwon to Seorae Peak

(G-01~07) 1.80 1.53

(85.0) - - 0.27

(15.0) 15.0

Total 6.73 4.70

(69.8) - - 2.03

(30.2) 30.2

* It refers to the distant of route between the point judged to be unhealthy and the next point by degree of damage (strong, medium, weak)

** Ratio of damage = Sum of degree (weak, medium and strong) of damage (km) / Distant (km) * 100 Table 3. The degree of damage by trails in Unmunsna county park

(7)

접한 탐방로라는 점과 지류가 탐방로로 유입된다는 점 에서 훼손이 확인되었다.

경사가 20° 이상이었던 사리암초소

~사리

암 구간(F-01~03) 에서는 근계노출

13개소,

비탈붕괴 2개소로 총

15개소

의 훼손유형이 조사되었으며, 근계노출이 발생하였음에 도 노면침식이 확인되지 않은 이유는 탐방로 노면이 전 석쌓기 노면이나 시멘트(잡석) 포장된 노면이었기 때문 으로 판단되었다.

구간경사

13.9°이고,

평균노폭

0.65m였던 문수선원~

서래봉 구간(G-01~07)에서는 노면침식 113개소, 근계노 출

111개소,

노폭확대

2개소로

226개소의

훼손유형 이 조사되었다. 해당 탐방로는 능선을 따라 조성된 등산 로이기 때문에, 25° 이상의 급경사지가 반복되어 훼손이 다른 지역에 비하여 많이 발생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구간경사가 약

13.9°였던 문수선원~서래봉 구간에서

근계노출이 111개소로 다량으로 발생하였으나, 사리암초 소~사리암 구간은 약 20.5°의 급경사였음에도 탐방로 자 체가 시멘트 포장 및 전석쌓기 노면 등으로 이루어져 있 으므로 근계노출 비율이 낮게 나타난 것으로 확인되었다.

훼손유형 중에서 노면침식과 근계노출이 273회로 전 체 훼손유형의 96.1%의 발생빈도를 보이며, 답압과 표 면유하수에 따른 토양침식과 노면세굴에 영향으로 노면 침식과 근계노출은 복합적으로 발생하는 것으로 분석되

었다. 이와 같은 노면침식과 근계노출 현상은 답압에 의 한 탐방로 노면 압밀현상과 그로 인한 노면 난투수층 형 성으로 표면유하수가 노면을 따라 하부로 이동하면서 표층의 토양입자를 이탈시켜 토양침식과 노면세굴로 발 전하는 경우가 많다(Weaver and Dale, 1978; Quinn et al.,

1980; Coleman, 1981).

이와 같은 토양침식과 노면세굴 은 근계노출로 연결되고, 탐방객의 보행불편을 초래하 여 기존의 보행공간을 회피하여 새로운 보행공간을 개 척함으로서 탐방로가 분기되고 노폭이 확장되면서 주변 지역으로 훼손 훼손면적이 확장되는 단계이다(Quinn et

al., 1980).

따라서 경사면에서 노면을 따라 흐르는 표면

유하수에 의한 침식과 세굴이 발생하지 않도록 노면 배 수를 관리하여야 할 것으로 판단되며, 노출된 근계는 시 간의 경과에 따라 목질화가 진행되어 토양 혹은 다른 피 복재를 이용한 피복은 오히려 수목의 생장에 영향을 미 칠 우려가 높다고 판단되어 장기간 노출된 수목의 뿌리 는 피복재로 덮는 것보다 노면에서 분리되지 않도록 고 정하여 횡배수로의 효과를 유도할 수 있다고 판단된다.

결론

운문산군립공원 내 주요 탐방로

5개 구간 6.73km

Division Route Distant

(km)

Deterioration types (total)

Deterioration types(number) Root

exposure Rock exposure

Expansion of breadth

width

Erosion of trail surface*

Slope failure Unmunsan

county park From ticket office to Sariam post

(D-01~08) 1.92 2 1 - - 1 -

Ecological landscape protected area

in Unmunsan county park

From ticket office to Sariam post

(D-09~15) 1.52 4 1 - 1 2 -

From Sariam post to 3-way intersection

(E-01~04) 1.14 37 14 - 3 17 3

From Sariam post to Sariam

(F-01~03) 0.35 15 13 - - - 2

From Munsusunwon to Seorae Peak

(G-01~07) 1.80 226 111 - 2 113 -

Total 6.73 284

(100%) 140

(49.3%) - 6

(2.1%) 133

(46.8%) 5

(1.8%)

* It is determined that trail surface erosion occurred basically at the point where root exposure, rock exposure, and expansion of breadth width occurred.

However, the trail surface erosion did not occur in the route between Sariam post and Sariam, which consists of cement pavement, even though the root exposure occurred.

Table 4. The deterioration types of trails in Unmunsan county park

(8)

간을 대상으로 탐방로에 대한 물리적 특성, 훼손정도 및 훼손유형 등을 조사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조사방법으로 물리적 특성의 조사를 위하여 신속조사 법(Rapid survey techniques)을 적용하여 탐방로별 일정 간격(100~250m)으로

29개의 측점을 선정하였으며,

훼손 정도 및 훼손유형의 조사를 위하여 전체조사법(Census

techniques)을 적용하여 284개소에 대한 조사를 수행하

였다.

조사 결과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은 평균경사

7.2°,

평 균노폭 2.0m, 평균나지폭 0m, 최대침식깊이 0.2m로 조 사 되었고, 훼손 정도는 뺷건전뺸

4.70km(69.8%),

뺷약뺸

2.03km(30.2%)

순으로 조사되었으며, 훼손유형은 근계

노출 비율 49.3%(140개소), 노면침식 비율 46.8%(133개 소), 노폭확대 비율 2.1%(6개소), 비탈붕괴 1.8%(5개소) 순으로 조사되었다.

훼손유형은 다른 국립공원, 군립공원의 연구와 유사하 게 근계노출과 노면침식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으며, 훼 손정도는 다른 국립공원, 군립공원의 연구에서는 뺷강뺸, 뺷중뺸, 뺷약뺸이 모두 조사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뺷중뺸 이상의 훼손이 발생하지 않아 차이를 보인다(Jeong et

al., 2011; Jeong et al., 2012).

이는 운문산군립공원의 탐 방로는 비교적 초기단계의 훼손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 로 판단되며 군립공원 관리계획의 방향도 단기적인 유 지, 보수 계획보다는 훼손의 진행을 예방하기 위한 장기 적인 관점에서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관리계획을 수립하 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판단된다.

운문산군립공원 전체 탐방로

6.73km의 68.1%인 4.58km

구간이 계곡을 따라 평균경사

0.2~1.0°의

완만 한 구간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목제데크, 포장, 계단 등 을 포함한 다양한 형태의 구조물로 연속되어 비교적 안 정된 상태를 보이는 것으로 분석되었으며, 탐방객들이 편안한 산책코스로 이용되도록 적절한 관리가 이루어지 고 있으나, 일부 파손된 펜스나 시설물은 탐방객의 이용 과 안전에 영향을 미치므로 초기단계에서 더 이상의 추 가 훼손이 없도록 유지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판단된다.

운문산군립공원 조성 이후 처음 실시된 자연조사를 바탕으로 탐방로의 물리적 특성, 훼손정도, 훼손유형의 평가를 수행하였으며, 앞으로 공원법에 따른 정기적인

자연자원조사를 통하여 샛길을 포함한 전체 탐방로 구 간을 파악하여 지속적으로 훼손정도를 평가함으로써 탐 방객의 증가, 운문산 생태⋅경관보전지역의 개방으로 인해 초래될 환경변화를 분석한다면, 운문산군립공원의 체계적이고 안정적인 관리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참고문헌

Choi CH, CM Park, SY Kim. 2005. Situation of Trails in Recreation Forests, Chollabukdo. The Journal of Korean institute of forest recreation. 9(4): 1-14.

Cole DN. 1983. Assessing and monitoring backcountry trail conditions. p. 10. USDA Forest Service Research Paper INT-303.

Heo SH, JH You. 2015. Assessment of Impact Rating Class and Deterioration Type on the Trails in Mt. Namsan District, Gyeongju National Park. Journal of Environmental Science International. 24(11): 1431-1442.

Jeong WO, HS Ma, WS Kang. 2012. Analysis of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 Type of Trail in National Parks. Journal of Agriculture & Life Science. 46(1): 17-27.

Jeong WO, WS Kang, BC Lee. 2011. Physical Characteristics and Deteriorations Type of Trail in Gangcheonsan County Park. 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2(3):

137-141.

Korea Forest Service. 2001. A Study on the Analysis and Recovery Measure of Damage and Erosion Type of National Park Trails. Pp. 42-59. Korea Forest Service.

Korea Forest Service. 2013. National Park Trail Management Manual. Pp. 35-44. Korea Forest Service.

Korea Forest Service. 2017. Natural Resources Survey of Unmunsan County Park. Pp. 275-284. Korea Forest Service Korea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won TH, KK Oh, JW Lee. 1993.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in Sobae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6(2): 168-179.

Kwon TH, KK Oh, JW Lee. 1996.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Odae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9(2):

211-220.

Kwon TH, KK Oh, SD Kwon. 1991. Use Impact on Environmental Deteriorations of Trail and Campsite in Chiri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5(1):

91-103.

Lee JW, KK Oh, TH Kwon. 1997. Use Impacts on Environmental

(9)

Deteriorations on and around Trails in Sorak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10(2): 191-204.

Ministry of Environment, announcement of prior information, status of designation of a county park [Website]. 2021.

10.10. URL: https://www.me.go.kr/home/web/index.do?

menuId=10357

Mun SJ, JH You, KP Hong, SH Heo. 2013. Analysis of Deterioration Status on the Trails in the Gyeongju National Park - Focused on Mt. Toham, Mt. Nam, Mt. Danseok and Mt. Gumi District -. Journal of the Korean Institute of Landscape Architecture. 41(3): 31-42.

National Institute of Korean Language Dictionary [Website].

2021.10.10. URL: https://stdict.korean.go.kr.

Oh KK, SH Heo. 1992. Environmental Deterioration of and around Trail in Hallasan National Park. Korean Journal of Environment and Ecology. 6(1): 55-71.

Quinn NW, RPC Morgan, AJ Smith. 1980. Simulation of soil erosion induced by human tramping. Journal of Environmental management. 10: 155-165.

Weaver T, D Dale. 1978. Trampling effects of hukers, motor-

cycles and horses in meadows and forests. Journal of

Applied Ecology. 15: 451-457.

Referensi

Dokumen terkait

native county in 1822, and removed in 1827 to the "Nor- thern Neck," where he was pastor of the Meratico Church, Lancaster county, and of Wic0mico Church, Northumberland county.. A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