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설악산국립공원 설악폭포 분비나무와 잣나무 1 m 수고생장 기간 조사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설악산국립공원 설악폭포 분비나무와 잣나무 1 m 수고생장 기간 조사"

Copied!
9
0
0

Teks penuh

(1)

설악산국립공원 설악폭포 분비나무와 잣나무 1 m 수고생장 기간 조사

최은비1

박준희2

김진원2

김요정3

서정욱3*

1충북대학교 대학원 임산공학과, 2국립공원공단 국립공원연구원, 3충북대학교 목재⋅종이과학과

Monitoring of the height-growth duration from the root collar up to one meter in the main stems of Abies nephrolepis and Pinus koraiensis at Sorak Falls in the Soraksan National Park

En-Bi Choi

1

, Jun-Hui Park

2

, Jin-Won Kim

2

, Yojung Kim

3

and Jeong-Wook Seo

3*

1Department of Forest Products,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28644, Korea 2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Wonju 26441, Korea 3Department of Wood & Paper Science,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28644, Korea

요약: 설악산국립공원 설악폭포에 위치한 아고산대 침엽수인 분비나무와 잣나무의 수고생장 기간을 조사하기 위해 본 연구를 수행하였다. 조 사를 위해 분비나무 고사목 2본(SAPPAND01, 02)과 잣나무 고사목 1본(SAPPPKD03)을 선발하였다. 높이별 수고생장 기간을 조사하기 위해 뿌리와 줄기 경계를 기준으로 높이 0, 10, 20, 30, 40, 50, 60, 80, 100 cm에서 디스크를 채취하여 나이테(이하, 연륜) 분석을 실시하였 다. 또한 고사연도 분석을 위해 생육중인 분비나무 15본에서 생장편을 채취하여, 연구지를 대표하는 연륜폭연대기를 작성하였다. 연륜 분석 결과, 분비나무인 SAPPAND01과 02의 생육 기간은 각각 102년(1915-2016)과 97년(1918-2014)이었으며, 잣나무인 SAPPPKD03은 62년(1926-1987)이었다. SAPPAND01과 02의 고사 시기는 각각 2016년 가을-2017년 봄과 2015년 여름-가을이었으며, SAPPPKD03의 고사 시기는 1987년 가을-1988년 봄이었다. 100 cm까지 수고생장을 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SAPPAND01이 41년으 로 가장 길었으며, SAPPAND02와 SAPPPKD03은 각각 17년과 18년으로 조사되어 수종보다는 개체 간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 만, 대상목 모두에서 수고 20 cm 전후까지 생장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공통적으로 긴 것으로 나타났다. 본 결과는 향후 우리나라 아고산대 침엽수 수령조사의 정확성을 향상 시키는데 중요한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주요어: 설악산국립공원, 아고산대, 수령, 분비나무, 잣나무

Abstract: This study aimed at investigating the height-growth duration of Abies nephrolepis and Pinus koraiensis which are the tree species growing in the subalpine area at Seorak Falls of the Seoraksan National Park. For the study, two dead Abies nephrolepis (SAPPAND01, 02) and one dead Pinus koraiensis were selected. To investigate the height-growth duration, 9 disks were collected at the height of 0, 10, 20, 30, 40, 50, 60, 80, 100 cm height from the collar to upward from the sample trees, and then their ring-width were measured. The site master chronology used to the reference to date the death years of the sampled trees was established using the increment cores from 15 living Abies nephrolepis. Through the tree-ring analysis, the ages of SAPPAND01 and 02, and SAPPPKD03 were verified 102 (1915-2016), 97 (1918-2014), and 62 years (1926-1987) years, respectively. The death seasons and years of SAPPAND01 and 02, and SAPPPKD03 were autumn in 2016 - spring in 2017, summer - autumn in 2015, and autumn in 1987 and spring in 1988, respectively. The height-growth durations up to 100 cm from the collars of SAPPAND01 and 02 and SAPPPKD03 were -41, 17, and 18 years, respectively, so that it was verified that the height-growth duration was not changing de- pending on tree species but individual trees. During the juvenile periods growing up to approximately 20 cm from the collar, however, all sample trees showed relatively taking long times. All results obtained from this study would be fundamental data to improve the accuracy of examining the age of conifers in the subalpine areas.

Key words Seoraksan National Park, Subalpine area, Tree age, Abies nephrolepis, Pinus koraiensis

Received 12 June 2021; Revised 14 October 2021; Accepted 17 November 2021

*Corresponding to 서정욱(Jeong-Wook Seo) Tel. +82-43-261-2543, Fax. +82-43-263-2392, E-mail. [email protected]

(2)

서론

산림식생 조사에서 각 수종에 대한 정확한 수령정보 는 과거 산림생태계에서 진행된 시공간적 변화를 이해 하는데 중요한 단서가 된다(Baker et al. 2005; 전영문 등 2019). 수목의 출현과 고사 시기와 함께 위치를 파악 할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러한 이유로 수령조사는 산림식 생 조사에서 필수로 수행되는 항목이다.

수목을 벌채하지 않고 수령을 조사하는 방법에는 생 장추(increment borer)를 이용해 채취한 생장편(increment

core)에서 나이테(이하,

연륜)를 확인하는 생장편채취법, 가슴높이에서 측정한 수간의 직경을 활용하는 흉고직경측 정법, 가지의 마디를 활용하는 지절관찰법, 수간에 2 mm 침을 삽입하여 전기저항 측정값으로 수령을 측정하는 레지스토그래피법 등이 있다(김갑덕

1992;

손영모 등

2007).

여러 수령 측정 방법 중 가장 정확한 방법은 생장

편채취법이다(오정애 등

2017).

수령조사에 활용되는 생장편을 채취하는 일반적인 높 이는 가슴높이(이하, 흉고)다(Norton and Ogden 1990).

따라서 정확한 수령을 조사하기 위해서는 수목이 흉고까 지 생장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을 보정해주어야 한다(Wong

and Lertzman 2001).

현재 국내 저지대에서 자라는 소나 무의 수령 추정 시 흉고까지 도달하는 생육기간을 보정 하기 위해 활용되는 기간은 4년이다. 하지만 4년의 보정 치를 모든 수종과 지역에 적용하면 수령이 과소, 과대평 가되는 문제가 있다. 수종 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수종 일지라도 생육조건에 따라서 생육 속도에 차이가 존재 하기 때문이다(Norton and Ogden 1990). 또한 천연 치수 와 인공 조림된 치수 간에도 차이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 다(김갑태 2004). 지리산 아고산대에 있는 구상나무(Abies koreana)와 청주 저지대에 위치한 미동산수목원의 구상 나무 수고가 100 cm까지 도달하는 기간을 비교한 연구 에서는 지리산 구상나무는 16년, 미동산수목원 구상나무 는

11년이 소요되는 것으로 나타났다(윤예솔

등 2018).

이는 수목이 생장하는 환경에 따라서 보정기간을 달리 해주어야 하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신뢰성 있는 보정 기간을 결정하기 위해서는 조사목과 조사지역의 수를 확대한 체계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본 연구는 우리나라 고산지역에서 자라는 분비나무와 잣나무의 수령 추정에 필요한 수고생장 보정기간을 조 사하기 위해 수행되었다. 생육 중인 수목에 피해를 주지 않기 위해 고사목을 연구에 활용하였다. 따라서 고사목 의 고사연도도 함께 분석하였다.

재료 및 방법

1. 연구지역 및 시료채취

연구지역은 설악산국립공원 설악폭포 일대(N 38° 6',

E 128° 27', 1,023-1,061 a.s.l m)이며(Fig. 1),

연륜분석을 위 해 고사한 분비나무(Abies nephrolepis) 2본(SAPPAND01,

SAPPAND02)과 잣나무(Pinus koraiensis) 1본(SAPPPKD03)

을 선발하였다(Table 1). 선발된 고사목의 수고 별 생장 기간을 조사하기 위해 뿌리와 줄기의 경계를 기준으로 높이 0, 10, 20, 30, 40, 50, 60, 80, 100 cm에서 디스크를 채취하였다. 각 고사목의 고사연도 분석에 필요한 연구지 대표연륜폭연대기는 동일 임분(stand)에 있는 분비나무 생육목 15본에서 채취한 직경 5.15 mm 생장편(increment

core)을 이용하여 작성하였다(Table 1).

시료채취는 2020 년

7월에

실시하였다.

2. 연륜분석

2.1. 연륜폭 측정

연륜분석을 위해 뿌리와 줄기 경계를 기준으로 높이

0, 10, 20, 30, 40, 50, 60, 80, 100 cm에서 채취된

디스크 를 대상으로 연륜폭 측정을 실시하였다. 측정을 위해 먼 저 디스크의 횡단면을 벨트사포를 이용하여 연마함으로 써 연륜 경계가 잘 관찰되도록 하였다. 연마는 밸트사포

#80, #120, #320, #600

순으로 실시하였다. 연마가 완료 된 디스크의 연륜폭 측정은 실체현미경(SMZ 800, Nikon,

Japan)

하에서 연륜 경계를 확인하면서 연륜폭 측정기

(LINTAB, Rinntech, Germany)로 실시하였다.

측정단위 는 0.01 mm이다. 수목의 중심인 수(pith)가 중앙에 위치 하지 않은 경우에는 이상재(compression and opposite

(3)

woods, Fig. 2, step 1

ⓒⓓ)를 피해 정상재 부분(side

woods, Fig. 2, step 1

ⓐⓑ)에서 연륜폭을 양방향으로 측 정하였다.

2.2. 크로스데이팅(Cross-dating)

측정한 각각의 연륜에 정확한 생성 연도를 부여하기 위하여 크로스데이팅을 실시하였다. 생육환경이 불량하 면 수목은 위연륜(false ring), 실연륜(missing ring), 또는 Fig. 1. A: Sampling site in Seorak falls (square with gray color); B: an overview of sampling site; C: disks from 0, 10, 20, 30, 40, 50, 60, 80, 100 cm from the collar to upward.

ID Latitude

(N) Longitude

(E) Elevation

(m a.s.l.) Species Condition DBH*

(cm)

SAPPAN01 38° 6' 17.6“ 128° 27' 28.2" 1,061 Abies nephrolepis Dead 7.5

SAPPAN02 38° 6' 16.3" 128° 27' 26.9" 1,053 Abies nephrolepis Dead 14.5

SAPPPK03 38° 6' 17.8" 128° 27' 28.3" 1,044 Pinus koraiensis Dead 9.0

SAPPL01 38° 6' 16.5" 128° 27' 27.8" 1,023 Abies nephrolepis Living 22.0

SAPPL02 38° 6' 16.2" 128° 27' 27.3" 1,023 Abies nephrolepis Living 20.7

SAPPL03 38° 6' 16.0" 128° 27' 27.3" 1,024 Abies nephrolepis Living 33.0

SAPPL04 38° 6' 16.6" 128° 27' 27.0" 1,028 Abies nephrolepis Living 18.0

SAPPL05 38° 6' 16.6" 128° 27' 27.3" 1,028 Abies nephrolepis Living 17.7

SAPPL06 38° 6' 16.7" 128° 27' 26.9" 1,041 Abies nephrolepis Living 26.0

SAPPL07 38° 6' 17.3" 128° 27' 28.0" 1,043 Abies nephrolepis Living 28.3

SAPPL08 38° 6' 16.5" 128° 27' 28.4" 1,033 Abies nephrolepis Living 23.8

SAPPL09 38° 6' 17.7" 128° 27' 27.9" 1,047 Abies nephrolepis Living 26.3

SAPPL10 38° 6' 17.9" 128° 27' 29.7" 1,038 Abies nephrolepis Living 34.0

SAPPL11 38° 6' 17.9" 128° 27' 29.4" 1,039 Abies nephrolepis Living 26.2

SAPPL12 38° 6' 18.1" 128° 27' 29.4" 1,040 Abies nephrolepis Living 25.9

SAPPL13 38° 6' 18.1" 128° 27' 30.1" 1,038 Abies nephrolepis Living 26.5

SAPPL14 38° 6' 18.1" 128° 27' 30.2" 1,035 Abies nephrolepis Living 18.5

SAPPL15 38° 6' 18.3“ 128° 27' 29.8" 1,039 Abies nephrolepis Living 14.5

*DBH: Diameter of Breast Height

Table 1. Descriptions of dead trees used to the height-growth duration and living trees used to establish the site master chronology.

(4)

불연속륜(discontinuous ring)을 생성하는데, 이러한 연 륜을 모두 찾아 각 연륜에 정확한 생성 연도를 부여하는 것이 크로스데이팅이다(Speer J.H. 2010).

크로스데이팅을 위해 연륜폭연대기 상호간 일치도를 수식을 이용하여 계산하는 통계방법과 육안으로 확인하 는 그래프방법을 함께 사용하였다(Schweingruber, 1988).

통계방법을 위해 TSAPWin 프로그램(Rinntech, Germany) 에서 제공하는 t-vaule와 G value를 활용하였다. t-value 는 연륜폭연대기 상호간 상관계수와 비교되는 연륜폭연 대기 중첩기간을 이용하여 일치도를 계산한 값이다(식

1). G value는 연륜폭연대기 상호간 시계열

패턴의 일치 도를 퍼센트로 나타낸 값이다(식

2)(Baillie and Pilcher 1973; Ecsktein and Bauch 1969).

일반적으로 100년 이 상의 연륜폭연대기를 비교할 때 t-value는 3.5, G value 는 65 % 이상이면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준에서 크로스 데이팅이 성공했다고 판단한다(김요정, 2003). 하지만 최종 판단은 연륜폭연대기의 일치도를 육안으로 확인하 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 

∑× 

∑ × 

(식 1)

 

 

× 

=

표본 연륜폭연대기의 번째 연륜폭

=

표본 연륜폭연대기의 평균 연륜폭

=

상대 연륜폭연대기의 번째 연륜폭

=

상대 연륜폭연대기의 평균 연륜폭

=

표본 및 상대 연륜폭연대기가 중첩되는 연륜 수

     



(식 2)

   ≻ 이면, 

,

    이면,  

,

   ≺ 이면,  

2.3. 고사연도 및 계절

각 디스크에서 획득된 연륜폭연대기의 평균값을 이용 하여 수목을 대표하는 연륜폭연대기를 작성하였다(Fig.

Fig. 2. Process from ring-width measurement to dating of the death years of sample trees by the cross-dating.

(5)

2, step 2).

다음으로 크로스데이팅에 성공한 생육목 연 륜폭연대기의 평균값으로 설악폭포 대표연륜폭연대기 를 작성하였다. 고사연도는 고사목 개체 연륜폭연대기 와 대표연륜폭연대기 상호간 크로스데이팅 결과로 확정 되었다(Fig. 2, step 3).

일반적으로 수목의 연륜 생장은

3월에 시작하며, 10

월과 11월 사이에 정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권성민 과 김남훈 2005; 박소연 등 2015). 하지만, 덕유산 아고 산대 구상나무, 잣나무, 주목, 가문비나무의 연륜 생장 기간을 조사한 연구에서는 3월에 시작하여

9월 말에 종

료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ark et al. 2021). 침엽수의 만재(latewood)는 6월 중순부터 8월 초 사이에 생성된다

(서정욱

등 2017; Park et al. 2021). 연륜 생장시기와 목 재세포 형태를 근거로 고사한 계절을 다음과 같이 구분하 여 결정하였다. 고사목 최외각 연륜에서 조재(earlywood) 만 관찰되면 고사한 계절은 봄부터 여름, 만재 일부만 관찰되면 여름부터 가을, 만재형성이 완료되어 연륜경 계가 뚜렷한 경우에는 그해 늦가을부터 다음 해 봄 사이 로 판정하였다(서정욱 등

2019; Choi et al. 2020).

2.4. 수고생장 기간

크로스데이팅을 통해 절대연도가 부여된 디스크 높이 별 연륜폭연대기에서 수목의 중심부에 위치한 첫 번째

연륜의 생성연도를 이용하여 수고생장 기간을 계산하였 다. 최외각 연륜의 경우 생육환경이 건전하지 못하여 일 부 높이에서 정상적으로 연륜이 생성되지 않은 것이 확 인되어 높이별로 정확한 연륜 수 차이를 확인하는 것이 불가능하였다. 따라서 각 높이에서 확인 가능한 첫 번째 연륜의 생성연도 차이로 수고생장 기간을 조사하였다.

결과

1. 고사목 디스크 크로스데이팅

설악폭포 분비나무 고사목

2본(SAPPAND01, 02)과

잣나무 고사목 1본(SAPPPKD03)에서 높이별로 채취되 어 온 디스크 상호 간 크로스데이팅을 실시하였다. 그 결 과, SAPPAND01의 평균 t-value는 32.7(18.4-49.9), 평균

G value는 73.9(67.0-77.0)%, SAPPAND02의 평균 t-value

56.5(34.7-74.7),

평균

G value는 80.9(70.0-85.0)%, SAPPPKD03의

평균 t-value는

27.0(14.7-64.8),

평균

G value는 79.6(67.0-91.0)%로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한 수

준의 값을 나타내어(Fig. 3), 각 연륜에 정확한 상대연도 를 성공적으로 부여하였다(Fig. 4).

t-value Ave. Max Min

SAPPAND01 32.7 49.9 18.4

SAPPAND02 56.5 74.7 34.7

SAPPPKD03 27.0 64.814.7

G value Ave. Max Min

SAPPAND01 73.9 77.0 67.0

SAPPAND02 80.9 85.0 70.0

SAPPPKD03 79.6 91.0 67.0

Fig. 3. t- and G values between individual time series at each height from the collar (green: SAPPAND01, blue: SAPPAND02, orange:

SAPPPKD03).

(6)

2. 대표연륜폭연대기 작성

생육목(SAPPL) 15본 수목 가운데, ID SAPPL03과,

SAPPL10을 제외한 나머지 13본이 성공적으로 크로스

데이팅 되었다. 크로스데이팅에 성공한

13본의

평균값 을 이용하여

108년간(1912년-2019년)의 대표연륜폭연

대기를 작성하였다(Fig. 5). 대표연륜폭연대기에 사용된 연륜폭연대기들의 평균 길이는

76년이었으며,

가장 짧 은 연륜폭연대기는

59년이었다.

크로스데이팅에 성공한 13본의 연륜폭연대기와 대표연 륜폭연대기의 평균 t-value와 G value는 각각 9.4(0.1-17.3) 와 74%(60-79%)로 대부분 t-value 3.5와 G value 65%를 충족했다(Table 2). SAPPL14(t-value 0.1), SAPPL06(G

value 60%), SAPPL15(G value 60%)는 기준값을 일부

충족하지 못했지만, 그래프방법을 통해 연대기 상호간 패턴이 유의한 수준에서 일치하는 것으로 확인되어 대 표연륜폭연대기 작성에 포함시켰다.

3. 고사연도 및 디스크 수령 분석

크로스데이팅에 성공한 고사목 연륜폭연대기와 설악 폭포 대표연륜폭연대기를 크로스데이팅하여 고사목의 고사연도와 수령을 함께 조사하였다. 크로스데이팅 결과,

SAPPAND01

수목은 첫 번째 연륜은

1915년,

마지막 연

륜은

2016년에 생성된 것으로 조사되어 수령이 102년으

로 확인되었다. SAPPAND02의 수령은

97년(1918-2014

년), SAPPPKD03은 62년(1926-1987년)으로 확인되었다

(Table 3).

고사한 계절을 조사하기 위해 최외각 연륜의 목재세 포를 관찰한 결과, SAPPAND01와 SAPPPKD03의 최외 각 연륜에서는 만재형성이 완료되어 명확한 연륜경계가 관찰되었으며, SAPPAND02에서는 만재세포 일부가 관 찰되었다. 따라서

SAPPAND01와 SAPPPKD03은 당년

가을부터 이듬해 봄 사이에 고사되었으며, SAPPAND02 는 2015년 늦여름부터 가을 사이에 고사한 것으로 확인 되었다.

동일 수목 높이별 디스크 일부에서 최외곽 연도가 다 르게 조사되었다. 이러한 결과는 불량한 생육환경으로 Fig. 4. Successfully crossdated ring-width time series (gray) and their mean chronology (black).

Fig. 5. The site master chronology (black) with individual ring-width time series of Abies koreana (gray) at Seorak Falls.

(7)

인해 실연륜(missing ring) 또는 불연속륜(discontinuous

ring)

발생한 결과였다.

4. 수고생장 기간

수고

100 cm에 도달하는

SAPPAND01은 41년, SAPPAND02는 17년, SAPPPKD03은 18년이 소요된 것

으로 조사되었다(Fig. 6).

수고생장 소요 기간은 동일 연구지 내의 동일 수종인

SAPPAND01과 SAPPAND02

간에는 차이가 컸으나, 잣 나무인

SAPPPKD03과 분비나무인 SAPPAND02

간에 는 큰 차이가 없었다. 따라서 수고생장 기간은 수종보다 개체에 따른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하지만 고사 목 세 본 모두 20 cm 전후까지 수고생장을 하는 데 가장 오랜 기간이 소요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또한 수고 80 cm

ID t-value G value The number of

tree rings Calendar year of

the first tree ring Calendar year of the last tree ring

SAPPL01 15.2 78.0*** 73 1947 2019

SAPPL02 5.6 75.0*** 84 1936 2019

SAPPL04 9.5 71.0*** 68 1952 2019

SAPPL05 17.3 72.0*** 69 1951 2019

SAPPL06 6.5 60.0 59 1961 2019

SAPPL07 7.2 72.0*** 91 1929 2019

SAPPL08 3.6 76.0*** 108 1912 2019

SAPPL09 8.4 71.0*** 81 1939 2019

SAPPL11 6.6 75.0*** 68 1952 2019

SAPPL12 16.1 76.0*** 77 1943 2019

SAPPL13 13.9 79.0*** 64 1956 2019

SAPPL14 0.1 68.0*** 72 1948 2019

SAPPL15 11.8 60.0* 79 1941 2019

Ave. 9.4 71.8 76 - -

Max 17.3 79.0 108 - -

Min 0.1 60.0 59 - -

Table 2. t- and G values between individual time series and the master chronology.

Heights from the collar (cm)

0 10 20 30 40 50 60 80 100

SAPPAN01 1915 - 2016 (102 year)

The number of tree rings 97 85 75 69 67 64 60 56 61

Calendar year of the first tree ring 1915 1923 1938 1943 1947 1949 1952 1955 1956

Calendar year of the last tree ring 2011 2007 2012 2011 2013 2012 2011 2010 2013

SAPPAN02 1918 - 2014 (97 years)

The number of tree rings 90 86 87 81 84 84 81 78 78

Calendar year of the first tree ring 1918 1923 1925 1930 1929 1931 1932 1934 1935

Calendar year of the last tree ring 2007 2008 2011 2010 2012 2014 2012 2011 2012

SAPPPK03 1926 - 1987 (62 years)

The number of tree rings 60 55 50 49 46 46 46 44 42

Calendar year of the first tree ring 1926 1933 1935 1937 1939 1939 1941 1942 1944

Calendar year of the last tree ring 1985 1987 1984 1985 1984 1984 1986 1985 1985

Table 3. The number of tree rings and the calendar years of the youngest and oldest tree rings at the each height of the sample trees, Abies nephrolepis (SAPPAND01, 02) and Pinus koraiensis (SAPPPKD03).

(8)

에서 100 cm까지 생장을 하는데 소요되는 기간은 각각

1년, 1년, 2년으로 유사하였다.

결론 및 고찰

설악산국립공원 설악폭포 연구지 내 고사목 3본에 대 한 연륜분석을 실시한 결과, 생육기간의 경우 분비나무

SAPPAND01은 102년(1915-2016), SAPPAND02는 97년 (1918-2014),

잣나무 고사목 SAPPPKD03은 62년(1926-

1987)으로 나타났다.

고사연도의 경우

SAPPAND01은 2016년 가을-2017

봄, SAPPAND02는

2015년

늦여름- 가을, SAPPPKD03은 1987년 가을-1988년 봄인 것으로 밝혀졌다. 분비나무 2본의 고사연도는 유사하게 나타났 으나. 잣나무는 분비나무에 비해 약

30년 일찍 고사한

것으로 확인되어 시기적 차이가 관찰되었다. 이러한 차 이가 환경변화에 의한 결과인지, 임분 내 수종 간 경쟁에 따른 결과인지를 밝히기 위해서는 두 수종에 대한 보다 체계적 조사가 이뤄져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수고생장 기간은 동일 연구지 내에서도 수종 간 차이 보다는 개체 간 차이가 큰 것으로 확인되었다. 분비나무 인

SAPPAND01이 수고 100 cm까지 생장하는데 소요된

기간은 41년이었으며, SAPPAND02는 17년으로 조사되

24년의 차이가 났다.

아고산대에서 생육 중인 수목을

대상으로 한 유사한 연구를 살펴보면, 뉴질랜드 고유종 인 Libocedrus bidwillii는 100 cm 수고생장을 하는데 35 년에서 103년, Agathis australis는 8년에서 29년이 소요 되었다(Norton, D.A. 1983; Ogden, J. 1983). 본 연구에 서 개체 간 수고생장 기간의 차이는 수목의 초기 생장률 에 따른 것으로 판단된다. 수고 30 cm까지 도달하는데,

SAPPAND01은 28년이 소요됐지만, SAPPAND02와

SAPPPKD03은 11년이 소요되어 17년간의 차이를 보였

기 때문이다. 이러한 결과는

SAPPAND01의

초기생장 조건(예: 수목경쟁, 토양, 수분, 빛 등)이 다른 수목보다 불량하여 비교적 느린 초기생장을 한 것으로 예측된다.

따라서 연구지 내 수목들의 일반적인 생장범위 및 수목 생장속도를 조사하여 그 결과를 기초로 등급화 된 수고 생장 보정기간을 수립할 필요가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William and Dennis 1981).

높이

80 cm에서 100 cm까지 수고생장을 하는 동안은

조사한 수목 간 차이가 없었다. 이러한 결과는 일정 수고 에 도달하면 수고생장 속도가 유사하거나, SAPPAND01 이 초기생장 기간에 받았던 불리한 생육환경에서 벗어 난 결과로 판단된다.

본 연구에서 획득된 결과가 아고산대 침엽수 수령추 정 및 고사관련 임분동태 연구에 잘 활용되기 위해서는 보다 체계적인 추가 연구가 수행되어야 할 것이다.

Fig. 6. Height-growth durations from the collar up to the each sampling height (black lines: 10-year interval).

(9)

참고문헌

Baillie MGL, JR Pilcher. 1973. A simple cross-dating pro- gram for tree-ring research. Tree Ring Bulletin. 33: 7-14.

Baker PJ, S Bunyavejchewin, CD Oliver, PS Ashton. 2005.

Disturbance history and historical stand dynamics of a seasonal tropical forest in Western Thailand. Ecological Monographs. 75(3): 317-343.

Choi E-B, Y-J Kim, J-H Park, C-R Park, J-W Seo. 2020.

Reconstruction of Resin Collection History of Pine Forests in Korea from Tree-Ring Dating. Sustainability. 12(21):

9118. https://doi.org/10.3390/su12219118

Chun Y-M, H-Y Lee, J-H Gwon, H-C Park. 2019. Monitoring on the Structure and Dynamics of Abies nephrolepis in Soeraksan National Park. Korean J. Environ. Ecol. 33(5):

565-577. (In Korean)

Eckstein D, J Bauch. 1969. Beitrag zur Rationalisierung eines dendrochronologischen Varfahrens and zur Analyse seiner Aussagesicherheit. Forstwissenschaftliches Centralblatt.

88: 230-250.

Kim GD. 1992. Forest Mensuration. Seoul, Hyangmoonsa.

Kim GT. 2004. Ecological Forest Mana gement and Reforestation Problem -Comparison of Diameter In crement of Juglans mandshurica between Art ifici al and Natural forest-.

Korean J. Environ. Ecol. 17(4): 309-315. (In Korean) Kim YJ. 2003. Dating of the 17th-Century Korean Buildings

Using Tree Rings of Pinus densiflora S. et Z. Masters disseretation. Chungbuk National University, Chungju, Korea. (In Korean)

Kwon SM, NH Kim. 2005. Annual Ring Formation of Major Wood Species Growing in Chuncheon, Korea(1) -The Period of Cabium Activity-. J. Korean Wood Sci. Technol.

33(4): 1-8. (In Korean)

Norton DA, J Ogden. 1990. Problems with the use of tree rings in the study of forest population dynamics in Methods of dendrochronology: application s in the envi- ronmental sciences. Kluwer Academic Publishers, Norwell, Mass.

Norton DA. 1983. Population Dynamics of Subalpine Libocedrus bidwillii Forests, Cropp River, Westland, New Zealand.

New Zealand Journal of Botany. 21: 127-134.

Ogden J. 1983. The Scientific Reserves of Auckland University,

II: Quantitative Vegetation Studies. Tane. 29: 163-180.

Oh J-A, J-W Seo, B-R Kim. 2017. Establishing Local Master Ring-Width Chronologies and Their Utilization for Estimating The Age of Big Old Trees. J. Korean Wood Sci. Technol. 45(1): 85-95. (In Korean)

Park J-H, E-B Choi, H-C Park, N-Y Lee, J-W Seo. 2021.

Intra-annual dynamics of cambial and xylem phenology in subalpine conifers at Deogyusan National Park in the Republic of Korea. Journal of Wood Science. 67. https://

doi.org/10.1186/s10086-021-01950-2

Park SY, C-D Eom, J-W Seo. 2015. Seasonal Change of Cambium Activity of Pine Trees at Different Growth Sites. J. Korean Wood Sci. Technol. 43(4): 411-420. (In Korean)

Schweingruber FH. 1988. Tree Rings-Basic and Applications of Dendrochonology. D. Reidel Publishing Company Dordrecht.

Seo J-W, E-B Choi, J-D Ju, C-S Shin. 2017. The Association of Intra-Annual Cambial Activities of Pinus koraiensis and Chamaecyparis pisifera planted in Mt. Worak with Climatic Factors. J. Korean Wood Sci. Technol. 45( 1):

43-52. (In Korean)

Seo J-W, YJ Kim, E-B Choi, J-H Park, J-H Kim. 2019.

Investigation of Death Years and Inter-annual Growth Reduction of Korean Firs (Abies koreana) at Yeongsil in Mt. Halla. J. Korean Env. Res. Tech. 22(3): 1-14. (In Korean)

Son YM, GH Lee, RH Kim, SW Kim, BS Park. 2007.

Measuring the tree age. Korea Forest Research Institute.

107921. (In Korean)

Speer JH. 2010. Fundamental of Tree-Ring Rsearch. University of Arizona Press.

William HR, HK Dennis. 1981. Fire frequency and subalpine forest succession along a topographic gradient in Wyoming.

Ecology. 62(2): 319-326.

Wong CM, KP Lertzman. 2001. Errors in estimating tree age:

implications for studies of stand dynamics. Canadian Journal of Forest Research. 31(7): 1262-1271.

Yun YS, H-C Park, J-H Park, E-B Choi, AH Jo, J-W Seo.

2018. Study on the Height Growth Rate - Subalpine zone in Mt. Jiri vs Forest Science Museum in Cheongju -.

Korean J. Environ. Ecol. Conference. 28(2): 64-64. (In Korean)

Referensi

Dokumen terkait

Inhibition of vegetative growth in the form of growth in the number of leaves and root length was ex- hibited by the groups of treatments of 1-5 mg L -1 PBZ, while the stem

Hence,fields contain information like Occupation Title, Occupation Description and Tasks associated with each occupation were used from the O*NET to estimate the similarity between each