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최근 5년간 흑산도의 가락지부착조사 현황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최근 5년간 흑산도의 가락지부착조사 현황"

Copied!
9
0
0

Teks penuh

(1)

최근 5년간 흑산도의 가락지부착조사 현황

조숙영*·박창욱·서슬기·박세영·이승연·권영수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

Bird Banding Records for the Last 5 Years on Heuksan-do,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Sook-Young Cho * , Chang-uk Park, Seul-Gi Seo, Se-Young Park, Seung-Yeon Lee and Young-Soo Kwon

Migratory Bird Research Center,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hinan-gun, Jeonnam 58863, Korea

요 약 :다도해해상국립공원흑산도에서 2010년부터 2014년까지최근 5년간의가락지부착조사결과, 해당조사기간

중에 가락지를 부착한 조류는 총 194종 31,378개체였다. 조사기간 중 가락지부착 개체의 재포획은 7,505회였으며,

국외에서 발견되거나 국외에서 가락지가 부착된조류를 센터에서 발견한 기록은 총 10종 14개체였다. 가락지부착 우점종은촉새(13.9%), 동박새(9.0%), 흰배지빠귀(6.3%) 순이었다. 국립공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의지속적인가락지부 착조사는흑산도에서관찰되는조류의연간변동을파악하여다도해해상국립공원의공원관리에필요한기초자료로활 용될수있도록하며, 철새들의이동경로에대한신뢰성있는자료를제공할수있도록할것이다.

주요어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 가락지부착조사, 재포획

Abstract :We banded a total of 194 species 31,378 individuals from 2010 to 2014 on Heuksan-do,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7,505 individuals of them were recaptured, and 14 individuals of 10 species which have been banded abroad were recaptured in the study area. The dominant species were the Black-faced Bunting Emberiza spodocephala (13.9%), the Japanese White-eye Zosterops japonicus (9.0%), and the Pale Thrush Turdus pallidus (6.3%). Long-term data on bird banding can be used to understand the annual trends of birds and to manage national parks. Bird banding data would provide confident information on migratory routes and behaviors.

Key words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Heuksan-do, bird banding, recapture

서 론

가락지부착조사(bird banding)는 야생 조류의 연구를 위하 여 날개나 다리에 개체 식별번호가 있는 금속 또는 플라스 틱 가락지를 부착하는 것으로(국립공원연구원 2007; 남현영 등 2014), 이후 재발견되었을 때 조류 생활사를 통해 생태 변화 및 자연보호를 위한 유용한 정보로 활용될 수 있다

(Lowe 1989). 또한, 조류 개체군의파악을통해 위협종에속

하는 조류를 인식하고, 이에 대한 환경 변화를 예측하는데 도움이 되며(Lowe 1989), 조류의 가장 필수적인 정보를 제 공해 준다(Clark et al. 2009).

과학적 목적으로 최초 가락지부착조사가 실시된 것은 1899년 덴마크의 Christian Mortensen이조류의발목에자신 의 이름과 주소가 기입된 가락지를 부착했던 것이 처음으로 (De Beer et al. 2001; Balmer et al. 2008), 유럽에서 세계 최초의 가락지부착조사 체계가 이루어진 해는 1903년이다 (De Beer et al. 2001).

우리나라는 1964년미 정부의원조에의해경희대학교조 류연구소에서 이동성조류질병연구(Migratory Animal Patho-

logical Survey)를 실시하면서 가락지부착조사가 시작되었다

(국립공원연구원 2007; Chae and Choi 2007). 이후 1993년 철새의 이동경로를 규명하고자 금속 및 유색 가락지부착조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사가실시되어 지금까지진행되고 있다(환경부 2014).

국립공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는 2005년설립이후, 지속적 인 가락지부착조사를 실시하고 있으며(국립공원연구원 2010, 2011, 2012, 2013, 2014), 이는 해당 연구지역인 다도해해상 국립공원 흑산도에 도래하는 종 및 개체군의 크기와 연간 변동을 파악하고, 분류군의 종구성을 파악하는 데 중요한 자료로활용하고자실시하고 있다.

재료 및 방법 1. 조사지역 및 조사기간

다도해해상국립공원 흑산도(N 34o 41', E 125o 25')의 배 낭기미습지와 진리습지에서 조사를 수행하였다. 흑산도 배 낭기미습지와 진리습지는흑산도 북서쪽에 위치한 작은습 지로소형참새목뿐만아니라일부물새류도서식하는곳으 로(국립공원연구원 2010), 다양한 종의 새를 관찰할 수 있다.

조사기간은 2010년부터 2014년까지로, 매년 봄철(3월~5월) 과 가을철(8월 중순~11월) 새들의 이동시기를 중심으로 수 행되었다.

2. 조사방법

가락지부착조사를 위하여 조사지역의 습지 주변으로 30~

36 mm × 2.6m × 12m 크기의 조류 포획용 그물 16~18장을

설치하였다. 2010년의 경우, 일출 20분전부터 일몰 20분전 까지 조사를 실시하였으며, 2011년부터 2014년까지는 일출

20분전부터 정오 12시까지 조사를 실시하고, 필요한 경우

추가 조사를 실시하였다. 포획된 개체는 가락지를 부착한 후안전하게 방사하였으며, 필요에따라외부형태를측정하 여 기록하였다. 습지 주변에 그물을 설치하여 포획된 개체 외에도 흑산도 내에서 구조되어 치료와 보호 후, 가락지를 부착하여 방사한 개체도 가락지부착조사 목록에 포함하여 기록되었다.

분류및동정은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을 기준 으로작성하였으며, 한국조류목록에 기록되지 않은일부분 류군은 Dickinson (2003)을 참고하였다. 최근 새롭게 알려진 종에 대해서는 해당종에 대한 연구논문을 참고하여 작성하 였다.

결과 및 고찰 1. 가락지부착종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흑산도에서 가락지부착조사를 실

시한 결과, 총 194종 31,378개체에게 가락지를 부착하였다 (Appendix). 2010년도의 경우 128종 4,816개체, 2011년도 116 종 3,580개체, 2012년도 150종 11,269개체, 2013년도 126종 5,546개체, 2014년도에는 127종 6,167개체에게 가락지를 부 착하였다.

매년 참새목이 97% 이상으로 가장 많은 포획률을 보였으 며, 최근 5년간은 멧새과 포획률이 33.8%로 가장 높았다.

다음으로는 솔딱새과(13.2%), 휘파람새과(10.8%), 동박새과

(9.5%) 순이었다(Figure 1). 또한 가락지부착조사의우점종은

촉새 Emberiza spodocephala (13.9%)였으며, 다음으로는 동 박새 Zosterops japonicus (9.0%),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6.3%), 박새 Parus major (4.9%),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4.5%), 쑥새 Emberiza rustica (4.1%) 순이었다.

2010년도부터 2014년까지 매년가락지를 부착한종은총

78종으로 황새목 1과 2종, 도요목 1과 5종, 비둘기목 1과 1 종, 두견이목 1과 1종, 파랑새목 1과 2종, 딱다구리목 1과 1 종, 그리고 참새목이 15과 66종으로 나타났다. 반면, 최근 5 년간 단 한번의 포획기록이 있는 종은 총 32종이었다.

가락지부착종 중,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에 기 록되지 않은 종으로 쇠덤불개개비 Iduna caligata가 있었다.

쇠덤불개개비는 2011년 9월 6일 전남흑산도배낭기미습지 에서 1개체가 포획되어, 국내에서는 기록이 없었던 종으로 해당 개체의 포획이 국내에서의 첫 기록으로 보고되었다(김 성진 등 2011). 본 종에 대하여 한국조류목록(한국조류학회 2009)에 게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Dickinson (2003) 및 Fregin 등(2009)에 따라 Iduna속의 단형종으로 보고 기록하 였다(국립공원연구원 2011; 김성진 등 2011). 이후, 쇠덤불

개개비는 2013년 10월 강릉에서의관찰기록이있었다(박종

길 2014; 이우신 등 2014).

또한, 우수리개개비 Acrocephalus tangorum는 한국조류목 록(한국조류학회 2009)에서 “범주 마-현재 한국의 조류로 인 정되지 않는 종 또는 아종: 과거 공식 또는 비공식 경로를 통해보고되었거나 관찰하였다는 주장이 있으나 이를뒷받 침할만한충분한증거가없거나오동정가능성이있는경우 및 분류학적인 재검토가 필요한 경우”에 속해져 있는종으 로 철새연구센터에서는 2014년 9월 10일과 10월 11일에 2 개체를 포획 및 관찰하여 처음으로 가락지를 부착하였다.

이 외에도 가락지부착종인 큰개개비 Locustella pryeri는 1962년 서울 인근에서 1회 포획 기록이 있으며(Fennell and King 1964), 2014년 5월 16일 전남흑산도에서의기록이국 내 2번째기록으로 본종을큰개개비아종 Locustella pryeri sinensis로 보고하였다(Seo et al. 2015).

Figure 1. Banded bird taxa in Heuksan-do, Dadohaehaesang National Park (2010~2014).

(3)

2. 법정보호종

조사기간중가락지를부착한종에서국내 보호종으로지 정된 조류는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 10종과 환경부 지정 멸종위기조류 I급 1종, II급 12종이었다(Table 1). 포획된 국 내 보호종 중 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긴꼬 리딱새 Terpsiphone atrocaudata, 섬개개비 Locustella pleskei, 검은머리촉새 Emberiza aureola 4종은최근 5년간지속적으 로흑산도에서포획되었으며, 붉은해오라기 Gorsachius goisagi, 참매 Accipiter gentilis 2종은 흑산 인근 주민의 신고를 통해 구조되어 센터에서의 치료와 보호를 받은 후 방사전 가락지 를 부착했던 종이다.

법정보호종 중 철새연구센터 첫 가락지 부착종으로는 팔 색조 Pitta nympha가 있었으며, 이 개체는 2014년 8월 20일,

배낭기미습지에서포획되어 가락지부착후방사되었다. 팔

색조의경우, 2013년 8월 29일흑산도천촌마을에서충돌로

추정되는 사체를 발견하기도 하였으며, 흑산도 내 조류모니 터링을 통해 2013년 하반기와 2014년 상반기 관찰된 기록 이 있었다(국립공원연구원 2014). 팔색조는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를 포함한 남부 도서지방 및 남부 내륙에서 드물게 번식한다고 알려져 있어(박종길 2014; 이우신 등 2014), 흑 산도내에서도 번식할가능성이 있을것으로추측된다. 3. 국외 재포획 기록

2010년부터 2014년까지 흑산도에서의 국외 가락지 회수

및 관찰 기록은 총 10종 14개체가 있었다(Table 2). 흑산도 에서 가락지를 부착하여 국외에서 재포획 및 재관찰된 기록

Table 1. Banded species on Heuksan-do, which has been designated as protected species by the Cultural Heritage Administration (Natural Monument) and Ministry of Environment (Endangered Wildlife).

Scientific Name English Name Korean Name No. Natural Monument Class of Endangered

Ixobrychus eurhythmus Von Schrenck's Bittern 큰덤불해오라기 Ⅱ

Gorsachius goisagi Japanese Night Heron 붉은해오라기 Ⅱ

Falco peregrinus Peregrine Falcon 매 323-7 Ⅰ

Accipiter soloensis Chinese Goshawk 붉은배새매 323-2 Ⅱ

Accipiter gularis Japanese Sparrowhawk 조롱이 Ⅱ

Accipiter nisus Eurasian Sparrowhawk 새매 323-4 Ⅱ

Accipiter gentilis Northern Goshawk 참매 323-1 Ⅱ

Rostratula benghalensis Greater Painted Snipe 호사도요 449

Cuculus poliocephalus Lesser Cuckoo 두견이 447

Otus bakkamoena Collared Scops Owl 큰소쩍새 324-7

Otus sunia Oriental Scops Owl 소쩍새 324-6

Ninox scutulata Brown Hawk-Owl 솔부엉이 324-3

Pitta nympha Fairy Pitta 팔색조 204 Ⅱ

Terpsiphone atrocaudata Black Paradise Flycatcher 긴꼬리딱새 Ⅱ

Locustella pleskei Styan's Grasshopper Warbler 섬개개비 Ⅱ

Emberiza aureola Yellow-breasted Bunting 검은머리촉새 Ⅱ

Emberiza sulphurata Yellow Bunting 무당새 Ⅱ

Emberiza yessoensis Japanese Reed Bunting 쇠검은머리쑥새 Ⅱ

Table 2. Records of overseas recoveries in 2010~2014.

Scientific Name English Name Korean Name Banded Date/Locatin Recovered Date/Locatin Tringa nebularia Common Greenshank 청다리도요 2006.(date was not confirmed)/

China 2014.04.28./Heuksan

Calidris tenuirostris Great Knot 붉은어깨도요 2006.12.19./Australia 2011.04.09./Heuksan

Locustella ochotensis Middendorff's Grasshopper

Warbler 알락꼬리쥐발귀 2010.09.05./Japan 2012.09.13./Heuksan

2013.06.22./Japan 2014.09.04./Heuksan Acrocephalus orientalis Oriental Reed Warbler 개개비 2010.08.22./Japan 2012.04.26./Heuksan 2012.07.25./Japan 2015.08.31./Heuksan Acrocephalus bistrigiceps Black-browed Reed Warbler 쇠개개비

2013.09.29./Japan 2013.10.13./Heuksan 2011.10.02./Japan 2014.05.17./Heuksan 2014.09.27./Japan 2014.10.17./Heuksan Phylloscopus inornatus Yellow-browed Warbler 노랑눈썹솔새 2012.09.--./China 2012.09.29./Heuksan

Luscinia calliope Siberian Rubythroat 진홍가슴 2011.09.27./Japan 2011.10.28./Heuksan

Monticola solitarius Blue Rock Thrush 바다직박구리 2014.08.27./Heuksan 2014.09.30./Taiwan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 되새 2013.11.14./Japan 2014.10.18./Heuksan

Emberiza elegans Yellow-throated Bunting 노랑턱멧새 2009.11.06./Heuksan 2010.04.19./China

(4)

은 2종 2개체로바다직박구리 Monticola solitarius와 노랑턱 멧새 Emberiza elegans의 이동경로를 확인하였으며, 국외에 서 가락지를 부착한 개체가 흑산도에서 재포획 및 재발견한 기록은 8종 12개체로 대부분 일본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개 체였다.

국외 재포획 기록 중, 바다직박구리는 2014년 8월 말 흑 산도에서 가락지를 부착한 개체로 약 한달 뒤인 9월 말 대

만에서재포획및 재관찰되었다. 이는 2008년 홍도에서가

락지를 부착한 개체가 약 한달 후에 대만에서 발견된 이후 (국립공원연구원 2011; Choi et al. 2011) 2번째 기록에 속한 다. 흑산도에서도 소수의 바다직박구리가 번식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며(Choi et al. 2011), 바다직박구리의 2회 국외 재포획 기록은 국내의 번식 개체군의 일부가 번식지에서 월 동지로이동하기위해장거리이동의가능성이있을 것으로 사료된다(국립공원연구원 2011).

가락지부착개체의 재포획은 해당 개체의 이동경로를 밝히 는 중요한 자료일 뿐 아니라, 해당 종의 수명과 사망률을 추정할 수 있는 기초 자료로 사용되기도 한다(Redrern and

Clark 2001). 그렇기에 무엇보다도 재포획은 여러 국가와의

신뢰 관계및네트워크구축이필요할 것으로본다. 가락지 부착조사는 앞으로도 조류의 이동 생태와 서식지 분포, 도 래 현황을 파악하여 환경의 변화에 따라 어떻게 변화하고 진화하는지 이해할 수 있도록 기초적이고 필수적인 정보를 제공하게 될 것이다(Clark et al. 2009).

이러한 가락지부착조사는 국립공원내의 종과 개체군의 변 동을 파악하여 공원관리에 필요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으며, 나아가 국가간의 철새 이동경로에 대한 신뢰성 있 는 자료를 제공할 수 있을 것이다. 우리는 이러한 정보를 통해 국립공원내의 조류에 대한 보전과 보호를 위하여 노력 해야 할 것이다.

사 사

본 연구는 국립공원연구원 철새연구센터에서 실시하는

2010~2014 조류 조사·연구에 의해 수행되었습니다.

참고문헌

국립공원연구원. 2007. 조류가락지부착조사안내서. 국립공원연 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국립공원연구원. 2010. 2010 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 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국립공원연구원. 2011. 2011 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 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국립공원연구원. 2012. 2012 조류조사·연구결과보고서. 국립공 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국립공원연구원. 2013. 2012~13 국립공원조류조사·연구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남원.

국립공원연구원. 2014. 2013~14 국립공원조류조사·연구보고서. 국립공원연구원, 원주.

김성진, 오구라타케시, 남현영, 홍길표, 채희영. 2011. 한국조류학 회 2011년추계학술발표대회: 한국미기록쇠덤불개개비(신칭) Iduna caligata의첫기록에관한보고. 한국조류학회, 신안. Pp.

26-27.

남현영, 김희종, 권영수. 2014. 국립공원자원봉사자양성을위한 철새이동조사의기초. 국립공원연구원철새연구센터, 신안. 박종길. 2014. 야생조류필드가이드. 자연과생태, 서울.

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14. 야외원색도감한국의새. LG상록재 단, 서울.

한국조류학회. 2009. 한국조류목록. 한국조류학회, 서울. 환경부. 2014. 2014 철새양자회의국가보고서. 환경부.

Balmer D, L Coiffait, J Clark, R Robinson. 2008. Bird Ringing: A Concise Guide.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Thetfold.

Chae HY, CY Choi (eds.). 2007. Recent trend of researches and conservation efforts on migratory birds. Proceeding of the International Symposium on Migratory Birds. Publication of the National Park Migratory Birds Center, Seoul, Korea. Pp. 1- 155.

Choi CY, HY Nam, IJ Won, GC Bing, SY Cho, GP Hong, HY Chae. 2011. Migration and habitat use of breeding Blue Rock Thrushes on Hongdo island, Korea. Kor. J. Ornithol. 18: 17-33.

Clark JA, K Thorup, DA Stroud. 2009. Quantifying the movement patterns of birds from ring recoveries.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Ringing & Migration. 24: 180-188.

De Beer SJ, GM Lockwood, JHFA Raijmakers, JMH Raijmakers, WA Scott, HD Oschadleus, LG Underhill (eds). 2001.

SAFRING Bird Ringing Manual. ADU Guide 5. Cape Town:

Avian Demography Unit, University of Cape Town.

Dickinson EC (ed.). 2003. The Howard & Moore Complete Checklist of Birds of the World, 3rd ed. Christopher Helm, London.

Fennell CM, BF King. 1964. New occurrences and recent distributional records of Korean birds. Condor. 66: 239-246.

Fregin, SM. M Hasse, U Olsson, P Alström. 2009. Multi-locus phylogeny of the family Acrocephalidae (Aves: Passeriforms)- the traditional taxonomy overthrown. Molecular Phylogenetics

& Evolution. 52: 866-878.

Lowe KW. 1989. The Australian Bird Bander’s Manual, First Edition. Australian National Parks and Wildlife Service.

Redfern CPF, JA Clark. 2001. Ringer’s manual. British Trust for Ornithology. Thetfold.

Seo SG, SY Park, C Park, SY Cho, SY Lee, GC Bing, YM Kim, JH Park, YS Kwon. 2015. Records of the Marsh Grassbird Locustella pryeri sinensis in Korea. Kor. J. Ornithol. 22: 59-62.

(2015년 11월 20일접수; 2015년 12월 23일채택)

(5)

Appendix. Continued.

Scientific Name English Name Korean Name 2010 2011 2012 2013 2014

ORDER GALLIFORMES   닭목          

Family Phasianidae   꿩과          

Coturnix japonica Japanese Quail 메추라기

ORDER ANSERIFORMES   기러기목          

Family Anatidae   오리과          

Anas poecilorhyncha Eastern Spot-billed Duck 흰뺨검둥오리

Anas querquedula Garganey 발구지

Anas crecca Common Teal 쇠오리

Aythya ferina Common Pochard 흰죽지

ORDER GAVIIFORMES   아비목          

Family gaviidae   아비과          

Gavia arctica Arctic Diver 큰회색머리아비

Gavia pacifica Pacific Diver 회색머리아비

ORDER PODICIPEDIFORMES   논병아리목          

Family Podicipedidae   논병아리과          

Tachybaptus ruficollis Little Grebe 논병아리

ORDER CICONIIFORMES   황새목          

Family Ardeidae   백로과          

Ixobrychus sinensis Yellow Bittern 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eurhythmus Schrenck's Bittern 큰덤불해오라기

Ixobrychus cinnamomeus Cinnamon Bittern 열대붉은해오라기

Dupetor flavicollis Black Bittern 검은해오라기

Gorsachius goisagi Japanese Night Heron 붉은해오라기

Nycticorax nycticorax Black-crowned Night Heron 해오라기

Butorides striata Striated Heron 검은댕기해오라기

Ardeola bacchus Chinese Pond Heron 흰날개해오라기

Bubulcus ibis Cattle Egret 황로

Ardea purpurea Purple Heron 붉은왜가리

Ardea alba Great Egret 중대백로

Egretta intermedia Intermediate Egret 중백로

Egretta garzetta Little Egret 쇠백로

ORDER FALCONIFORMES   매목          

Family Falconidae   매과          

Falco peregrinus Peregrine Falcon 매

Family Accipitridae   수리과          

Accipiter soloensis Chinese Goshawk 붉은배새매

Accipiter gularis Japanese Sparrowhawk 조롱이

Accipiter nisus Eurasian Sparrowhawk 새매

Accipiter gentilis Northern Goshawk 참매

Buteo buteo Common Buzzard 말똥가리

ORDER GRUIFORMES   두루미목          

Family Rallidae   뜸부기과          

Coturnicops exquisitus Swinhoe's Rail 알락뜸부기

Rallus aquaticus Water Rail 흰눈썹뜸부기

Amaurornis phoenicurus White-breasted Waterhen 흰배뜸부기

Porzana pusilla Baillon's Crake 쇠뜸부기

Porzana fusca Ruddy-breasted Crake 쇠뜸부기사촌

Gallinula chloropus Moorhen 쇠물닭

ORDER CHARADRIIFORMES   도요목          

Family Charadriidae   물떼새과          

Charadrius dubius Little Ringed Plover 꼬마물떼새

Family Rostratulidae   호사도요과          

Rostratula benghalensis Greater Painted Snipe 호사도요

Family Scolopacidae   도요과          

Scolopax rusticola Eurasian Woodcock 멧도요

Appendix. List of the banded species (2010~2014)

(6)

Lymnocryptes minimus Jack Snipe 꼬마도요

Gallinago solitaria Solitary Snipe 청도요

Gallinago stenura Pintail Snipe 바늘꼬리도요

Gallinago megala Swinhoe's Snipe 꺅도요사촌

Gallinago gallinago Common Snipe 꺅도요

Tringa erythropus Spotted Redshank 학도요

Tringa totanus Common Redshank 붉은발도요

Tringa stagnatilis Marsh Sandpiper 쇠청다리도요

Tringa nebularia Common Greenshank 청다리도요

Tringa ochropus Green Sandpiper 삑삑도요

Tringa glareola Wood Sandpiper 알락도요

Actitis hypoleucos Common Sandpiper 깝작도요

Calidris ruficollis Red-necked Stint 좀도요

Calidris subminuta Long-toed Stint 종달도요

Calidris acuminata Sharp-tailed Sandpiper 메추라기도요

Limicola falcinellus Broad-billed Sandpiper 송곳부리도요

Family Laridae   갈매기과          

Larus vegae Vega Gull 재갈매기

Sterna hirundo Common Tern 제비갈매기

Family Alcidae   바다오리과          

Synthliboramphus antiquus Ancient Murrelet 바다쇠오리

ORDER COLUMBIFORMES   비둘기목          

Family Columbidae   비둘기과          

Streptopelia orientalis Oriental Turtle Dove 멧비둘기

ORDER CUCULIFORMES   두견이목          

Family Cuculidae   두견이과          

Clamator coromandus Chestnut-winged Cuckoo 밤색날개뻐꾸기

Cuculus canorus Common Cuckoo 뻐꾸기

Cuculus saturatus Oriental Cuckoo 벙어리뻐꾸기

Cuculus poliocephalus Lesser Cuckoo 두견이

ORDER STRIGIFORMES   올빼미목          

Family Strigidae   올빼미과          

Otus bakkamoena Collared Scops Owl 큰소쩍새

Otus sunia Oriental Scops Owl 소쩍새

Ninox scutulata Brown Hawk-Owl 솔부엉이

ORDER CAPRIMULGIFORMES   쏙독새목          

Family Caprimulgidae   쏙독새과          

Caprimulgus indicus Grey Nightjar 쏙독새

ORDER CORACIIFORMES   파랑새목          

Family coraciidae   파랑새과          

Eurystomus orientalis Dollarbird 파랑새

Family Alcedinidae   물총새과          

Halcyon pileata Black-capped Kingfisher 청호반새

Alcedo atthis Common Kingfisher 물총새

Upupa epops Common Hoopoe 후투티

ORDER PICIFORMES   딱다구리목          

Family Picidae   딱다구리과          

Jynx torquilla Northern Wryneck 개미잡이

Dendrocopos major Great Spotted Woodpecker 오색딱다구리

ORDER PASSERIFORMES   참새목          

Family Pittidae   팔색조과          

Pitta nympha Fairy Pitta 팔색조

Family Laniidae   때까치과          

Lanius tigrinus Tiger Shrike 칡때까치

Lanius bucephalus Bull-headed Shrike 때까치

Appendix. Continued.

Scientific Name English Name Korean Name 2010 2011 2012 2013 2014

(7)

Lanius cristatus Brown Shrike 노랑때까치

Lanius schach Long-tailed Shrike 긴꼬리때까치

Family Oriolidae   꾀꼬리과          

Oriolus chinensis Black-naped Oriole 꾀꼬리

Family Monarchidae   긴꼬리딱새과          

Terpsiphone atrocaudata Black Paradise Flycatcher 긴꼬리딱새

Family Bombycillidae   여새과          

Bombycilla japonica Japanese Waxwing 홍여새

Family Paridae   박새과          

Parus major Great Tit 박새

Parus venustulus Yellow-bellied Tit 노랑배진박새

Parus ater Coal Tit 진박새

Parus varius Varied Tit 곤줄박이

Family Remizidae   스윈호오목눈이과          

Remiz consobrinus Chinese Penduline Tit 스윈호오목눈이

Family Hirundinidae   제비과          

Riparia riparia Sand Martin 갈색제비

Hirundo rustica gutturalis Barn Swallow 제비

Cecropis daurica Red-rumped Swallow 귀제비

Delichon dasypus Asian House Martin 흰털발제비

Family Aegithalidae   오목눈이과          

Aegithalos caudatus Long-tailed Tit 오목눈이

Family Alaudidae   종다리과          

Alauda arvensis Northern Skylark 종다리

Family Cisticolidae   개개비사촌과          

Cisticola juncidis Zitting Cisticola 개개비사촌

Family Pycnonotidae   직박구리과          

Pycnonotus sinensis Light-vented Bulbul 검은이마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Brown-eared Bulbul 직박구리

Family Sylviidae   휘파람새과          

Locustella pryeri Marsh Grassbird 큰개개비

Urosphena squameiceps Asian Stubtail 숲새

Cettia diphone Japanese Bush Warbler 휘파람새

Locustella lanceolata Lanceolated Warbler 쥐발귀개개비

Locustella certhiola Pallas’s Grasshopper Warbler 북방개개비

Locustella ochotensis Middendorff's Grasshopper Warbler 알락꼬리쥐발귀

Locustella pleskei Styan's Grasshopper Warbler 섬개개비

Locustella fasciolata Gray's Grasshopper Warbler 붉은허리개개비

Acrocephalus aedon Thick-billed Warbler 큰부리개개비

Acrocephalus orientalis Oriental Reed Warbler 개개비

Acrocephalus bistrigiceps Black-browed Reed Warbler 쇠개개비

Acrocephalus tangorum Manchurian Reed Warbler 우수리개개비

Iduna caligata Booted Warbler 쇠덤불개개비

Phylloscopus trochilus Willow Warbler 연노랑솔새

Phylloscopus collybita Common Chiffchaff 검은다리솔새

Phylloscopus fuscatus Dusky Warbler 솔새사촌

Phylloscopus schwarzi Radde's Warbler 긴다리솔새사촌

Phylloscopus proregulus Pallas's Leaf Warbler 노랑허리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Yellow-browed Warbler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humei Hume's Leaf Warbler 연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borealis Arctic Warbler 솔새

Phylloscopus tenellipes Pale-legged Leaf Warbler 되솔새

Phylloscopus borealoides Sakhalin Leaf Warbler 사할린되솔새

Phylloscopus coronatus Eastern Crowned Warbler 산솔새

Sylvia curruca Lesser Whitethroat 쇠흰턱딱새

Appendix. Continued.

Scientific Name English Name Korean Name 2010 2011 2012 2013 2014

(8)

Family Zosteropidae   동박새과          

Zosterops erythropleurus Chestnut-flanked White-eye 한국동박새

Zosterops japonicus Japanese White-eye 동박새

Family Reguliidae   상모솔새과          

Regulus regulus Goldcrest 상모솔새

Troglodytes troglodytes Winter Wren 굴뚝새

Family Sturnidae   찌르레기과          

Sturnus philippensis Chestnut-cheeked Starling 쇠찌르레기

Family Turdidae   지빠귀과          

Zoothera sibirica Siberian Thrush 흰눈썹지빠귀

Zoothera aurea White's Thrush 호랑지빠귀

Turdus hortulorum Grey-backed Thrush 되지빠귀

Turdus cardis Japanese Thrush 검은지빠귀

Turdus merula Eurasian Blackbird 대륙검은지빠귀

Turdus obscurus Eye-browed Thrush 흰눈썹붉은배지빠귀

Turdus pallidus Pale Thrush 흰배지빠귀

Turdus chrysolaus Brown-headed Thrush 붉은배지빠귀

Turdus ruficollis Red-throated Thrush 붉은목지빠귀

Turdus naumanni Naumann's Thrush 노랑지빠귀

Turdus eunomus Dusky Thrush 개똥지빠귀

Family Muscicapidae   솔딱새과          

Luscinia svecica Bluethroat 흰눈썹울새

Luscinia calliope Siberian Rubythroat 진홍가슴

Luscinia cyane Siberian Blue Robin 쇠유리새

Luscinia sibilans Rufous-tailed Robin 울새

Tarsiger cyanurus Orange-flanked Bush Robin 유리딱새

Phoenicurus auroreus Daurian Redstart 딱새

Rhyacornis fuliginosa Plumbeous Water Redstart 부채꼬리바위딱새

Saxicola maura Siberian Stonechat 검은딱새

Monticola solitarius Blue Rock Thrush 바다직박구리

Muscicapa griseisticta Grey-streaked Flycatcher 제비딱새

Muscicapa sibirica Dark-sided Flycatcher 솔딱새

Muscicapa dauurica Asian Brown Flycatcher 쇠솔딱새

Ficedula zanthopygia Yellow-rumped Flycatcher 흰눈썹황금새

Ficedula narcissina Narcissus Flycatcher 황금새

Ficedula mugimaki Mugimaki Flycatcher 노랑딱새

Ficedula albicilla Taiga Flycatcher 흰꼬리딱새

Ficedula parva Red-breasted Flycatcher 붉은가슴흰꼬리딱새

Cyanoptila cyanomelana Blue-and-White Flycatcher 큰유리새

Family Passeridae   참새과          

Passer rutilans Russet Sparrow 섬참새

Passer montanus Eurasian Tree Sparrow 참새

Family Estrildidae   납부리새과          

Lonchura punctulata Scaly-breasted Munia 얼룩무늬납부리새

Family Prunellidae   바위종다리과          

Prunella montanella Siberian Accentor 멧종다리

Family Motacillidae   할미새과          

Dendronanthus indicus Forest Wagtail 물레새

Motacilla flava Yellow Wagtail 긴발톱할미새

Motacilla cinerea Grey Wagtail 노랑할미새

Motacilla alba White Wagtail 알락할미새

Anthus richardi Richard's Pipit 큰밭종다리

Anthus trivialis Eurasian Tree Pipit 나무밭종다리

Anthus hodgsoni Olive-backed Pipit 힝둥새

Anthus gustavi Pechora Pipit 흰등밭종다리

Appendix. Continued.

Scientific Name English Name Korean Name 2010 2011 2012 2013 2014

(9)

Anthus cervinus Red-throated Pipit 붉은가슴밭종다리

Anthus rubescens Siberian Buff-bellied Pipit 밭종다리

Family Fringillidae   되새과        

Fringilla montifringilla Brambling 되새

Carduelis sinica Oriental Greenfinch 방울새

Carduelis spinus Eurasian Siskin 검은머리방울새

Carduelis flammea Common Redpoll 홍방울새

Uragus sibiricus Long-tailed Rosefinch 긴꼬리홍양진이

Carpodacus erythrinus Common Rosefinch 붉은양진이

Carpodacus roseus Pallas's Rosefinch 양진이

Pyrrhula pyrrhula Eurasian Bullfinch 멋쟁이

Coccothraustes coccothraustes Hawfinch 콩새

Eophona migratoria Yellow-billed Grosbeak 밀화부리

Eophona personata Japanese Grosbeak 큰부리밀화부리

Family Emberizidae   멧새과          

Emberiza leucocephalos Pine Bunting 흰머리멧새

Emberiza cioides Meadow Bunting 멧새

Emberiza tristrami Tristram's Bunting 흰배멧새

Emberiza fucata Chestnut-eared Bunting 붉은뺨멧새

Emberiza pusilla Little Bunting 쇠붉은뺨멧새

Emberiza chrysophrys Yellow-browed Bunting 노랑눈썹멧새

Emberiza rustica Rustic Bunting 쑥새

Emberiza elegans Yellow-throated Bunting 노랑턱멧새

Emberiza aureola Yellow-breasted Bunting 검은머리촉새

Emberiza rutila Chestnut Bunting 꼬까참새

Emberiza melanocephala Black-headed Bunting 검은머리멧새

Emberiza sulphurata Japanese Yellow Bunting 무당새

Emberiza spodocephala Black-faced Bunting 촉새

Emberiza variabilis Grey Bunting 검은멧새

Emberiza pallasi Pallas's Reed Bunting 북방검은머리쑥새

Emberiza yessoensis Ochre-rumped Bunting 쇠검은머리쑥새

Emberiza schoeniclus Reed Bunting 검은머리쑥새

Calcarius lapponicus Lapland Longspur 긴발톱멧새

Appendix. Continued.

Scientific Name English Name Korean Name 2010 2011 2012 2013 2014

Referensi

Dokumen terkait

About the mid-point the trail crosses a series of small forest streams with the rocks covered with Homalomena paucinervia and a few scattered plants of Piptospatha grabowskii and

Species Korean name/scientific name Natural monument Endangered specie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II 수리부엉이 Bubo bubo 324호 II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242호 II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