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Comparison of Birds Distribution between National Park and Province Park -Sobaeksan National Park and Taebaeksan Province Park-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Comparison of Birds Distribution between National Park and Province Park -Sobaeksan National Park and Taebaeksan Province Park-"

Copied!
8
0
0

Teks penuh

(1)

국립공원과 도립공원 간 조류분포현황 비교 -소백산과 태백산 일대를 중심으로-

권 영 수

*

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Comparison of Birds Distribution between National Park and Province Park -Sobaeksan National Park and Taebaeksan Province Park-

Young-Soo Kwon*

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590-811, Korea

요 약 :본 연구는 소백산국립공원과 태백산도립공원 간의 조류 분포상황을 비교·분석하여 조류서식지의 보호관리 를 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추가적인 국립공원지정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소백산 일대에서 관 찰된 종은 총 75종이었고 태백산 일대에서는 71종이 관찰되었으며 두 지역간 조류상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지 않았다. 소백산 일대에서 확인된 번식가능종은 67종, 가능성이 없는 종은 8종이었으며 태백산일대에서는 번식가 능종이 63종, 가능성이 없는 종은 8종이었다. 두 지역간 번식종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소백산 일 대에서 확인된 법정보호종은 9종이었으며 천연기념물은 6종이었다. 태백산일대에서는 법정보호종이 7종, 천연기념물 은 5종이었다. 두 지역간 법정보호종 빈도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도립공원은 국립공원 추가지정의 첫 번째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국립공원과 함께 지속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태백산도립공원은 그 대 상지로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Abstract :This study was conducted to provide a cited literature of bird conservation through avian distribution analysis between Sobaeksan national park and Taebaeksan province park. In Sobaeksan and Taebaeksan, 75 species and 71 species were observed, respectively. Number of breeding birds were 67 species and 63species in Sobaeksan and Taebaeksan, respectively. Number of legally protected birds were 9 species and 6species in Sobaeksan and Taebaeksan, respectively. Province parks can be addition designated as the national park because their ecosystems were protected.

Therefore, Taebaeksan province park is an important suitable place of national park.

Key words :Sobaeksan national park, Taebaeksan province park, bird species, breeding birds, legally protected bird

서 론

산업혁명이후에 사회가 급속히 발전함과 동시에 환경파괴가

나타나게되었다. 1972년스톡홀롬에서 ‘하나뿐인지구(only

one earth)’라는주제로유엔인간환경회의(The UN Conference

On Human Environment)가 열렸는데, 이것이 최초의 공식적

인 세계환경보전운동이다. 이후 1992년 브라질의 리우데자 네이루에서 ‘환경적으로 건전하고 지속 가능한 개발(ESSD)’

라는 주제로 열린 유엔환경개발회의(UNCED: The United

Nation Conference on Environment and Development)가 개 최되면서 환경문제에 대해 더욱 관심을 갖는 계기가 되었 다. 이어 환경 및 생태계 보전에 대한 논의와 법령이 지속 적으로 만들어졌다. 1872년 미국에서 시작된 국립공원제도 는 우리나라에 1967년에최초로 도입되었으며 지리산을 시 작으로 산악형 국립공원 15개소, 해안형 국립공원 4개소, 도시형국립공원 1개소 등 총 20개의 국립공원이 지정되어 있다.

국립공원은 생태계의 보전상태가 양호한 지역을 선정하여 관리하는 지역으로 우리나라 생태계현황을 대표하는 지역 이다. 특히각종희귀및멸종위기 동·식물이인간의간섭 및 개발 행위로부터 마지막 피난처로 은신하고 있는 곳이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2)

라는 중요한 의미를 갖고 있다(국립공원관리공단, 2001). 또 한 “상당한 면적으로서 하나 또는 몇 개의 생태계가 인간 의 개발이나 점유에 의한 본질적인 변화를 입지 않고 동식 물의종류와 지형학상의 위치나풍습이 학술, 교육, 휴양상 의 관심 대상이 되거나 자연적으로 뛰어난 경관미를 지닌 지역으로 국가의 최고기관이 전 지역에서의 개발 점유를 신속하게 배제할 수 있고, 지정 요인인 생태학상, 지형학상, 미학상의 현상을 존중하도록 효과적인 강제를 할 수 있는 곳”으로 정의될 수 있다(세계자연보존연맹, 1972). 그러므로 국립공원의 주된 취지는 자연환경의보존과 적절한 통제하 의 인간 이용으로 규정할 수 있다. 우리나라의 국립공원 지정목적은 ‘우리나라를 대표하는 자연생태계와 자연풍경지 를 보호하고, 지속 가능한 이용을 도모하여 국민의 보건 및 여가와 정서생활의 향상에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자연 공원법 1조, 1995). 국립공원은 자연생태계의 보고이자 생 태계의 마지막 안식처로서 반드시 보호받아야 한다. 반면에 도립공원은 동일한 법적 효력을가진 공원임에도자연보존 보다는 민간개발사업을 통한국민이용증대라는 정책방향을 가진다(환경부, 2003). 결국, 자연공원이 도시공원 성격으로 변해 자원훼손이 증가하여 자연공원으로서의 가치를 상실할 우려가 있다(배, 2007). 연구결과에 의하면, 국립공원과 도 립공원은 야생동물, 식물 및 사회적 자원이 1% 유의수준에

서 유의한차이가나타났다(배, 2007). 국립공원과도립공원

은 자연공원법상 지정범위, 지정권자, 지정절차(자연공원법 제 2, 4조)만 다르고 자연생태계와 자연, 문화경관 등을 보 전하고 지속가능한 이용을 도모하는 목적(자연공원법 제 1 조)은 동일하게 운영되고 있다(자연공원법시행령 제 3조).

본 연구는 국립공원과 비 국립공원 간의 상대적인 생태계 비교평가를 통해 국립공원 내 조류서식지 보호관리를위한 방안을 마련하고 추가적인 국립공원지정을 위한 기초자료 를 제시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앞으로 추가 국립공원지

정 가능성이 있는 도립공원의 조류서식현황을 인근 국립공 원과 비교·분석함으로써 추가 지정의 타당성을 살펴보았다.

연구지역 및 방법 1. 연구 지역

국립공원으로 지정된 소백산(1,439 m) 일대와 도립공원인 태백산(1,566 m) 일대를 대상으로 서식하는 조류의 분포상 황을 비교·분석하였다. 소백산국립공원과 태백산도립공원은 면적이 각각 322.383 km2과 303.58 km2이며 서로 인접해 있 다. 두 지역은 면적과 해발고도의 차이가 통계적으로 유의 하지 않고 위치가 인접하고 있어 상대적인 비교가 가능하여 조사대상지역으로 선정하였다(Fisher’s exact test, x2=2.615, df=1, p=0.106).

2. 연구 방법

1) 문헌자료

소백산국립공원은현지조사를실시하였으며태백산도립공 원은 문헌자료(환경부, 1999)를 참고하여 분석하였다.

2) 현지조사

현지조사는 야외망원경(Carl Zeiss ×30~60)과 쌍안경(Leica 10×25)을 사용하였다. 조사방식은 조류의 서식지역을 따라 도보로 이동하면서관찰된 조류를 동정하고 기록하는 선조 사법(line census method)과 가장 많은 조류가 관찰될 수 있 는 지역을 선정하여 일정한 장소에 머물면서 조사하는 정점 조사법(point census method) 병행하여 수행되었다. 조사범 위는 조사지역을 따라 시야 또는 쌍안경으로 보이는 전 지 역을 대상으로 하였고, 필요한 경우 조류의 소리(song call) 역시, 종과 개체수 산정에 포함하였다. 개체수가 중복되지 않도록모든자료는 최대개체수를기준으로분석하였다. 생

Figure 1. Study sites.

(3)

태지도표기종인 멸종위기 I급(13종), 멸종위기 II급(48종)은 환경부 조사지침(2006)을 따랐다.

3) 번식조류조사

번식가능성 조류는 제2차 환경부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 의 조류조사 지침서를 기준으로 작성하였다(김, 1997). 번식 가능성 수준에 따라 A, B, C, D, E, F로 구분하였으며 A, 는 번식하는 것을 관찰한 경우, B는 번식하는 것을 관찰하 지는 못했지만 번식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경우, C는 번식 기에그 종을 관찰하였으며 번식에대한 확실한 근거는없 지만번식가능성이있는 경우, D는 번식기에 그 종을관찰 하거나 소리를 들었으나, 그 지역에서 번식할 가능성이 희 박한 경우, E는 번식기에 그 종을 관찰하였으나 번식에 대 하여 전혀 알 수 없는 경우, F는 비번식기에만 관찰한 경 우이다.

조사 결과 1. 조류상 비교

1) 소백산 지역

소백산지역에서 관찰된 조류는 최대개체수 기준으로 총

11목 33과 75종이였다(Table 1).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총 11개

목중 참새목(Passeriformes)이가장많이 관찰되었고그 외에

황새목(Ciconiformes), 기러기목(Anseriformes), 매목(Falconi- formes), 닭목(Galliformes), 도요목(Charadriformes), 비둘기목 (Columbifrmes), 두견목(Cuculiformes), 올빼미목(Strigiformes), 파랑새목(Coraciformes), 및 딱따구리목(Piciformes) 등이 관찰 되었다. 도래시기별 종수는 텃새 38종(50.7%), 여름철새 27 종(36%), 겨울철새 4종(5.3%), 나그네새 5종(6.33%) 그리고 미조(길잃은새) 1종(1.33%)이었다.

우점종은 참새(12%)였으며 다음으로 물까치(10%), 붉은머 리오목눈이(10%), 멧비둘기(10%), 청둥오리(6%), 방울새(6%) 순으로 대부분 산림성조류가 많았다(Figure 2).

2) 태백산 지역

태백산지역에서관찰된종은 13목 33과 71종이었다(Table 2).

세부적으로살펴보면, 총 13개목 중참새목(Passeriformes)이 가장 많이 관찰되었고 그 외에 논병아리목(Podicipediformes), 황새목(Ciconiformes), 기러기목(Anseriformes), 매목(Falconi

Figure 2. Dominant species ratio of birds observed at Sobaeksan national park.

Table 1. List of birds observed at Sobaeksan national park.

학명 국 명 최대

개체수우점도 CICONIFORMES 황새목

Ardeidae백로과

Ardea cinerea 왜가리 9 1.34

Egretta alba modesta 중대백로 3 0.45

Egretta intermedia 중백로 1 0.15

Egretta garzetta 쇠백로 1 0.15

Nycticorax nycticorax 해오라기 1 0.15

ANSERIFORMES 기러기목 Anatidae 오리과

Aix galericulata 원앙 5 0.74

Anas crecca 쇠오리 25 3.71

Anas platyrhynchos 청둥오리 42 6.24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20 2.97

FALCONIFORMES 매목 Accipitridae 수리과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2 0.30

Accipiter gularis 조롱이 2 0.30

Accipiter nisus 새매 1 0.15

Falconidae 매과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2 0.30

GALLIFORMES 닭목 Tetraonidae 멧닭과

Bonasa bonasia 들꿩 1 0.15

Phasianidae 꿩과

Phasianus colchicus 꿩 7 1.04

CHARADRIFORMES 도요목 Caradriidae 물떼새과

Charadrius placidus 흰목물떼새 4 0.59

Charadrius dubius 꼬마물떼새 3 0.45

COLUMBIFORMES 비둘기목 Columbidae 비둘기과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64 9.51

CUCULIFORMES 두견목 Cuculidae 두견과

Cuculus fugax 매사촌 1 0.15

Cuculus micropterus 검은등뻐꾸기 2 0.30

Cuculus canorus 뻐꾸기 5 0.74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1 0.15

STRIGIFORMES 올빼미목 Strigidae 올빼미과

Otus scops 소쩍새 1 0.15

Bubo bubo 수리부엉이 1 0.15

CORACIIFORMES 파랑새목 Alcedinidae 물총새과

Alcedo atthis 물총새 1 0.15

Halcyon pileata 청호반새 2 0.30

Coraciidae 파랑새과

Eurystomus orientalis 파랑새 5 0.74

PICIFORMES 딱다구리목 Picidae 딱다구리과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3 0.45

Dendrocopos leucotos 큰오색딱다구리 1 0.15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1 0.15

Picus canus 청딱다구리 3 0.45

Dryocopus martius 까막딱다구리 1 0.15

(4)

Table 1. Continued.

학명 국명 최대

개체수우점도 Sturnidae 찌르레기과

Sturnus cineraceus 찌르레기 7 1.04

Oriolidae 꾀꼬리과

Oriolus chinensis 꾀꼬리 1 0.15

Corvidae 까마귀과

Garrulus glandarius 어치 6 0.89

Cyanopica cyana 물까치 65 9.66

Pica pica 까치 4 0.59

Corvus corone 까마귀 8 1.19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4 0.59

No. of species 75 species

Table 1. Continued.

학명 국명 최대

개체수우점도 PASSERIFORMES 참새목

Hirundinidae 제비과

Hirundo rustica 제비 26 3.86

Motacillidae 할미새과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3 0.45

Motacilla alba 알락할미새 2 0.30

Motacilla grandis 검은등할미새 3 0.45

Anthus hodgsoni 힝둥새 1 0.15

Pycnonotidae 직박구리과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15 2.23

Laniidae 때까치과

Lanius bucephalus 때까치 7 1.04

Cinclidae 물까마귀과

Cinclus pallasii 물까마귀 2 0.30

Troglodytidae 굴뚝새과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1 0.15

Prunellidae 바위종다리과

Prunella montanella 멧종다리 1 0.15

Turnicidae 지빠귀과

Erithacus akahige 붉은가슴울새 1 0.15

Luscinia cyane 쇠유리새 2 0.30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1 0.15

Phoenicurus auroreus 딱새 10 1.49

Saxicola torquata 검은딱새 3 0.45

Turdus dauma 호랑지빠귀 1 0.15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1 0.15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7 1.04

Turdus naumanni eunomus 개똥지빠귀 1 0.15

Panuridae 붉은머리오목눈이과

Paradoxornis webbianus 붉은머리 오목눈이

65 9.66 Sylviidae 휘파람새과

Cettia diphone 휘파람새 10 1.49

Urosphena squameiceps 숲새 2 0.30

Phylloscopus borealis 쇠솔새 1 0.15

Muscicapidae 딱새과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2 0.30

Aegithalidae 오목눈이과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7 1.04

Paridae 박새과

Parus palustris 쇠박새 9 1.34

Parus ater 진박새 5 0.74

Parus major 박새 9 1.34

Parus varius 곤줄박이 9 1.34

Sittidae 동고비과

Sitta europaea 동고비 4 0.59

Emberizidae 멧새과

Emberiza cioides 멧새 7 1.04

Emberiza rustica 쑥새 6 0.89

Emberiza chrysophrys 노랑눈썹멧새 3 0.45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8 1.19

Fringillidae 되새과

Carduelis sinica 방울새 40 5.94

Plcoceidae 참새과

Passer montanus 참새 82 12.18

Table 2. List of birds observed at Taebaeksan province park.

국명 학명 비고

논병아리 Podiceps ruficollis R

검은댕기해오라기 Butorides striatus SV

중대백로 Egretta alba modesta SV

쇠백로 Egretta garzetta SV

왜가리 Ardea cinerea SV

원앙 Aix galericulata R

말똥가리 Buteo buteo WV

새홀리기 Falco subbuteo SV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R

꿩 Phasianus colchicus R

깝작도요 Tringa hypoleucos SV

멧비둘기 Streptopelia orientalis R

매사촌 Cuculus fugax SV

검은등뻐꾸기 Cuculus micropterus SV

뻐꾸기 Cuculus canorus SV

벙어리뻐꾸기 Cuculus saturatus SV

두견 Cuculus poliocephalus SV

수리부엉이 Bubo bubo R

소쩍새 Otus scops SV

쏙독새 Caprimulgus indicus SV

청호반새 Halcyon pileata SV

물총새 Alcedo atthis SV

파랑새 Eurystomus orientalis SV

후투티 Upupa epops SV

청딱다구리 Picus canus R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R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R 쇠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R

제비 Hirundo rustica SV

노랑할미새 Motacilla cinerea SV 알락할미새 Motacilla alba leucopsis SV 검은등할미새 Motacilla grandis R

밭종다리 Anthus spionletta P

직박구리 Hypsipetes amaurotis R

때까치 Lanius bucephalus R

물까마귀 Cinclus pallasii R

굴뚝새 Troglodytes troglodytes R

쇠유리새 Erithacus cyane SV

울새 Erithacus sibilans P

(5)

formes), 닭목(Galliformes), 도요목(Charadriformes), 비둘기목 (Columbifrmes), 두견이목(Cuculiformes), 올빼미목(Strigiformes), 쏙독새목(Caprimulgiformes), 파랑새목(Coraciformes), 및 딱따 구리목(Piciformes) 등이 관찰되었다. 도래시기별 종수는 텃새 30종(42.3%), 여름철새 32종(45.1%), 겨울철새 2종(2.8%) 및 나그네새 7종(9.9%)이었다.

3) 두 지역 간 조류상비교

소백산 일대에서는 총 11목 33과 75종이 관찰되었고 태백 산 일대에서는 13목 33과 71종이 각각 관찰되었다. 두 지역

간 조류상 차이는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isher’s

exact test, x2=0.259, df=2, p=0.878).

2. 번식종 비교 1) 소백산 지역

번식가능성이 있는 종은 총 67종이었으며 번식가능성이 희박하거나 없는 종은 총 8종으로 관찰된 대부분의 종들이

번식가능 종이었다. 이 중 번식하는 것이 확인된 조류는 원앙, 흰목물떼새, 수리부엉이, 파랑새, 제비, 쇠박새, 곤줄 박이, 찌르레기 및 까치 등 총 9종이었으며 번식하는 것을 관찰하지는 못했지만 번식가능성이 비교적 높은 종은 꿩, 멧비둘기 등 12종, 번식기에 그 종을 관찰하였으며 번식에 대한 확실한 근거는 없지만 번식가능성이 있는 종은 46종, 번식기에 그 종을 관찰하거나 소리를 들었으나, 그 지역에 서 번식할 가능성이 희박한 종은 6종, 번식기에 그 종을 관찰하거나 소리를 들었으나, 그 지역에서 번식할 가능성이 희박한종은 6종, 그리고비번식기에관찰한 경우는없었다 (Table 3).

2) 태백산 지역

번식가능성이 있는 종은 63종으로 번식가능성이 희박하거 나 없는 종은 총 8종이었다. 이중 “번식하는 것을 관찰한 경우”은 15종, “번식하는것을관찰하지는 못했지만번식가 능성이 높은 경우”에 해당하는 종은 21종, “번식기에 그 종을 관찰하거나 소리를 들었으나, 그 지역에서 번식할 가 능성이 희박한 경우”에 해당하는 종은 27종, “번식기에 그 종을 관찰하거나 소리를 들었으나, 그 지역에서 번식할 가 능성이 희박한 경우”에 해당하는 종은 3종, “번식기에 그 종을 관찰하였으나 번식에 대해 전혀 알 수 없는 경우”에 해당하는 종은없었으며, “비번식기에관찰한 경우”에 해당 하는종은 5종이었다(Table 4).

3) 두 지역 간 번식종 비교

소백산 일대에서 확인된 번식가능종은 67종, 가능성이없 는종은 8종이었으며 태백산일대에서는 번식가능종이 63종, 가능성이없는종은 8종이었다. 두 지역간 번식종 차이는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isher’s exact test, x2=0.013, df=1, p=0.908).

3. 법정보호종 현황 비교 1) 소백산 지역

법정보호종은 총 9종이 관찰 되었으며 이 중 멸종위기II급 은 조롱이 Accipiter gulari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수리부엉이 Bubo bubo 및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등 4종이었다(Table 5). 천연기념물은 수리부엉이 Bubo bubo,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소쩍새 Otus scops, 원앙 Aix galericulata, 황조롱 이 Falco tinnunculus 및 새매 Accipiter nisus가 관찰되었다.

이들 중 번식하는 것이 직접 관찰된 종은 흰목물떼새, 수 리부엉이 및 원앙 등 3종이었으며 그 외 종들도 번식기간 인 4월에서 7월에 주로 관찰되었기 때문에 소백산국립공원 을 번식장소로 이용하고 있는 것으로 판단된다.

2) 태백산 지역

법정보호종은 총 6종이 관찰 되었으며 이 중 멸종위기II 급은 말똥가리 Buteo buteo, 새홀리기 Falco subbuteo 및 수 Table 2. Continued.

국 명 학 명 비 고

유리딱새 Tarsiqer cyanurus P

딱새 Phoenicurus auroreus R

검은딱새 Saxicola torquata SV

호랑지빠귀 Turdus dauma SV

되지빠귀 Turdus hortulorum SV

흰배지빠귀 Turdus pallidus SV 붉은머리오목눈이 Paradoxornis webbiana R

숲새 Cettia squameiceps SV

휘파람새 Cettia diphone SV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inornatus P

쇠솔새 Phylloscopus borealis P

되솔새 Phylloscopus tenellipes P

산솔새 Phylloscopus occipitalis SV

흰눈썹황금새 Ficedula zanthopygia SV

큰유리새 Cyanoptila cyanomelana SV

오목눈이 Aegithalos caudatus R

쇠박새 Parus palustris R

진박새 Parus ater R

곤줄박이 Parus varius R

박새 Parus major R

동고비 Sitta europaea R

멧새 Emberiza cioides R

흰배멧새 Emberiza tristrami P

쑥새 Emberiza rustica WV

노랑턱멧새 Emberiza elegans R

참새 Passer montanus R

찌르레기 Sturnus cineraceus SV

꾀꼬리 Oriolus chinensis SV

어치 Garrulus glandarius R

까치 Pica pica R

까마귀 Corvus corone R

큰부리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R

No. of species 71 species

(6)

Table 3. List of breeding birds observed at Sobaeksan national park.

학명 국명 번식가능성

A B C D E F

Ardea cinerea 왜가리

Egretta alba 중대백로

Egretta intermedia 중백로

Egretta garzetta 쇠백로

Nycticorax nycticorax 해오라기

Aix galericulata 원앙

Anas crecca 쇠오리

Anas platyrhynchos 청둥오리

Anas poecilorhyncha 흰뺨검둥오리

Accipiter soloensis 붉은배새매

Accipiter gularis 조롱이

Accipiter nisus 새매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Bonasa bonasia 들꿩

Pgasuabudae oallas 꿩

Charadrius placidus 흰목물떼새

Charadrius dubius 꼬마물떼새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Cuculus fugax 매사촌

Cuculus micropterus 검은등뻐꾸기

Cuculus canorus 뻐꾸기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Otus scops 소쩍새

Bubo bubo 수리부엉이

Alcedo atthis 물총새

Halcyon pileata 청호반새

Eurystomus orientalis 파랑새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큰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Picus canus 청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까막딱다구리

Hirundo rustica 제비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Motacilla alba 알락할미새

Motacilla grandis 검은등할미새

Anthus hodgsoni 힝둥새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Lanius bucephalus 때까치

Cinclus pallasii 물까마귀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Prunella montanella 멧종다리

Erithacus akahige 붉은가슴울새

Luscinia cyane 쇠유리새

Tarsiger cyanurus 유리딱새

Phoenicurus auroreus 딱새

Saxicola torquata 검은딱새

Zoothera dauma aurea 호랑지빠귀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Turdus naumanni

eunomus 개똥지빠귀

Paradoxornis webbiana 붉은머리

오목눈이

Cettia diphone 휘파람새

Table 3. Continued.

학명 국명 번식가능성

A B C D E F

Urosphena squameiceps 숲새

Phylloscopus borealis 쇠솔새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Parus palustris 쇠박새

Parus ater 진박새

Parus major 박새

Parus varius 곤줄박이

Sitta europaea 동고비

Emberiza cioides 멧새

Emberiza rustica 쑥새

Emberiza chrysophrys 노랑눈썹멧새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Carduelis sinica 방울새

Passer montanus 참새

Sturnus cineraceus 찌르레기

Oriolus chinensis 꾀꼬리

Garrulus glandarius 어치

Cyanopica cyana 물까치

Pica pica 까치

Corvus corone 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소계 9 12 46 6 2 -

중간소계 67 8

합 계 75

Table 4. List of breeding birds observed at Taebaeksan province park.

학명 국명 번식가능성

A B C D E F

Podiceps ruficollis 논병아리

Butorides striatus 검은댕기 해오라기

Egretta alba modesta 중대백로

Egretta garzetta 쇠백로

Ardea cinerea 왜가리

Aix galericulata 원앙

Buteo buteo 말똥가리

Falco subbuteo 새홀리기

Falco tinnunculus 황조롱이

Phasianus colchicus 꿩

Tringa hypoleucos 깝작도요

Streptopelia orientalis 멧비둘기

Cuculus fugax 매사촌

Cuculus micropterus 검은등뻐꾸기

Cuculus canorus 뻐꾸기

Cuculus saturatus 벙어리뻐꾸기

Cuculus poliocephalus 두견

Bubo bubo 수리부엉이

Otus scops 소쩍새

Caprimulgus indicus 쏙독새

Halcyon pileata 청호반새

Alcedo atthis 물총새

Eurystomus orientalis 파랑새

(7)

리부엉이 Bubo bubo 등 3종이었다(Table 6). 천연기념물은 수리부엉이 Bubo bubo,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말똥가리 Buteo buteo 소쩍새 Otus scops 및 원앙 Aix galericulata이 관찰되었다.

3) 법정보호종현황비교

소백산 일대에서 확인된 법정보호종은 9종이었으며 천연 기념물은 6종이었다. 태백산일대에서는 법정보호종이 7종, 천연기념물은 5종이었다. 두 지역간 법정보호종 빈도는 유 의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Fisher’s exact test, x2=0.008, df=1, p=0.930).

고 찰

소백산국립공원과 태백산도립공원은 지정범위, 지정권자 및 지정절차만 다르고 자연생태계, 자연 및 문화경관 등을 보전하고지속가능한이용을도모한다는동일한지정목적(자 연공원법 제 1조)으로 관리되는 지역이다. 그러나 두 지역 간에중요한차이점이있다. 국립공원은 국가에서위탁·관 리하여 자연보존이 중심이지만 도립공원은 민간개발사업을 통해 국민이용증대가 중심이다. 이러한 차이로 인해 두 지 역은 생물다양성이 다를 수 있다.

본 연구에서 두 지역 일대에서 관찰된 조류를 대상으로 Table 4. Continued.

학명 국명 번식가능성

A B C D E F

Upupa epops 후투티

Picus canus 청딱다구리

Dendrocopos major 오색딱다구리

Dendrocopos leucotos 큰오색

딱다구리

Dendrocopos kizuki 쇠딱다구리

Hirundo rustica 제비

Motacilla cinerea 노랑할미새

Motacilla alba leucopsis 알락할미새

Motacilla grandis 검은등할미새

Anthus spionletta 밭종다리

Hypsipetes amaurotis 직박구리

Lanius bucephalus 때까치

Cinclus pallasii 물까마귀

Troglodytes troglodytes 굴뚝새

Erithacus cyane 쇠유리새

Erithacus sibilans 울새

Tarsiqer cyanurus 유리딱새

Phoenicurus auroreus 딱새

Saxicola torquata 검은딱새

Turdus dauma 호랑지빠귀

Turdus hortulorum 되지빠귀

Turdus pallidus 흰배지빠귀

Paradoxornis webbiana 붉은머리

오목눈이

Cettia squameiceps 숲새

Cettia diphone 휘파람새

Phylloscopus inornatus 노랑눈썹솔새

Phylloscopus borealis 쇠솔새

Phylloscopus tenellipes 되솔새

Phylloscopus occipitalis 산솔새

Ficedula zanthopygia 흰눈썹황금새

Cyanoptila cyanomelana 큰유리새

Aegithalos caudatus 오목눈이

Parus palustris 쇠박새

Parus ater 진박새

Parus varius 곤줄박이

Parus major 박새

Sitta europaea 동고비

Emberiza cioides 멧새

Emberiza tristrami 흰배멧새

Emberiza rustica 쑥새

Emberiza elegans 노랑턱멧새

Passer montanus 참새

Sturnus cineraceus 찌르레기

Oriolus chinensis 꾀꼬리

Garrulus glandarius 어치

Pica pica 까치

Corvus corone 까마귀

Corvus macrorhynchos 큰부리까마귀

No. of species 15 21 27 3 5

63 8

71

Table 5. List of endangered species in Sobaeksan national park.

Species (Korean name/scientific name) Natural monument

Endangered species 흰목물떼새 Charadrius placidus II 수리부엉이 Bubo bubo 324호 II 까막딱다구리 Dryocopus martius 242호 II 붉은배새매 Accipiter soloensis 323호

소쩍새 Otus scops 324호

원앙 Aix galericulata 327호

조롱이 Accipiter gularis II

새매 Accipiter nisus 323호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323호

No. of species

7 species 4 species No. of individuals

Table 6. List of endangered species in Taebaeksan province park.

Korean name/Scientific name Natural monument

Endangered species

말똥가리 Buteo buteo II

수리부엉이 Bubo bubo 324호 II

소쩍새 Otus scops 324호

원앙 Aix galericulata 327호

새홀리기 Falco subbuteo II

황조롱이 Falco tinnunculus 323호 No. of species

4 species 3 species No. of individuals

(8)

종수를 비교 분석한 결과, 소백산국립공원 일대가 75종으로 태백산 일대의 71종보다 많았다(Table 1, 2). 하지만 통계적 으로는 유의성은 없었다.

소백산국립공원 일대는 산림형 서식지 외에호수와 하천 이 있어 태백산보다 물새류를 포함한 다양한 조류가 관찰 되었다. 반면에, 태백산 일대는 산림형 서식지로 구성되어 있어 주로 산림성조류가 주로 서식하였다. 소백산 지역에서 번식 가능한 종은 67종, 태백산지역에서 번식 가능한 종은

63종으로 나타나 소백산지역이 더 많은 번식가능종이 서식

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Table 3, 4). 하지만, 통계적인 유 의성은 없었다. 두 지역 모두 산림지역으로 대부분 산림성 조류가 번식하였다. 소백산 지역에서는 특히, 멸종위기II급 인 수리부엉이와 흰목물떼새, 그리고 천연기념물 327호인 원앙이 번식하는 것이 관찰되었다. 그러므로 이 지역의 생 태계보호관리 차원에서는 동물들의 번식기인 4-6월에 탐방 객에게 안내를 해 주어 최대한 소음과 방해를 줄이도록 해 야 할것이다. 태백산지역은멸종위기종이나 천연기념물이 번식하는 것을 관찰하지는 못했지만 다양한 산림성조류가 번식하는 것이 확인되었다.

소백산 지역과 태백산 지역에서 관찰된 법정보호종은 각 각 9종과 6종으로 나타났다. 소백산 지역에서 관찰된 법정 보호종은 멸종위기II급인 조롱이, 흰목물떼새, 까막딱다구리 및 수리부엉이 등 4종, 천연기념물은 수리부엉이, 까막딱다 구리, 붉은배새매, 소쩍새, 원앙, 새매 및 황조롱이 등 7종 이었다. 태백산 지역에서 관찰된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II급 이 말똥가리, 수리부엉이, 새홀리기 등 3종이었으며 천연기 념물은 수리부엉이, 소쩍새, 원앙, 황조롱이 등 4종이었다.

법정보호종 역시 소백산지역이 태백산지역보다 더 많이 관 찰되었다. 법정보호종은앞으로지속적인 보호관리를해주 지 않으면 개체수가 급격히 줄어 멸종가능성이 높은 종이 다. 그러므로 국립공원과 같은 체계적인 보호관리지역을 늘 려 이들이 안정되게 서식할 수 있는 장소를 늘리도록 해야 한다.

본 결과에서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지만 전반적으로 소 백산국립공원이 태백산지역보다 관찰된 종수, 법정보호종, 번식가능종이 모두 많이 관찰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두 지역간의 생태적 환경의 차이는 크지 않지만 관리의 목적 이 다르기 때문이라고 판단된다. 사람들의 왕래가 더 많은 도립공원보다는 보호의 목적으로 관리하는 국립공원이 조류 의 서식처로서 더욱 선호적일 수 있다. 두 지역 간 조류의 생물다양성이 통계적으로 차이가 없기 때문에 태백산도립공 원 역시 보호관리의 목적이 국립공원과 같다면 더 조류에 게지금보다더선호적인서식처가될수있을것이다.

국립공원은 생태계가 우수한 지역을 지속적으로 관리하고

보호하기위해 지정하는 곳이라면 현재 국립공원 외에 다른 지역의 추가 지정을 위해 지속적인 연구가 필요하다. 도립 공원은 국립공원 추가지정의 첫 번째 대상이 될 수 있기 때문에 국립공원과 함께 지속적인 연구가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도립공원 외에 일반지역 역시 추가 국립공원 지정 을 위해 필요하다고 판단되는 지역을 대상으로 자연환경 및 생태조사가 실시되어야 한다. 태백산도립공원은 그 대상 지로서 매우 중요한 지역이 될 수 있다고 판단된다.

인용문헌

1.국립공원관리공단. 1998. 소백산국립공원 자연자원조사. pp.

127-142.

2.국립공원관리공단. 2007. 소백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 pp.

183-212.

3.국립공원관리공단. 소백산지역의 자연경관에 대한 지형적인 분석.

4.권영수, 남형규, 유정칠, 박영석. 2007. 서울 도시하천에서 월동 하는 수조류의 분포 특성. 한국환경생태학회지. 21(1): 55-66.

5.김창회. 1997. 제2차 자연환경 전국기초조사지침서-조류, 환경 부. pp. 123-146.

6.성현지. 1999. 국립공원에서의 생태관광 프로그램개발에 관한 연구. 경희대학교 일반대학원. 86p.

7.우한정, 백남극, 심재한. 1995. 소백산국립공원 일대의 조수류 상, 자연보존협회보고서. 33호: 121-131.

8.원병오. 1981. 한국동식물도감: 제25권 동물편(조류생태). 문교 부. 삼화서적. 서울. 1126p.

9.원병오. 1987. 한국조류목록. 동물편.

10.원병오. 1993. 한국의 조류. 교학사. 서울. 447p.

11.원병오. 1996. 한국조류목록. 경희대학교 한국조류연구소 연구 보고 5:39-58.

12.이경재. 조우. 조재창. 1993. 소백산국립공원 천동계곡의 식물 군집구조분석. 응용생태연구 6(2): 134-146.

13.이우신, 구태회, 박진영. 2000. 야외원색도감 한국의 새. LG상 록재단

14.이우신, 이준우, 박찬열. 1993. 소백산국립공원 내 조류군집의 보호 및 관리에 관한 연구. 응용생태연구 6(2): 180~192.

15.환경부. 1999. 제 2차 전국자연환경조사. 봉화·태백 지역의 조 류.

16. IUCN. 1985. United Nations List of National Parks & Protected Area, cited by Lucas, P.H.C.(1992), Protected Landscape, London, Champman & Hall: 4

17. Monroe, B. L. and C. B. Sibley. 1993. A world checklist of birds.

Yale Univ. Press. New haven and London. 393pp.

(2009년 10월 9일 접수; 2009년 10월 30일 채택)

Referensi

Dokumen terkait

Tujuan penelitian ini adalah untuk menganalisis pengaruh profitabilitas, solvabilitas, ukuran perusahaan dan jumlah rapat komite audit terhadap ketepatan waktu

Mean thickness of loose, dense and total dermis in the skin of Crocodylus porosus embryos incubated at 30C, from 14 days to 1 day post-hatching.. Up to 30 days, the total dermis 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