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3

Membagika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Copied!
146
0
0

Teks penuh

과업 개요

첨단 ICT 기술을 활용하여 국립공원 재난안전관리 업무를 강화하고 서비스의 연속성을 보장하기 위해 통합방재시스템 정보현황, 재난업무 활용성, 실태조사 등을 통해 국립공원 재난안전을 검토한다. 정보시스템의 기능분류 및 검토 업무에 대한 통합관리체계 및 중장기 전략을 수립하고 운영계획을 도출하는데 그 목적이 있습니다. 또한 국립공원 재난안전업무를 지원하기 위해 국립공원 재난안전, 공원관리, 국민 측면에서 주제별 재난안전업무를 분석하고 최신 ICT(정보통신기술)를 활용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재난안전업무를 수행하는데 있어 효율적이고 신속하게 업무에 적용, 활용될 수 있는 전략과제를 도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그림  1 과업의  목표
그림 1 과업의 목표

과업의 범위 및 내용

과업 수행 방법

최신 ICT 기술을 활용한 국립공원 재난안전관리업무 강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재난안전관리업무와 기존 9개 단위시스템을 분석하고, 재난업무에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여 산업현장의 새로운 과제 창출을 도모하였다. 국립공원 재난안전. 이를 도출하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인터뷰 및 설문 조사

인터뷰 및 설문 조사

기존 시스템의 기본 업무와 활용성에 대한 질문을 받았습니다. 현재 사용하고 있는 재난안전관리시스템 중 가장 효과적이고 사용하기 쉬운 시스템은 무엇입니까?

그림  3 국립공원  사무소에  설문지
그림 3 국립공원 사무소에 설문지

인터뷰 결과

또한, 각 시스템의 기능 및 데이터 측면에 대한 분석이 필요하다고 판단되었다. 방문객 보안관리체계를 개선하기 위해서는 영업소 및 업무시스템의 표준화 및 자동화가 필요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림  5 산불감시  인터뷰  내용
그림 5 산불감시 인터뷰 내용

설문 결과

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NTIS) 자료조사

기존 시스템 현황

국립공원 통합방재시스템 개요

국립공원 통합방재시스템의 구성 및 개요. 국립공원 통합방재시스템 서버 구성도.

그림  15 현행  재난안전관리  업무  시스템  구성
그림 15 현행 재난안전관리 업무 시스템 구성

통합방재시스템 현황분석

산책로 안전 관리 시스템의 기능은 크게 세 가지 용도로 구분됩니다. 눈, 낙석 데이터를 관리하는 재난안전 관리 시스템입니다.

그림  18 탐방로  안전관리  시스템  인프라  현황
그림 18 탐방로 안전관리 시스템 인프라 현황

통합방재시스템 기능의 통합을 위한 분류 방법

유지관리시스템, 산사태 관리시스템, 추락사고위험구역 관리시스템, 강우자동경보시스템, 선로CCTV시스템, 자동제어시스템은 본사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분류되었고, 산불감시용 CCTV는 본사에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분류되었다. 관리. 사무실에서.. 또한, 자동기상관측시스템과 스톤칩 측정시스템은 본사와 사무실이 공동으로 관리하는 시스템으로 분류되었습니다.

그림  27 인프라  운영  주체별  분류
그림 27 인프라 운영 주체별 분류

국내·외 환경 분석

재난안전관리의 정책적 환경

미래 및 다가올 재난에 대비한 재난안전 기술 고도화 재난안전플랫폼기술개발사업(과학기술정보통신부)

표  14  종합계획의  추진전략별  성과지표  현황
표 14 종합계획의 추진전략별 성과지표 현황

재난정보관리의 법·제도 분석

정보화 기술 분석

국내·외 기술동향 분석

정보통신산업진흥원 10대 유망기술 분석

정보화진흥원의 전자정부 10대 기술 트랜드

국내·외 기술 트렌드 분석 및 시사점

국내·외 사례분석

국가 재난안전통신망

Flood Network

British Red Cross’ Community Resilience App

Dron Communication

GoTenna Mesh (California)

시사점 분석

국립공원 업무 분석을 통한 시사점 분석

재난작업 특성상 모든 시스템은 위치정보와 시각화된 시스템으로 구축되어야 한다. 재난관리업무에 대한 명확한 책임과 권한을 확립할 필요도 있다.

정보화 현황 분석을 통한 시사점 분석

최근 스마트기기의 증가와 기술혁신에 대응하여 국립공원의 재난안전관리 업무에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는 지능형 재난관리 기술의 선정이 필요하다.

국내·외 사례 분석을 통한 시사점 분석

국립공원 재난안전업무강화를 위한 정보화 방향

정보화 전략 비전 수립

국립공원 신규 아이템

ICT를 활용한 국립공원 재난안전관련 신규 아이템(17건 발굴)

이행과제 우선순위 도출 – 과제별 추진과제 도출

이행과제 [시스템-1] : 국립공원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 구축

통합플랫폼을 통해 수집, 처리된 정보는 재난관리청, 국립공원관리청, 산림부, 행정안전부 등과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국립공원 재난통합플랫폼 구축을 통해 유연한 정보 공유 및 연계를 통해 재난정보 활용 기반을 확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행과제 [시스템-2] : 국립공원 재난정보관리 공유 플랫폼 구축

국립공원 재난정보 교류 플랫폼은 국립공원별로 수집된 데이터를 지도상에서 볼 수 있도록 화면을 구성한 지리정보 기반 시스템이다. 국립공원 재난관리정보 공유 플랫폼은 연계/수집, 운영관리, 서비스의 3단계로 운영되도록 구성되어 있습니다.

이행과제 [시스템-3] : 빅데이터기반재난상황인지3차원국립공원재난관리시스템

또한, 체계적인 데이터 품질 관리와 인공지능, 빅데이터 활용을 통해 국립공원 정보 홍보의 기반을 마련할 것으로 기대된다. 대규모 전산 재난상황 인지 3차원 국립공원 재난관리시스템은 3차원 지리정보시스템을 기반으로 통합관제, 재난 예방 및 재난 발생 시 동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44 3차원  국립공원  재난관리  시스템  구성도
그림 44 3차원 국립공원 재난관리 시스템 구성도

이행과제 [시스템-4] : 현장 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 개발

또한, 상황판을 통해 모든 재난 상황을 모니터링하는 것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현장별 상황소통 플랫폼을 구축함으로써 현장 재난정보를 통합관제상황실 및 유관기관에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재난별 의사결정도 지원할 것으로 기대된다. 당국 간 재난정보 공유가 가능해 재난 상황 발생 시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행과제 [시스템-6] : 재난방재 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또한, 방재시설 내부 상황을 모니터링할 수 있도록 디스플레이를 구성했다. 방재시설물 유지관리 시스템은 각 사무실을 연결하여 각 사무실의 장비 및 대피소 현황을 확인하고, 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련 자료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그림  46 재난방재  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구성도
그림 46 재난방재 시설 유지관리 시스템 구성도

이행과제 [시스템-7] : 재난관리 업무지원 시스템 구축

재난관리업무지원체계 구축으로 상황관리자에게 일정관리 및 협업 기능을 제공함으로써 효율적인 업무지원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중복되는 재난업무의 감소를 통해 체계적인 재난대응업무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된다.

이행과제 [재난-1] : VHF와 위성을 활용한 산악지역의 통신지역 확대사업

위성 통신망의 경우 산지 및 주요 지점의 판독값을 위성을 통해 기지국으로 전송하거나 다른 위성을 통해 상황실이나 국립공원 관리소로 수집할 수 있도록 시스템을 설계합니다. VHF 통신망과 고속위성을 활용한 통신망 구축으로 국립공원 내 통신밀폐지역에서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행과제 [재난-3] : 국립공원 지능형 다목적 표지판 지능화

VHF를 활용한 산간지역 통신지역 확대사업은 통신중계기를 통해 주요 지점에 측정정보를 전송함으로써 기존 시스템의 통신 음영지역으로 인한 통신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설계됐다. 다목적 표지판은 방문객과 직원이 서로 대응할 수 있어야 산악 지역에서도 사고를 예방하고 긴급 상황에서 빠른 대응 정보를 제공할 수 있어야 합니다.

이행과제 [재난-4] : 인공위성영상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산사태 관리

산사태 관리시스템은 위성에서 촬영한 영상과 인공지능으로 분석한 디스플레이로 구성되며, 산사태 위치 및 복구 상태를 모니터링하도록 설계됐다. 다목적 실용위성이 제공하는 영상정보는 한국항공연구원에서 제공받아 인공지능 기반 영상분석 엔진으로 분석한 후, 산사태 이력관리 시스템을 통해 모니터링 및 산사태 관리를 수행할 수 있는 시스템을 구축했습니다.

이행과제 [안전-1] : 재난대응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재난현장 지원

웨어러블 디바이스를 통해 전송된 정보를 통신망을 통해 재난현장 지원시스템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되었으며, 현장실 및 통합관제실과 양방향 통신을 제공합니다. 또한 웨어러블, 현장사무실, 통합관제실 등에서도 구조 신고가 가능하도록 시스템을 구성했다.

이행과제 [안전-2] :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샛길 출입 탐방객 CCTV 영상분석

CCTV 영상 분석 시스템을 이용하여 골목으로 출입하는 방문객을 식별할 수 있으며, 골목 지점에서 영상 모니터링 및 감시가 가능하도록 기능을 설계하였습니다. 또한, 이 시스템을 통해 골목으로 진입하는 방문객에 대한 경고 및 모니터링이 가능하고, 보안사고 발생 시 방문객 출입 여부를 확인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52 탐방객  CCTV  영상분석  구성
그림 52 탐방객 CCTV 영상분석 구성

이행과제 [안전-1] : 착용밴드를 이용한 탐방객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

방문객 상태 모니터링 시스템은 스마트 밴드를 통해 방문객의 신체 데이터를 휴대폰 애플리케이션으로 전송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또한, 활동 정도를 확인함으로써 개별 등산로의 난이도와 방문객의 사고 가능성도 예측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53 스마트  착용밴드를  이용한  탐방객  상태  모니터링  구성
그림 53 스마트 착용밴드를 이용한 탐방객 상태 모니터링 구성

이행과제 [안전-1] : 드론 영상분석을 통한 조난 모니터링 및 구조 서비스

본 서비스를 통해 접근이 어려운 지역에 대한 감시와 이재민 수색 및 지원이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되며, 저렴한 비용으로 인구보다 더 넓은 지역에 대한 구조 및 재난 예방 활동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또한, 상황 발생 시 동시 대응이 가능할 것으로 기대되며, 통합관제상황실 내 상황표를 통해 전체 재난에 대한 모니터링 활동도 가능할 것으로 기대된다.

그림  54 드론  영상분석을  통한  조난  구조  서비스  구성
그림 54 드론 영상분석을 통한 조난 구조 서비스 구성

과제 우선순위 도출

이행과제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 지표

이행과제 우선순위 선정

이행과제 우선순위 선정

IT Portfolio Evaluation Quadrant 우선순위 선정

추진 로드맵

업무 분야별 관리 시스템 개선 부문

국립공원관리청 재난관리체계 분야별 개선을 위해 플랫폼 구축, 재난관리 업무 개선, 인프라 개선 등의 과제를 도출하였다.

선진화·과학화된 탐방객 안전관리 부문

예산 계획

업무 분야별 관리 시스템 개선 소요예산

카테고리 전체 개발 비용 유지를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입니다. 카테고리 전체 개발 비용 유지를 위한 하드웨어 소프트웨어입니다.

선진화․과학화된 탐방객 안전관리 체계 구축 계획 소요예산

Gambar

그림  3 국립공원  사무소에  설문지
그림  6 자동우량  예경보  인터뷰  내용
그림  7 탐방안전  시스템  인터뷰  내용
그림  9 탐방객  안전관리  인터뷰  내용
+7

Referensi

Dokumen terkait

여가활동 참여 실태 ※ 다음은 귀하의 여가활동 참여 실태를 알아보기 위한 내용입니다... ※단 집이나 PC방 등에서 인터넷이나 모바일매체를 이용하는 경우 4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