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추진 로드맵

Dalam dokume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Halaman 105-113)

5.3 소요 예산

제 5 장 이행계획 수립

5.1 과제 우선순위 도출

5.1.1 이행과제에 대한 우선순위 평가 지표

국립공원공단의 ICT기술을 활용한 재난안전업무 강화를 위해 도출된 개선과제 및 이행과제에 대한 우선순위 분석을 위해 전략적인 중요도와 실현 가능성 측면에서 평가를 수행한다. 전략적 중요도의 경우에는 국립공원공단에서 통합방재시스템을 운영하기 위해 ‘개선 시급성’과 ‘전략적 효과’의 측면에서 우선순위를 부여하 였다. 개선 시급성은 재난관리에 대한 이슈 및 문제점 발생하게될 위험 및 손실에 대한 정도를 평가한다. 전략적 효과는 재난관리 및 대응에 의해 달성되는 효과 정 도를 평가한다. 실행 가능성의 경우에는 정보화를 통해 재난안전업무를 실행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가를 위해 ‘제도적 용이성’과 ‘기술적 용이성’의 측면에서 우선 순위를 부여하였다. 제도적 용이성은 시스템 구축과정에서 현재 법·제도적인 측면에서 이행이 가능한 것인가에 대한 평가와 기술적 용이성은 적용하고자 하는 이행과제가 기술적이나 개발 여부에 대한 용이성을 평가하였다.

그림 55 이행과제 우선순위 평가 지표

5.1.2 이행과제 우선순위 선정

이행과제 평가지표를 기반으로 5점 척도로 평가하였다.

이행과제 세부과제

전략적 중요도 실행 가능성

총점 개선시급성 전략적 효과

평균 제도용이성 기술용이성

평균

가중치:7 가중치:3 가중치:4 가중치:6

업무분야별 관리 시스템 개선방안

마련

[1-1] 국립공원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 5 4.5 4.85 5 5 5 9.85

[1-2] 국립공원 재난정보관리 공유 플랫폼 4 4.5 4.15 5 5 5 9.15

[1-3] 빅데이터 기반 국립공원 재난관리 플랫폼 4 4.5 4.15 5 4.5 4.8 8.95

[1-4] 현장 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 4 4 4 5 3 4.2 8.2

[1-5] 재난관리 통합방재시스템 인프라 고도화 4.5 4.5 4.5 5 5 5 9.5

[1-6] 재난방재 시스템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4 3.5 3.85 4.5 5 4.7 8.55

[1-7] 재난관리 업무지원 시스템 구축 4 4.5 4.15 4 5 4.4 8.55

재난분야 예측을 통한 사전예방 및

대응 체계 마련

[2-1] VHF와 위성을 활용한 통신지역 확대(산악) 5 5 5 3 4 3.4 8.4

[2-2] 산지하천 돌발홍수/토석류 예경보 시스템 3.5 3.5 3.5 3 4 3.4 6.9

[2-3] 지능형 다목적 표지판 관리 시스템 4 4 4 3 4 3.4 7.4

[2-4] 다목적 실용위성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산사태 관리 시스템 4 4 4 3 3 3 7

[2-5] 지진 조기경보 서비스 및 모니터링 시스템 2.5 4 2.95 4.5 4.5 4.5 7.45

선진화·과학화된 탐방객 안전관리

[3-1] 재난대응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재난현장 지원 3 4.5 3.45 4.5 4 4.3 7.75

[3-2] 열감지 센서와 무인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조난자 탐색 서비스 3 4.5 3.45 3 4 3.4 6.85

[3-3]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샛길출입 탐방객CCTV 영상분석 3 4 3.3 2 3.5 2.6 5.9

[3-4] 스마트 착용밴드를 이용한 탐방객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2.5 4 2.95 2 3.5 2.6 5.55

[3-5] 드론 영상 분석을 통한 조난 모니터링 및 구조 서비스 3.5 4 3.65 3 4 3.4 7.05

5.1.3 이행과제 우선순위 선정

우선순위 선정을 통해 평가된 이행과제는 점수를 기반으로 하여 다음과 같은 순 서로 선정되었다. 순위는 1에서 5로 정의하였으며, 순위 1은 9점 이상, 순위 2는 8~9점, 순위 3은 7~8, 순위 4는 6~7, 순위 5는 6이하의 점수를 얻은 과제이다. 다음 은 순위별로 정의된 순서이다.

5.1.4 IT Portfolio Evaluation Quadrant 우선순위 선정

국립공원공단의 이행과제의 우선순위를 결정하기 위해 추진과제 대상으로 전략적 중요성과 시급성을 고려한 4가지 과제(Quick Win, Strategic Initiatives, Nice to Have, Leave for now)로 분류한다. 실행의 용이성은 문제해결이 상대적으로 빠르게

순위 이행과제

1

[1-1] 국립공원 재난관리 통합 플랫폼

[1-5] 재난관리 통합방재시스템 인프라 고도화 [1-2] 국립공원 재난정보관리 공유 플랫폼

2

[1-3] 빅데이터 기반 국립공원 재난관리 플랫폼 [1-6] 재난방재 시스템 유지관리 시스템 구축 [1-7] 재난관리 업무지원 시스템 구축

[2-1] VHF와 위성을 활용한 통신지역 확대(산악) [1-4] 현장 맞춤형 상황전파 플랫폼

3

[3-1] 재난대응 웨어러블 기기를 통한 재난현장 지원 [2-5] 지진 조기경보 서비스 및 모니터링 시스템 [2-3] 지능형 다목적 표지판 관리 시스템

[3-5] 드론 영상 분석을 통한 조난 모니터링 및 구조 서비스 [2-4] 다목적 실용위성과 인공지능을 이용한 산사태 관리 시스템 4

[2-2] 산지하천 돌발홍수/토석류 예경보 시스템

[3-2] 열감지 센서와 무인기를 이용한 인공지능 조난자 탐색 서비스 5

[3-3] 머신러닝 기법을 활용한 샛길출입 탐방객CCTV 영상 분석 [3-4] 스마트 착용밴드를 이용한 탐방객 상태 모니터링 서비스 표 33 표 40 이행과제 순위 선정

되어야 하며, 타 과제들을 해결하기 위해 선행되는 과제이며, 전략적 중요성은 중장 기 전략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필요한 중요한 과제이다.

그림 56 과제 도출을 위한 Matrix

선정된 이행과제를 분류하였으며, 전략적 중요도와 실행의 용이성을 고려하여 이 행 과제를 분포하였으며 단계별 중장기 과제를 추진한다.

구 분 세부 내용

Quick Wins

전략적 중요도가 높고 실행의 용이성도 높은 과제

전략적 가치가 높아 사업성과에 미치는 영향 상승

구현이 쉽고 짧은 시간 안에 가시적인 효과를 볼 수 있어 우선 투자

Strategic Initiative

전략적 가치가 높고 사업 성과에 미치는 영향이 커서 반드시 투자 가 필요하며, 시급하지는 않으나 중장기적 측면에서 해결 필요

타 과제와의 연관성이 높고 전문기술이 요구

Nice to Have

구현이 쉽고 짧은 시간안에 가시적인 효과 발생

잠재적 이익 실현의 가능성 및 전략적 가치가 낮아 시급하지 않음

Leave for Now

전략적 중요도와 실행의 용이성이 모두 낮아 추진 여부에 대해 선 택을 요하는 과제

구현이 복잡하고 전략적 가치가 미비하며, 제한된 자원하에 서는 제외 가능

그림 57 과제도출 Matrix 결과

최종적인 투자 우선순위 도출을 위해 과제간 상관관계 분석을 수행한다.

그림 58 과제의 상관 관계 분석

5.2 추진 로드맵

우선과제에서 식별된 각 세부 과제별 선후관계에 따라 단기, 중기, 장기의 사업 추진 로드맵을 수립한다.

5.2.1 업무 분야별 관리 시스템 개선 부문

국립공원공단의 재난업무 분야별 관리 시스템 개선을 위해 플랫폼 구축, 재난관 리 업무에 대한 개선과 인프라 고도화 부분의 개선사항에 대한 과제가 도출되었다.

그림 59 업무 분야별 관리 시스템 개선의 단계별 실행 계획

5.2.2 재난분야 예측을 통한 사전예방 및 대응 체계 부문

국립공원의 풍수해, 지진, 산불 등의 재난분야를 정보를 계측하고 예측을 통해 재 난관리에서 사전예방과 재난 발생 시 적시적소에 재난을 대응할 수 있는 체계를 지 원하는 과제로 도출하였다. 이행과제는 산악지역의 정보를 계측하기 위해 통신의 사각지대를 없애는 과제를 선행적으로 수행한 후 산악지역에서의 대응 과제를 수행 하는 과제의 선후관계를 연결한다.

그림 60 재난분야 예측을 통한 사전대응 체계의 단계별 실행 계획

5.2.3 선진화·과학화된 탐방객 안전관리 부문

국립공원의 탐방객을 관리하고 재난 발생 시 선진화되고 과학화된 기술을 기반으 로 탐방객 안전관리와 재난 대응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과제에 대한 실행 계획을 수립한다. 이행과제 중에는 바로 과제를 수행하는 방법과 국립공원에 적용 이 가능한 지에 대한 시범적용 및 연구를 수행한 후 타당성을 분석한 후 과제를 수 행할 수 있는 과제를 분류하여 수립하였다.

그림 61 선진화·과학화된 탐방객 안전관리의 단계별 실행 계획

Dalam dokume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Halaman 105-1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