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통합방재시스템 현황분석

Dalam dokume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Halaman 35-46)

2.3 기존 시스템 현황

2.3.2 통합방재시스템 현황분석

그림 18 탐방로 안전관리 시스템 인프라 현황

2) 데이터 현황

탐방로 안전관리 시스템을 통해 관리되는 데이터를 국가지정번호, 각 사무소 고유번호 를 부여하고 관리되고 있으며, 연단위로 통합방재시스템에 재난 및 사고의 이벤트 이력 을 등록한다. 2018년도까지 사고 및 이벤트 이력이 등록되었다.

3) 어플리케이션 현황

탐방로안전관리 시스템은 크게 세 가지 어플리케이션으로 그 기능이 나뉜다. 첫 번째는 지리정보 어플리케이션으로 다음 지도를 배경지도로 사용한다. 두 번째는, 탐방객 안전관 리, 사고 및 교육이력과 실적을 관리하며 탐방로 안전성을 평가, 등록, 관리하는 현장관 리 어플리케이션, 세 번째는 각종 매뉴얼과 지침이 등록된 운영관리 어플리케이션으로 그 기능이 나뉜다. 현재 탐방로 안전관리 시스템은 인프라 환경의 부족, 애플리케이션의 활용성, 표준화 체계의 부족으로 인하여 재난안전관리에 한계를 가진다.

구분 내용

지리정보 어플리케이션

배경지도(map)로 다음(daum) 지도를 사용

시스템 내 지도를 클릭시, 팝업의 형태로 위치별 상세정보 확인이 가능함 현장관리

어플리케이션

탐방객 안전관리를 위한 CBS 기술이 존재

사고 및 교육이력과 실적관리를 위한 모바일 보고시스템 존재

탐방로 안전성 평가, 등록관리, 이력관리 표 5 어플리케이션 현황

4) 문제점 도출

다. 낙석계측 시스템 현황 분석 1) 인프라 현황

그림 19 낙석계측 시스템의 인프라 현황

낙석계측 시스템은 낙석위험 지역에 신축계, 경사계와 같은 계측기를 설치하여 경보 시 운영관리

어플리케이션

탐방객 안전대책 매뉴얼 보유

안전관리를 위한 공단 자체 지침 보유

사고 및 안전문제 발생 시 공단 상황실로 정보가 취합되어 담당자의 상황파악을 지원

구분 내용

인프라 환경 부족재난발생 시 재난 현장과 상황실의 정보 공유 및 상황 전달 수단 부족

탐방객 안전관리를 위한 대피소 내 CCTV 부재

어플리케이션 활용 부족

탐방객 안전관리를 위한 CBS 기술이 존재하지만 사용되지 않음

(원인) CBS시스템의 공원내 섹터 지정 불가하기 때문에 문자 발송 시 공원 내부의 사람들에게만 전송하는 것이 불가능

사고 및 교육 이력과 실적 관리용 모바일 보고시스템이 존재하지만 사 용되지 않음

(원인) 담당자의 변경에 따른 관리의 어려움

표준화 체계 부족

표준화된 보고 체계 부족

(원인) 각각 사업소 별로 사업을 추진한 결과로 인해 계측되는 데이터 형태가 다르기 때문에 데이터 통합이 어려움

표 6 탐방로 안전관리 시스템 문제점 도출

설과 낙석 데이터를 관리하는 재난안전관리업무 시스템이다. 2019년 현재 129개소가 설 치되었다. 낙석계측 시스템은 신축계, 경사계와 같은 계측기, 데이터로거, 게이트웨이, 서 버, 외부 통신망으로 구성되며 기본적으로는 자동계측을 수행하나 필요할 경우, 수동계측 의 방법으로도 계측을 수행 중이다.

2) 데이터 현황

낙석계측시스템은 계측기를 통해 발생한 낙석 데이터를 상황실과 경보시설로 전달하고, 전달된 데이터를 경보 이력과 함께 국립공원공단의 상황실에서 취합하여 관리하는 방식 으로 데이터를 관리한다.

그림 20 낙석계측 시스템의 데이터 흐름

3) 어플리케이션 현황

낙석 및 경보 데이터는 상황실 및 국립공원사무소의 담당자의 외부망 접속을 통해 조 회 및 관리가 가능하다. 또한 낙석계측시스템은 경고 대상 설정이 가능하며, 센서 정보의 추가 및 조회, 측정 자료 관리, 경보 전송, 데이터 백업 등의 기능을 가진다.

4) 문제점 도출

구분 내용

인프라 확장 부문

낙석 계측기와 계측 시스템간의 확장성 문제 확인

- 낙석 계측기 설치 업체가 통합을 위해 본사 수집 시스템으로 연결하기 위한 기반 필요

- 낙석 통합 프로토콜 체계 필요

* ESP(수집프로그램 개발업체)에서 제공하고 있는 프로토콜을 기반으로 연계 진행 * 국립공원에서 통합 프로토콜로 활용 여부 반드시 필요

- 낙석 업무 중심의 확장성 및 호환성 체계 마련

어플리케이션 부분

낙석 계측기 기반의 어플리케이션 고도화 필요

- 각각 설치되는 낙석 계측기의 특성(초기 속성)을 반영할 수 있는 기능 고도화 - 낙석정보의 통합을 위한 프로그램 기능 강화

- 낙석계측 시스템과 통합방재 시스템과의 연계성 강화 - 휴대폰 앱 개발

표 7 낙석계측 시스템 문제점 도출

라. 탐방로 CCTV 현황 분석

1) 인프라 현황

탐방로 CCTV는 탐방객 모니터링을 위해 운영되고 있으며 범죄예방, 실종자 수색 등에 활용되고 있는 시스템이다. 현재 국립공원 내에서 총 348 대의 CCTV가 운영 중이며, 고 지대 6개 지점에서는 비상호출 장치와 함께 설치되어 운영되고 있다. CCTV는 녹화용, 모 니터링용, 화장실용으로 구분되어 운영되고 있으며, CCTV와 같은 영상촬영장비, 서버, 통 신망, 통신전기 인프라로 구성된다. 현재 탐방로 CCTV의 서버는 일부만 보안이 이중화 되어 있으며, 통신망은 VPN 보안이 적용된 외부망을 이용하고 있다.

그림 21 탐방로 CCTV 시스템 인프라 현황

2) 데이터 현황

탐방로 CCTV의 영상정보는 현장에서 생성된 데이터를 방화벽을 거쳐 서버 스토리지로 저장하고, 저장된 영상을 관리자가 조회 및 스트리밍을 이용하여 공단 상황실 상황판에 표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3) 어플리케이션 현황

탐방로 CCTV 어플리케이션은 재난관리 업무, 영상관리 어플리케이션, 현장관리 어플리 케이션을 구성되어 있다.

구분 내용

재난관리 업무범죄예방 효과

실종자 출입 확인 영상관리

어플리케이션VMS 구축 표 8 어플리케이션 현황

4) 문제점 도출

구분 내용

인프라 부문

CCTV 활용 인프라는 이중화가 되어 있지 않아 서버 문제 발생 시 CCTV 전체가 문제가 생길 수 있음

영상 관리 서버의 고도화 필요

통신 회선(대역폭) 문제로 인해 KT회선 교체 계획 중 - 일부 지역의 사각지대 존재 (최신 통신기술 활용 필요)

어플리케이션 부문

공간정보를 활용한 스마트빅보드와 같은 시스템 필요

CCTV는 기능의 한계로 인해 재난관리에 대한 예방적인 차원에서만 활 용되고 있음

- 영상을 분석하여 재난관리에 활용 필요 - 개인정보보호와 같은 매뉴얼 및 체계 필요

정보공유 및 공개를 위한 체계 마련 필요

- 보전처의 공간정보를 연계하여 자동통제시설 및 CCTV 고도화

- 위치기반의 자동통제시설 및 CCTV 시스템으로 고도화 - 산림청과의 영상정보 공유 (필요 시)

모션 체크를 통한 알람 발생 같은 영상 분석 도움 표 9 탐방로 CCTV 시스템 문제점 도출

마. 산불무인감시카메라 현황 분석

1) 인프라 현황

산불무인감시카메라는 산불감시를 목적으로 2004년 구축된 영상장비를 이용한 산불무 인감시 카메라 시스템이다. 현재 국립공원 내에 총 113대의 카메라가 운영 중에 있다. 산 불무인감시카메라는 CCTV와 같은 영상장비, 서버 스토리지, 통신 인프라로 구성이 되어 있으며, 현재 통신망은 VPN 보안이 적용되어 있지 않았고 각 사무소는 고정 IP(29 개소), 유동 IP(18 개소), 공유기 접속 방식(40 개소)의 통신기술을 사용하고 있다.

현장관리

어플리케이션무인드론을 활용한 영상 촬영 (도봉산 사무소 적용 사례)

그림 22 산불무인감시카메라 시스템 인프라 현황

2) 데이터 현황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영상정보는 각 국립공원사무소의 서버 스토리지에 저장되고, 저장된 영상을 관리자가 조회 및 스트리밍하며, 공단 상황실 상황판에 스트리밍을 통해 표출하는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3) 어플리케이션 현황

산불무인감시카메라 어플리케이션은 산불재난관련 재난대응 프로세스 매뉴얼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공단 상황실에서의 현장 모니터링에 대한 어플리케이션, 각 사업소별 표출 방식 및 컨트롤 방안에 대한 어플리케이션으로 나뉜다.

4) 문제점 도출

산불무인감시카메라의 문제점은 인프라 부족, 어플리케이션의 부족, 유지관리의 문제점 으로 구분된다.

구분 내용

인프라 부문

넓은 지역을 감시하는 산불감시 카메라의 특성과 필수 지역의 감시 카 메라의 부족으로 인한 감시 역할에 한계

산불 카메라의 라이선스 부족으로 인해 산불감시를 위한 카메라 113대 중 75대만 공단 상황실 화면에 표출

- 1개의 카메라에 1개의 라이선스 존재 어플리케이션 부문위치기반의 산불감시 기능이 필요함

- 산불 카메라의 위치가 텍스트로 표출됨에 따라 해당 산불 카메라의 위 표 10 산불무인감시카메라 시스템 문제점 도출

바. 자동우량경보시설 현황 분석

1) 인프라 현황

자동우량경보시설은 재난예방을 위한 조기 경보 발령 및 안내방송을 실시하여 탐방객 의 사전대피 및 인명피해를 최소화시키는 시스템이다. 현재 357대의 자동우량시설과 예․

경보용으로 활용되는 288대의 계측기가 운영되고 있다. 자동우량경보시설은 경보 발령 시설, 수위계, 강우계와 같은 장비와 국립공원사무소의 서버 스토리지, 본사의 서버 스토 리지, 통신망, 통신 인프라로 구성된다. 통신망은 자체 모뎀과 3G 장비를 이용한다.

그림 23 자동우량경보시설 인프라 현황

2) 데이터 현황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은 국립공원 강우계와 수위계를 통해 수집된 정보를 국립공원사무 치의 인지가 어려움

선진화된 영상분석기술의 부재

재난대응에 있어 산불감시 카메라의 활용방법 부재

유지관리 부문

각 국립공원사무소별로 카메라를 개별 설치/운영 중이므로 통합관리에 어려움이 발생

- 각 국립공원사무소별 표출 및 컨트롤 방식에 차이가 발생 - 각 국립공원사무소별 통신 속도 차이 발생

산불감시 시스템은 재난관리 중 대응단계의 시스템이나, 산불발생시 카 메라에 포착되는 건수가 미미함

효율적인 산불 감시를 위해 위치기반의 산불감시와 재난상황 발생시 효 과적인 대응을 위한 정보공유 필요

Dalam dokume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Halaman 35-4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