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시사점 분석

Dalam dokume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Halaman 48-80)

제 3 장 환경 분석

3.1 국내·외 환경 분석

3.1.1 재난안전관리의 정책적 환경

가.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 (2018 ~ 2022)

1) 중점 추진과제의 추진전략

국내의 재난안전관리를 위해 최근 재난환경의 변화와 4차 산업혁명, 재난안전 기술의 선진화를 통해 빅데이터, 인공지능, 로봇 등 첨단기술과 재난현장 업무에 접목하여 다양 한 안전 위험요소로부터 국민 누구나 안전하게 살 수 있는 권리인 ‘국민안전 기본권’

을 확보하고 국민이 안심할 수 있는 국민 체감형 재난안전 기술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제71조의2에 따라 재난 및 안전관리 과학기술을 활용 한 국민안전 확보를 위하여 향후 5년 간(2018 ~ 2022) 비전, 목표, 및 추진전략을 반영한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을 추진하고 있다. 기술개발 종합계획의 비전 및 목 표는 다음과 같다.

그림 28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종합계획의 비전 및 목표

종합계획의 수립 배경으로 『재난 및 안전관리 기본법 제71조의2』에 따라 5년마다 종 합계획을 수립한다.

<재난 및 안전관리기본법 제71조의 2>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종합계획의 수립 등) ① 행정안전부장관은 제71조 제1항의 재난 및 안전관리 에 관한 과학기술의 진흥을 위하여 5년마다 관계 중앙행정기관의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에 관한 계획 을 종합하여 조정위원회의 심의와 「과학기술기본법」 제9조제1항에 따른 국가과학기술심의회의 심의를 거쳐 재난 및 안전관리기술개발 종합계획(이하 "개발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재난안전관리를 위해 정부의 국정과제 키워드를 보면 ‘국민안전 서비스’, ‘현장대응 역량 강화’, ‘4차 산업혁명’을 국정운영 5개년 계획에 제시하고 있다. 국가비전의 5대 국정목표는 ① 국민이 주인인 정부, ② 더불어 잘사는 경제, ③ 내 삶을 책임지는 국가,

④ 고르게 발전하는 지역, ⑤ 평화와 번영의 한반도를 제시하고 있다. 또한 국립공원공단 의 재난안전관리 기술 개발을 적용하기위해 『‘18년 정부연구개발 투자 방향 및 기준』

을 조사하였다. 정부의 3대 분야 9대 중점투자 방향은 다음과 같다.

3대 분야 9대 중점투자방향

미래선도 과학기술 역량 강화

① 자율적인 창의·도전 연구 강화

② 개방·공유·협력의 연구개발 생태계 구축

③ 4차 산업혁명 선도를 위한 기술·시장 선점형 R&D 투자

경제역동성 확보

④ 신성장엔진 가동을 위한 신시장·신산업 R&D 투자

⑤ 국민경제 조기 회복을 위한 산업 R&D 투자

⑥ 과학기술 기반의 새롭고 유망한 일자리 창출

국민 삶 질 향상

⑦ 공공서비스의 스마트화·고도화 추진

⑧ 협업 중심의 재난·재해 대응체계 혁신

⑨중장기 경제·사회 위험요인에 선제 대응 표 13 3대 분야 9대 중점투자방향 내용

2) 종합계획의 추진전략

종합계획에 따르면 국민 안전 확보를 위한 현장 체감형 기술개발과 미래 신종재난에 대비한 융·복합 기술 및 고부가 가치 재난안전산업 육성 및 지원의 확대가 필요하며, 좀 더 자세한 사항으로는 취약계층과 같은 국민의 기본적인 안전권을 확보하기 위한 기 술과 재난의 피해로부터 국민의 고통을 덜어주기 위한 서비스를 제공이 필요하며, 융·

복합 기술로는 선제적 재난예방을 위한 스마트 재난관리 시스템의 개발과 재난현장의 위

험을 대신하기 위한 무인기술을 개발이 필요하다. 이러한 패러다임을 기반으로 추진과제 의 전략으로 국민 생활안전 위해요소 제거 및 재난에 대한 회복력과 탄력성 증진 등 맞 춤형 재난안전 서비스를 통해 국민의 안전기본권을 확보하기 위한 전략 ① 국민안전 확 보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 4차 산업혁명 신기술을 기반으로 재난안전기술의 첨단화 를 통해 미래·신종재난 등 급변하는 재난환경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한 전략

② 미래·신종재난 대비 재난안전 기술 선진화, 재난안전 전문인력 양성 및 재난안전산 업 육성, 협업형 기술개발 등 R&D 생태계 구축을 통한 현장 실용성 강화를 위한 전략

③ 현장 실용화 중심의 안전 생태계를 구축하는 전략과 성과지표를 수립하였다.

추진전략 전략목표 성과지표

국민안전 확보를 위한 맞춤형 서비스 개발

맞춤형 재난안전 서비스를 통한 국민 삶의 질 제고

재난안전기술 만족도 (매년 3% 증가)

* 18년에 최초 측정예정

미래·신종재난 대비 재난안전 기술 선진화

4차 산업혁명 등과 접목한 첨단 재난안전 기술개발을 통한

기술경쟁력 확보

재난안전 기술수준 (선진국대비 80%까지 향상)

* ’16년 73.5% → ’22년 80%

현장 실용화 중심의 안전 생태계 구축

재난안전 R&D 생태계 조성을 통한 현장 실용성 강화

재난안전 기술사업화 (’22년까지 450% 증대)

* ’16년 0.67% → ’22년 3%

표 14 종합계획의 추진전략별 성과지표 현황

3) 종합계획의 핵심 중점 과제

재난 및 안전관리 기술개발 추진계획의 추진전략별 중점 추진 과제에서 국립공원공단 의 특성과 관련된 중점과제는 다음과 같다.

추진 과제 부처 계획

재난안전 위험요소 예측·영향평가

기술개발

(투자계획) 8개 부처, 18개 사업 5,591억원

원자력시설 지진 안전성 평가기술 개발(원안위)

기상영향 연구 및 영향예보생산기술 개발(기상청)

자연재난 대응영향 예보생산기술 개발(행안부) 빅데이터 기반 재난안전

정보 활용 기술개발

(투자계획) 8개 부처, 18개 사업 5,402억원

재난안전 플랫폼 기술개발사업(과기정통부)

실시간 철도안전 통합 감시제어시스템 개발(국토교통부) 표 15 중점 과제별 부처 계획

나.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 (2017)

최근 정부는 『4차 산업혁명 대응계획』을 통해 저성장 고착화·사회문제 심화의 경 제·사회의 구조적 위기상황이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고 있기 때문에 보통신기술의 지능 화와 융합화를 통해 성장활력 제고와 미래 환경의 변화를 대비하기 위해 ‘경제성장’과

‘사회문제 해결’을 달성하기 위해 추진한다. 그동안 지속가능하며 균형 잡힌 사람 중 심의 성장, 기술 혁신 기반의 핵심적인 경쟁력 확보를 통해 사회문제 해결을 목표로 사 회·공공분야의 지능화 혁신으로 국민의 삶을 책임지는 국가의 구현과 혁신 성장으로 연 결한다. 특히 재난 및 안전 분야와 관련해서는 안전사고 및 범죄 등에 대응하고 사물인 터넷을 통한 시설물 유지관리, 지능형 CCTV 등을 활용하여 안전체계의 지능화를 통해 사고예방과 그에 따른 피해규모를 최소화하고 재난안전 산업의 시장을 선도하고자 하는 방침을 수립하였다. 4차 산업혁명은 지능화를 통해 자본·노동의 제약을 극복함으로써 생산성을 제고하고 노동력 부족을 해소 등 산업구조가 재 정의되는 새로운 산업질서 변 화에 대응하기 위해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정보기술로 촉발되는 초연결 기반의 지능화 혁명으로 혁신적 변화를 이끌어내고자 한다.

스마트 신호운영 시스템 개발(경찰청)

예보기술지원 및 활용연구(기상청)

재난안전 융·복합 대응 기술개발

(투자계획) 6개 부처, 10개 사업 2,566억원

ICT 융·복합 시스템(농식품부)

가스·전기 안전기술 개발(산업부)

공간정보기반 실감형 콘텐츠 융복합 및 혼합현실 제공기술 개발(행안부)

융·복합 기술이용 지진탐지 고도화 및 지진재해 신속대응(과기정통부)

정지궤도복합위성해양탑재체 개발, IMO 해양안전종합관리체계기술개발(해수부) 로봇 및 인공지능 기반

재난안전 관리지원 기술개발

(투자계획) 7개 부처, 12개 사업 1,248억원

국민안전 감시 및 대응 무인항공기 융합시스템 구축(다부처)

산림재해 방재연구(산림청)

해양오염현장 대응기술(해경청) 현장중심 협력형

기술개발

(투자계획) 8개 부처, 12개 사업 2,346억원

현장 중심형 소방활동지원 기술개발(소방청)

국민위해인자에 대응한 기체분자 식별·분석기술 개발(다부처)

추진 과제 부처 계획

표 16 지능화 혁신 프로젝트 추진

스마트 이동체

교통혼잡, 안전사고 등을 극복할 수 있는 스마트 이동체 선도국가로 도양하고 고령자 및 장애인들에게 배려 기반 마련

연평균 19%의 급성장하는 무인 이동체의 차세대 시장 선점을 위한 원천기술 개발 및 초기시장 창출 지원

무인 이동체 기술혁신과 성장 10개년 로드맵 수립 드론

국내 드론 산업의 경쟁력 확보(기술경쟁력 세계 7위 수준)을 위해 산업 전생애주기 맞춤형 지원으로 신성장동력으로 육성

비행 안정성, 장시간 비행, 탑재장비 등 핵심 요소기술 조기확보 및 정밀 농업, 에너지 등 인프라 점검 등 융합형 실용화 기술 개발 재난대응이상기상 및 재해발생을 사전에 예측하고 선제적으로 대응하는 스

마트 재해대응 체계 구축으로 피해 최소화

스마트 환경

미세먼지, 수질오염 등에 대응하여 미세먼지 정밀예보, 스마트 상하 수도 시스템 등으로 쾌적한 청정국가 실현 및 환경오염·기후변화 대응 신산업 창출

인공지능·IoT·빅데이터 기술을 활용, 원인규명 및 예보 정확도 향 상, 실생활 보호·대응 기술개발 추진

스마트 안전

안전사고 및 생활범죄 등에 대응, IoT 시설물 유지관리, 지능형 CCTV, 해상 스마트 내비게이션 등 안전체계 지능화로 사고예방과 피해를 최소화하고, 스마트 재난안전 산업 시장 선도

(시설물) 노후 시설물(교량·터널 등)의 이상거동 신속검지·초동대처(경고·

교통통제 등)·구조물 영향분석(내구성 등) 지원 IoT 유지관리 시스템 확산

(치안) 범죄·사고 예방을 위해 지능화 기술과 치안 인프라 융합 등 을 통해 치안현장의 문제 해결 및 국민생활 안전 제고

(해상안전) 해상사고 방지를 위해, 해안 100km까지 LTE통신망을 구축하 고, 全선박에 최적안전항로 등을 지원하는 스마트 해상 내비게이션 확산

(산림재해) 대형 산불·산사태·산림병충해 확산 등에 대응, 드 론·AI 등을 활용한 지능형 산림재해 대응체계 구축

(풍수해) 도시지역 침수 예방을 위한 AI 기반의 예·경보 및 의사결 정 지원체계 구축으로 국민의 재산과 인명피해 최소화

(소방안전) 소방 대응력 향상을 위해 VR/AR 및 빅데이터 기술을 활 용해 소방지휘능력 및 소방대원 대응능력 향상 제고

(지진) 지진피해 저감을 위해, AI·빅데이터 기반의 위험감지와 지능 형 의사결정지원 체계 마련으로 국민 안전 확보

(재난대응) 중대재난 발생 시 재난컨트롤타워(중대본·중수본·지대 본 등)의 상황판단 및 의사결정을 실시간 지원하는 인공지능형 재난 대응 표준플랫폼 개발

지능화 기술 경쟁력 확보

(지능화 기술) 4차 산업혁명의 공통기반인 AI·컴퓨팅·로보틱스·

데이터 등을 아우르는 지능화 기술의 고도화 추진

(융합기반 기술) 산업별 혁신 제품·서비스를 실현하는 주요 융합기반 기술 (SW, VR·AR, 센서·IoT, 로보틱스, 블록체인, 사이버보안 등) 경쟁력 제고 혁신 성장

동력 육성

(개방형 혁신) 연구데이터 공유·활용을 제도화하고, 국가 연구데이 터플랫폼 구축(’18~)으로 연구성과(실패사례 포함) 공유·확산 촉진

Dalam dokume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Halaman 48-8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