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국립공원 통합방재시스템 개요

Dalam dokume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Halaman 32-35)

2.3 기존 시스템 현황

2.3.1 국립공원 통합방재시스템 개요

가. 국립공원 통합방재시스템의 구성 및 개요

국립공원공단은 국립공원 내 재난안전관리를 위하여 총 11개의 재난안전관리업무시스 템을 연계 운영 중이다. 11개의 시스템은 통합방재시스템, 탐방로안전관리시스템, 급경사 지유지관리시스템, 산사태관리시스템, 추락사고 위험지역 관리시스템, 탐방로CCTV, 산불 무인감시카메라, 자동기상관측시설, 자동우량경보시설, 낙석계측시스템, 자동통제시스템과 같다. 이중 통합방재시스템은 급경사지유지관리시스템, 탐방로안전관리시스템, 재난예경 보 시스템과 연계되어 관련 정보를 표출하며 통합방재시스템을 통해 종합상황판, 기상정 보, 관측정보, 자원 및 관리카드, 경보관리 등 각 시스템의 관리가 가능하다. 탐방로안전 관리시스템의 경우, 급경사지유지관리시스템, 산사태관리시스템, 추락사고 위험지역관리 시스템으로 구성된다. 재난예경보 시스템의 경우 자동기상관측시스템과 자동우량경보시 스템으로 구성되며 자동기상관측시스템과 자동우량경보시스템을 통해 관측된 정보와 경 보 이력은 통합방재시스템에 관측정보와 경보관리 항목으로 표출된다. 그 외 탐방로 CCTV와 산불감시CCTV, 자동통제시스템, 낙석계측시스템은 통합방재시스템과 별개로 운

영이 되고 있으며, 각각의 시스템의 기능은 아래 표와 같다.

구분 내용

통합방재시스템

급경사지유지관리시스템, 탐방로안전관리시스템, 재난예경보시스템과 연계

종합상황판, 기상정보, 관측정보, 경보관리, 자원 및 관리카드

각 시스템을 통합하여 표출 탐방로

안전관리시스템

탐방로 안전성 평가 및 탐방로 관리 업무

급경사지관리시스템, 추락사고 위험지역 관리시스템, 산사태관리시스템과 연계 급경사지

유지관리시스템

급경사지 위치, 이력 관리

급경사지 위험지역 등록 및 관리 업무 수행

산사태 관리시스템산사태 위험 지역 위치, 산사태 이력 관리

산사태 위험 지점 등록 및 관리 업무 수행 추락사고 위험지역

관리시스템

추락사고 위험지역 위치, 사고 이력 관리

추락사고 위험지역 등록, 관리 업무

탐방로 CCTV

탐방로 CCTV 운영

주요 지점의 CCTV 영상 실시간 모니터링

범죄예방 형식의 업무 수행

1개월 데이터 저장 산불

무인감시카메라

원거리 관측을 통한 산불 무인 감시

각 사무소에서 산불감시 CCTV를 운영․관리

자동기상관측시설기상데이터 수집

자동기상관측(AWS) 정보 모니터링

자동우량경보시설

강우관측정보를 이용하여 우량 측정

유출모델을 이용한 유출 모의

유출모의 결과를 토대로 하류의 경보발령

낙석계측시스템

낙석 위험 지점의 경사 변위 측정

신축/경사 센서로부터 데이터 수집

낙석 정보의 실시간 수집 및 저장

낙석의 실시간 모니터링 및 경보 발령

자동통제시스템기상청의 기상특보 수집을 통해 국립공원 출입을 통제 표 4 국립공원 통합방재 시스템 현황

그림 15 현행 재난안전관리 업무 시스템 구성

나. 국립공원 통합방재시스템의 서버 구성도

그림 16 국립공원 통합방재 시스템 서버 구성도

Dalam dokumen 국립공원 - Korea National Park (Halaman 32-3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