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Tidak ada hasil yang ditemukan

서울시 도로교통 개선사업 체계의 재정립

N/A
N/A
Protected

Academic year: 2024

Membagikan "서울시 도로교통 개선사업 체계의 재정립"

Copied!
53
0
0

Teks penuh

(1)서울시 도로교통 개선사업 체계의 재정립. 서울시정개발연구원 도 시 교 통 연 구 부. (2) 목차 Ⅰ부. 서울시 도로교통 개선사업 추진체계 평가 및 재정립 II부. 노면표시 정비를 통한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 환경 조성 방안. (3) II 부. 부. 서울시 서울시 도로교통 도로교통 개선사업 개선사업 추진체계 추진체계 평가 평가 및 및 재정립 재정립. (4) [1] 서울시 도로교통 개선사업 전개현황 1980년대 시설공급위주 교통정책. 1990년대. 2000년대 (현재). 수요관리정책 등장 및 정착 지구교통개선사업 교통혼잡 특별관리구역 사업. 교통체계 개선사업 (TSM) 이면도로 정비사업 교통사고. 잦은. 곳. 개선사업 간선도로 교통종합개선사 업. 교통정체지점 개선사업. 교통불합리지점 개선사업. 상습교통정체 지점개선사업. (5) [2] 기존 도로교통 개선사업의 평가 „ 상습교통 정체지점 개선사업 (사업개요) 사업개요. •• 사업수행 사업수행 구간 구간 -- 통행속도 통행속도 기준에 기준에 따른 따른 당해 당해 선정 선정 지점 지점 및 및 구간 구간. •• 사업소요 사업소요 예산 예산 -- 약 약 26억(2003년 26억(2003년 기준) 기준). •• 교통소통 교통소통. ••보도 보도Set-Back수반의 Set-Back수반의능률차로운영(좌/유) 능률차로운영(좌/유) ••차로개선(차로수 차로개선(차로수일치, 일치,재배치, 재배치,확폭 확폭등) 등). •• 대중교통 대중교통 ••노면표시 노면표시개선(신설 개선(신설및 및재도색) 재도색). 주요내용 •• 보행교통 보행교통. •• 교통안전 교통안전. ••안전시설 안전시설설치(표지병 설치(표지병설치, 설치,표지판 표지판신설 신설및 및이설) 이설). (6) [2] 기존 도로교통 개선사업의 평가 „ 상습교통 정체지점 개선사업 (한계성). 사업의 효과성 • 네트워크 차원이 아닌. • 처방위주의 현상. 지점 위주의 사업추진. 개선사업. 76.1% (67개소). 80.0. 60 50. 60.0 개수. 40. 40.0 20.0. 30 20. 23.9% (21개소). 10 0 2003. 2001 년도. 0.0 Link. Node. 원칙적 개선. 현상적 개선. 2000. (7) [2] 기존 도로교통 개선사업의 평가 „ 상습교통 정체지점 개선사업 (한계성). 사업의 객관성 • 객관적이고 정형화된 대상지 선정기준 부재. Î 민원에 의한 수요대응적 사업지 선정 • 차별화된 사업유형정립 부재. \ Î 도로기능 및 개선유형에 대한 구분 부재 • 규격화된 설계지침부재 Î 설계자마다 다른 개선방안 도출 • 사후모니터링 수행체계 부재. (8) [2] 기존 도로교통 개선사업의 평가 „ 간선도로 교통종합 개선사업 사업개요. •• 사업수행 사업수행 구간 구간 -- 24개 24개 간선축(총연장 간선축(총연장 432.8km) 432.8km) •• 사업소요 사업소요 예산 예산 -- 총 총 811억원 811억원 (설계비 (설계비 77억원, 77억원, 시설비 시설비 734억원) 734억원). •• 교통소통 교통소통. ••차로수 차로수일치 일치. •• 대중교통 대중교통. ••차로재배치로 차로재배치로인한 인한차로증설 차로증설. •• 자전거 자전거. 주요내용. ••연석차로 연석차로폭원 폭원감소 감소. •• 주정차 주정차. ••능률차로(좌회전 능률차로(좌회전전용) 전용)신설 신설. •• 보 보 행 행 •• 교통안전 교통안전. ••노면표시 노면표시강화 강화. 80점 80점 수준의 수준의 개선 개선 완료 완료. (9) [3] 서울시 도로교통 개선사업의 향후진로 „ 교통개선사업의새로운 파라다임(1) 도로 이용수단(Mode)의 변화. 승용차 Î 대중교통. 사용자(User)의 변화. 차량 이용자 Î 보행자, 자전거이용자. 철학(Philosophy)의 변화. 소통중심 Î 안전중심. 다양한 사용자 대상의 도로기능별 문제인식에 따른 차별적 개선. (10) [3] 서울시 도로교통개선사업의 향후진로 „ 교통개선사업의 새로운 파라다임(2) 간선도로 뿐만 아니라. 간선도로 중심. 보조간선, 집산도로 중시 다양한 도로 이용자 수요를 반영한. 주행환경 개선. 교통개선. 교통소통 증진, 교통처리 능력 향상. 안전하고 안정적인 도로교통환경 추구. 기존의 포괄적 교통개선체계로부터 세분화/구체화된 Action Program 개발 방향 모색. (11) [3] 서울시 도로교통개선사업의 향후진로 „ 새로운 도로교통 개선사업 구축 틀 개발 가능 사업유형 도 시 고 속 도 로 간 선 도 로 보 조 간 선 도 로. 사업 No.. • 상습정체구간개선사 업(용량증대사업) • 사고다발지점개선사 업 • 연계도로정비사업. 사업유형 3. •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환경조성사업. 사업유형 1. • 불합리지점개선사업. 사업유형 2 • 상습정체지점개선사 업. (12) [3] 서울시 도로교통개선사업의 향후진로 „ 사업 유형별 교통개선사업 재정립 방안. 현. 재. 향후 Action Program Type11: :안전하고 안전하고편안한 편안한도로주행사업 도로주행사업 Type. 상습교통정체지점 상습교통정체지점 개선사업 개선사업. Type22: :택지개발/재개발지역 택지개발/재개발지역도로개선사업 도로개선사업 Type. Type33: :연계도로체계의 연계도로체계의재정비 재정비사업 사업 Type. 추진일정 오늘주제발표 주제발표내용 내용 오늘 (2004년도기본과제) 기본과제) (2004년도. 수행예정 예정내용 내용 수행. (2005년도기본과제) 기본과제) (2005년도. 기수행 수행완료 완료내용 내용 기. (2002년도로정비기본계획) 도로정비기본계획) (2002년. (13) II부. 노면표시 정비를 통한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 환경조성 방안 [1] 서울시 도로교통 주행환경의 재조명 [2]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환경 조성을 위한 방법 론 [3] 선결과제. (14) [1] 서울시 도로교통 주행환경의 재조명 가. 도로주행 여건 나. 도로폭원 구성 설계 및 교차로 평면계획. (15) 가. 도로주행 여건 • 간선도로 교통종합개선사업 수행 이후에도 여전히 다양한 차로변경원인 CASE CASE11. ••노면표시의 노면표시의연속성 연속성결여 결여. CASE CASE22. ••신호운영과 신호운영과노면표시와의 노면표시와의부조화 부조화. CASE CASE33. ••비보호 비보호좌회전으로 좌회전으로인한 인한차로변경 차로변경발생 발생. CASE CASE44. ••차로수의 차로수의불일치로 불일치로인한 인한무리한 무리한차로진입 차로진입. CASE CASE55. ••우회전 우회전공용차로에서 공용차로에서직진차량의 직진차량의차로변경 차로변경. CASE CASE66. ••직진차로 직진차로주행중 주행중갑작스런 갑작스런우회전 우회전전용차로 전용차로운영 운영. CASE CASE77. ••불법 불법주정차로 주정차로인한 인한차로변경 차로변경. CASE CASE88. ••대중교통으로 대중교통으로인한 인한차로변경 차로변경. 총 8개 항목. (16) 가. 도로주행 여건 1. 노면표시의 연속성 결여. (17) 가. 도로주행 여건 2. 신호운영과 노면표시와의 부조화. (18) 가. 도로주행 여건 3. 비보호 좌회전으로 인한 차로변경 발생. (19) 가. 도로주행 여건 4. 차로수 불일치로 인한 무리한 차로진입. (20) 가. 도로주행 여건 5. 직진/우회전 공용차로에서 직진차량의 차로변경. (21) 가. 도로주행 여건 6. 직진차로 주행중 갑작스런 우회전 전용차로 운영. (22) 가. 도로주행 여건 7. 불법주정차로 인한 차로변경. (23) 가. 도로주행 여건 8. 대중교통으로 인한 차로변경. (24) 나. 도로 폭원구성 설계 및 교차로 평면계획 1. 다차로 (편도 4차로) 의 비중이 높음 차로수 구성비율 (보조간선도로) 차로수 구성비율(보조간선도로). 구성비율 (주간선도로) 차로수차로수 구성비율(간선도로) 10차로이상 11%. 8차 로 3%. 4차로 13%. 8차로 이상 1% 4차로미만 12%. 6차로 38%. 8차로 33%. 4차로 46%. 6차로 43%. 차로 이용 효율 저조 잦은 차로변경 유도 교통류 안정화 저해. (25) 나. 도로 폭원구성 설계 및 교차로 평면계획 2. 불필요한 주행공간이 많음 Î 연석차로의 폭원이 넓고 차로별 폭원의 편차가 심함 (m) 2.50 2.00 1.50 1.00 0.50 0.00. 1.33. 1.67. 1.91. 0.32 20m 미만 도로. 20~30m 도로. 30~40m 40m 이상 도로 도로. 최대차로폭-최소차로폭 차 차로 차로배분기준 배분기준. 우리나라. 독 일. (26) 나. 도로 폭원구성 설계 및 교차로 평면계획 3. 지나치게 다양한 교차로 유출차로 유형 Î 운전자 예측이 어렵고 불안정한 교통흐름유도, 교통사고위험내재 좌회전 교통류 유형(1). 좌회전 교통류 유형(2). 좌회전 교통류 유형(23개) 25.0. 8.0 7.0. 20.0 구성비(%). 구성비(%). 6.0 5.0 4.0 3.0 2.0. 15.0 10.0 5.0. 1.0 0.0. 0.0 I-A-1. I-B-1. I-B-2. I-B-4. I-B-5. I-C-1. II-A-1. II-A-2. II-B-1. II-B-3. II-C-1. II-C-2. I-B-3. I-B-4. I-B-9. I-B-10. 유형. 우회전 교통류 유형. II-B-2. II-B-3. II-B-4. 좌회전/유턴 공용 유턴 교통류 유형(28개). 좌회전 전용 및 좌회전/직진 공용 우회전 교통류 유형(30개). 60.0. 25.0. 50.0. 20.0. 40.0. 구성비(%). 구성비(%). II-B-1. 유형. 30.0 20.0. 15.0 10.0 5.0. 10.0 0.0. 0.0 I-A-1. I-A-2. I-A-4. I-B-2. I-C-1. I-C-2. I-C-4. 유형. II-A-2. II-B-2. II-C-1. II-C-2. II-C-4. I-A-1. I-A-2. I-A-4. I-B-10. I-B-3. I-B-4. I-B-9. 유형. II-A-2. II-B-1. II-B-2. II-B-3. II-B-4. (27) 나. 도로 폭원구성 설계 및 교차로 평면계획 4. 지나치게 다양한 우회전 유출차로 유형 – 30개 -. (28) II부. 노면표시 정비를 통한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 환경조성 방안 [1] 서울시 도로교통 주행환경의 재조명. [2]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환경 조성을 위한 방법 론 [3] 선결과제. (29) 도로주행 환경 조성을 위한 방법론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 환경이란 ? ▶ 차로변경이 적은 도로 구현 ▶ 끼어들기 없는 도로환경 조성 ▶ 도로주행 관련 안내 정보 정비가 잘된 도로 ▶ 빨리 가는 차량, 약삭빠른 차량이 없는 도로 ▶ 사고 잠재력을 제거하여 안심하고 운전할 수 있는 도로 ▶ 남녀노소, 외국인 모두가 편안하게 운전할 수 있는 도로. (30)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 환경 예. (31) 도로주행 환경 조성을 위한 방법론 전용 좌/우회전 우회전 차로운영 차로의 확보. 방법의 개선. Clear-Way 도입.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다양한 측도의 적극적. C. 측도 및 중앙분리대 정비. 중앙분리대의 설치 설치. 노상주차, 조업 Red-Route. D. Red-Route 도입. 주차 공간의 도입 선별적 도입 노면표시의 강화. 노면표시와. 교차로내에서의. 및 새로운 노면. 신호현시와의. 적극적인. 표시의 적극도입. 연계운영. 평면설계의 적용. E. Extended-Bay 도입 B. 동방향내 진행차로 구분을 위한 도류화. (32)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 우회전 차로의 정비 현황 우회전 우회전유형별 유형별비율(%) 비율(%) 50.0. 42.6. 40.0. 31. 30.0 20.0. 14.3. 11.7. 10.0 0.0 전용. 공용 도류화. 전용. 공용 비도류화. 조사. 주간선+주간선. 주간선+보조간선. 지점수. 47개소(161개). 119개소(375개). 높은 우회전 공용차로 비율 : 전체 70%이상 차지. (33)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 직진/우회전 공용차로 예. (34)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 우회전 차로의 운영 현황 연석차로의 연석차로의이용율(%) 이용율(%). 60 51.8 50. 40.5 40 31.8. 30.6. 5개차로. 6개차로. 30 20. 다차로 도로일수록 연석차로의 이용율이 낮음 → 6차로도로의 연석차로 이용율 30.6%에 불과. 10 0 3개차로. 4개차로. 차로수별 평균 차로수별연석차로의 연석차로의 평균폭원(m) 폭원(m) 갓길 평균폭원(m) 7.5. 6.7. 6 4.5. 다차로 도로일수록 연석차로의 평균 폭원이 넓음. 4.1 3.6. 3 1.5 0 4개차로(N=17). 5개차로(N=3). 6개차로(N=1). (35)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 직진/우회전 공용차로의 효율 현황 유형별 공용차로의포화교통류율 포화교통류율 유형별 포화교통류율 2000. 1900. 1800 1600 1400. 1161. 1200. 1069. 1000 800 600 400 200 0 우회전 포화교통류율 (현재 기준치). 우회전 공용차로 - 도류화-. 우회전 공용차로 -비도류화-. 대기공간 확보 여부별 포화교통류율 대기공간횡단보도 확보위치에 여부별 포화교통류율 따른 포화교통류율 비교 2000. 1900. 1800 1600 1400. 1181. 1200. 977. 1000 800 600 400 200 0 우회전 포화교통류율 (현재 기준치). 우회전 후 대기공간 확보. 우회전 후 대기공간 미확보. (36)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 개념도 현. 재. 1 개 선 후. 교차로 횡단보도 및 정지선 위치 조정. 3. 공용 우회전 차로의 Utility전용 Zone우회전 차로로의 변경 운영. 4 2 갓길내 Utility Zone 운영을 통한 포켓설치 효과 직진차로는 최대2차로 운영이 타당(5/4Æ3 / 3Æ2) (직진 4개차로 이상 도로 운영의 비효율성). (37)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설계 예 미국 [ Traffic Engineering ]. 일본(평면교차의 계획 및 설계). 국내 [도로 구조령]. (38)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 적용사례 (구간 : 반포대로) 교차로부 단일로부. 교차로부. 직진 3차로 확보로 연속성 유지. Utility Zone 의 확 보. 정지선 위치조정. 횡단보도 위치조정. (39)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교차로부 단일로부 ‰ 적용사례 (구간 : 반포대로). Utility Zone 의 확보. 교차로부. 정지선 위치조정. 횡단보도 위치조정. (40) A. 우회전 전용 유출입차로 확보 ‰ 적용 주요 대상구간. 서울시 도로 연장. 의정부. - 도시고속도로 : 203.80 km. 고양. - 간선도로 : 421.21km 퇴계원IC. 왕복 8차로 이상도로. 김포 구리. : 186.1 km, 44% 차지. 하일IC. 하남JC 서운JC. - 보조간선도로 : 594.64 km. 하남. 부천. 왕복 6차로 이상도로 : 218.59km, 42% 차지. 광명. 과천. 시흥 안양. 판교JC. 성남. (41) B. 동일방향내 진행차로 구분을 위한 도류화 ‰ 개념도. 노면표시에 의한 동방향내 좌회전, 직진 진행차로간 구분. (42) B. 동일방향내 진행차로 구분을 위한 도류화 ‰ 외국사례. (43) B. 동일방향내 진행차로 구분을 위한 도류화 ‰ 적용사례. 소공로 방향 소공로 방향. 남대문 서소문 방향 3개 차로. 소공로 방향. 2개 차로. 2개 차로. 남대문/소공로 방향. (44) C. 측도 및 중앙분리대 정비 ‰ 개념도. 접 근 교 통. 목적. 통 과 교 통. - 도로주행의 안정감 향상 -과속주행을 통한 끼어들기식 현상 방지 통 과 교 통. 접 근 교 통. 대상. - 5차로 이상의 다차로 도로. (45) C. 측도 및 중앙분리대 정비사업 ‰ 적용사례 (구간 : 남부순환로). 중앙분리대 설치로 교통류 안정화 도모. 통과교통. 우측폭좁. 측도분리대 설치를 통한 교통류 분리 아짐. 우합류도 로. 우측폭좁 아짐. 접근교통. 우. (46) D. Red-Route 도입. 목적 - Red 차선을 이용한 주정차 행위 규제 - 주정차로 인한 차로 변경 원인을 최소화 대상 - 우선은 중앙버스차로제 도입 구간을 대상으로 도입 - 효과와 주정차 공간확보 수준을 검토하여 점진적으로 확대 보급. (47) D. Red-Route 도입 ‰ 적용 주요 대상구간 N. 0 1.0. 노원구청. 한성여객차고지. 통일로. 월. 연서 로. 수색·성산로. 정릉. 은평구청. 계. 로. 길. 정길 세검. 중랑구청. 미아 로. 로 종암. 6~8차로, 9.9km. 망우로. 망우·왕산로 구리. 성북구청. 율곡. 경복궁. 종로구청. 마포구청. 왕십리길 중구청. 천호 대로. 대. 로. 대방로. 올림. 픽대. 로. 관 악. 대로. 동작대로. 로 서초구청. 대로 양재. 양재시민의숲. 강남대로 밤고갯길. 6~11차로,18.7km. 효령. 도로 고속 경부. 남부 순환 로. 위례 성길. 남부 순환 로. 로 언주. 강남. 로. 구로동길. 시흥·한강로. 올림픽공원. 송파구청. 로. 8~10차로,9.3km 헌릉 로. 1단계 중앙버스전용차로도입 후. 강동 대로. 서울종합운동장. 석촌호수. 보라매공원. 시흥대로. 강남구청. 잠 실 대 교. 천호 대로 강동구청. 봉은사로. 구로구청. 관악구청. 로. 로 신반포. 사평. 국립묘지. 학동. 올 림 픽 대 교. 잠 실 철 교. 대로 송파. 로 순환 남부. 경인로. 로. 반 포 대 교. 청 담 대 교. 대로 영동. 현충. 동 작 대 교. 어린이대공원. 광진구청. 영 동 대 교. 포. 원 효 대 교. 영등포로. 성 수 대 교. 한 남 대 교. 한. 한 강 강 철 로 대 호 교 용 교 노량진로. 양천구청. 동 호 대 교. 반. 길. 교. 들. 이태원로. 강 변 북로. 마포 로. 로. 광나룻길. 로 자양. 포. 로 한남. 백범. 로 원효. 응봉로. 독서당길. 용산구청. 마. 노. 등 촌로. 서 강 대 교. 로. 한강로. 서강. 강변북 로. 당 산 철 교. 6~10차로,15.9km. 1단계. 강 동 대 교. 6~7차로,10.1km. 하정로. 남산공원. 제물포길. ▣ 범례. 동대문구청. 신 촌로. 양 화 대 교. 경인·마포로. 종 로. 서울시립대학교. 왕산로. 종묘. 덕수궁. 성 산 대 교. 강서구청. 창경궁. 로. 고산자로. 성산로. 로 성산. 공항로. 대 학로. 창덕궁. 서대문구청. 동 2로. 동길 개화. 연 희로. 로 의주. 수 색로 가 양 대 교. 천 호 대 교. 방 화 대 교. 중앙 버스전용차로 실시예정 1단. 7~9차로,14.0km. 강북구청. 행 주 대 교. 5.0km. 계구간 73.5km 구간 선정. 도봉·미아로 로 동1. 도봉 로. 도봉구청. 2.5. - 2 차로 감소 전구간 실시 - 3차로 구간의 경우 v/c ratio 와. 금천구청. 범. 례. 2단계. 기설치 구간. 1단계 2단계. 시흥. 기설치 구간 경기도 검토노선. 도로 고속 경부. 경기도 검토노선. 토지이용상황을 고려하여 설정. (48) E. Extended-Bay 도입 ‰ 외국사례 교차로내 교차로내 공간 공간 활용 활용 가능 가능 교차로 교차로 용량 용량 증대 증대 효과 효과. (49) F. 다양한 노면표시 설계기법의 도입 안전지대 안전지대. 진행방향통행구분 진행방향통행구분. 유턴금지 유턴금지. 설계지침 설계지침 기초편. 사례편. 응용편. • 다양한 색(Color), 모양 적용. • 다양한 지침 활용. (50) II부. 노면표시 정비를 통한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 환경조성 방안 [1] 서울시 도로교통 주행환경의 재조명 [2] 안전하고 편안한 도로주행환경 조성을 위한 방법 론. [3] 선결과제. (51) [3] 선결과제. „ 도로포장 수준의 제고. „ 노면마킹 기법 및 품질의 고도화. „ 신호현시 순서 등 교통규제의 유연성 확보. (52) 결 결 론 론. (53) 결 론. 현 현. 재 재. 80점 80점수준의 수준의 도로 도로주행환경 주행환경. 향 향. 후 후. 100점의 100점의안전하고 안전하고 평등한 평등한수준으로 수준으로업그레이드 업그레이드. ™ ™ 저예산, 저예산, 단기 단기 사업으로도 사업으로도 수행이 수행이 가능하면서 가능하면서 국제도시 국제도시 서울의 서울의 도로교통 도로교통 Quality를 Quality를 향상시킬 향상시킬 수 수 있는 있는 도로교통개선사업 도로교통개선사업 수행 수행. (54)

Referensi

Dokumen terkai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