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ournal of National Park Research, Vol. 2, No. 4, pp. 194-202 (2011)
설악산국립공원의 어류상
이승록1
*
·조용성1·이동운21국립공원관리공단 국립공원연구원, 2국립공원관리공단 북한산사무소
Fauna of Freshwater Fish in Seoraksan National Park
Seung-Rok Lee
1*, Yong-Sung Cho
1and Dong-Won Lee
21National Park Research Institut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Namwon 590-811, Korea
2Bukhansan National Park Office, Korea National Park Service, Seoul 136-855, Korea
요 약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설악산국립공원 42개 조사지점의 담수어류상을 조사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2,822
개체였으며 12과 27속 35종으로 확인되었다. 황어, 은어, 한둑중개, 꾹저구, 밀어, 검정망둑을 제외하고 모두 일차담 수어였다. 한국고유종은 쉬리, 돌상어, 어름치, 배가사리, 가는돌고기, 금강모치, 참갈겨니, 참종개, 새코미꾸리, 미유 기, 눈동자개, 퉁가리, 꺽지의 13종이었다. 우점종은 참갈겨니(25.97%)였고 아우점종은 금강모치(20.06%)였다. 법정보 호종은 환경부지정 멸종위기종II급 돌상어, 가는돌고기, 잔가시고기, 가시고기, 한둑중개의 5종이었다. 문화재청 지정 천연기념물은 어름치 1종이었다.
주요어 :설악산, 담수어, 산간계류, 멸종위기종
Abstract :The fauna of freshwater fish were investigated from April, 2010 to November, 2010 at forty-two stations in Seoraksan National Park. During the surveyed period, Collected fishes were 2,822 individuals and were identified to 35 species of 27 genera belonging to 12 families. All fish were primary freshwater fishes, except for Tribolodon hakonensis, Plecoglossus altivelis, Cottus hangiongensis, Gymnogobius urotaenia, Rhinogobius brunneus, Tridentiger obscurus. The endemic species of Korea were 13 species: Coreoleuciscus splendidus, Gobiobotia brevibarba, Hemibarbus mylodon,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Pseudopungtungia tenuicorpa, Rhynchocypris kumgangensis, Zacco koreanus, Iksookimia koreensis, Koreocobitis rotundicaudata, Silurus microdorsalis, Pseudobagrus koreanus, Liobagrus andersoni and Coreoperca herzi. Dominant species was Zacco koreanus(25.97%) and subdominant species was Rhynchocypris kumgangensis (20.06%). Endangered species (Level II) were 5 species: Gobiobotia brevibarba, Pseudopungtungia tenuicorpa, Pungitius kaibarae, Pungitius sinensis and Cottus hangiongensis. Natural mounment species was 1 species:
Hemibarbus mylodon.
Key words :Seoraksan National Park, Freshwater fish, Mountain streams, Endangered species
서 론
1970년 3월 24일에 제5호 국립공원으로 지정된설악산국 립공원은 총면적 398.539 km2로 대청봉(1,708 m)을 중심으 로 천연기념물 제 171호로 지정되어 있다1). 행정구역상으로 강원도 속초시, 양양군, 고성군, 인제군의 일부를 포함하며 내륙지역인 인제군과 해안가 지역인 속초시와 양양군으로 나뉘어져 있고, 지역적으로는 동쪽수계와 서쪽수계를 나누 는 중요한 위치에 자리하고 있어수계의 분화로 인해어류
의 종 다양성은 높은 편이다(주 2001). 특히 담수어류는 담 수에서의 유일한 냉혈척추동물이며 하상의 구조, 수심, 수
온, 용존산소. pH 등 다양한 서식조건에 영향을 받고 있어
담수어류에 대한조사와 연구는 담수환경을파악하는데 중 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채 2010).
설악산국립공원과 인근 하천을 대상으로 한 어류상과 어류 군집에 관한 연구는 장 등(2002), 변과 배(2002), 송과 백 (2002), 윤과 오(2002), 홍(2004), 설악산국립공원 공원자원 모니터링 등을 통해 수행되었고밝혀져 있다. 하지만 공원
*Corresponding author
E-mail: [email protected] 1)설악산국립공원 홈페이지 - http://seorak.knps.or.kr
자원모니터링을 제외하고 조사지역이 국립공원지역 이외의 인근지역까지포함하고 있기때문에어종이많은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2010년에 시행한 국립공원연구원의 3 기 자연자원조사 결과와 기존 문헌자료를 비교하여 설악산 국립공원의 현존하는 담수어류를 파악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조사 및 방법 1. 조사 지점 및 기간
2010년 4월부터 11월까지 6회에 걸쳐 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지점은 설악산국립공의 수계를 중심으로 42개 지점을 선정하였다. 조사일시와 조사지점은 다음과 같다(Table 1, Figure 1).
1차조사 : 2010년 4월 26일~4월 30일 2차조사 : 2010년 5월 24일~5월 26일 3차 조사 : 2010년 6월 07일~6월 11일 4차 조사 : 2010년 7월 26일~7월 30일
5차 조사 : 2010년 9월 29일~9월 30일, 10월 01일~06일 6차 조사 : 2010년 11월 22일~11월 26일
2. 조사 내용 및 방법
조사지점은 현재까지 시행된 자연자원조사와 공원자원모 니터링에서 우선적으로 조사되었던 지역을 포함하여, 설악 산국립공원의 수계를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방법은 하천을 따라 이동하면서 투망, 족대, 통발을 이용하여 채집하였다.
국립공원 구역임을 감안하여 채집후 현지에서 동정·방류
하였고 정밀 동정이필요한 일부 개체의 경우 10% formalin
액에 고정 후 실험실로 운반·동정하였다. 채집된 어류는 김(1997), 윤(2002), 김 등(2005)을 참고하여 동정하였다. 출 현종과 개체수의 결과를 근거로 우점도, 다양도, 풍부도, 균 등도를 산출하였다(Margalef 1958; Shannon and Weaver 1963; Pielou 1966; McNaughton 1967).
결과 및 고찰 1. 어류상
본 조사기간 동안 총 7목 12과 27속 35종 2,822개체의 어류가 확인되었다. 이 중 잉어목(Order Cypriniformes) 잉어 과(Cyprinidae)에속하는어류가 15종(43%)으로가장 많았고, 미꾸리과(Cobitidae) 4종(11%) 종개과(Balitoridae) 3종(9%), 망 둑어과(Gobiidae) 3종(9%), 연어과(Salmonidae) 2종(6%), 큰가 시고기과(Gasterosteidae) 2종(6%) 순이었다. 메기과(Siluridae), 동자개과(Bagridae), 퉁가리과(Amblycipitidae), 바다빙어과 (Osmeridae), 둑중개과(Cottidae), 꺽지과(Centropomidae)는 각 각 1종씩출현하여 3%의구성비를보였다(Figure 2).
전체 35종의어류중이차담수어(secondary freshwater fishes) 는 황어(Tribolodon hakonensis), 은어(Plecoglossus altivelis), 한둑중개(Cottus hangiongensis), 꾹저구(Gymnogobius urotaenia), 밀어(Rhinogobius brunneus), 검정망둑(Tridentiger obscurus)
의 6종 이었고, 나머지 29종은 일차담수어(primary freshwater
fishes)이었다. 해산어는확인되지 않았다. 조사지역의차이
는 있지만 홍(2004)의 연구에서는 본 연구와 유사하게 밀 어 등을 포함하여 6종의 이차담수와 22종의 일차담수어가 확인되었고 장 등(2002)의 연구에서는 6종의 해산어, 6종의 이차담수어, 31종의 일차담수어가 확인되었다. 전체 조사지 역에서출현한한반도고유종은쉬리(Coreoleuciscus splendidus), 돌상어(Gobiobotia brevibarba), 어름치(Hemibarbus mylodon), 배가사리(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가는돌고기(Pseudo- Table 1. Sampling stations of the present study in Seoraksan National Park.
No. Collection stations
St. 1 Jangsudae, Hangye-ri, Buk-myeon, Inje-gun St. 2 Oknyeotang, Hangye-ri, Buk-myeon, Inje-gun St. 3 Minbakchon, Hangye-ri, Buk-myeon, Inje-gun St. 4 Eung-gol, Hangye-ri, Buk-myeon, Inje-gun St. 5 Gowontong, Buk-myeon, Inje-gun
St. 6 Seorak-water, Wontong-ri, Buk-myeon, Inje-gun
St. 7 Sibiseonnyeotang Vally,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8 Sibiseonnyeotang Vally,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9 Sibiseonnyeotang Vally,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10 Manhaemaeul,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11 Oegapyeong-bridge,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12 Baekdam parking garage,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13 Baekdam Ranger station,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14 Baekdam Vally,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15 Baekdamsa,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16 Suryeomdong Vally, Buk-myeon, Inje-gun St. 17 Suryeomdong Shelter, Buk-myeon, Inje-gun St. 18 Yongdae-bridge,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19 Seonbawi, Yongdae-ri, Buk-myeon, Inje-gun St. 20 Gunrangbat, Garisan-ri, Inje-eup, Inje-gun St. 21 Gari 1-bridge, Garisan-ri, Inje-eup, Inje-gun
St. 22 Jamsu-bridge, Sinpyeong-ri, Toseung-myeon, Goseong-gun St. 23 Haksapyeong reservoir, Wonam-ri, Toseung-myeon, Goseong-gun St. 24 Wonam-bridge, Wonam-ri, Toseung-myeon, Goseung-gun St. 25 Yangji-bridge, Cheoksakoncheon, Nohak-dong, Sokcho-si St. 26 Seorakdongsuryeonwon, Mokujae, Nohak-dong, Sokcho-si St. 27 Ulsanbawi-road, Seorak-dong, Sokcho-si
St. 28 Ulsanbawi-road, Seorak-dong, Sokcho-si St. 29 Sinheungsa, Seorak-dong, Sokcho-si St. 30 Biseondae, Seorak-dong, Sokcho-si St. 31 Waseondae, Seorak-dong, Sokcho-si
St. 32 Seoraksan National Park Office, Seorak-dong, Sokcho-si St. 33 Seorak-bridge, Seorak-dong, Sokcho-si
St. 34 Hanokmaeul, Seorak-dong, Sokcho-si St. 35 Docheon-bridge, Domun-dong, Sokcho-si St. 36 Chunghonbi, Mulchi-ri, Daepo-dong, Sokcho-si St. 37 Ganghyeon-ri, Ganghyeon-myeon, Yangyang-gun
St. 38 Seokgyo-bridge, Dunjeon-ri, Ganghyeon-myeon, Yangyang-gun St. 39 Dunjeon-ri, Ganghyeon-myeon, Yangyang-gun
St. 40 Gwandaemun-bridge, Seo-myeon, Yangyang-gun
St. 41 Jucheon-bridge, Osaek Ranger station, Osaek-ri, Yangyang-gun St. 42 Osaekyaksu, Osaek-ri, Yangyang-gun
196 국립공원연구지 제 2 권 제 4 호 (2011)
pungtungia tenuicorpa), 금강모치(Rhynchocypris kumgangensis), 참갈겨니(Zacco koreanus), 참종개(Iksookimia koreensis), 새코 미꾸리(Koreocobitis rotundicaudata), 미유기(Silurus microdorsalis), 눈동자개(Pseudobagrus koreanus), 퉁가리(Liobagrus andersoni), 꺽지(Coreoperca herzi)의 13종이었고고유화 비율은 37%로,
전국 하천의 평균 고유화 비율인 28.8%(이 등 2008)보다 높았다.
고유종의 존재는 해당지역의 생물상을 특징짓는 기준이 되는 경우가 많은데(전 1980) 지역적으로 설악산국립공원의
고유종비율은동해로유입되는 하천(4종, 11%)이 서남해로
유입되는 하천(12종, 34%) 보다 낮았다. 본 조사와 유사하
게 남 등(2002)의 연구에서도 동해로 유입되는 가곡천과
마읍천의 고유종 비율은 8~13%로 낮았는데 동해유입하천의 낮은 고유화 비율은 그 원인이 과거에 동해가 한국의 동안 과 일본의 서안에 둘러싸인 호수였고, 하천의 길이가 짧고 경사가 급하여 어류의 서식처가 다양하지 못한 결과라고 지적하였다.
전체 지점별출현종과개체수에서가장 다양한어류가출 현한 지점은 한강수계의 St. 10(14종 287개체)과 St. 18(13 종 372개체)이었다. 이와 반대로 St 1, 8, 20, 27, 28, 38 에서는 1종만 출현하였고 St. 9에서는 출현종이 없었다. 윤
(2009)은 종수에 현저한 차이를 보이는 것은 지역의 특성과
하천의 발달 정도와 관련이 있다고 하였고, 채(2010)는 해
당 공원에 어류의 서식이 가능한 적정공간이 얼마나 많이 포함되어 있느냐에 따라 종수는 달라진다고 하였는데 설악 Figure 1. Map showing the sampling stations in Seoraksan National Park.
Figure 2. Composition ratio of each family of collecting fish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설악산국립공원의어류상197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 Total RA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16 42 10 14 42 3 2 32 2 4 167 5.92
*Gobiobotia brevibarba 돌상어 2 5 1 2 2 12 0.43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1 7 8 0.28
*Hemibarbus mylodon 어름치 1 1 10 6 40 58 2.06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배가사리 6 10 9 25 39 1 3 2 27 122 4.32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7 4 11 0.39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1 1 10 5 17 0.60
*Pseudopungtungia tenuicorpa 가는돌고기 20 7 6 7 4 44 1.56
Pungtungia herzi 돌고기 3 4 25 14 3 49 1.74
*Rhynchocypris kumgangensis 금강모치 15 9 46 59 21 37 42 73 108 15 60 37 30 14 566 20.06
Rhynchocypris oxycephalus 버들치 6 6 0.21
Rhynchocypris steindachneri 버들개 2 95 57 15 6 4 3 11 24 35 5 41 7 305 10.81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4 113 117 4.15
Zacco platypus 피라미 30 11 22 41 26 4 134 4.75
*Zacco koreanus 참갈겨니 7 6 42 80 22 58 143 108 13 17 22 14 24 6 148 2 13 8 733 25.97
Family Balitoridae 종개과
Lefua costata 쌀미꾸리 4 4 2 10 0.35
Orthrias nudus 대륙종개 22 5 10 37 74 2.62
Orthrias toni 종개 2 4 5 4 15 0.53
Family Cobitidae 미꾸리과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6 2 3 13 3 15 1 43 1.52
*Koreocobitis rotundicaudata 새코미꾸리 3 4 3 10 0.35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1 1 0.04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2 2 0.07
Order Siluriformes 메기목 Family Siluridae 메기과
*Silurus microdorsalis 미유기 3 1 1 3 4 13 1 1 1 1 29 1.03
Family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1 1 0.04
Family Amblycipitidae 퉁가리과
*Liobagrus andersoni 퉁가리 3 5 1 1 10 0.35
Order Osmeriformes 바다빙어목 Family Osmeridae 바다빙어과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5 5 0.18
Order Salmoniformes 연어목 Family Salmonidae 연어과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열목어 6 1 7 0.25
Oncorhynchus masou masou 송어
(육봉형:산천어) 1 1 8 2 5 17 0.60
Order Gasterosteiformes 큰가시고기목 Family Gasterosteidae 큰가시고기과
Pungitius kaibarae ssp. 잔가시고기 134 134 4.75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1 1 0.04
Order Scorpaeniformes 쏨뱅이목 Family Cottidae 둑중개과
Cottus hangiongensis 한둑중개 10 10 0.35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opomidae 꺽지과
*Coreoperca herzi 꺽지 1 1 2 4 14 4 5 2 1 2 2 4 42 1.49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Gymnogobius urotaenia 꾹저구 7 14 21 42 1.49
Rhinogobius brunneus 밀어 6 5 7 18 0.64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2 2 0.07
No. of species 1 3 6 7 9 6 6 1 0 14 9 5 2 2 2 3 2 13 3 1 3 5 3 2 8 2 1 1 2 2 2 3 5 3 4 9 5 1 3 5 3 2 35
No. of individuals 15 11 60 106 114 38 80 58 0 287 205 25 19 29 17 32 7 372 62 21 7 15 122 98 198 10 37 4 45 7 24 98 150 18 73 79 144 2 46 55 20 12 2,822
*: endemic species, RA: relative abundance, HR: Han-gang River, CS1: Cheonggan-cheon Stream, YS: Yongcheon-cheon Stream, CS2: Cheongcho-cheon Stream, SS: Ssang-cheon Stream, MS: Mulchi-cheon Stream, OS: Osaek-cheon Stream, See the table 1 for survey stations.
198 국립공원연구지 제 2 권 제 4 호 (2011)
산국립공원의 경우 좁고 경사진 상류계곡으로 갈수록 출현 종이 빈약하였고, 넓고 유속이 느리며 경사가 완만한 공원 경계 인접지역으로 갈수록 비교적 다양한 종이 서식하였다 (Table 2).
2. 우점종
전체 조사를 통하여 확인된 어류에서 참갈겨니(RA: 25.97%) 와 금강모치(RA: 20.06%)가 우점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 에 반해 상대적으로 희소종으로 확인된 어류는 눈동자개 (RA: 0.04%)와 가시고기(Pungitius sinensis, RA: 0.04%)로 서 전체 조사를 통하여 각각 1개체씩 출현하였다(Table 2, Table 3).
Table 3에서 조사지점을 하천별로 나누고 우세종을 구분
하였는데, 한강수계의 우세종은 참갈겨니와 쉬리로 확인되 었고 청간천의 우세종은 밀어와 꺽지로 나타났다. 또한 물 치천의 우세종은 황어이었다. 황어는 3월 중순에 성어가 하 천으로 소상한다고 알려져 있고(김 등 2005), 고성 북천의 경우 이 등(2010)의 연구에서 5월 중순까지도 혼인색을 띤 성 어가 하천으로 소상한다고 보고되었다. 본 조사에서는 7월 에 물치천에서 확인되었고 산란 후 치어의 성장 중인 개체 가 많이 나타났다. 한편 쌍천과 오색천의 우세종은 금강모치 와 버들개(Rhynchocypris steindachneri), 산천어(Oncorhynchus masou masou)이었다. 산천어는 송어가 기수역이나 담수에 서 적응하여 세대를 이어가며 사는 육봉형 어류인데(이와 노 2006) 공원직원에 문의결과 오색천의 산천어는 지자체 에서 방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청초천 수계에는 잔가시고 기(Pungitius kaibarae ssp.)가 우세하였다.
3. 어류군집구조
군집구조 분석을 위해 하천별로 다양도, 풍부도, 균등도 지수를 분석한 결과는 Table 4와 같다. 다양도 지수는
0.70~2.02로 나타났다. 21종이 출현한 한강수계가 2.02로 가
장 높았고, 3종만이 출현한 용천천이 0.70로 가장 낮았다.
풍부도는 다양도와 유사하게 한강수계(2.27)가 가장 높았고 용천천(0.37)이 가장 낮았다. 이에 반해 균등도는 청간천
(0.89)이 가장 높았고 쌍천(0.46)이 가장 낮았다. 전체적으로
비교적 다양한 어류가 서식하고 수질상태가 양호하다고 볼 수 있는 2.0이상의 다양도 지수(김 등 2002)가 나타난 조
사지역은 한강수계이었다. 또한, 다양도지수와 풍부도지수는 수온이 낮고 유속이 빠른 곳을 선호하는 몇 종의 계류성 어종이 우점하는 상류지역 보다는 어류의 다양한 서식처가 있는 중·하류지역이 높게 나타나는데(최 등 2004; 이 등
2008) 이러한 결과는 상류지역이 많은 본 연구와도 일치하
였다.
4. 특정종
환경부 지정 법정보호종은 멸종위기II급인 돌상어, 가는돌 고기, 잔가시고기, 가시고기, 한둑중개의 5종이었다. 문화재 청 지정 천연기념물은 어름치 1종이었다. 외래종은 출현하 지 않았다.
5. 선행연구와 비교
설악산국립공원과 인근하천을 대상으로 한 선행연구에서 장 등(2002)은 18과 43종, 윤과 오(2002)가 10과 28종, 송 과 백(2002)이 12과 39종, 변과 배(2002)가 13과 34종, 홍 (2004)이 11과 29종, 송(2008)이 9과 20종 서식한다고 보고 하였다. 본 조사에서는 12과 35종이 출현하여 한번 이상 출현한 종은 21과 62종이었고 한강수계(33종)보다 동해로 유입되는 하천수계(46종)의 서식종이 해산어와 양측회유성어 류가 포함되어 더 많았다(Table 5).
동해 인근 유역의 하천을 대상으로한 선행 연구에서는 삼척 오십천 14과 30종(최 등 1995), 양양 남대천 19과
36종(변 등 1998), 고성 북천 12과 31종(이 등 2010) 출현
한 반면 본 조사지역인 쌍천, 청간천, 용천천, 청초천, 물치 천, 오색천에서는 10과 20종이 확인되었는데 갈수기에 유량
Table 3. The most abundant species at each stream of Seoraksan National Park.
Station Dominant species (RA%) Sub-dominant species (RA%)
Han-gang Riv. Z. koreanus (45.50) C. splendidus (10.67)
Cheonggan-cheon Str. R. brunneus (40.00) C. herzi (26.67)
Yongcheon-cheon Str. R. steindachneri (69.09) Z. platypus (28.64)
Cheongcho-cheon Str. P. kaibarae (64.42) Z. platypus (12.50)
Ssang-cheon Str. R. kumgangensis (69.53) R. steindachneri (15.33)
Mulchi-cheon Str. T. hakonensis (58.85) R. steindachneri (21.35)
Osaek-cheon Str. R. kumgangensis (50.57) O. masou masou (17.24)
Total Z. koreanus (25.97) R. kumgangensis (20.06)
RA: relative abundance
Table 4. Biological indices of fish communities in Seoraksan National Park.
Station No. of species
Diversity index
Richness index
Evennes index
Han-gang Riv. 21 2.02 2.27 0.66
Cheonggan-cheon Str. 5 1.44 1.48 0.89
Yongcheon-cheon Str. 3 0.70 0.37 0.64
Cheongcho-cheon Str. 8 1.20 1.31 0.58
Ssang-cheon Str. 11 1.11 1.59 0.46
Mulchi-cheon Str. 8 1.22 1.33 0.58
Osaek-cheon Str. 6 1.45 1.12 0.81
설악산국립공원의어류상199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
Streams connected Han-gang River Stream connected to the East sea Jang
et al.
(2002)
Youn and Oh (2002)
Song and Back
(2002)
Byeon and Bae (2002)
Hong (2004)
Song (2008)
Present study (2010)
Jang et al.
(2002)
Youn and Oh (2002)
Song and Back (2002)
Byeon and Bae
(2002)
Hong (2004)
Song (2008)
Present study (2010) Order Clupeiformes 청어목
Family Clupeidae 청어과
Konosirus punctatus 전어 ○
Order Cypriniformes 잉어목 Family Cyprinidae 잉어과
Carassius auratus 붕어 ○ ○
*Coreoleuciscus splendidus 쉬리 ○ ○ ○ ○ ○ ○ ○
*Gobiobotia brevibarba 돌상어 ○ ○ ○ ○ ○
Hemibarbus longirostris 참마자 ○ ○ ○ ○ ○
*Hemibarbus mylodon 어름치 ○ ○ ○ ○ ○ ○
Ladislabia taczanowskii 새미 ○
Pseudogobio esocinus 모래무지 ○ ○ ○
*Microphysogobio yaluensis 돌마자 ○ ○ ○ ○
*Microphysogobio longidorsalis 배가사리 ○ ○ ○ ○ ○
*Pseudopungtungia tenuicorpa 가는돌고기 ○ ○ ○
Pseudorasbora parva 참붕어 ○ ○
Pungtungia herzi 돌고기 ○ ○ ○ ○ ○ ○ ○ ○ ○
*Rhynchocypris kumgangensis 금강모치 ○ ○ ○ ○ ○ ○ ○ ○ ○ ○
Rhynchocypris oxycephalus 버들치 ○ ○ ○ ○ ○ ○
Rhynchocypris steindachneri 버들개 ○ ○ ○ ○ ○ ○ ○
Tribolodon brandti 대황어 ○
Tribolodon hakonensis 황어 ○ ○ ○ ○ ○ ○
Zacco platypus 피라미 ○ ○ ○ ○ ○ ○ ○ ○
Zacco temminckii 갈겨니 ○ ○ ○ ○ ○ ○ ○ ○ ○
*Zacco koreanus 참갈겨니 ○ ○ ○
Family Balitoridae 종개과
Lefua costata 쌀미꾸리 ○ ○ ○ ○ ○
Orthrias nudus 대륙종개 ○
Orthrias toni 종개 ○ ○ ○ ○ ○ ○ ○ ○
Family Cobitidae 미꾸리과
*Cobitis pacifica 북방종개 ○ ○ ○
*Iksookimia koreensis 참종개 ○ ○ ○ ○ ○ ○
*Koreocobitis rotundicaudata 새코미꾸리 ○ ○ ○ ○ ○
Misgurnus anguillicaudatus 미꾸리 ○ ○ ○ ○ ○ ○ ○
Misgurnus mizolepis 미꾸라지 ○ ○ ○
200국립공원연구지제 2 권제 4 호 (2011) Table 5. Continued.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
Streams connected Han-gang River Stream connected to the East sea Jang
et al.
(2002)
Youn and Oh (2002)
Song and Back
(2002)
Byeon and Bae (2002)
Hong (2004)
Song (2008)
Present study (2010)
Jang et al.
(2002)
Youn and Oh (2002)
Song and Back (2002)
Byeon and Bae
(2002)
Hong (2004)
Song (2008)
Present study (2010) Order Siluriformes 메기목
Family Siluridae 메기과
*Silurus microdorsalis 미유기 ○ ○ ○ ○ ○ ○ ○ ○
Family Bagridae 동자개과
*Pseudobagrus koreanus 눈동자개 ○
Family Amblycipitidae 퉁가리과
*Liobagrus andersoni 퉁가리 ○ ○ ○ ○ ○ ○
Order Osmeriformes 바다빙어목 Family Osmeridae 바다빙어과
Hypomesus nipponensis 빙어 ○ ○ ○
Plecoglossus altivelis 은어 ○ ○ ○ ○ ○ ○ ○ ○
Order Salmoniformes 연어목 Family Salmonidae 연어과
Brachymystax lenok tsinlingensis 열목어 ○ ○ ○ ○ ○ ○
Oncorhynchus keta 연어 ○ ○
Oncorhynchus masou masou 산천어 ○ ○ ○ ○ ○ ○
Oncorhynchus masou masou 송어 ○
Oncorhynchus mykiss 무지개송어 ○ ○
Order Mugiliformes 숭어목 Family Mugilidae 숭어과
Mugil cephalus 숭어 ○ ○ ○ ○ ○
Order Beloniformes 동갈치목 Family Adrianichthyidae 송사리과
Oryzias latipes 송사리 ○ ○
Family Hemiramphidae 학공치과
Hyporhamphus sajori 학공치 ○ ○
Order Gasterosteiformes 큰가시고기목 Family Gasterosteidae 큰가시고가과
Gasterosteus aculeatus 큰가시고기 ○ ○
*Pungitius kaibarae ssp. 잔가시고기 ○ ○ ○ ○
Pungitius sinensis 가시고기 ○ ○ ○ ○
설악산국립공원의어류상201 Scientific names and korean names
Streams connected Han-gang River Stream connected to the East sea Jang
et al.
(2002)
Youn and Oh (2002)
Song and Back
(2002)
Byeon and Bae (2002)
Hong (2004)
Song (2008)
Present study (2010)
Jang et al.
(2002)
Youn and Oh (2002)
Song and Back (2002)
Byeon and Bae
(2002)
Hong (2004)
Song (2008)
Present study (2010) Order Scorpaeniformes 쏨뱅이목
Family Scorpaenidae 양볼락과
Sebastes schlegelii 조피볼낙 ○
Family Platycephalidae 양태과
Platycephalus indicus 양태 ○
Family Hexagrammidae 쥐노래미과
Hexagrammos agrammus 노래미 ○
Family Cottidae 둑중개과
Cottus hangiongensis 한둑중개 ○ ○ ○
*Cottus koreanus 둑중개 ○ ○
Order Perciformes 농어목 Family Centropomidae 꺽지과
*Coreoperca herzi 꺽지 ○ ○ ○ ○ ○ ○ ○ ○ ○ ○ ○ ○
Family Embiotocidae 망상어과
Ditrema temminckii 망상어 ○
Family Gobiidae 망둑어과
Acanthogobius flavimanus 문절망둑 ○ ○
Acanthogobius lactipes 흰발망둑 ○ ○ ○
Gymnogobius castaneus 날망둑 ○ ○
Gymnogobius urotaenia 꾹저구 ○ ○ ○ ○ ○ ○
Luciogobius guttatus 미끈망둑 ○ ○
Rhinogobius brunneus 밀어 ○ ○ ○ ○ ○
Rhinogobius giurinus 갈문망둑 ○
Tridentiger brevispinis 민물검정망둑 ○ ○
Tridentiger obscurus 검정망둑 ○ ○ ○ ○ ○
Order Tetraodontiformes 복어목 Family Tetraodontidae 참복과
Takifugu niphobles 복섬 ○ ○ ○
No. of species 21 14 21 14 18 9 21 25 15 26 24 14 13 20
Total no. of species 33 46
*: endemic species
202 국립공원연구지 제 2 권 제 4 호 (2011)
이 부족하고 조사지역이 상류에 해당되어 인근 유역 하천 보 다 출현종이 적었다. 전체 출현종 중 본 조사에서 확인되지 않은 종은 전어(Konosirus punctatus), 붕어(carassius auratus), 새미(Ladislabia taczanowskii), 참붕어(Pseudorasbora parva), 대황어(Tribolodon brandti), 갈겨니, 북방종개(Cobitis pacifica), 빙어(Hypomesus nipponensis), 연어(Oncorhynchus keta), 송 사리(Oryzias latipes), 무지개송어(Oncorhynchus mykiss), 숭 어(Mugil cephalus), 학공치(Hyporhamphus sajori), 큰가시고 기(Gasterosteus aculeatus), 조피볼락(Sebastes schlegelii), 양 태(Platycephalus indicus), 노래미(Hexagrammos agrammus), 둑중개(Cottus koreanus), 망상어(Ditrema temminckii), 문절망 둑(Acanthogobius flavimanus), 흰발망둑(Acanthogobius lactipes), 날망둑(Gymnogobius castaneus), 미끈망둑(Luciogobius guttatus), 갈문망둑(Rhinogobius giurinus), 민물검정망둑(Tridentiger brevispinis), 복섬(Takifugu niphobles)의 26종이었다. 이 중에 서 전어, 붕어, 새미, 참붕어, 대황어, 북방종개, 빙어, 연어, 송사리, 학공치, 큰가시고기, 가시고기, 조피볼락, 양태, 노래 미, 둑중개, 망상어, 문절망둑, 흰발망둑, 날망둑, 갈문망둑, 민물검정망둑, 복섬의 23종은 확인 결과 출현지역이 공원구 역에 포함되지 않았고 장 등(2002)이 확인한 둑중개는 한둑 중개로 추정된다. 또한 최근에 동해로 흐르는 하천에 이입 된 것으로 확인된 돌고기(Pungtungia herzi), 참붕어, 점몰개 (Squalidus multimaculatus), 새코미꾸리, 얼록동사리(Odontobutis interrupta)의 5종(이 등 2010)과 1980년부터 확인된 참갈겨 니, 피라미(Zacco platypus), 미유기, 퉁가리, 꺽지의 5종(채
2007) 중 본 조사에서 이입이 확인된 종은 돌고기, 피라미,
참갈겨니, 미유기, 꺽지의 5종이었다. 피라미의 경우 홍(2004) 의 연구에서는 학사평저수지에서만 확인되었는데 본 조사에 서는 용천천, 청초천, 오색천에서도 서식이 확인되었다.
참갈겨니는 갈겨니와 다른 신종인데(Kim et al. 2005) 본 조사와 송(2008)의 연구에서 확인된 종은 모두 참갈겨니이 었다. 갈겨니로 기록된 이전 자료들은 모두 참갈겨니로 추 정된다. 외래도입종인 배스(Micropterus salmoides)와 블루길 (Lepomis macrochirus)은 현재까지 서식이 확인되지 않다.
2종은 국내 토착어류의 치어 및 다른 소형 무척추동물을 대량으로 섭식하여 하천의 생물다양성을 크게 감소시키므로
(김 1995). 지속적인 생태계교란종의 서식 유무에 대한 조
사가 이루어져야 할 것으로 여겨진다.
참고문헌
김성호, 윤창호, 주현수. 2002. 섬진강수계의곡성군어류상. 2002.
한국환경생물학회지 20: 152-157.
김익수. 1995. 한국의위기담수어류의서식현황과보존. 1995년
한국생태학회한국어류학회공동심포지움발표논문집. Pp.
31-50.
김익수. 1997. 한국동식물도감제37권동물편(담수어류). 교육부. 629pp.
김익수, 최윤, 이충렬, 이영주, 김병직, 김지현. 2005. 한국어류대도
감. 교학사. 615pp.
남명모, 강영훈, 채병수, 양홍준. 2002. 동해로유입되는가곡천과 마읍천에 서식하는 담수어의 지리적분포. 한국어류학회지 14: 269-277.
변화근, 최재석, 최준길. 1998. 양양남대천의어류상과소하성어
류의분포특성. 한국육수학회지 29: 159-166.
변화근, 배옥이. 2002. 인제·속초 2, 대청봉일대의담수어류.자연 환경생태조사보고서. 환경부. Pp. 403-423.
송호복. 2008. 설악산국립공원공원자원모니터링어류편. 국립공
원관리공단. 163-200.
송호복, 백현민. 2002. 인제·속초 1, 신선봉일대의담수어류.자연 환경생태조사보고서. 환경부. Pp. 252-272.
윤창호. 2002. 한국어류검색도감. 아카데미서적. 747pp.
윤창호. 2009. 속리산국립공원공원자원모니터링어류편. 국립공
원관리공단. Pp. 213-231.
윤창호, 오석재. 2002. 인제·속초 3, 황철봉일대의담수어류.자연 환경생태조사보고서. 환경부. Pp. 350-361.
이완옥, 고명훈, 배재민, 김대희, 전형주, 김경환. 2010. 고성북천 의어류상및어류군집의특성. 한국어류학회지 22: 238-248.
이완옥, 김경환, 김종화, 홍관의. 2008. 만경강의담수어류및외래 어종의분포.한국어류학회지 20: 198-209.
이완옥, 노세윤. 2006. 특징으로보는한반도민물고기. 지성사. 432pp.
장민호, 조가익, 하진용, 정광성, 박성배, 주기재. 2002. 설악산국립 공원의어류분포.한국어류학회지 14: 278-288.
전상린. 1980. 한국산담수어의분포에관하여. 중앙대학교대학원.
박사학위논문. Pp. 14-69.
주기재. 2001. 설악산국립공원자연자원조사어류편. 국립공원관
리공단. Pp. 229-250.
채병수. 2007. 국내서식어종의다른하천수계로의도입. 국립수
산과학원중부내수면연구소-(사)한국민물고기보존협회MOU 체결기념심포지엄,청평. 9월20일 2007. Pp. 71-90.
채병수. 2010. 국립공원에서식하는담수어류의종수. 국립공원연
구지 1: 76-84
최재석, 김재구. 2004. 홍천강의어류상및어류군집. 한국환경생
물학회지 18: 446-455.
최재석, 변화근, 조규송. 1995. 오십천의하천특성과어류군집에
관한연구. 한국육수학회지 28: 263-270.
홍영표. 2004. 설악산국립공원주변담수어류의분포.국립중앙과
학관학술총서 42: 106-116.
Kim IS, MK Oh, K Hosoya. 2005. A New species of Cyprinid Fish, Zacco koreanus with Redescription of Z. temminckii(Cyprinidae) From Korea. Korea J. Ichthyol. 17(1): 1-7.
Margalef R. 1958. Information theory in ecology. General systematics. 3: 36-71.
McNaughton SJ. 1967 Relationship among functional properties of california grassland. Nature. 216: 168-169.
Pielou EC. 1966. The measurement of diversity in different types of biological collections. Journal of Theoretical Biology. 13: 131-144.
Shannon CF, W Weaver. 1963. The mathematical theory of communication. University of Illinois press, Urbana. 117pp.
(2011년 9월 26일 접수; 2011년 10월 30일 채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