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무릎관절 근육기능, 무릎관절 기능지수)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은 가정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특히, 그 효과는 남성보다 여성에서 더 높았으며, 이러한 결과는 여성이 남성보다 저항운동과 관련된 신체활동에 참여하지 않아 기준 근력 상태가 낮았기 때문으로 판단된다.
연구의 필요성
그러나 외신에서는 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을 통해 대퇴사두근(사두근 신전근)의 근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맞추고 있다. 또한 재활운동 후 근력 측정은 대퇴사두근도 대상으로 한다(Bieler, Sobol, Andersen, Kiel, Løfholm, Aagaard, Magnusson, Krogsgaard & Beyer, 2014;.
연구의 목적
재활 기간도 4주에서 24주까지 매우 다양하기 때문에 각 연구에서 얻은 결과를 일반화하고 해석하기는 어렵다. 따라서 재활운동을 통해 대퇴사두근과 대퇴사두근(굴곡근)의 두 근육군의 근력을 향상시키는 데 초점을 두었고, 두 근육군에도 주목한 가계부를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연구문제
연구의 제한점
용어의 정의
무릎 관절 근육 기능 검사는 isokinetic 근육 기능 검사를 말합니다. 본 연구에서는 등속성 근력을 측정할 때 사용하는 근력의 최대값인 피크토크를 이용하여 재활운동의 효과를 검증하고자 한다. 5) 무릎 관절 기능 지수(Lysholm).
이론적 배경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재활운동
등장성 운동은 근섬유의 길이가 변하는 운동으로 편심성 수축과 동심성 수축으로 나뉘며 관절운동이 일어난다. 운동의 종류는 폐쇄운동(closed kinetic exercise)과 개방운동(open kinetic exercise)으로 나눌 수 있으며, 폐쇄사슬운동(closed chain exercise)은 관절에 치료력을 분산시키는 기능적 운동이다.
메타분석
환자 자신의 힘 또는 보조자의 도움으로 관절 훈련 시 다치지 않은 다리, 고무줄 등의 도구를 이용하여 통증이 없는 부위에서 시행하는 운동으로 매우 효과적이다. 수동 관절 운동 장치(CPM 장치: Continuous Passive Motion)를 사용하여 통증 없는 관절 운동이 가능하며 운동 손실을 최소화하고 유지하는 훈련을 통해 수술 후 회복 시간과 재활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나영무). , 2002).
연구방법
그러나 저널 논문의 정보가 불충분한 경우 해당 논문이 선택되었습니다. 메타 분석을 위한 논문 선택 과정 및 결과.
연구의 질 검증
이런 과정을 거쳐 최종 12편이 선정됐다.
자료의 코딩방법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의 효과크기. 본 연구에서는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의 효과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슬관절 근육기능(굴근, 신근)과 슬관절 기능지수(lysholm)의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1) 무릎관절 근육기능의 효과크기. 무릎 관절의 근육 기능에 대한 재활 운동의 효과의 크기.
재활운동이 무릎관절 기능지수에 미치는 영향의 크기.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의 성별 차이.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스포츠 재활의 효과.
중재 변인의 선정
또한 위에서 계산한 효과 크기 평균의 표준 오차를 사용하여 95% 신뢰 구간(CI)을 계산했습니다. 3) 효과 크기의 해석. 여기서 n은 효과 크기의 수입니다.
연구결과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운동의 효과크기
따라서 더 큰 표본을 가진 연구는 더 작은 표본을 가진 연구보다 더 많은 가중치를 부여해야 합니다. 이는 Hedges(1982)가 '효과 크기는 모든 연구에서 균일하다'는 귀무가설을 검정하기 위해 제안한 통계인 Q-값으로 제시됩니다. 계산된 Q 값이 x2 기준값보다 크면 '모든 연구의 모집단 효과크기가 동질적이다'라는 귀무가설을 기각하고 이질적이라고 판단한다.
먼저 funnel plot을 통해 편향의 존재를 육안으로 확인한 후, Duval & Tweedie(2000)가 개발한 덧셈과 뺄셈 추정법을 이용하여 비대칭성을 보정하였다. 6) 탁월한 통계 처리 및 효과 크기 독립성.
슬관절 근기능의 효과크기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임의효과모형을 이용하여 영향을 받는 횡굽힘강도의 평균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랜덤효과모형을 이용하여 환측 신전근 근력의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슬관절 기능지수의 효과크기
무릎 기능 지수 공개의 단변량 분석 결과(보정 전). 무릎 기능 지수의 출판 편향 분석 결과(보정 후).
중재 변인별 효과크기 차이 검증
중재 변인에 따른 환측 굴근력의 효과크기
중재 변인에 따른 환측 신근력의 효과크기
중재 변인에 따른 슬관절 기능지수의 효과크기
본 연구의 목적은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재활훈련의 효과를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 얻은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논의를 하고자 한다.
재활운동이 슬관절 근기능에 미치는 효과크기
환측 굴근력에 미치는 효과
넷째, 재활운동이 운동횟수에 따라 영향을 받는 외측 굴근의 근력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재활운동이 운동기간에 따라 환측 굴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에는 차이가 없었다.
환측 신근력에 미치는 효과
둘째, 환측 신전근 근력에 대한 재활운동의 효과는 연령에 따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셋째, 재활운동이 환측 신전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은 운동시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재활운동이 슬관절 기능지수에 미치는 효과크기
일곱째, 재활운동이 환측 신전근 근력에 미치는 영향은 출판물의 종류에 따라 차이가 없었다. 첫째, 재활운동이 무릎관절의 기능지수에 미치는 영향은 성별에 따라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근력 회복. 전방십자인대 재건술 후 가속재활운동 프로그램의 효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