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활운동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슬관절 근기능 검사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 는 다음과 같다.
(1) 환측 굴근력(flexor)의 효과크기
재활운동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환측 굴근력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표 8>과 같다.
표 8. 환측 굴근력(flexor)의 전체 효과크기
먼저 이질성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각 개별 연구에서 추출된 효과크기는 서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Q=120.749, p<.001, I2=89.234).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무선 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으로 환측 굴근력의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무 선효과모형에 의하면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786(95%CI : 0.628~0.944, p<.001)로 나 타났으며, Cohen(1988)이 제안한 효과크기 해석 기준으로 볼 때 중간 효과크기에 해당된다. 또한, 95% 신뢰구간에서 0을 포함하고 있지 않으므로 효과크기는 통계적 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측 굴근력의 전체 효과크기 Forest plot은 <그림 8>과 같다.
그림 8. 환측 굴근력의 전체 효과크기
Model k ES 95% CI Heterogeneity Lower Upper Q p I2 Fixed
14 0.678 0.628 0.727
120.749 p<.001 89.234 Random 0.786 0.628 0.944
한편, 메타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출판편향(publication bias) 검사를 시 행하였다. 출판편향 여부를 판단하려는 방법으로 깔때기 도표(Funnel plot)와 추정치 가감법(trim & fill)을 확인하였다. 먼저 x축을 효과크기(Hedges’s g), y축을 표준오 차로 설정한 깔때기 도표를 통해 시각적으로 편향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그림 9>,
<그림 10>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효과크기의 평균을 중심으로 비교적 좌우대칭을 보 이고 있어 출판편향의 가중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추정치 방법을 이용하여 출판편향의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추정치 가감법 적용 결과, <표 9>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효과크기는 0.786(95%CI : 0.628~0.944)로 보정 전의 효과크 기와 동일한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깔때기 도표와 추정치 가감법을 통해 출판편 향을 검토한 결과, 출판편향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림 9. 환측 굴근력에 대한 출판편향 분석 결과(보정 전)
그림 10. 환측 굴근력에 대한 출판편향 분석 결과(보정 후)
표 9. 추정치 가감법 적용 결과
(2) 환측 신근력(extensor)의 효과크기
재활운동의 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환측 신근력의 효과크기를 산출한 결과는 <표 10>과 같다.
표 10. 환측 신근력(extensor)의 전체 효과크기
구분 k ES 95%CI
Lower Upper
관찰 값 - 0.786 0.628 0.944
보정 값 0 0.786 0.628 0.944
Model k ES 95% CI Heterogeneity Lower Upper Q p I2 Fixed
13 0.832 0.761 0.903
66.195 p<.001 81.872 Random 0.904 0.729 1.078
먼저 이질성 검정 결과를 살펴보면, 각 개별 연구에서 추출된 효과크기는 서로 이질적인 것으로 나타났다(Q=66.195, p<.001, I2=81.872).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무선 효과모형(random effect model)으로 환측 신근력의 평균 효과크기를 분석하였다. 무 선효과모형에 의하면 통계적 이상치(outlier) 1편을 제거한 전체 평균 효과크기는 0.904(95%CI : 0.729~1.078, p<.001)로 나타났으며, Cohen(1988)이 제안한 효과크기 해 석 기준으로 볼 때 높은 효과크기에 해당된다. 또한, 95% 신뢰구간에서 0을 포함하 고 있지 않으므로 효과크기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나타났다. 환측 신근력의 전체 효과크기 Forest plot은 <그림 11>과 같다.
그림 11. 환측 신근력의 전체 효과크기
한편, 메타분석 결과의 타당성 확보를 위해 출판편향(publication bias) 검사를 시 행하였다. 출판편향 여부를 판단하려는 방법으로 깔때기 도표(Funnel plot)와 추정치 가감법(trim & fill)을 확인하였다. 먼저 x축을 효과크기(Hedges’s g), y축을 표준오 차로 설정한 깔때기 도표를 통해 시각적으로 편향의 정도를 살펴본 결과, <그림 12>, <그림 13>에 나타난 바와 같이 효과크기의 평균을 중심으로 비교적 좌우대칭 을 보이고 있어 출판편향의 가중성은 높지 않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추 정치 방법을 이용하여 출판편향의 가능성을 판단하였다. 추정치 가감법 적용 결과,
<표 11>에 나타난 바와 같이 2편의 연구가 추가된 후의 효과크기는 1.002(95%CI : 0.800~1.204)로 보정 전의 효과크기와 비교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나 그 차 이는 크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깔때기 도표와 추정치 가감법을 통해 출 판편향을 검토한 결과, 출판편향이 존재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그림 12. 환측 신근력에 대한 출판편향 분석 결과(보정 전)
그림 13. 환측 신근력에 대한 출판편향 분석 결과(보정 후)
표 11. 추정치 가감법 적용 결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