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 보
람 제1646호시보는 공문서로서의 효력을 갖는다 2017년 12월 29일 금요일
조 례
규 칙
◦인천광역시조례 제5902호(인천광역시 평생교육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인천광역시교육규칙)··· 3
◦인천광역시조례 제5903호(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설치와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6
◦인천광역시조례 제5904호(인천광역시 장애인공무원 편의지원 조례)··· 10
◦인천광역시조례 제5905호(인천광역시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5
◦인천광역시조례 제5906호(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17
◦인천광역시조례 제5907호(인천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21
◦인천광역시조례 제5908호(인천광역시 실내 어린이놀이터 설치 및 운영 조례)··· 25
◦인천광역시조례 제5909호(인천광역시 마이스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32
◦인천광역시조례 제5910호(인천광역시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2014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36
◦인천광역시조례 제5911호(인천광역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38
◦인천광역시조례 제5912호(인천광역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및 하도급업체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 개정조례)··· 40
◦인천광역시조례 제5913호(인천광역시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42
◦인천광역시조례 제5914호(인천광역시 악취방지시설 보조금 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 45
◦인천광역시조례 제5915호(인천광역시 물이용부담금자문위원회 설치·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 51
◦인천광역시조례 제5916호(인천광역시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화에 관한 조례)··· 53
◦인천광역시조례 제5917호(인천광역시 공유경제 촉진 조례)··· 58
◦인천광역시조례 제5918호(인천광역시 기업활동 지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66
◦인천광역시조례 제5919호(인천광역시 항공산업 지원·육성 조례 일부개정조례)··· 69
◦인천광역시조례 제5920호(인천광역시 도서지역 여객선 운임 등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71
◦인천광역시규칙 제3059호(인천광역시 지방분권 촉진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74
◦인천광역시규칙 제3060호(인천광역시 청원경찰 징계 규칙 일부개정규칙)··· 77
◦인천광역시규칙 제3061호(인천광역시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2014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일부개정규칙)··· 80
◦인천광역시훈령 제1173호(인천광역시 긴급재난문자 운용 규정)··· 85
◦인천광역시훈령 제1174호(인천광역시 공간정보 보안관리 규정 일부개정규정)··· 98
◦인천광역시훈령 제1175호(인천광역시 업무용 택시 운영 규정)··· 107
고 시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32호(도시관리계획(용도구역)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 고시 - 인천 남동 도 시첨단산업단지 조성사업 -)··· 115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33호(도시관리계획(용도지역) 결정(변경) 및 지형도면 고시)··· 117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34호(자가소비용 가축 도살 허용지역 개정 고시)··· 119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36호(인천도시계획시설(경명공원) 실시계획인가 정정고시)··· 120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37호(송도 대우자동차판매(주)부지 도시개발사업 개발계획 수립(변경) 및 실시계획(변경) 인가 고시)··· 122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38호(금곡1지구 지적재조사 사업지구 지정(변경) 고시)··· 126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43호(경인고속도로 일반화사업 기본계획 수립을 위한 건축허가 및 착공제한 지형도면고시)··· 127
◦인천광역시고시 제2017-344호(도시계획시설(유원지)사업 실시계획(변경)인가 고시)··· 129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고시 제2017-51호(지적기준점표지 성과 고시)··· 130
◦인천광역시경제자유구역청고시 제2017-52호(민영주택건설사업계획 변경승인)··· 134
공 고 ◦인천광역시공고 제2017-1642호(공인 등록 및 폐기 공고)··· 135
◦인천광역시공고 제2017-1645호(공시송달공고)··· 138
◦인천광역시공고 제2017-1648호(숭의운동장 도시개발사업 공사완료 공고)··· 142
◦인천광역시공고 제2017-1650호(개발대상도서지정 및 제4차 도서종합개발계획 수립에 따른 전략환경 영향평가(초안) 주민 등의 의견수렴 결과 및 반영 여부 공개)···145
◦인천광역시공고 제2017-1652호(비영리민간단체 신규등록 공고)··· 172
◦인천남동소방서 공고 제2017-26호(다중이용업 안전관리 우수업소 공표)··· 173
◦인천광역시종합건설본부공고 제2017-353호(인천도시관리계획 마전지구 토지구획정리사업 환지예정지 (변경) 지정 공고)···174
입법예고 ◦인천광역시입법예고 제2017–105호(「인천광역시 송도 컨벤시아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입법예고)··· 175
◦인천광역시 입법예고 제2017–106호(인천광역시 시세 감면 조례 일부개정조례안 입법예고)··· 184
◦인천광역시의회공고 제2017-124호(인천광역시 공공시설 내 장애인 최적관람석 설치·운영 조례안 입법예고)··· 191
조 례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평생교육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장애인에 대한 평생교육을 체계적으로 지원하는 사항을 규정한
「평생교육법」의 개정(2017. 5. 30. 시행)에 따라 조례에 장애인 평생교육 관련 사항을 반영하여 장애인 평생학습권을 보장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장애인이 평생교육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 평생교육 정책을 수립․추진하도록 시장의 책무를 정함(제3조제3항 신설)
○ 평생교육진흥시행계획에 장애인에 대한 평생교육진흥에 관한 사항을 추가함(제4조제5호 신설)
○ 평생교육협의회의 위원으로 장애인평생교육에 관한 전문가를 위촉할 수 있도록 함(제9조제3항제1호)
○ 인천평생교육진흥원의 사업에 평생교육기관의 장애인 평생교육 과정 설치·운영 지원에 관한 사항을 추가함.(제16조제10호 신설)
○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의 설치, 지정·운영에 관한 사항을 정함 (제24조 신설)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평생교육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02호
인천광역시 평생교육진흥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평생교육진흥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에 제3항을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③ 시장은 장애인이 평생교육의 기회를 부여받을 수 있도록 장애인 평생교육에 대한 정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제4조제5호를 제6호로 하고, 같은 조에 제5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5. 장애인에 대한 평생교육진흥에 관한 사항
제9조제3항제1호 중 “평생교육 전문”을 “평생교육·장애인평생교육과 관련된 전문”으로 한다.
제16조제10호를 제11호로 하고, 같은 조에 제10호를 다음과 같이 신 설한다.
10. 평생교육기관의 장애인 평생교육과정 설치·운영 지원
제4장의 제목 “보칙”을 “장애인평생교육시설”로 한다.
제24조부터 제27조까지를 각각 제25조부터 제28조까지로 하고, 제24 조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24조(설치 또는 지정·운영) ① 시장은 법 제20조2제1항에 따라 장 애인을 대상으로 평생교육프로그램 운영과 평생교육 기회를 제공하 기 위하여 장애인 평생교육시설을 설치 또는 지정·운영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장애인평생교육시설에 법 제26조제3항에 따라 평 생교육사를 배치하여야 한다.
③ 시장은 법 제20조의2제3항에 따라 장애인평생교육시설의 운영에 필요한 경비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
제25조 앞에 “제5장 보칙”을 삽입한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설치와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길고 인식하기 어려운 공단의 명칭을 실제로 사용되고 있는 명칭으로 정비하여 시민이 쉽게 부르고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당연직 비상임이사의 직위를 조정하고, 상위법령의 위임의 범위를 벗어난 일부 규정 등을 정비하는 등 기존 조례의 미비점을 개선ㆍ보완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시설관리공단의 명칭 변경에 따른 제명의 변경 등 규정(제명, 제1조 및 제2조 등)
○ 상위법령의 위임의 범위를 벗어난 이사ㆍ감사의 직무 및 이사회 운영에 관한 규정과 상위법령을 따라야 하는 시유 재산 사용에 관한 규정을 삭제(제8조제2항, 제10조, 제15조 및 제24조)
○ 경영 및 재정협력 강화를 위해 당연직 비상임이사의 직위를 실ㆍ국장으로 조정하고 공공부문에서 여성의 대표성 제고를 위해 성별을 고려하여 비상임이사를 구성하도록 함(제9조)
○ 상위법령과 다른 요건으로 규정된 시정명령 관련 규정을 정비(제21조)
○ 시장의 승인을 받아야 하는 공단 내규의 제ㆍ개정, 폐지가 요구되거나 중요 재산의 취득관리 및 처분이 요구되는 계약을 체결하고자 할 때는 그 관련 사항에 대하여 사전에 시장의 승인을 얻도록 관련 규정을 보완(제26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설치와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03호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설치와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설치와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명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 설치와 운영에 관한 조례”를 “인천 시설공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로 한다.
제1조 및 제2조 중 “인천광역시시설관리공단”을 각각 “인천시설공단”
으로 한다.
제8조제2항을 삭제한다.
제10조(감사) 감사는 비상임으로 하며, 「지방공기업법」 제58조제3항에 따라 임원추천위원회에서 추천한 사람 중에서 시장이 임명한다.
제15조를 삭제한다.
제21조제3항 중 “위반되거나 현저하게 부당하다고 인정되는”을 “위반 되는”으로 하고, 같은 조 제7항 중 “부당하다고 인정되는”을 “법령 등에 위반되는”으로 한다.
제24조를 삭제한다.
제26조제2항제5호를 제6호로 하고, 같은 항에 제5호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5. 제1호부터 제3호까지와 관련된 규정의 제ㆍ개정, 폐지가 요구되거나 제4호와 관련된 사항을 포함하는 협약 또는 계약을 체결하고자 할 때 그와 관련된 사항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1조 및 제2조의 개정규정과 부칙 제3조에 따라 개정되는 조례의 개정규정은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명칭변경에 따른 경과조치) 이 조례 시행 당시 종전의 규정에 따른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은 이 조례의 개정규정에 따른 인천 시설공단으로 본다.
제3조(다른 조례의 개정) ① 인천광역시 공영차고지 운영 및 관리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8조 각 호 외의 부분 중 “인천광역시시설관리공단”을 “인천시설
공단”으로 한다.
② 인천광역시 교통사업 특별회계 설치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제12호 및 제4조제1항제6호 중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을 각각 “인천시설공단”으로 한다.
③ 인천광역시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3조제1항 중 “인천광역시 시설관리공단”을 “인천시설공단”으로 한다.
④ 인천광역시의회 운영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8조제2항제3호라목 중 “인천광역시시설관리공단”을 “인천시설공단”
으로 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장애인공무원 편의지원 조례
제정이유
장애인공무원이 비장애인공무원과 동등한 근무조건에서 일할 수 있도록 인적, 물적 서비스를 제공함으로써 직무수행을 원활 하게 하고 그 능력을 충분히 발휘할 수 있도록 장애인 친화적인 근무환경 조성에 기여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장애인공무원이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근로지원인 서비스, 보조공학기기·장비의 교부 및 장애인공무원 편의 지원을 위한 계획을 수립하도록 함(제4조)
○ 장애인공무원의 유형, 장애등급 및 업무난이도 등을 고려 하여 지원여부를 결정코자 함(제5조)
○ 장애인공무원 편의지원 사업의 전문기관을 지정하고 운영·
수행 하도록 함(제7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장애인공무원 편의지원 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04호
인천광역시 장애인공무원 편의지원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지방공무원법」 제77조제2항에 따라 장애인 공무원의 원활한 직무수행과 능률증진에 필요한 사항을 정함을 목 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장애인공무원”이란 인천광역시 소속 공무원 중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조제1호에 따른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2. ‘‘중증장애인공무원”이란 제1호에 따른 장애인공무원 중 「장애인 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2조제2호에 따른 기준에 해당하는 사람을 말한다.
제3조(시장의 책무) 인천광역시장(이하 “시장”이라 한다)은 장애인공 무원이 원활한 직무수행을 할 수 있도록 장애인 친화적 근무환경 조성을 위하여 노력하여야 한다.
제4조(기본원칙) ① 장애인공무원은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근로 지원인 서비스 및 보조공학기기·장비의 교부 등 필요한 지원을 받 을 수 있다.
② 시장은 장애인공무원의 편의지원 수요를 충족시키기 위한 편의 지원 계획을 수립ㆍ운영하여야 한다.
제5조(지원범위) ① 장애인공무원은 원활한 직무수행을 위하여 필요한 지원을 시장에게 요청할 수 있다.
② 시장은 장애인공무원이 제1항에 따라 지원을 요청한 경우, 장애 유형, 장애등급 및 업무난이도 등을 고려하여 지원여부를 결정하여 야 한다.
③ 시장은 제2항에 따라 지원을 결정한 경우, 예산의 범위 안에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따른 사항을 지원할 수 있다.
1. 장애인공무원 근로지원인 배정
2. 장애인공무원 직무수행에 필요한 보조공학기기·장비의 지원 3. 장애인공무원의 이동편의를 위한 시설의 보강
4. 그 밖에 시장이 장애인공무원의 원활한 직무수행에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항
④ 근로지원인의 배정, 보조공학기기·장비의 신청방법 및 지원범 위 등은 시장이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6조(지원제한) 시장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장애인 공무원에 대하여는 제5조에 따른 지원을 하지 않거나 제한할 수 있다.
1. 휴직 중인 장애인공무원
2. 국내외에 파견 중인 장애인공무원
제7조(전문기관의 지정 및 운영 등) ① 시장은 제5조에 따른 장애인 공무원에 대한 원활한 직무수행 지원을 위한 사업의 전부 또는 일 부를 관련 전문기관을 지정하여 수행하게 할 수 있다.
② 전문기관은 장애인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다음 각 호의 기관 중 에서 시장이 지정한다.
1. 「장애인고용촉진 및 직업재활법」 제43조에 따른 한국장애인고용공 단
2. 「공공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 제4조에 따른 공공기관으로써 장애인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3. 「인천광역시 출자ㆍ출연 기관의 운영에 관한 조례」 제2조에 따른 출자ㆍ출연기관으로써 장애인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4. 인천광역시에 등록된 비영리법인ㆍ단체로써 장애인 관련 업무를
수행하는 기관
③ 제2항에 따라 지정된 전문기관은 다음 각 호의 업무를 수행한 다.
1. 근로지원인의 배정 및 보조공학기기·장비 신청내용의 평가 및 지원 결정
2. 근로지원인 배정 수행기관 선정 및 계약체결 3. 근로지원인 배정 대상자에 대한 사후관리 4. 보조공학기기·장비의 발주 또는 수리
④ 시장은 제2항에 따라 지정된 전문기관에 대하여 장애인 공무원 지원에 관한 사업계획 및 자금 집행계획을 수립하여 제출하게 할 수 있다.
다.
③ 시장은 제7조제2항에 따라 지정된 전문기관이 자격요건에 미달 되거나 지정받은 사항을 위반하여 업무를 행한 경우 또는 지원사업 의 계속 수행이 곤란하다고 판단되는 경우에 전문기관 지정을 취소 하고 지급된 경비를 환수하는 등 적절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
제9조(운영규정) 이 조례에 규정된 사항 이외에 필요한 사항은 시장 이 따로 정할 수 있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인천민주화운동센터 설치·운영 및 위탁에 관한 조항의 유효 기간을 “2017년 12월 31일”에서 “2018년 12월 31일”로 연장하여 인천 민주화운동 기념사업의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추진을 도모 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인천민주화운동센터 설치·운영 및 위탁 규정의 유효기간을
“2017년 12월 31일”에서 “2018년 12월 31일”로 연장함 (조례 제5709호 부칙 제3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05호
인천광역시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 다.
조례 제5709호 인천광역시 민주화운동 기념에 관한 조례 부칙 제3조 중 “2017년 12월 31일까지”를 “2018년 12월 31일까지”로 한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사항 등의 자문을 위하여 협의기구인 위원회를 신설하고 소통을 통한 민관 협치를 이루려는 것임.
주요내용
○ 사회복지사 등 처우 개선을 위한 사항을 자문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사처우개선위원회를 설치 운영할 수 있도록 정함 (제9조)
○ 위원회의 구성, 위원의 임기, 위원의 해촉, 위원장의 직무, 위원회 운영 등에 대하여 정함(제10조부터 제14조까지)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06호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사회복지사 등의 처우 및 지위 향상을 위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9조 및 제10조를 각각 제15조 및 제16조로 하고, 제9조부터 제14조 까지를 각각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9조(사회복지사처우개선위원회의 설치) ① 시장은 사회복지사 등 처우개선을 위한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자문하기 위하여 사회복지사처 우개선위원회(이하 “위원회”라 한다)를 설치 운영할 수 있다.
1. 제6조에 따른 종합계획의 수립에 관한 사항 2. 제7조의 실태조사에 관한 사항
3. 제8조제1항에 따른 처우개선 사업추진에 관한 사항
제10조(위원회의 구성) ① 위원회는 위원장 및 부위원장 각 1명을 포함한 15명 이내의 위원으로 구성한다.
② 위원회의 위원장은 사회복지사 등 처우개선 담당 국장이 되고 부위원장은 위원 중에서 호선하며, 위원은 당연직 위원과 위촉위원 으로 한다.
③ 위원회의 당연직 위원은 인천광역시 4급이상 공무원으로 사회복 지시설관련 국장 및 과장과 예산 담당 부서장으로 하고 위촉위원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람 중에서 시장이 임명하거 나 위촉한다. 단, 당연직 위원 수는 위원회 총 위원 수의 3분의 1 이내로 구성한다.
1. 사회복지시설 종사자
2. 인천광역시의회에서 추천하는 의원
3. 그밖에 사회복지분야에 지식과 경험이 풍부한 사람
제11조(위원의 임기) ① 위촉위원의 임기는 2년으로 하고, 당연직 위 원은 그 직위에 재직하는 기간으로 한다.
② 위촉위원의 사임 등으로 인하여 새로 위촉된 위원의 임기는 전 임위원 임기의 남은 기간으로 한다.
제12조(위원의 해촉) 시장은 위촉위원이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유가 발생한 때에는 임기 중이라도 해촉 할 수 있다.
1. 위원 본인이 사직을 원하는 경우
2. 품위 손상 또는 장기간 불출석 등 위원으로서의 직무를 수행하 는데 부적당 하다고 인정되는 경우
3. 사회복지급여의 이용·제공 및 수급권자 발굴에 관한 법률상의 시·도사회보장위원이 될 수 없는 자에 해당하거나, 그 밖의 사유 로 임무를 수행하기 어려운 경우
제14조(위원회의 운영 등) ① 위원회 정기회의는 매년 1회 개최하 며, 임시회의는 위원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경우와 재적위원 3 분의 1 이상의 요구가 있을 때에 소집한다.
② 위원회의 회의는 재적위원 과반수의 출석으로 개의하고, 출석위 원 과반수의 찬성으로 의결한다.
③ 위원회의 사무를 처리하기 위하여 간사를 두며, 간사는 위원회 업무를 담당하는 사무관으로 한다.
④ 회의에 참여한 위촉위원에 대하여 예산의 범위에서「인천광역시 위원회 수당 및 여비 지급 조례」에 따라 수당과 여비를 지급할 수 있다.
⑤ 그 밖에 위원회의 운영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위원회의 의결 을 거쳐 위원장이 정한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정이유
사회복지정책을 연구․개발하고, 시민에 대한 사회복지서비스 증진 및 민간복지 활성화 지원․육성을 위하여 인천복지재단의 설립과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재단법인 인천복지재단 설립 목적 및 근거를 명시(제1조 및 제2조)
○ 재단이 수행하는 사업의 범위를 정함(제3조)
○ 재단의 기본재산을 출연금으로 조성하도록 함(제4조)
○ 재단의 설립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정관으로 정함(제5조)
○ 재단의 재정지원 및 기금의 설치 근거를 정함(제6조 및 제7조)
○ 재단의 운영재원 조달방법과 각종 보고서 제출 시기 등을 정함(제8조 및 제9조)
○ 재단의 지도 ․ 감독 및 공무원 파견에 관한 사항을 정함 (제10조 및 제11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07호
인천복지재단 설립 및 운영에 관한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사회복지정책을 연구 ․ 개발하고, 시민에 대 한 사회복지서비스 증진 및 민간복지 활성화 지원 ․ 육성을 위하여 인천복지재단의 설립 및 운영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설립) 인천복지재단(이하 “재단”이라 한다)은 「민법」에 따른 재단법인으로 한다.
제3조(사업) ① 재단은 다음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한다.
1. 사회보장 발전 중 ․ 장기 계획수립 지원 2. 복지 분야에 대한 조사 ․ 연구 및 정책개발
3. 사회복지단체 및 시설 등에 대한 서비스 품질관리 ․ 컨설팅 4. 국내·외 복지자원 연계 ․ 교류 및 협력지원
5. 사회복지 프로그램 개발 ․ 보급 및 정책 교육 ․ 자문 6.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에서 위탁하는 사업
7. 그 밖에 재단의 목적달성에 필요한 사업
② 제1항의 사업은 기존 민간기관 및 단체가 시행하는 사업과 중복 되지 않도록 한다.
제4조(기본재산 조성) 재단의 기본재산은 인천광역시(이하 “시”라 한다) 의 출연금으로 한다.
제5조(운영 등) 재단의 설립 ․ 운영에 관한 사항은 「민법」 및 관 계 법령 등이 정하는 바에 따라 정관으로 정한다.
제6조(재정지원) 시장은 「지방자치단체 출자·출연기관의 운영에 관한 법률」에 따라 재단의 설립 ․ 운영 및 사업수행을 위하여 출연금 또 는 보조금을 교부할 수 있다.
제7조(기금 등) 재단의 운영 및 사업에 필요한 자금을 충당하기 위하 여 재단에 기금을 둘 수 있다.
제8조(운영재원 등) 재단의 운영 및 사업에 필요한 재원은 시의 출연금, 보조금, 그 밖의 수입금으로 충당한다.
제9조(사업계획서 등의 제출) ① 재단은 매 회계연도의 사업계획을 작성하고 그에 따른 예산을 회계연도 개시 전까지 편성하여야 하며, 예산이 성립되거나 변경되었을 때에는 지체 없이 시장에게 보고하여야 한다.
② 재단은 회계연도가 끝난 후 3개월 이내에 사업실적 및 결산서를
제11조(공무원의 파견) 시장은 재단의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지방공무원법」에 따라 재단에 소속 공무원을 파견할 수 있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실내 어린이놀이터 설치 및 운영 조례
제정이유
인천광역시 실내 어린이놀이터의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영유아와 어린이에게 체험공간을 제공하여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조례의 목적 및 정의를 정함(제1조 및 제2조)
○ 운영 및 조직, 놀이터의 기능 사업등을 정함(제3조 및 제4조)
○ 놀이터의 개․휴관, 이용시간, 이용료 징수․감면사항 등을 정함 (제5조부터 제7조까지)
○ 놀이터의 이용․입장․행위제한, 손해배상을 정함(제8조부터 제10조까지)
○ 놀이터 사업을 위탁할 수 있는 근거 마련 및 재정지원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제11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실내 어린이놀이터 설치 및 운영 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08호
인천광역시 실내 어린이놀이터 설치 및 운영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인천광역시 실내 어린이놀이터의 설치 및 운 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영유아와 어린이에게 체험공간을 제공하여 행복한 지역사회를 만드는데 기여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영유아”란, 6세 미만의 취학 전 아동을 말한다.
2. “어린이”란, 4세부터 12세까지를 말한다.
3. “실내 어린이 놀이터”란, 인천광역시장(이하 “시장”이라 한다)이 실내에 설치하여 영유아와 어린이들이 보호자와 함께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놀이기구와 그 부속시설을 말한다.
4. “이용료”란, 시설을 이용하는 자에게 부과하는 요금을 말한다.
5. “관리주체”란, 어린이놀이시설의 소유자로서 관리책임이 있는 사 람, 또는 그 밖의 계약에 의하여 어린이놀이시설의 관리책임을 진 사람을 말한다.
6. “유지관리”란, 설치된 어린이놀이시설에 관하여 안전점검 및 안
전진단 등을 실시하여 어린이놀이시설이 기능 및 안전성을 유지 할 수 있도록 정비·보수 및 개량 등을 행하는 것을 말한다.
제3조(운영 및 조직) ① 실내 어린이 놀이터(이하 “놀이터”라 한다) 의 운영 및 관리는 시장이 한다. 다만, 보다 효율적인 놀이터의 운 영을 위하여 놀이터의 일부 또는 전부를 법인 또는 단체에게 위탁 할 수 있으며, 위탁을 받은 자(이하 “수탁자”라 한다)는 성실히 운 영하여야 한다.
② 제1항에 따라 놀이터를 위탁할 경우 필요한 절차, 방법 등에 관 한 사항은 「인천광역시 사무의 민간위탁 촉진 및 관리 조례」에 따른다.
③ 놀이터에는 시설장과 운영・안전・보조요원 등 필요한 인력을 둘 수 있다.
④ 제1항에 따라 수탁자를 선정할 때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을 종 합적으로 검토하여 선정하여야 한다.
1. 사업계획의 적정성 및 타당성
2. 위탁사무 수행에 필요한 인력·장비·시설 및 기술수준 3. 책임감·능력·공신력 및 재정적인 능력
4. 관련분야에 대한 경험·전문성 및 운영실적 등
⑤ 시장(또는 수탁자)은 관리주체로서 어린이 놀이시설의 기능 및 안정성이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유지관리를 하여야 하며, 「어린 이놀이시설 안전관리법」에 따른 안전점검을 주기적으로 실시하여 야 한다.
제4조(기능) 놀이터의 기능은 다음과 같다.
제5조(개관 및 휴관) 다음 각 호의 휴관일을 제외하고는 매일 개관 함을 원칙으로 한다.
1. 1월 1일
2. 설날(음력 1월 1일) 3. 추석(음력 8월 15일)
4. 매주 월요일. 다만, 월요일이 공휴일인 경우에는 그 다음 날 5. 그 밖에 시장이 정하는 휴관일
제6조(이용시간 등) ① 이용시간은 10시부터 18시까지로 한다.
② 매표시간은 10시부터 개장시간 종료 1시간 전까지로 한다.
③ 시장은 놀이터의 운영상 특별한 사정이 있는 때에는 제1항과 제 2항에도 불구하고 이용시간과 매표시간을 조정할 수 있다.
제7조(이용료의 징수 및 감면) ① 놀이터를 이용하는 자에게 이용료 를 받을 수 있으며, 이용료의 징수기준은 별표 1과 같다.
② 제1항에 따른 이용료는 감면할 수 있다. 이 경우 감면대상 및 내용은 별표 2와 같다.
제8조(이용 및 입장의 제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사 람에 대하여는 입장을 제한하거나, 퇴관을 명할 수 있다.
1. 보호자를 동반하지 않으면 이용이 어려운 사람
2. 공공질서와 선량한 풍속을 해할 우려가 있다고 인정될 때 3. 위험물이나 악취·혐오감을 주는 물품을 소지한 사람
4. 애완동물을 데리고 입장하는 사람
5. 기타 시설물 등의 보호 또는 이용질서 및 범죄예방, 안전 유지를 위해 이용 금지가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사람
제9조(행위의 제한) ① 이용자는 놀이터시설 내에서 다음 각 호의 행위를 하여서는 아니 된다.
1. 흡연이나 음주를 하는 행위
2. 관리자의 허가 없이 조명 및 받침대를 사용하여 촬영하는 행위 3. 허가되지 않은 시설을 만지는 행위
4. 고성·난무·소란행위 등 다른 이용자에게 지장을 주는 행위 5. 타인의 안전을 위협하는 행위
② 제1항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행위를 한 사람에 대하여 는 퇴관을 명할 수 있다.
제10조(이용자의 손해배상) 이용자가 시설을 파괴하거나 훼손한 때 에는 그에 상응하는 손해를 배상하여야 한다.
제11조(재정지원) 시장은 어린이 놀이터 사업을 위탁하는 경우에는 예산의 범위내에서 필요한 경비의 전부 또는 일부를 보조할 수 있 다.
제12조(시행규칙) 이 조례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규칙으로 정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조례의 개정) 인천광역시 재정운영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이용료 징수 기준
(제7조제1항 관련)
시 설 이용
기준
이용료
(동반보호자) 비 고
어린이
놀이시설 평일 2,000원
· 기본시간 : 2시간
(2시간 미만은 2시간으로 간주)
· 2시간 이후 10분 초과시마다 500원 할증
어린이 놀이시설
토요일 일요일 공휴일
3,000원
· 기본시간 : 2시간
(2시간 미만은 2시간으로 간주)
· 2시간 이후 10분 초과시마다 500원 할증
※ 1. 36개월 미만의 영유아는 반드시 보호자를 동반하여야 함.
2. 타 시·도의 거주자에게는 이용료 징수 기준의 2배를 징수한다.
[별표 2]
이용료의 감면 기준
(제7조제2항 관련)
시설 감면율 대 상
어린이 놀이시설
전액 감면
① 주민등록상 인천광역시에 주소를 둔 아래 각호의 해당 자
1. 장애인복지법에 의하여 1급부터 3급까지 등록된 장애어린이의 보호자 1명
2. 「국민기초생활 보장법」에 따른 생계·의료급여 수급자 3. 「한부모가족지원법」에 따른 지원대상자
② 10명이상 단체 인솔자 1명
③ 시장이 시설운영상 특별히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자
50%
인천광역시에 주소를 둔 아래 각호의 해당 자 1. 세자녀 이상 다자녀의 보호자
2.「국가유공자등 예우 및 지원에 관한 법률」에 따른 국가유공자
※ 1. 중복감면사유 발생시 감면율이 높은 한 가지만 적용함.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마이스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통계조사 실시, 마이스산업 지원 대상 사업 분야 확대 및 포상금 지급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하고, 현행 규정의 일부 미비점을 보완·반영하여 마이스산업을 한 단계 도약시키려는 것임.
주요내용
○ 마이스산업의 정의에 “대형이벤트(Event)”를 추가(제2조)
○ 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등에 관한 사항 명시(제4조의2 신설)
○ 마이스산업의 육성 및 지원 대상 사업분야에 “지역특화 마이스산업 발굴 및 육성” 및 “국제회의, 전시회 및 대형 이벤트 개최”를 추가(제5조)
○ 마이스 종합계획 수립 등을 위한 통계조사 실시 근거 마련 (제6조 신설)
○ 지원협의회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하여 위원 수를 현행 15명에서 13명으로 조정(제7조)
○ 인천 관내 마이스 관련 단체 또는 개인에 대한 포상 근거 마련(제12조 신설)
○ 현행 규정의 용어 정비 등 일부 미비점을 보완·반영함(제1조, 제4조 및 제10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마이스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09호
인천광역시 마이스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마이스산업 육성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조 중 “마이스산업”을 “마이스행사”로, “관광 및 전시산업”을 “마 이스산업”으로 한다.
제2조제1항 중 “마이스(MICE)산업”(이하 “마이스산업”이라 한다)”을
“마이스(MICE)산업”으로, “전시컨벤션산업으로”를 “전시컨벤션산업으 로서”로 하고, 같은 항 제4호 중 “전시회(Exhibition)”를 “전시회 (Exhibition) 및 대형이벤트(Event)”로, “박람회 등”을 “박람회 및 마 이스 관련시설에서 개최되는 대규모 행사 등”으로 한다.
제4조의2(국제회의복합지구 지정 등) 시장은 「국제회의 산업육성 에 관한 법률」(“이하 법이라 한다”) 제15조의2, 같은 법 시행령 제 13조의2 및 제13조의3 등에 따라 관할구역의 일정지역을 국제회의 복합지구로 지정할 수 있다.
제5조제1항제2호를 삭제하고, 같은 항 제1호 및 제3호부터 제6호까지 를 각각 제2호 및 제4호부터 제7호까지로 하며, 같은 항에 제1호 및 제3호를 각각 다음과 같이 신설하고, 같은 항 제5호(종전의 제4호) 중
“참가 사업”을 “참가 등 연계 마케팅 활동”으로 한다.
1. 지역특화 마이스산업 발굴 및 육성 3. 국제회의, 전시회 및 대형 이벤트 개최 제6조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6조(마이스 통계조사) ① 시장은 제4조의 종합계획 수립 등을 위 하여 매년 1회 이상 마이스 관련 통계조사를 실시하여야 한다.
② 시장은 제1항의 통계조사를 실시함에 있어 필요한 자료를 관계 기관 및 단체 등에 요청할 수 있다.
③ 시장은 제1항의 통계조사를 전문통계조사 기관에 의뢰할 수 있다.
제7조제1항제3호 중 “국제회의 및 전시회”를 “마이스산업 관련”으로,
“홍보 활동”을 “홍보·마케팅”으로 하고, 같은 조 제2항 중 “15명”을
“13명”으로 하며, 같은 조 제3항 중 “투자유치산업국장, 일자리경제국 장, 보건복지국장, 문화관광체육국장, 경제자유구역청 기획조정본부 장”을 “문화관광체육국장, 재정기획관, 경제자유구역청 기획조정본부 장”으로 한다.
제10조제1항 중 “경비는예산”을 “경비는 예산”으로 한다.
제12조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2조(마이스 유치 포상금 지원) 시장은 마이스 행사 유치․개최를 통하여 지역경제 활성화에 크게 기여한 인천 관내 마이스 관련 단 체 또는 개인 등에게 예산범위 내에서 포상금을 지급할 수 있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2014인천장애인아 시아경기대회 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 부개정조례
개정이유
2014 AG 관련사업(GB훼손지 복구사업)이 2018년 12월 준 공 예정으로 원활한 사업추진 및 사후 국비(기금)정산 등 회계운영 의 일관성과 연속성을 위해 특별회계의 유효기간을 연장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〇 특별회계의 유효기간을 “2017년 12월 31일”에서 “2018년 12월 31일”로 연장함(조례 제4198호 부칙 제2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2014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10호
인천광역시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2014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2014인천장애인아시아경기대회 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조례 제4198호 인천광역시 2014인천아시아경기대회, 2014인천장애 인아시아경기대회 특별회계 설치 및 운용에 관한 조례 부칙 제2조 중
“2017년 12월 31일까지”를 “2018년 12월 31일까지”로 한다.
부칙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지역주민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이동권 보장과 경제적 부담의 경감을 위하여 인천대교(인천대교 영업소)를 통행하는 감면대상차량에 대하여 통행료를 추가 지원하고 통행료 지원기간을 연장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인천대교(인천대교 영업소)를 통행하는 감면대상차량에 대하여 인천대교 통행료의 100분의 68을 감면함(제6조제3항)
○ 통행료 지원기준을 당초 “2019년 12월 31일까지”에서
“2022년 12월 31일까지”로 연장함(조례 제3998-1호 부칙 제2항)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11호
인천광역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3항제2호 중 “62”를 “68”로 한다.
조례 제3998-1호 인천광역시 공항고속도로 및 인천대교 통행료 지원 조례 부칙 제2항 중 “2019년 12월 31일”을 “2022년 12월 31일”로 한다.
부칙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인천광역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및 하도급 업체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77조제1항에 단서에 따라 분할 또는 분리가 가능한 공사가 통합발주 된 경우, 해당 공사에 대한 지역업자 참여를 권장하도록 하여 지역 건설산업의 효과적인 활성화 방안을 도입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분리발주 되어야 할 공사가 통합발주 된 경우 지역업자 참여 규정 신설(제8조제2항제3호)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및 하도급업체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12호
인천광역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및 하도급업체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지역 건설산업 활성화 촉진 및 하도급업체 보호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8조제2항제3호를 제4호로 하고, 같은 항에 제3호를 다음과 같이 신 설한다.
3. 「지방자치단체를 당사자로 하는 계약에 관한 법률 시행령」 제 77조제1항에 단서에 따라 분할 또는 분리가 가능한 공사가 통합 발주 된 경우, 해당 공사에 대한 지역업자 참여
부칙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시민에게 지속가능한 녹색사회 구현에 필요한 친환경 생활상을 제시하고, 녹색제품의 생산·소비 등 민간중심의 녹색소비문화 확산을 주도 할 인천광역시 녹색구매지원센터의 설치 및 운영 근거를 마련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인천광역시 녹색구매지원센터의 설치·운영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제12조의2)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13호
인천광역시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녹색제품 구매촉진에 관한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장에 제12조의2를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제12조의2(녹색구매지원센터의 설치ㆍ운영) ① 시장은 법 제17조의 3에 따라 녹색제품에 관한 정보제공 및 교육ㆍ홍보 등을 통해 시민 들의 녹색제품 사용 생활화를 위하여 인천광역시 녹색구매지원센터 (이하 “지원센터”라 한다)를 설치하여 운영할 수 있다.
② 시장은 법 제17조의3제2항 각 호의 사업을 수행하기 위하여 다 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법인 또는 단체에 지원센터의 운 영을 위탁할 수 있으며, 그 밖에 위탁에 관한 사항에 대해서는 「인 천광역시 사무의 민간위탁 촉진 및 관리 조례」를 준용한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악취방지시설 보조금 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
개정이유
「환경정책기본법」제56조와 「악취방지법」제16조의3에 따라 산업 및 생활 활동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저감하여 시민의 쾌적한 생활환경 조성을 위한 근거를 마련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조례 제명을 「인천광역시 악취관리 및 지원에 관한 조례」로 함
○ 악취방지 보조금 지원계획을 수립 시행하도록 함(제4조)
○ 악취 및 생활악취 저감과 방지에 관한 사업에 보조금을 지원할 수 있도록 함(제5조)
○ 보조금 신청 및 교부, 신고의무, 보조금 반환조치, 지도·감독 등에 대하여 규정함(제6조부터 제9조까지)
○ 보조금 신청 및 교부, 신고의무, 보조금 반환조치의 권한을 군수·
구청장에게 위임함(제10조)
지 원 조 례 전 부개 정 조례 를 이 에 공 포 한다 .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14호
인천광역시 악취방지시설 보조금 지원 조례 전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악취방지시설 보조금 지원 조례 전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 한다.
인천광역시 악취관리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환경정책기본법」제56조와 「악취방지법」
제16조의3에 따라 산업 및 생활 활동에서 발생하는 악취를 방지하 여 시민이 건강하고 쾌적한 환경에서 생활할 수 있게 함을 목적으 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악취”란 「악취방지법」(이하 “법”이라 한다) 제2조제1호에서 규정한 악취를 말한다.
2. “악취배출시설”이란 법 제2조제3호에서 규정한 악취배출시설을 말한다.
3. “악취방지시설”이란 악취배출시설에서 발생하는 악취물질을 법
제7조에 따른 배출허용기준 및 엄격한 배출허용기준에 적합하도 록 처리하기 위한 「악취방지법 시행규칙」(이하 “시행규칙”이라 한다) 별표4 제1호에 해당하는 시설을 말한다.
4. “생활악취”란 악취배출시설 외의 시설 등으로부터 발생하는 악 취를 말한다.
5. “생물성연소”란 동·식물성 연소로 인해 다양한 입자 및 가스 상 태의 대기오염물질이 배출되는 것을 말한다.
6. “사업자”란 산업 및 영업 활동으로 악취를 발생하는 자를 말한다.
제3조(시장의 책무) 인천광역시장(이하 “시장”이라 한다)은 악취발생 원에 대한 효율적인 방지를 위한 악취방지시책을 수립·시행하여야 한다.
제4조(지원계획 수립 등) ① 시장은 매년 보조금의 수요를 조사하고 그 결과를 반영하여 악취방지시설 등의 보조금 지원계획을 수립·
시행할 수 있다.
② 시장은 제1항에 따른 보조금 수요조사를 하는 경우 군수·구청장 에게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이 경우 군수·구청장은 특별한 사유가 없으면 이에 협조하여야 한다.
제5조(보조금 지원) ① 시장은 악취 및 생활악취 저감과 방지를 위하 여 사업자에게 다음 각 호의 사업비를 예산의 범위에서 지원할 수 있다.
1. 법 제7조 및 시행규칙 제8조제1항의 배출허용기준 이하로 저감 할 수 있는 방지시설의 증설 또는 개선 사업
2. 법 제7조 및 시행규칙 제8조제1항의 엄격한 배출허용기준 이하
② 제1항제1호 및 제2호는 「중소기업기본법」제2조제1항에 따른 중소기업 중 악취배출시설을 운영 중인 사업자에 한정한다.
③ 제1항에 따른 보조금 지원기준은 별표에 따른다. 다만, 최근 5 년 이내에 보조금을 지원받은 자는 제외한다.
제6조(보조금의 신청 및 교부) ① 제5조에 따라 사업자가 보조금을 받고자 하는 경우에는 시장에게 신청서를 제출하여야 한다.
② 시장은 제1항에 따른 보조금 신청이 있는 경우에는 사업계획·신 청자금의 적정성 등을 검토하여 그 지원 여부를 결정하고 보조금을 교부하여야 한다.
제7조(신고의무) 보조금을 지원받은 자는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지체 없이 시장에게 신고하여야 한다.
1. 보조금을 받은 사업의 개시·폐지하고자 하는 경우 2. 보조금 사업계획 내용을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제8조(보조금의 반환조치) ① 시장은 보조금을 지원받은 자가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기한을 정하여 보조금의 전부 또는 일부의 반환을 명할 수 있다.
1. 보조금 교부조건을 위배하였을 경우
2. 보조금 교부사업의 전부 또는 일부를 폐지하였을 경우 3. 거짓 또는 부당한 방법으로 보조금을 교부 받은 경우
4. 그 밖에 보조받은 사업을 성실히 수행하지 아니한다고 인정되는 경우
② 제1항제1호 및 제3호에 해당하는 경우에는 5년의 범위에서 지 방보조금의 교부를 제한할 수 있다.
제9조(지도·감독) 시장은 이 조례에 따른 보조사업의 추진상황을 파
악하기 위하여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때에는 소속 공무원에게 확인·
검사하게 할 수 있다.
제10조(권한의 위임) 시장은 제6조부터 제8조까지의 권한을 군수․구 청장에게 위임한다.
제11조(준용) 이 조례에서 정하지 아니한 사항은 「인천광역시 재정 운영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른다.
제12조(시행규칙) 이 조례의 시행에 필요한 사항은 규칙으로 정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조례는 공포 후 3개월이 경과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조례의 개정) 인천광역시 재정운영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2의 제35호를 다음과 같이 한다.
35. 인천광역시 악취관리 및 지원에 관한 조례
악취방지(저감)시설 보조금 지원기준
(제5조제3항 관련)1. 악취배출시설
가. 보조금
구 분 보 조 금 비 고
가. 사업자 악취방지(증설) 시설 5천만 원 이하 나. 사업자 악취방지(개선) 시설 3천만 원 이하
※ 비 고
1. 악취방지시설 설치비용은 개선 및 증설 사업을 포함한다.
2. 악취방지시설 운영․관리를 위한 소모품 교체비용은 제외한다.
3. 보조금은 시비 및 군․구비를 포함하여 사업자에게 지원할 수 있는 최대지원 한도를 말한다.
나. 기준 보조율
구 분 계 시비 군․구비 사업자 비고
기준보조율(%) 100 40 30 30
2. 생활악취배출시설 가. 보조금
구 분 보 조 금 비 고
가. 생물성연소 악취저감 시설 2천만 원 이하
나. 그 밖에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시설 1천만 원 이하
※ 비 고
1. 생물성연소 악취저감 시설의 신규 및 개선 비용을 포함한다.
2. 생물성연소 악취저감 시설 운영․관리를 위한 소모품 교체비용은 제외한다.
3. 보조금은 시비 및 군․구비를 포함하여 사업자에게 지원할 수 있는 최대지원 한도를 말한다.
나. 기준 보조율
구 분 계 시비 군·구비 사업자 비고 가. 생물성연소 악취저감 시설 설치 (%) 100 50 25 25
나. 그 밖에 시장이 필요하다고 인정하는 시설 (%) 100 50 25 25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물이용부담금자문위원회 설치·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
개정이유
한강수계관리기금의 효율적인 운용·관리를 위하여 물이용 부담금자문위원회의 존속기한을 2017년 12월 31일에서 2022 년 12월 31일로 5년 연장하고 위원회 운영의 일부 미비한 사 항을 개선ㆍ보완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간사를 수질보전하천과장에서 한강수계 관련업무 담당 과장으로 함(제5조제3항)
○ 위원회의 존속기한을 2022년 12월 31일까지로 함(제12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물이용부담금자문위원회 설치·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15호
인천광역시 물이용부담금자문위원회 설치·운영 조례 일부개정조례
인천광역시 물이용부담금자문위원회 설치·운영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3항 중 “수질보전하천과장”을 “한강수계 관련업무 담당 과 장”으로 한다.
제12조 중 “2017년 12월 31일”을 “2022년 12월 31일”로 한다.
부칙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정이유
심정지 고위험군 환자의 가족 등 교육이 필요한 시민을 대상 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에 관한 필요한 사항을 정하고 심폐소생술 교육을 활성화하여 심정지 환자의 소중한 생명과 건강을 보호 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 시장이 책무에 관한 사항을 정함(제3조)
○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매년 심폐소생술 교육 계획을 수립함(제4조)
○ 심폐소생술 교육 대상 및 내용을 정함(제5조 및 제6조)
○ 심폐소생술 교육장의 설치, 교육 인력 및 장비 배치에 관한 사항을 정함(제7조)
○ 심폐소생술 교육 관련 기관 간 협력체계를 구축하도록 함(제8조)
○ 시민을 대상으로 심폐소생술 교육을 시행하는 단체나 기관 등에 교육인력 및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비를 지원함(제9조)
○ 심폐소생술 교육 수료자를 대상으로 한 자원봉사자의 모집․운영 및 실비의 제공, 포상에 관한 사항을 정함(제12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화에 관한 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16호
인천광역시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화에 관한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갑작스런 심정지(心停止) 환자 발생시 최초 목격자에 의한 신속한 심폐소생술 시행이 환자의 생명을 구하는 매 우 중요한 수단이므로 고위험군 가족 등 교육이 필요한 시민을 대 상으로 적정한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관련사항을 규정함으로써 심 정지 환자의 생명을 구하고 건강보호를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심정지 환자”란 상황적으로 갑자기 심장이 정지되고 호흡이 멈 춘 환자를 말하며, 신속한 심폐소생술을 받지 못하면 생명을 보존 할 수 없거나, 심신상의 중대한 위해가 초래될 가능성이 있는 환 자 또는 이에 준하는 사람을 말한다.
2. “심폐소생술”이란 심정지가 발생한 사람을 소생시키기 위하여 시 행되는 일련의 생명 구조 행위를 말한다.
3. “고위험군”이란 심정지의 위험성이 높은 심장질환, 당뇨, 고혈압, 고지혈증, 뇌졸중 등을 가진 만성질환자를 말한다.
제3조(책무) 인천광역시장(이하 “시장”라 한다)은 고위험군 가족 등 심폐소생술 교육이 필요한 시민이 제때에 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필요한 시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제4조(심폐소생술 교육계획의 수립) ① 시장은 심정지 환자에 대한 초기 생존율 향상 등 시민의 생명과 건강을 보호하기 위하여 해마 다 심폐소생술 교육계획(이하 “교육계획”이라 한다)을 수립하여야 한다.
② 교육계획에는 다음 각 호의 사항이 포함되어야 한다.
1. 심폐소생술 교육의 기본방향
2. 심폐소생술 교육의 대상·내용·방법 및 재교육에 관한 사항 3. 고위험군 환자 가족의 심폐소생술 교육에 관한 사항
4. 제8조에 따른 협력체계 구축에 관한 사항 5. 심폐소생술에 관한 홍보 및 상담에 관한 사항 6. 그 밖에 심폐소생술 교육에 필요한 사항
③ 시장은 교육계획의 수립을 위하여 심폐소생술 교육 관련 기관에 자료제공 등의 협조를 요청할 수 있다.
제5조(교육대상) 심폐소생술 교육을 원하는 시민은 응급환자의 생명 과 건강을 보호할 수 있도록 시장이 시행하는 교육을 받을 수 있 다.
제6조(교육내용) 심폐소생술 교육의 내용은 다음 각 호와 같다.
1. 응급환자의 기도 확보 방법, 심장박동의 회복을 위한 심폐소생술
5. 그 밖에 생명의 위험이나 증상의 현저한 악화를 방지하기 위하 여 긴급히 필요로 하는 처치 등
제7조(심폐소생술 교육장의 운영) ① 시장은 시민에게 원활한 심폐 소생술 교육을 실시하기 위하여 상설 심폐소생술 교육장(이하 “상 설교육장”이라 한다)을 운영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라 상설교육장을 운영하는 경우에는 「119구조구급에 관한 법률 시행령」제32조의2제6항에 따른 인력 및 장비를 배치하 여야 한다.
제8조(협력체계 구축) 시장은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접근성 향상 과 양질의 교육을 제공하기 위하여 시·군, 교육기관, 대한적십자사, 의료기관 등 관련 기관과 상시적인 협력체계를 구축하여야 한다.
제9조(관련 기관 등에 대한 지원) ① 시장은 시민을 대상으로 심폐 소생술 교육을 시행하는 단체나 기관 등에 예산의 범위에서 필요한 경비 및 교육인력을 지원하거나 활동을 장려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경비의 지원 방법 및 절차 등은 「인천광역시 재 정운영 조례」를 따른다.
제10조(사후관리) 시장은 해당 연도의 심폐소생술 교육에 대한 결과 를 분석·평가하고 그 평가 결과를 다음 연도 사업계획 수립에 참고 하여야 한다.
제11조(심폐소생술 교육 홍보) 시장은 심폐소생술 교육이 원활하게 운영 될 수 있도록 적극 홍보하여야 한다.
제12조(자원봉사자의 모집·운영) ① 시장은 시민의 자발적 심폐소생 술 교육 실시를 위하여 심폐소생술 교육을 수료한 사람 중에서 자
원봉사자를 모집·운영할 수 있다.
② 제1항에 따른 자원봉사자의 활동을 지원하기 위하여 예산의 범 위에서 실비를 지급할 수 있다.
③ 시장은 자원봉사활동 실적이 우수한 자원봉사자에게 「인천광역 시 포상 조례」에 따라 포상할 수 있다.
제13조(시행규칙) 이 조례의 시행에 관하여 필요한 사항은 규칙으로 정한다.
부칙
제1조(시행일) 이 조례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조례의 개정) 인천광역시 재정운영 조례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2에 다음과 같이 신설한다.
인천광역시 심폐소생술 교육 활성화에 관한 조례
인 천 광 역 시 조 례 (공 포 )
제 명 : 인천광역시 공유경제 촉진 조례
제정이유
공유경제 촉진을 통해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 하고 공동체를 회복하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도적 기반을 마련하려는 것임.
주요내용
〇 공유경제 촉진을 위한 기본계획은 5년마다, 기본계획에 따른 시행계획은 해마다 수립·시행하도록 규정(제5조)
〇 공유경제 촉진을 위한 공유단체 및 공유기업 지정 및 지원에 관한 사항, 교육 및 홍보, 포상 등에 관한 사항을 규정 (제8조부터 제13조까지)
〇 인천광역시 공유경제촉진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사항 규정 (제14조부터 제18조까지)
〇 공유경제 촉진을 위한 시책을 효율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공유경제정보관리시스템을 구축·운영 할 수 있도록 함(제19조)
〇 공유경제 지원에 관한 사항을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하여 인천광역시 공유경제지원센터를 설치할 수 있도록 함(제20조)
〇 지원센터를 효율적으로 관리·운영하기 위하여 시 출자·출연 기관, 공유경제 관련 법인이나 단체에 위탁할 수 있도록 함 (제21조)
인천광역시의회의 의결을 얻은 인천광역시 공유경제 촉진 조례를 이에 공포한다.
인 천 광 역 시 장
유 정 복
2017년 12월 29일
인천광역시조례 제5917호
인천광역시 공유경제 촉진 조례
제1조(목적) 이 조례는 공유경제 촉진을 통해 자원의 활용을 극대화 하고 공동체를 회복하며 지역경제를 활성화하기 위해 필요한 사항 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제2조(정의) 이 조례에서 사용하는 용어의 뜻은 다음과 같다.
1. “공유경제(共有經濟)”란 공간, 물건, 정보, 재능, 경험 등 자원을 함께 사용함으로써 시민의 편의를 증진하고 사회적·경제적·환경적 가치를 창출하는 경제활동을 말한다.
2. “공유단체”란 공유경제를 통해 경제, 복지, 문화, 환경, 교통 등 사회문제 해결에 기여하고자 하는 비영리 민간단체 또는 비영리
제3조(시장의 책무) ① 인천광역시장(이하 “시장”이라 한다)은 공유 경제 촉진을 위하여 필요한 제도와 여건을 조성하고 이를 위한 시 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② 시장은 인천광역시(이하 “시”라 한다) 및 「지방공기업법」에 따라 시가 설립한 공사·공단 및 출자·출연기관의 공공자원이 공유 경제에 활용될 수 있도록 노력하여야 한다.
제4조(다른 조례와의 관계) 공유경제 촉진에 관하여 다른 조례에 특 별한 규정이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이 조례가 정하는 바에 따른 다.
제5조(기본계획의 수립·시행) ① 시장은 공유경제 촉진을 위한 기본 계획(이하 "기본계획"이라 한다)을 5